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산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동에 있는 철도역이다. 1905년 4월 1일 영업을 시작하여, 1977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경전선과 남도해양관광열차의 시종착역이며,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열차가 운행한다. 마산역은 3면 6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역 광장에는 시내버스 터미널, 택시 승강장, 유료 주차장 등 편의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산회원구 - 중리역
    중리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리에 있는 경전선 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1998년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현재는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 마산회원구 - 창신대학교
    창신대학교는 1990년 창신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201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간호대학 등을 운영하고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갖춘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 경상남도의 철도역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상남도의 철도역 - 함안역
    함안역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역사를 이전했으며, 현재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마산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마산역
한자 표기馬山驛
로마자 표기Masan Station
위치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마산역광장로 18
소속 노선경전선
관리역마산관리역
역 등급2급
개업일1905년 4월 1일
역 종류보통역
승강장3면 6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비치역
좌표35° 14′ 9.23″ N, 128° 34′ 38.19″ E
단말기 코드059
노선 정보
영업 거리삼랑진역 기점 42.1 km
이전 역창원역
이전 역 거리3.6 km
다음 역중리역
다음 역 거리6.6 km
통계 정보
2010년 승차 인원876명
2010년 승강 인원1,728명
이미지 정보
구 역사 (2010년 개보수 완료)
역사
역명판

2. 역사

1905년 4월 1일 삼랑진역~마산역 간 마산선 개통과 함께 마산역이 영업을 시작했다.[1] 당시 역 위치는 현재의 월포동이었다.[2] 이후 1910년 구마산역, 1923년 북마산역이 각각 개통되었다. 1970년대까지 마산 시내 철도 구간은 Y자 형태로, 진주에서 부산으로 가려면 마산 시내로 들어왔다가 후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970년대 도로교통 발전과 함께 마산시의 시가지 확장 계획에 따라 석전동, 합성동에 새 마산역 건립이 추진되었다. 중리-창원 간 직행 선로 건설 계획도 발표되었다. 1977년 12월 15일 석전동에 신역사가 개업하면서 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이 통합되었다.[2]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복선 전철화로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23년 9월 1일 SRT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마산역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05년 4월 1일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1943년 12월 1일마산역 폐지, 마산부두역으로 변경
1971년 9월 10일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
1977년 12월 15일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 통합, 신축 준공
1993년 5월 1일유료휴게실 운영 개시[3]
1995년 7월 1일유료휴게실 폐지[4]
2000년 1월 1일지역관리역으로 승격
2006년 5월 1일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7월 1일지역관리역제 폐지, 보통역으로 조정
2010년 9월 1일화물 취급 중지
2010년 12월 15일KTX 운행 개시, 신역사 운영 개시, 경전선 복선전철화 미전선 및 낙동강역-마산역 구간 개통[5]
2011년 1월 26일마산항제1부두선 폐지
2023년 9월 1일SRT 정차 개시


2. 1. 개요

1905년 4월 1일 삼랑진역~마산역 간 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1], 당시 역 위치는 현재의 월포동이었다.[2] 1910년 마산선 상에 구마산역이, 1923년에는 마산역 서쪽으로 뻗어나가는 경남선 상에 북마산역이 각각 개통되었다. 세 역 모두 당시 마산시(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중심부에 위치했는데, 이는 좁은 구역으로 조성된 마산시의 접근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당시 마산항 인근은 도로교통이 낙후되어 철도교통이 핵심 화물 운송 수단이었다.

북마산역 개통 후 마산역은 '신마산의 마산역', 즉 '신마산역'으로도 불렸으며[2], 삼랑진 방면과 진주 방면에서 오는 두 철도가 만나는 곳이자, 마산항 부두에서 반입되는 물품들의 첫 관문이었다. 1970년대 말까지 마산 시내 철도 구간은 Y자 형태로, 진주에서 부산으로 가려면 마산 시내로 들어왔다가 후진해야 하는 운행 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1970년대 도로교통 발전과 함께 마산시 확장 계획에 따라 당시 허허벌판이던 시 외곽(현재의 석전동, 합성동)에 새 마산역 건립이 추진되었다. 중리-창원 간 직행 선로 건설 계획도 발표되었으나, 마산항 화물 운송을 위해 기존 경전선 선로는 유지되었다.

1977년 12월 15일 석전동에 마산역 신 역사가 개업하면서, 기관차사무소와 차량 유치 선로를 확보할 수 있었다. (구)마산역, 구마산역, 북마산역은 폐쇄되고 마산역으로 영업이 통합되었다.[2] 기존 마산 시내 통과 경전선 중 옛 경남선 구간((구)마산~중리)은 마산역 분기 마산항제1부두선으로, 옛 마산선 구간((구)마산~창원)은 3·15 대로로 변경되었다. (구)마산역(신마산역)은 역 건물이 사라지고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으나, 일부 건물과 수동 전철기 등이 남아있으며, 건물 한 동은 인쇄소로 활용되고 있다.

1977년 완공 당시 허허벌판이던 마산역은 현재 마산시외버스터미널과 함께 상업 시가지가 크게 발달하여, 역전시장과 비즈니스 빌딩 등이 들어서 있다.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최초로 미전선 경유 낙동강역~마산역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과 함께 KTX 운행을 시작했다. 2012년 12월 5일 진주역까지 복선화 및 전철화되면서 KTX 운행이 연장되었고, 일부 마산역 착발 KTX를 제외한 나머지는 진주역 시·종착으로 이관되었다. 향후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시 시종착역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1905년 4월 1일 - 개업. (당시 위치는 현재 역 남쪽 해안, 스위치백 구조)
  • 1977년 12월 15일 - 창원역-본 역-중리역 간 노선 변경, 현재 위치로 이전. 구 선로 일부는 마산항 제1부두선으로 변경.
  • 2010년 12월 15일 - 경전선 삼랑진부터 복선 전철화 및 일부 구간 이설, 서울 방면 KTX 운행 개시, 역사 개축.
  • 2011년 1월 26일 - 마산항 제1부두선 폐지.

2. 2. 일제강점기 (1905년 ~ 1945년)

1905년 4월 1일 삼랑진역~마산역 간 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1] 당시 역 위치는 현재의 월포동이었다.[2] 1910년 마산선에 구마산역이 개통되었고, 1923년에는 마산역 서쪽으로 뻗어나가는 경남선이 생기면서 북마산역도 영업을 시작했다. 세 역 모두 당시 마산시(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중심부에 있었는데, 이는 마산시 시내 조성이 좁은 구역으로 이루어져 접근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당시 인근 마산항은 도로 교통이 낙후되어 철도가 핵심 화물 운송 수단이었다.

북마산역 개통 후 마산역은 ‘신마산의 마산역', 즉 '신마산역'으로도 불렸으며[2], 삼랑진 방면에서 오는 철길과 진주 방면에서 오는 두 철도가 만나는 곳이자, 마산항 부두에서 반입되는 각종 물품이 처음 들어오는 곳이었다.

2. 3.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05년 4월 1일 삼랑진역~마산역 간 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1] 당시 역 위치는 현재의 월포동이었다.[2] 1910년 마산선에 구마산역이, 1923년에는 마산역 서쪽으로 뻗어나가는 경남선에 북마산역이 개통되었다. 세 역 모두 당시 마산시(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중심부에 있었다. 당시 마산시는 시내가 좁게 조성되어 접근성을 고려하면 시내 깊숙이 들어올 수밖에 없었고, 인근 마산항은 도로 교통이 낙후되어 철도교통이 핵심 화물운송수단이었다.

북마산역 개통 후 마산역은 ‘신마산의 마산역’, 즉 ‘신마산역’으로도 불렸으며,[2] 삼랑진 방면 철길과 진주 방면 철길이 만나는 곳이자, 마산항 부두에서 반입되는 물품들이 처음 들어오는 곳이었다. 1970년대 말까지 마산 시내 철도구간은 Y자 형태로, 진주에서 부산으로 가려면 마산 시내까지 들어왔다가 후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970년대부터 도로교통이 발전하면서 마산시의 시가지 확장계획에 따라 당시 허허벌판이던 시 외곽(현재의 석전동, 합성동)에 새 마산역을 건립하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중리에서 창원으로 직행하는 선로 건설계획도 함께 발표되었으나, 기존 경전선 선로 철거 계획은 없었다. 이는 마산항의 주요 화물운송수단이 여전히 철도였기 때문이다.

1977년 12월 15일 석전동에 마산역 신 역사가 개업했다. 이전과 달리 시 외곽에 위치하여 기관차사무소와 많은 차량 유치선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마산역 이설 후 기존 (구)마산역, 구마산역, 북마산역은 폐쇄되고 이곳으로 영업체계가 통합되었다.[2] 마산시내를 통과하던 경전선 노선 중 옛 경남선 구간((구)마산~중리)은 마산역 분기 형식으로 변경되어 마산항제1부두선으로 개편되었다. 옛 마산선 구간((구)마산~창원)은 도로(3·15 대로)가 되었다. (구)마산역(신마산역)은 역 건물은 사라지고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으나, 신마산역 기능을 담당했던 일부 건물과 수동 전철기 등이 남아있으며, 건물 한 동은 인쇄소로 활용되고 있다.

1977년 완공 당시 허허벌판이었던 마산역은 현재 마산시외버스터미널과 함께 상업 시가지가 크게 발달하였다. 역전시장과 비즈니스 빌딩이 대표적이다.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최초로 미전선 경유 낙동강역~마산역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어 KTX 운행을 시작했다. 2012년 12월 5일 진주역까지 복선화 및 전철화가 완료되어 운행이 연장되었고, 마산역 착발 KTX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는 진주역 시·종착으로 이관되었다. 추후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후 시종착역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마산역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05년 4월 1일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1943년 12월 1일마산역 폐지, 마산부두역으로 변경
1971년 9월 10일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
1977년 12월 15일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 통합, 신축 준공
1993년 5월 1일유료휴게실 운영 개시[3]
1995년 7월 1일유료휴게실 폐지[4]
2000년 1월 1일지역관리역으로 승격
2006년 5월 1일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7월 1일지역관리역제 폐지, 보통역으로 조정
2010년 9월 1일화물 취급 중지
2010년 12월 15일KTX 운행 개시, 신역사 운영 개시, 경전선 복선전철화 미전선 및 낙동강역-마산역 구간 개통[5]
2011년 1월 26일마산항 제1부두선 폐지
2023년 9월 1일SRT 정차 개시


3. 역 구조

마산역 출입문을 기준으로 왼편에는 표 사는 곳(매표소), 오른편에는 타는 곳(승강장)으로 향하는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정면 끝부분에는 4400호대 디젤 기관차 등을 주로 담당하는 마산기관차사무소로 향하는 구름다리(육교)가 설치되어 있다.[7]

3. 1. 개요

마산역에는 4400호대 디젤 기관차 등 중형 디젤기관차를 주로 담당하는 '마산기관차사무소'가 있다. 기관차 유치를 위해 설치된 유치선으로 인해 역 구내가 꽤 넓으며, 경상남도에서 최대 규모이다. 넓은 유치선은 일반 여객열차 유치에도 활용되어, 서울, 대구, 부전 등 일부 열차의 시종착역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특히 서울 - 마산 간 경전선 새마을호경전선을 운행하는 모든 KTX 열차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지만, 2012년 12월 5일부터 진주역이 시종착역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 1월 1일 마산역은 일반 역에서 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어 마산지역관리역이 되었으며, 경전선하동-한림정 구간, 진해선 전 구간, 사천선 전 구간을 관할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 7월 1일 마산지역관리역은 한국철도공사 경남지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조직 개편으로 경남지사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로 통합되어 사라지고 마산관리역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마산역은 상대식·섬식 승강장 3면 6선의 지상역이다.

3. 2. 승강장

마산역은 3면 6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1, 2번 승강장은 부전-마산간 복선전철 전용 고상홈으로 건설되었으나[7], 아직 미개통 상태이기에 평상시에는 개방하지 않는다. 3~6번 승강장은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전용 저상홈이다. 각 승강장으로 향하는 통로에는 노약자 전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노선종류목적지비고
1・2마산 - 부전 광역전철예비 승강장, 현재 미사용
3경전선(하행)ITX-새마을무궁화호진주순천광주송정목포 방면
4KTX
5경전선(상행)ITX-새마을무궁화호삼랑진구포부전태화강포항
밀양동대구대전・광명・서울 방면
6ITX-새마을무궁화호



4. 역 시설

마산역 광장에는 시내버스 간이 터미널, 택시 승강장, 유료 주차장이 있다. 유료 주차장 요금은 2008년 4월 15일 기준으로 30분당 500KRW이며, 종일 주차 시에는 5000KRW이다.[1]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4. 1. 개요

마산역에는 4400호대 디젤 기관차 등 중형 디젤기관차를 주로 담당하는 '마산기관차사무소'가 있다. 기관차 유치를 위해 설치된 유치선으로 인해 역 구내가 꽤 넓은 편이며, 경상남도에서 최대 규모이다. 넓은 유치선은 일반 여객열차 유치에도 활용되어 서울, 대구, 부전 등 일부 열차의 시종착역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특히 서울 - 마산 간 경전선 새마을호경전선을 운행하는 모든 KTX 열차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지만, 2012년 12월 5일부터 진주역이 시종착역으로 변경되었다.[1]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마산역은 2000년 1월 1일 일반 역에서 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어 마산지역관리역이 되었으며, 경전선하동-한림정 구간, 진해선 전 구간, 사천선 전 구간을 관할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 7월 1일 마산지역관리역은 한국철도공사 경남지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조직 개편으로 경남지사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로 통합되어 사라지고 마산관리역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1]

마산역 광장에는 시내버스 간이 터미널, 택시 승강장, 유료 주차장이 있다. 유료 주차장 요금은 2008년 4월 15일 기준으로 30분당 500KRW이며, 종일 주차 시에는 5000KRW이다.[1]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 국민은행 마산역지점
  • 국민건강보험공단 창원마산지사
  • 석전초등학교
  • 경남은행 본점
  • CGV마산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4. 2. 상세 시설

마산역 출입문을 기준으로 왼편에는 표 사는 곳(매표소), 오른편에는 타는 곳(승강장)으로 향하는 통로가 있다. 정면 끝에는 마산기관차사무소로 향하는 구름다리(육교)가 설치되어 있다.[7]

이 역에는 4400호대 디젤 기관차 등 중형 디젤기관차를 주로 담당하는 '마산기관차사무소'가 있다. 기관차 유치를 위해 설치된 유치선으로 인해 역 구내가 경상남도에서 최대 규모로 넓다. 넓은 유치선을 활용하여 일반 여객열차도 유치할 수 있어, 서울역, 대구역, 부전역 등 여러 방면으로의 일부 열차 시·종착역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서울역-마산 간 경전선 새마을호경전선을 운행하는 모든 KTX 열차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지만, 2012년 12월 5일부터 진주역이 시·종착역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 1월 1일부로 마산역은 일반 역에서 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어 마산지역관리역이 되었으며, 경전선하동-한림정 구간, 진해선 전 구간, 사천선 전 구간을 관할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 7월 1일에는 마산지역관리역이 한국철도공사 경남지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조직 개편으로 경남지사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로 통합되어 사라지고 마산관리역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마산역은 역 규모에 비해 면적 9,920m2의 매우 넓은 광장을 가지고 있다. 역사와 인접한 곳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그 뒤쪽으로는 마산역사거리로 나가는 편도 5차선 이상의 아스팔트 U자형 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1977년 완공 당시 마산역 광장은 역사 인접 지점 전체가 시멘트 바닥이었고, 별다른 조형물이나 공원은 없었다. 이 곳은 박람회장,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 등의 시위 집회 장소, 1998년 마산역을 방문한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 등 주요 정치인의 야외 연설회장 등으로 사용되어 정치적 이미지가 강했다. 2002년부터 마산역은 시멘트 광장을 철거하고 공원 조성 사업을 시작하여, 2003년 1월 23일에 공원 조성을 완료하였다. 공원 조성 이후로는 정치적 기능을 잃었다. 역 광장 가운데는 지름 8m의 바닥 매설형 분수가 설치되어 여름철에 가동한다.

역사에서 마산역 사거리 방향으로 보면, 왼편에는 마산역을 시·종착점으로 하는 시내버스가 대기하고 있으며, 더 깊숙이 들어가면 1977년 마산역 이전과 함께 조성되기 시작한 역전 시장이 있다. 오른편에는 경부선 방면에서 마산역까지 이용하는 승객들을 위한 통영, 거제, 진해 등지로 가는 시외버스, 주요 행사마다 비정기적으로 운행하는 관광버스, 김해국제공항을 오가는 리무진버스 업체인 세인공항여행사의 차고지가 있다. 초기에는 별다른 시설이 없었으나, 마산역 광장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교통 불편으로 공간을 조성하여 유료 주차장을 신설하였다.

마산역 광장의 편의 시설은 시내버스 간이 터미널, 택시 승강장, 유료 주차장이다. 유료 주차장 요금은 2008년 4월 15일 현재 30분당 500원, 종일 주차 시 5,000원이다.

총 3개의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 2번 타는 곳의 승강장은 부전-마산간 복선전철 전용 여객 취급을 위해 고상홈으로[7], 나머지 3~6번 타는 곳의 승강장은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전용 여객 취급을 위해 저상홈으로 건설되었다. 부전-마산간 복선전철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기에 1, 2번 타는 곳의 승강장은 평상시에 개방하지 않고 있다. 각 승강장으로 향하는 통로에는 노약자 전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1경전선(부전-마산간 복선전철)미개통
2
3ITX-새마을 · 무궁화호진주 · 순천 · 광주송정 · 목포 방면
4KTX · SRT진주 방면
5동대구 · 대전 · 서울 · 행신 · 동탄 · 수서 방면
6ITX-새마을 · 무궁화호천안 · 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서울 방면



1번 타는 곳은 역사와 붙어있는 타는 곳과 1~2번 공용 타는 곳으로 2곳이며, 각 승강장으로는 지하도를 이용하여 횡단한다. 지하도 계단에는 장애인 이용 편의를 위해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열차 교행이나 선행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1번과 4번 타는 곳 승강장으로 열차가 진입하며, 1번 타는 곳으로 진입하는 열차는 일반적으로 1~2번 공용 승강장이 아닌 역 개찰구 방면 승강장에서 승·하차한다. 과거 마산역을 기점으로 운행하였던 진해선 통근열차는 진해/통해 방면 운행 시, 창원역 방면인 3~4번 타는 곳이 아닌 1번 타는 곳에서 대기하였다. 진해에서 마산으로 종착 열차가 들어올 때에는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1~2번 타는 곳으로 진입하였다.

서울, 대구, 부전 방면의 마산역 시발 열차는 열차 편성 준비 시간 동안 같은 방면의 다른 열차가 통과하는 일이 없는 경우 4번 타는 곳, 있는 경우 3번 타는 곳에서 대기하는 게 일반적이며, 때때로 1번 타는 곳에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동차형 열차 편성(RDC 등)이나 새벽 첫차(06:10 동대구역행)가 더욱 그러하다.

4. 3. 입주 업체

2008년 4월 13일 당시 마산역에 입주한 외부 업체는 다음과 같다.[6]

  • 금호렌터카 (마산역사 내 입주)
  • 세인공항여행사 (마산역 유료주차장 건너편에 위치)


세인공항여행사와는 별개로, 마산역 광장의 마산역 유료주차장에는 환승객 유치를 위한 관광버스들이 다수 있었다.

5. 마산역 광장

마산역 광장에는 시내버스 간이 터미널, 택시 승강장, 유료 주차장이 있다. 2008년 4월 15일 기준으로 유료 주차 요금은 30분당 500원이며, 종일 주차 시에는 5,000원이 부과된다.[8]

5. 1. 개요

마산역은 경전선에 있는 철도역으로, 상행은 서울, 대전, 동대구, 부전 방면이고, 하행은 목포, 광주송정, 순천, 진주 방면이다.[8]

2006년 11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대구 - 마산, 마산 - 순천, 마산 - 부전, 진해선 통근열차가 모두 폐지되었다.[8] 2007년 진해군항제 기간에만 한시적으로 운행했던 마산-진해간 통근열차 이용객만 집계되었고, 2008년 이후로는 통근열차 이용 현황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8]

2007년 6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서울 - 진주간 새마을호가 폐지되어, 2008년 이후로는 새마을호 열차의 상행 하차량과 하행 승차량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8]

마산역 연도별 승하차 통계[8]
연도구분승차/하차KTX새마을호무궁화호통근열차합계
2000년상행승차-85,682332,85343,124461,659
하차-1,68024,71762,76589,162
하행승차-43431,10575,594107,133
하차-79,103380,85669,939529,898
2001년상행승차-84,294348,78239,294472,370
하차-1,98023,31562,91888,213
하행승차-61631,48874,834106,938
하차-83,450399,69160,435543,576
2002년상행승차-68,709293,39632,180394,285
하차-1,24116,95557,35575,551
하행승차-44822,20466,19688,848
하차-65,577329,70055,515450,792
2003년상행승차-62,097273,22331,892367,212
하차-97216,85558,49376,320
하행승차-57921,85471,94894,381
하차-61,750299,32658,527419,603
2004년상행승차-74,145225,55320,982320,680
하차-54945,49129,49075,530
하행승차-33247,10427,86275,298
하차-68,831237,12430,878336,833
2005년상행승차-85,255242,08728,365355,707
하차-37353,42917,07370,875
하행승차-39058,80914,57773,776
하차-79,453243,79733,614356,864
2006년상행승차-81,094226,00246,546353,642
하차-39746,68113,14560,223
하행승차-36852,51510,92563,808
하차-73,977232,00649,929355,912
2007년상행승차-79,977217,526-297,503
하차-27154,328-54,599
하행승차-16656,63345357,252
하차-65,565240,037482306,084
2008년상행승차-70,188208,348-278,536
하차--57,696-57,696
하행승차-659,158-59,167
하차-56,422223,957-280,379
2009년상행승차-62,960191,814-254,774
하차--45,808-45,808
하행승차--45,000-45,000
하차-48,984201,963-250,947


5. 2. 역사



마산역 연도별 승하차 통계[8]
! 연도구분KTX새마을호무궁화호통근열차합계
2000년상행
승차
-85,682332,85343,124461,659
하차-1,68024,71762,76589,162
하행
승차
-43431,10575,594107,133
하차-79,103380,85669,939529,898
2001년상행
승차
-84,294348,78239,294472,370
하차-1,98023,31562,91888,213
하행
승차
-61631,48874,834106,938
하차-83,450399,69160,435543,576
2002년상행
승차
-68,709293,39632,180394,285
하차-1,24116,95557,35575,551
하행
승차
-44822,20466,19688,848
하차-65,577329,70055,515450,792
2003년상행
승차
-62,097273,22331,892367,212
하차-97216,85558,49376,320
하행
승차
-57921,85471,94894,381
하차-61,750299,32658,527419,603
2004년상행
승차
-74,145225,55320,982320,680
하차-54945,49129,49075,530
하행
승차
-33247,10427,86275,298
하차-68,831237,12430,878336,833
2005년상행
승차
-85,255242,08728,365355,707
하차-37353,42917,07370,875
하행
승차
-39058,80914,57773,776
하차-79,453243,79733,614356,864
2006년상행
승차
-81,094226,00246,546353,642
하차-39746,68113,14560,223
하행
승차
-36852,51510,92563,808
하차-73,977232,00649,929355,912
2007년상행
승차
-79,977217,526-297,503
하차-27154,328-54,599
하행
승차
-16656,63345357,252
하차-65,565240,037482306,084
2008년상행
승차
-70,188208,348-278,536
하차--57,696-57,696
하행
승차
-659,158-59,167
하차-56,422223,957-280,379
2009년상행
승차
-62,960191,814-254,774
하차--45,808-45,808
하행
승차
--45,000-45,000
하차-48,984201,963-250,947

5. 3. 편의 시설

마산역 광장에는 시내버스 간이 터미널, 택시 승강장, 유료 주차장이 있다. 유료 주차 요금은 2008년 4월 15일 기준으로 30분당 500원이며, 종일 주차 시에는 5,000원이 부과된다.

6. 인접한 역


7. 주변 지역

참조

[1] 웹사이트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https://dl.ndl.go.jp[...] 1937-10-01 # 昭和12年 is 1937
[2] 뉴스 [추억여행 그 때 그 시절] (66) 마산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06-12-11
[3]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대한민국관보 1993-04-17
[4]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대한민국관보 1995-06-17
[5]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918호 국토해양부 2010-12-13
[6] 기타 KT렌탈 상호변경 2015-12-31 or 2016-12-31 #날짜 불확실
[7] 기타
[8] 웹인용 철도통계연보 http://info.korail.c[...] 2010-08-25
[9]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