맨위로가기

알라바스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바스터는 석고와 방해석의 변종으로, 조각 및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반투명한 돌이다. 석고 알라바스터는 손톱으로 긁히는 무른 성질을,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염산에 녹는 특징을 보인다.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중세 유럽,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조각, 건축 자재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창문 패널, 조각상, 장식품 등에 사용되었다. 알라바스터는 가공 기술에 따라 대리석과 유사한 불투명도를 가지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될 수 있으며, 채굴 지역에 따라 특색 있는 종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산염 광물 - 석고
    석고는 황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건축, 농업,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황산염 광물 - 중정석
    중정석은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퇴적 환경에서 주로 생성되며 석유 및 가스 시추 시 굴착 유체의 가중제, 페인트, 플라스틱 충전재, 방사선 차폐 콘크리트, 바륨 화학 물질 생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때로는 보석으로도 사용된다.
  • 탄산염 광물 - 방해석
    방해석은 화학식 CaCO₃를 갖는 탄산염 광물로, 석회암의 주성분이며 퇴적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고 복굴절 현상과 다양한 결정 형태를 가지며, 불순물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띠고 광학 및 산업, 연구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아라고나이트와 동질이상 관계의 다형체이다.
  • 탄산염 광물 - 공작석
    공작석은 짙은 녹색과 공작 깃털 무늬가 특징인 탄산수산화 구리 광물로, 기원전부터 구리 채굴, 장식용 돌, 보석, 안료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지에서 산출된다.
  • 바스테트 - 방해석
    방해석은 화학식 CaCO₃를 갖는 탄산염 광물로, 석회암의 주성분이며 퇴적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고 복굴절 현상과 다양한 결정 형태를 가지며, 불순물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띠고 광학 및 산업, 연구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아라고나이트와 동질이상 관계의 다형체이다.
  • 바스테트 - 캣우먼 (영화)
    2004년 개봉한 영화 《캣우먼》은 할리 베리가 주연을 맡아 고양이 여신의 힘을 받아 캣우먼으로 부활하는 페이션스 필립스 역을 연기했지만, 혹평을 받으며 골든 라즈베리상에서 최악의 작품상과 최악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알라바스터
개요
종류광물
화학식CaSO₄·2H₂O
결정계단사정계
모스 굳기1.5 ~ 2
색상흰색, 회색, 노란색, 붉은색, 갈색
광택유리 광택, 진주 광택
투명도반투명 ~ 투명
비중2.31 ~ 2.33
벽개완전함
상세 정보
정의무수 석고의 일종으로, 조각이나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미세한 입자의 덩어리 광물임.
쉽게 조각할 수 있고, 염색도 가능함.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건축, 조각 등에 사용됨.
어원고대 이집트어 '알라바스트론(al-abastron)'에서 유래. 향유를 담는 데 사용된 용기 이름.
그리스어 '알라바스트로스(alabastros)'를 거쳐 영어 '알라바스터(alabaster)'가 됨.
종류
설화 석고 (Gypsum Alabaster)흰색의 반투명한 석고 광물.
쉽게 조각할 수 있어 조각 재료로 많이 사용됨.
방해석 (Calcite Alabaster)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
설화 석고와 유사한 외관을 가짐.
용도
조각조각상의 재료로 사용.
부드러운 질감으로 인해 섬세한 표현이 가능.
장식실내 장식용품 제작에 사용.
램프, 꽃병, 장식품 등 다양한 제품 생산.
건축건축 자재로 사용.
창문, 벽 패널 등에 사용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효과를 냄.
산지
주요 산지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이집트
멕시코
미국
한국경상북도 경주
주의사항
취급 시 주의사항습기에 약하므로 건조한 환경에서 보관해야 함.
강한 충격에 파손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기타
관련 용어석고 (Gypsum)
방해석 (Calcite)

2. 종류

알라바스터는 크게 석고(CaSO₄·2H₂O)의 변종인 설화석고와 방해석(CaCO₃)의 변종인 방해석 알라바스터, 두 가지로 나뉜다. 현대에는 주로 설화석고를 알라바스터라고 부르며,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고대에 주로 사용되었다.[26]

두 종류는 경도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설화석고는 모스 경도가 1.5~2로 낮아 손톱(경도 2.5)으로 긁히지만,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경도가 3으로 손톱으로 긁히지 않는다. 또한,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탄산칼슘이므로 염산에 반응하여 녹지만, 설화석고는 반응하지 않는다.

2. 1. 설화석고 (석고 알라바스터)

모스 경도 1.5~2로 손톱(손톱의 경도는 2.5)으로 긁을 수 있을 정도로 무르다.[26]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다. 현대에 주로 사용되는 알라바스터가 이것이다.

2. 2. 방해석 알라바스터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모스 경도가 3으로, 손톱(경도 2.5)으로 긁을 수 없다.[26] 탄산칼슘이 주성분이므로 염산에 녹는다.

3. 어원

영어 단어 "alabaster"는 고대 프랑스어 ''alabastreang''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alabasterla''를 거쳐 그리스어 ''ἀλάβαστρος|alábastrosgrc'' 또는 ''ἀλάβαστος|alábastosgrc''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어 단어는 알라바스터 항아리를 나타낸다.[5]

이 이름은 더 나아가 고대 이집트어 ''a-labasteegy''에서 유래했을 수 있는데, 이는 이집트 여신 바스트의 그릇을 가리킨다. 바스트는 사자로 묘사되었으며, 이 알라바스터 그릇 위에 놓인 조각상에서 자주 그렇게 묘사되었다.[6][7] 고대 로마의 저술가인 플리니우스프톨레마이오스는 ''alabastra''라고 불리는 연고 단지에 사용된 돌이 알라바스트론(Alabastron) 또는 알라바스트리테스(Alabastrites)로 알려진 이집트 지역에서 왔다고 썼다.[8][9]

4. 성질 및 가용성

순수한 알라바스터는 고운 균일한 입자를 가진 눈처럼 흰 재료이지만, 종종 산화물이 포함되어 갈색의 흐림과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조잡한 종류의 석고 알라바스터는 굽기를 통해 파리 석고로 변환되며, "석고석"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4]

알라바스터는 부드러워 정교한 형태로 쉽게 조각할 수 있지만, 물에 녹는 성질 때문에 야외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4]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 알라바스터 표면을 세척제로 씻으면 거칠고 칙칙해지며 하얗게 변하고, 반투명도와 광택을 대부분 잃게 된다.[10] 고급 알라바스터는 특히 교회 장식이나 계단 및 홀의 난간 등 장식용 석재로 널리 사용된다.[4][11]

5. 현대 가공 기술

알라바스터는 채굴된 후 알라바스터 작업장으로 판매되어 필요한 크기로 절단("정사각형으로 만들기") 등의 가공을 거친다.[12][13]

5. 1. 가공 기법

이탈리아 볼테라의 알라바스터 작업장


알라바스터는 채굴된 후 알라바스터 작업장으로 판매된다.[12] 작업장에서는 필요한 크기로 절단("정사각형으로 만들기")한 후, 다양한 기법으로 가공한다. 둥근 모양은 선반에서 선반 가공하고, 입체 조각은 조각하며, 로 저부조 인물이나 장식을 만든다. 그리고 투명도, 색상, 질감을 드러내는 정교한 마감 처리를 한다.[13]

5. 2. 대리석 모방

알라바스터 조각상을 물에 담가 서서히 가열하여 거의 끓는점까지 온도를 높이면 반투명성이 줄어들고 진짜 대리석과 유사한 불투명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과정은 온도 조절에 매우 주의해야 하는데, 온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돌이 칙칙한 흰색의 분필처럼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열 효과는 석고가 부분적으로 탈수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적절하게 처리된 알라바스터는 진짜 대리석과 매우 흡사하며, "마르모 디 카스텔리나"라고 불린다.[4]

5. 3. 염색

알라바스터는 다공성이 있는 석재로, 수 세기 동안 사용되어 온 기법을 통해 어떤 색상이나 음영으로든 염색할 수 있다.[13] 염색을 위해서는 석재를 다양한 안료 용액에 완전히 담그고 특정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13] 이 기법은 알라바스터를 위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알라바스터 산호"라고 불리는 산호 모조품이 생산된다.[13]

6. 역사 및 유형별 특징

일반적으로 특정 문화 환경에서는 한 종류의 알라바스터만 사용되기도 하지만, 키프로스에서 청동기 시대부터 고전 시대까지 만들어진 알라바스트론 형태의 작은 플라스크와 같이 두 종류 모두 같은 장소와 시간에 유사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가공되기도 했다.[14]

투탕카멘 무덤에서 발견된 방해석 알라바스터 향유병, 기원전 1323년

6. 1. 창문 패널

얇게 판으로 자른 알라바스터는 반투명하여 작은 창문에 사용할 수 있다.[15] 비잔틴 시대의 교회와 그 이후, 특히 중세 시대의 교회, 특히 이탈리아의 교회에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었다.[16]

아라곤산 석고 알라바스터의 큰 판은 천사들의 성모 대성당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는데,[22] 2002년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교구의 대주교가 봉헌하였다.[17] 이 대성당에는 창문이 과열되어 불투명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 냉각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17] 고대인들은 방해석 종류를 사용했고,[18] 현대 로스앤젤레스 대성당은 석고 알라바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스페인 북부의 일반적인 마을 교회와 수도원에도 알라바스터 창문의 여러 사례가 있다.

연대순 예시는 다음과 같다.

건축물건축 시기위치건축가비고
갈라 플라키디아 능묘5세기라벤나
산 비탈레 성당6세기라벤나
발렌시아 대성당주로 13세기~14세기발렌시아, 스페인팔각형 첨탑의 천창
오르비에토 대성당14세기오르비에토, 움브리아주, 이탈리아 중부
산 피에트로 대성당17세기로마베르니니 (1598–1680)"스포트라이트"를 연출하는 석고 창문
만국 교회1924년예루살렘안토니오 바를루치염색된 석고 패널이 장착된 창문
변형 교회1924년타보르산안토니오 바를루치석고 지붕이 시도됨


6. 2. 방해석 알라바스터 (Calcite alabaster)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석고 알라바스터보다 단단하며, 고대 이집트중동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도 사용된다. 종유석 퇴적물이나 탄산칼슘이 많은 샘물에 퇴적된 일종의 석회화석 형태로 발견된다. 층층이 퇴적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줄무늬 모양 때문에 오닉스 대리석(onyx-marble), 알라바스터 오닉스(alabaster-onyx)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4]

고대 이집트 세메르케트의 "U" 왕릉에서 발견된 방해석 접시

6. 2. 1. 이집트 및 중동

이집트 알라바스터는 수에즈아시우트 근처에서 광범위하게 채석되었다.[8]

이 석재 종류는 고대 이집트성경에서 언급되는 "알라바스터"이며, 초기 예시가 극동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종종 "동양 알라바스터"라고 불린다. 그리스어 이름 ''alabastrites''는 석재가 채석되었던 이집트의 알라바스트론 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이름이 광물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지만, 광물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다.[4]

"동양" 알라바스터는 알라바스트라라고 불리는 작은 향수병이나 연고 항아리를 만드는 데 높이 평가되었다. 이 용기 이름이 광물 이름의 가능한 출처로 제안되기도 한다. 이집트에서는 장인들이 알라바스터를 카노포스 항아리와 다양한 다른 성스럽고 무덤 관련 물건을 만드는 데 사용했다. 세티 1세의 석관은 테베 근처 세티 1세의 무덤에서 발견되어 런던 서 존 소운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알라바스트론산 반투명 방해석 알라바스터 하나의 덩어리로 조각되었다.[4]

알제리의 오닉스 대리석은 주로 오랑 주에서 채석되었다.

방해석 알라바스터는 고대 이스라엘의 베이트 셰메시 근처 쌍둥이 동굴이라고 알려진 동굴에서 채석되었다. 헤로데 대왕은 그의 궁전 목욕탕에 이 알라바스터를 사용했다.[19]

6. 2. 2. 북미

멕시코에서는 푸에블라 근처 테칼리 지역의 라 페드라라에서 섬세한 녹색의 유명한 알라바스터 매장지가 있다. 오닉스 대리석은 또한 테와칸 지역과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유타, 콜로라도, 버지니아를 포함한 미국의 여러 지역에서도 산출된다.[4]

6. 3. 설화석고 (Gypsum alabaster)

석고 앨러배스터는 방해석 앨러배스터보다 무르다. 중세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도 사용된다.

6. 3. 1. 고대 및 고전 근동

죽어가는 수사자,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의 아슈르바니팔의 사자 사냥 부조, 영국 박물관


"모술 대리석"은 현대 이라크 북부에서 발견되는 석고 석고로, 기원전 9세기부터 7세기까지 아시리아 궁전 부조에 사용되었다. 이것은 정기적으로 만들어진 가장 큰 종류의 석고 조각이다. 부조는 매우 낮고 조각은 정교하지만, 높이 약 약 2.13m의 슬래브에 연속적인 구성으로 큰 방들이 장식되었다. 영국 박물관에 있는 기원전 7세기의 아슈르바니팔의 사자 사냥과 군사 라키시 부조는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일부이다.

석고 석고는 고대 세계, 특히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실내용 소형 조각에 널리 사용되었다. 철이나 강철 도구 없이도 매력적인 마감 처리를 한 재료로 세밀한 디테일을 얻을 수 있었다. 석고는 고대 이집트 문화에서 바스트 여신 숭배에 사용되는 그릇에 사용되었으며, 시리아 나가르의 텔 브락에서 기원전 4천년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천 개의 석고 유물이 발견되었다.[20]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석고 석고가 사원에서 신과 신도들의 인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였다. 뉴욕에 보관되어 있는 기원전 3천년기 전반부의 아부 신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물상이 그 예이다.[21]

바빌론(Babylon) 근처 힐라(Hillah)의 묘지. 알라바스터, 금, 테라코타(terracotta), 루비 사용. 루브르 박물관 소장

6. 3. 2. 이탈리아 볼테라

현대 유럽에서 알라바스터 무역의 중심지는 피렌체이다.[4] 토스카나의 알라바스터는 마이오세와 플리오세 시대의 이암과 층리가 있는 석회암에 박혀 있는 덩어리 형태로 산출된다.[4] 이 광물은 주로 볼테라 지역의 지하 갱도를 통해 채굴된다.[4] 맥이 있는 것, 반점이 있는 것, 흐릿한 것, 아가트 모양의 것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4] 주로 카스텔리나에서 얻어지는 최고급 종류는 조각상 제작을 위해 피렌체로 보내지며, 일반적인 종류는 현지에서 꽃병, 조명, 여러 가지 장식품으로 조각된다.[4] 이러한 품목들은 특히 피렌체, 피사, 그리고 리보르노에서 광범위하게 거래된다.[4]

기원전 3세기 에트루리아인들은 현대 볼테라 지역의 토스카나 알라바스터를 사용하여 장례 항아리를 만들었는데, 그리스 예술가들로부터 기술을 전수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3] 중세 동안 알라바스터 공예는 거의 완전히 잊혀졌다.[23] 16세기 중반에 부흥이 시작되었고, 17세기 초까지 알라바스터 작업은 엄격하게 예술적인 것이었으며 대규모 산업으로 확장되지 않았다.[24]

17세기와 18세기에는 르네상스 스타일의 예술적이고 고품질의 유물 생산이 완전히 중단되었고, 대규모 생산과 상업에 더 적합한 덜 정교하고 저렴한 품목으로 대체되었다.[24] 새로운 산업은 번영했지만, 숙련된 장인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인해 여전히 일하는 장인은 거의 남지 않았다.[24] 19세기는 유럽의 궁전뿐만 아니라 아메리카와 동양에도 제품을 제공한 "순회 장인"들 덕분에 이 산업에 붐을 가져왔다.[24]

19세기에는 새로운 가공 기술도 도입되어 맞춤형 독창적인 작품 제작과 알라바스터와 다른 재료의 결합이 가능해졌다.[24] 새롭게 개발된 공예 외에도 볼테라 조각가 알비노 후나이올리를 중심으로 예술 작품이 다시 가능해졌다.[24] 짧은 불황 이후, 대량 생산된 매너리즘 표현주의 조각품의 판매로 산업이 다시 부흥했다.[24] 1920년대에는 아르데코 스타일의 천장등과 벽등을 제작하는 새로운 분야가 추가되어 1925년 파리에서 열린 국제 현대 산업 및 장식 예술 박람회에 참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알라바스터 사용의 발전에 중요한 인물로는 볼테라 출신의 "최초의 알라바스터 디자이너"인 움베르토 보르냐와 후대의 건축가이자 산업 디자인가인 안젤로 만자로티가 있다.[25]

6. 3. 3. 영국 및 웨일스

Midlands영어 지역(더비셔주, 스태퍼드셔주, 노팅엄셔주)의 케우퍼 마르에서 석고 알라바스터가 발견된다. 이들 지역의 매장지는 광범위하게 채굴되었다.[4]

14세기와 15세기에 소형 조각상과 제단화를 위한 부조 패널 세트를 조각하는 것은 노팅엄의 중요한 지역 산업이자 주요 영국 수출품이었다. 이들은 보통 채색되거나 부분적으로 채색되었다.
그리스도의 부활, 1450~1490년 제작된 대표적인 노팅엄 알라바스터 제단화 패널로,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채색 장식을 보여준다
또한 묘비에 종종 실물 크기로 만들어진 상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재료의 강도 부족에 적합한 전형적인 와위 자세였고, 좋은 대리석보다 저렴하고 가공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영국 종교 개혁 이후 제단화 세트 제작은 중단되었지만, 부조와 조각상을 이용한 장례 기념물 작업은 계속되었다.

영국(특히 노팅엄 성 박물관, 대영 박물관,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남아있는 조각상 외에도, 골동품 거래를 제외한 광물 알라바스터 거래는 클뤼니 박물관, 스페인, 스칸디나비아까지 이어지고 있다.

알라바스터는 소량이지만 서머싯주 와쳇, 글러머건셔주 페너스 근처 및 그 외 다른 곳에서도 발견된다. 컴브리아에서는 주로 뉴 레드 암석에서 발견되지만, 지질학적으로는 더 낮은 지층에서 발견된다. 노팅험셔와 더비셔의 알라바스터는 두꺼운 결절상 층 또는 "층"에서 "볼" 또는 "보울"로 알려진 구형 덩어리와 "케이크"라고 불리는 더 작은 렌즈형 덩어리로 발견된다. 첼러스턴에서는 현지 알라바스터가 "패트릭"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비셔 스파"라는 이름으로 장식품으로 가공되어 왔다. 이 용어는 플루오르스파에 더 적합하게 적용되는 용어이다.[4]

6. 3. 4. 흑색 알라바스터 (Black alabaster)

흑색 알라바스터는 희귀한 무수석고 형태의 석고 기반 광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단 세 곳, 미국, 이탈리아, 중국에서만 발견된다.

오클라호마주 프리덤 근처의 알라바스터 동굴 주립공원에서는 분홍색, 흰색, 그리고 희귀한 검은색 알라바스터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알라바스터가 발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Gypsum https://www.britanni[...] 2017-01-08
[2] 문서 More About Alabaster and Travertine http://www.oum.ox.ac[...] Oxford University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2
[3] 웹사이트 Alabaster http://www.oxfordart[...] Oxford Art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3-13
[4] 논문 Report on the Volterra Alabaster Industry Foreign Office, Miscellaneous Series
[4] 논문 The Gypsum Deposits of Nottingham and Derbyshire
[4] 논문 The Natural History of Gypsum
[4] 논문 The Onyx Marbles
[4] 백과사전 Alabaster
[5] 웹사이트 Alabastos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alabaster - definition http://www.yourdicti[...]
[7] 웹사이트 alabaster http://www.m-w.com/d[...]
[8] 서적 Ancient Egyptian Materials and Industrie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16-07-26
[9] 웹사이트 Egyptian Loan-Words in English 2007
[10] 간행물 Care of Alabaster https://www.nps.gov/[...] 2000-09
[11] 서적 Acta Eruditorum http://atena.beic.it[...]
[12] 웹사이트 Italian Alabaster Works of G. Bruci & Co., Volterra: Extraction http://www.alialabas[...]
[13] 웹사이트 Italian Alabaster Works of G. Bruci & Co., Volterra: Working techniques http://www.alialabas[...]
[14] 서적 The Cesnola Collection of Cypriot Art: Stone Sculpture https://books.googl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5] 뉴스 Alabaster Gleams in Cathedral https://www.latimes.[...] 2020-10-17
[16] 서적 Hagia Sophia and the Byzantine Aesthetic Experience http://dx.doi.org/10[...] Routledge 2016-04-22
[17] 웹사이트 Windows https://olacathedral[...] 2022-06-17
[18] 웹사이트 Buffalo Architecture and History: Alabaster http://www.buffaloah[...]
[19] 간행물 Sourcing Herod the Great's calcite-alabaster bathtubs by a multi-analytic approach 2022-05-07
[20] 웹사이트 http://www.metmuseum[...]
[21] 웹사이트 http://www.metmuseum[...]
[22] 웹사이트 Alabaster in Aragon (Spain) https://web.archive.[...] 2015-12-06
[23]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Volterra https://web.archive.[...] 2016-07-25
[24] 웹사이트 Italian Alabaster Works of G. Bruci & Co., Volterra: History https://web.archive.[...] 2016-07-25
[25] 웹사이트 Ecomuseo dell'alabastro http://www.toscana90[...]
[26] 서적 학술용어집 지학편 일본학술진흥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