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스 파동 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 파동 형식은 상반평면에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모듈러 군의 작용에 불변이며 라플라스 연산자의 고유함수이다. 마스 파동 형식은 SL(2;Z)의 첨점 근처에서 x, y에 대한 다항식 이하의 속도로 증가하는 약한 마스 파동 형식으로 정의된다.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가짜 모듈러 형식은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의 정칙적 부분이다. 마스 파동 형식은 디리클레 급수, 아이젠슈타인 급수, 아델 군의 자기동형 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스펙트럼 문제 연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듈러 형식 - 모듈러성 정리
    모듈러성 정리는 모든 유리수 타원곡선이 모듈러 곡선에서 유리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정리로, 유리수 타원 곡선과 모듈러 형식 간의 연관성을 보이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모듈러 형식 - 모듈러 곡선
    모듈러 곡선은 모듈러 군의 합동 부분군에 의해 상반평면을 나눈 몫공간으로 정의되는 리만 곡면으로, 타원 곡선의 모듈라이 공간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몬스터 군과의 연관성으로 수학 및 이론물리학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마스 파동 형식
개요
마스 파동 형식의 기본 영역
마스 파동 형식의 기본 영역
유형비정칙적 보형 형식
분야수론, 조화 해석
발명자한스 마스
발표년도1949년
정의
정의상반평면에서 정의된 특정 변환 속성을 만족하는 라플라스 작용소의 고유 함수
세부사항
조건 1상반평면에서 매끄러운 함수여야 함
조건 2쌍곡 라플라스 연산자의 고유 함수여야 함 (Δu = λu)
조건 3Γ 부분군에 대해 보형성을 가져야 함 (u(γz) = u(z), γ ∈ Γ)
조건 4적당한 성장 조건을 만족해야 함
다른 이름마스 파동 형식, 마스 형식
성질
푸리에 전개푸리에 급수로 표현 가능
L-함수디리클레 급수와 관련됨
응용수론의 다양한 문제에 응용

2. 정의

마스 파동 형식은 한스 마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상반평면에서 정의되는 복소함수이며, 모듈러 군의 작용에 불변이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이다.

군 \(\Gamma (1) := \mathrm{SL}_{2}(\Z)\)에 대한 마스 형식은 \(\mathbb{H}\) 상의 복소수 값 매끄러운 함수 \(f\)이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모든 \(\gamma \in \Gamma (1), \qquad z \in \mathbb{H} \)에 대해 \( f(\gamma z)=f(z) \)
  • \(\Delta (f) = \lambda f\)를 만족하는 \(\lambda \in \Complex \) 존재
  • \(y \ge 1\)에 대해 \(f(x+iy) = \mathcal{O} (y^N) \)를 만족하는 \( N \in \N \) 존재


만약 모든 \(z \in \mathbb{H}\)에 대해 \(\int_0^1 f(z+t) dt = 0 \)이면, \(f\)를 마스 첨점 형식이라고 부른다.

마스 첨점 형식은 상반평면에서 모듈 형식처럼 변환되지만 정칙 함수일 필요는 없는 함수이다.

정수 ''k'', 복소수 ''s'', 그리고 SL2('''R''')의 이산 부분군 Γ가 주어졌을 때, 무게 ''k''를 갖는 Γ에 대한 라플라스 고유값 ''s''를 갖는 마스 형태는 상반 평면에서 복소수로의 매끄러운 함수이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모든 \(\gamma = \left(\begin{smallmatrix} a & b \\ c & d\end{smallmatrix}\right) \in \Gamma\) 와 모든 \( z \in \mathbb{H}\)에 대해, \( f\left(\frac{az+b}{cz+d}\right) = \left(\frac{cz+d}

    \right)^k f(z)\)가 성립한다.
  • \(\Delta_k f = sf\)이며, 여기서 \(\Delta_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무게 ''k'' 쌍곡 라플라시안이다: \(\Delta_k = -y^2 \left(\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right) + i k y \frac \partial {\partial x}\).
  • 함수 \(f\)는 첨점에서 최대 다항식 성장을 보인다.


  • 약한 마스 형태는 위와 유사하게 정의되지만, 함수 \(f\)가 첨점에서 최대 선형 지수 성장을 보인다는 조건으로 대체하여 정의한다. 또한, \(f\)는 라플라시안 연산자에 의해 소멸될 경우 조화라고 한다.

    2. 1. 기본 정의

    상반평면 \(\mathbb H=\{\tau\in\mathbb C\colon\operatorname{Im}\tau>0\}\) 위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tau=x+iy\)일 때 다음과 같다.

    :\(\Delta=-y^2\left(\frac{\partial^2}{\partial x^2}+\frac{\partial^2}{\partial y^2}\right)\)

    이는 쌍곡기하학에서의 곡률을 고려한 것이다.

    '''약한 마스 파동 형식'''(Maass wave form영어)은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상반평면 위에 정의된 복소함수 \(\mathit{f} \colon \mathbb{H} \to \mathbb{C}\)이다.

    • \(\mathit{f}\)는 모듈러 군 \(\operatorname{PSL}(2;\mathbb Z)\)의 작용에 불변이다. 즉, \(\begin{pmatrix}a&b\\c&d\end{pmatrix}\in\operatorname{SL}(2;\mathbb Z)\)에 대하여 \(\mathit{f}((az+b)/(cz+d),(a\bar z+b),(c\bar z+d))=\mathit{f}(z,\bar z)\)이다.
    • \(\mathit{f}\)는 상반평면 라플라스 연산자 \(\Delta\)의 고유함수이다. 즉, \(\Delta \mathit{f}=0\)이다.


    '''마스 파동 형식'''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이다.

    • \(\operatorname{SL}(2;\mathbb Z)\)의 첨점 근처에서, \(\mathit{x,y}\)에 대한 다항식 이하의 속도로 증가한다.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가짜 모듈러 형식(mock modular form영어)은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의 정칙적 부분이다.

    ''k''를 반정수, ''s''를 복소수, \(\Gamma\)를 의 이산 부분군으로 할때, \(\Gamma\)의 가중치 ''k'', 라플라스 고유값 ''s''의 '''마스 형식''' (Maass form)은 상반 평면에서 복소 평면으로의 매끄러운 함수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 모든 \(\gamma = \left(\begin{smallmatrix} a & b \\ c & d\end{smallmatrix}\right) \in \Gamma\)와 모든 \(\tau \in \mathbb{H}\)에 대해, \(f\left(\frac{a\tau+b}{c\tau+d}\right) = (c\tau+d)^k f(\tau)\)가 성립한다.
    • \(\Delta_{k} f = s f \)가 성립한다. 단, \(\Delta_{k}\)는 \(\Delta_{k} = -y^{2} \left(\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right)+ i k y \left(\frac{\partial}{\partial x} + i \frac{\partial}{\partial y}\right)\) 로 정의된 가중치 ''k''의 쌍곡 라플라시안이다.
    • 함수 ''f''는 첨점에서 기껏해야 다항식의 차수이다.


    '''약한 마스 파동 형식''' (weak Maass wave form)은 위와 유사하게 정의되지만, 세 번째 조건이 "함수 ''f''는 첨점에서 기껏해야 선형 지수 성장이다."로 대체된다. 또한, ''f''가 '''조화''' (harmonic)하다는 것은 라플라스 작용소에 의해 0이 됨을 의미한다.

    2. 2. 일반적인 정의

    상반평면 \(\mathbb{H} = \{\tau \in \mathbb{C} \colon \operatorname{Im} \tau > 0 \}\) 위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tau = x + iy\)일 때 다음과 같다.

    :\Delta = -y^2 \left( \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 \right)

    이는 쌍곡기하학에서의 곡률을 고려한 것이다.

    '''약한 마스 파동 형식'''(Maass wave form영어)은 상반평면 위에 정의된 복소함수 \(\mathit{f} \colon \mathbb{H} \to \mathbb{C}\) 중 다음 성질들을 만족하는 함수이다.

    • \(\mathit{f}\)는 모듈러 군 \(\operatorname{PSL}(2; \mathbb{Z})\)의 작용에 불변이다. 즉, \(\begin{pmatrix} a & b \\ c & d \end{pmatrix} \in \operatorname{SL}(2; \mathbb{Z})\)에 대하여 \(\mathit{f}((az+b)/(cz+d), (a\bar{z}+b)/(c\bar{z}+d)) = \mathit{f}(z, \bar{z})\)이다.
    • \(\mathit{f}\)는 상반평면 라플라스 연산자 \(\Delta\)의 고유함수이다. 즉, \(\Delta \mathit{f} = 0\)이다.


    '''마스 파동 형식'''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이다.

    • \(\operatorname{SL}(2; \mathbb{Z})\)의 첨점 근처에서, \(\mathit{x}, \mathit{y}\)에 대한 다항식 이하의 속도로 증가한다.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가짜 모듈러 형식(mock modular form영어)은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의 정칙적 부분이다.

    정수 \(\mathit{k}\), 복소수 \(\mathit{s}\), 그리고 SL2(R)의 이산 부분군 \(\Gamma\)가 주어졌을 때, 무게 \(\mathit{k}\)를 갖는 \(\Gamma\)에 대한 라플라스 고유값 \(\mathit{s}\)를 갖는 '''마스 형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매끄러운 함수이다. 이 함수는 상반 평면에서 복소수로의 함수이다.

    • 모든 \(\gamma = \left( \begin{smallmatrix} a & b \\ c & d \end{smallmatrix} \right) \in \Gamma\)와 모든 \(\mathit{z} \in \mathbb{H}\)에 대해, \(f \left( \frac{az+b}{cz+d} \right) = \left( \frac{cz+d}

    \right)^k f(z)\)가 성립한다.
  • \(\Delta_k f = sf\)이며, 여기서 \(\Delta_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무게 \(\mathit{k}\) 쌍곡 라플라시안이다: \(\Delta_k = -y^2 \left( \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 \right) + iky \frac{\partial}{\partial x}\).
  • 함수 \(\mathit{f}\)는 첨점에서 최대 다항식 성장을 보인다.


  • '''약한 마스 형태'''는 세 번째 조건을 "함수 \(\mathit{f}\)는 첨점에서 최대 선형 지수 성장을 보인다"로 대체하여 유사하게 정의된다. 또한, \(\mathit{f}\)는 라플라시안 연산자에 의해 소멸될 경우 '''조화'''라고 한다.

    \(\mathit{k}\)를 반정수, \(\mathit{s}\)를 복소수, \(\Gamma\)를 SL2(R)의 이산 부분군으로 한다. \(\Gamma\)의 가중치 \(\mathit{k}\), 라플라스 고유값 \(\mathit{s}\)의 '''마스 형식'''(Maass form)은 상반 평면에서 복소 평면으로의 매끄러운 함수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 모든 \(\gamma = \left( \begin{smallmatrix} a & b \\ c & d \end{smallmatrix} \right) \in \Gamma\)와 모든 \(\tau \in \mathbb{H}\)에 대해, \(f \left( \frac{a\tau + b}{c\tau + d} \right) = (c\tau + d)^k f(\tau)\)가 성립한다.
    • \(\Delta_k f = sf\)가 성립한다. 단, \(\Delta_k\)는 \(\Delta_k = -y^2 \left( \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 \right) + iky \left( \frac{\partial}{\partial x} + i \frac{\partial}{\partial y} \right)\)로 정의된 가중치 \(\mathit{k}\)의 쌍곡 라플라시안이다.
    • 함수 \(\mathit{f}\)는 첨점에서 기껏해야 다항식의 차수이다.


    '''약한 마스 파동 형식'''(weak Maass wave form)은 유사하게 정의되지만, 세 번째 조건이 다음으로 대체된다. "함수 \(\mathit{f}\)는 첨점에서 기껏해야 선형 지수 성장이다." 또한, \(\mathit{f}\)가 '''조화'''(harmonic)하다는 것은 라플라스 작용소에 의해 0이 됨을 의미한다.

    3. 주요 성질 및 관계

    상반평면 위의 라플라스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tau = x+iy\)라면,

    :\(\Delta=-y^2\left(\frac{\partial^2}{\partial x^2}+\frac{\partial^2}{\partial y^2}\right)\)

    이다. 이는 쌍곡기하학에서의 곡률을 고려한 것이다.

    '''약한 마스 파동 형식'''(Maass wave form영어)은 상반평면 위에 정의된 복소함수 \(f\colon\mathbb H\to\mathbb C\)이며,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 \(f\)는 모듈러 군 \(\operatorname{PSL}(2;\mathbb Z)\)의 작용에 불변이다. 즉, \(\begin{pmatrix}a&b\\c&d\end{pmatrix}\in\operatorname{SL}(2;\mathbb Z)\)에 대하여 \(f((az+b)/(cz+d),(a\bar z+b),(c\bar z+d))=f(z,\bar z)\)이다.
    • \(f\)는 상반평면 라플라스 연산자 \(\Delta\)의 고유함수이다. 즉, \(\Delta f=0\)이다.


    '''마스 파동 형식'''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이다.

    • \(\operatorname{SL}(2;\mathbb Z)\)의 첨점 근처에서, \(x,y\)에 대한 다항식 이하의 속도로 증가한다.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가짜 모듈러 형식(mock modular form영어)은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의 정칙적 부분이다.

    ''k''를 반정수, ''s''를 복소수, Γ를 \(\operatorname{SL}_2(\mathbb R)\)의 이산 부분군이라 하자. Γ의 가중치 ''k'', 라플라스 고유값 ''s''의 '''마스 형식''' (Maass form)은 상반 평면에서 복소 평면으로의 매끄러운 함수이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모든 \(\gamma = \left(\begin{smallmatrix} a & b \\ c & d\end{smallmatrix}\right) \in \Gamma\)와 모든 \( \tau \in \mathbb{H}\)에 대해, \( f\left(\frac{a\tau+b}{c\tau+d}\right) = (c\tau+d)^k f(\tau)\)가 성립한다.
    • \(\Delta_{k} f = s f \)가 성립한다. 단, \(\Delta_{k}\)는 \(\Delta_{k} = -y^{2} \left(\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right)+ i k y \left(\frac{\partial}{\partial x} + i \frac{\partial}{\partial y}\right)\) 로 정의된 가중치 ''k''의 쌍곡 라플라시안이다.
    • 함수 ''f''는 첨점에서 기껏해야 다항식의 차수이다.


    '''약한 마스 파동 형식''' (weak Maass wave form)은 위와 유사하게 정의되지만, 세 번째 조건이 "함수 ''f''는 첨점에서 기껏해야 선형 지수 성장이다."로 대체된다. 또한, ''f''가 '''조화''' (harmonic)하다는 것은 라플라스 작용소에 의해 0이 됨을 의미한다.

    \(f\)를 가중치 0인 마스 첨점 형식이라고 할 때, 소수 ''p''에서의 정규화된 푸리에 계수는 \(p^{7/64}\)로 억제된다.

    3. 1. 디리클레 급수와의 관계

    마스 형식을 $f$라고 하면, $\gamma := \begin{pmatrix} 1 & 1 \\ 0 & 1 \\ \end{pmatrix} \in \Gamma (1)$ 이므로 $\forall z \in \mathbb{H}: \qquad f(z) = f(\gamma z) = f(z+1)$이 성립한다.

    따라서 $f$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푸리에 전개를 갖는다.

    $ f(x+iy) = \sum_{n=-\infty}^{\infty} a_{n}(y)e^{2\pi inx}$

    여기서 계수 함수는 $a_{n}, n \in \Z$이다. $f$가 마스 첨점 형식일 필요충분 조건은 $a_{0}(y)=0 \;\; \forall y > 0$임을 쉽게 보일 수 있다.

    계수 함수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베셀 함수 $K_v$가 필요하다. 베셀 함수 $K_v$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K_s(y) := \frac{1}{2} \int_0^\infty e^{-\frac{y(t+t^{-1})}{2}}t^s\frac{dt}{t},

    \qquad s \in \Complex, y > 0$

    이 적분은 $s \in \Complex$에서 $ y > 0 $에 대해 국소적으로 균일하게 절대 수렴하며, $ y>4$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 K_s(y) \leq e^{-\frac{y}{2}}K_{\operatorname{Re}(s)}(2)$

    따라서 $|K_s|$는 $y \to \infty$에 대해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모든 $s \in \Complex, y > 0$에 대해 $K_{-s}(y)=K_s(y)$이다.

    $\lambda \in \Complex$를 $\Delta$에 해당하는 마스 형식 $f$의 고유값이라고 하면, 부호까지 고려하여 유일하게 $\lambda = \frac{1}{4} - \nu^2$을 만족하는 $\nu \in \Complex$가 존재한다. 그러면 $f$의 푸리에 계수는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a_n(y) &= c_n\sqrt{y} K_\nu(2\pi |n|y) \quad c_n \in \Complex && n \neq 0 \\

    a_0(y) &= c_0 y^{\frac{1}{2}-\nu} + d_0 y^{\frac{1}{2}+\nu} \quad c_{0}, d_0 \in \Complex && n=0

    \end{align}

    $

    '''증명:''' $\Delta(f)=\left (\frac{1}{4} - \nu^{2} \right )f$ 이 성립하고, 푸리에 계수의 정의에 의해 $n \in \Z$에 대해 $ a_n(y) = \int_0^1 f(x+iy)e^{-2\pi inx} dx$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begin{align}

    \left(\frac{1}{4} - \nu^2\right) a_n(y) &= \int_0^1 \left(\frac{1}{4} - \nu^2\right) f(x+iy)e^{-2\pi inx} dx \\[4pt]

    &= \int_0^1 (\Delta f)(x+iy)e^{-2\pi inx} dx \\[4pt]

    &= -y^2 \left(\int_0^1 \frac{\partial^2 f}{\partial x^2}(x+iy)e^{-2\pi inx} dx + \int_0^1 \frac{\partial^2 f}{\partial y^2}(x+iy)e^{-2\pi inx} dx\right) \\[4pt]

    &= -y^2 (2\pi i n)^2 a_n(y)- y^2\frac{\partial^2}{\partial y^2} \int_0^1 f(x+iy)e^{-2\pi inx} dx \\[4pt]

    &= -y^2 (2\pi i n)^2 a_n(y)-y^2 \frac{\partial^2}{\partial y^2}a_n(y) \\[4pt]

    &= 4 \pi^2 n^2 y^2 a_n(y)-y^2\frac{\partial^2}{\partial y^2}a_n(y)

    \end{align}

    $

    $n \in \Z$에 대해.

    위 식에서 첫 번째 합산 항에 대해 $\frac{\partial^{2}f}{\partial x^{2}}$의 ''n''번째 푸리에 계수는 $(2\pi i n)^{2}a_{n}(y)$임을 사용했다. 두 번째 항에서는 적분과 미분의 순서를 변경했는데, 이는 f가 y에 대해 매끄럽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음의 2차 선형 미분 방정식을 얻는다.

    $ y^2\frac{\partial^2}{\partial y^2} a_n(y) + \left( \frac{1}{4} - \nu^2-4\pi n^2 y^2 \right)a_n(y) = 0 $

    $ n = 0$의 경우, 모든 해 $f$에 대해 $ a_0(y)=c_0 y^{\frac{1}{2} - \nu} + d_0 y^{\frac{1}{2} + \nu}$를 만족하는 고유한 계수 $c_0, d_{0} \in \Complex$가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n\neq 0$인 경우, 모든 해 $f$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계수를 갖는다.

    $ a_n(y) = c_n\sqrt{y}K_v(2\pi|n|y)+ d_n\sqrt{y}I_v(2\pi|n|y)$

    여기서 $c_n,d_n \in \Complex $는 고유하다. 여기서 $K_v(s)$와 $I_v(s)$는 베셀 함수이다.

    베셀 함수 $I_v$는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베셀 함수 $K_v$는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다항식 성장 조건과 함께 $f : a_{n}(y)=c_{n}\sqrt{y}K_{v}(2\pi|n|y) $ (또한 $d_{n} = 0$)가 유일한 $c_{n} \in \Complex$에 대해 성립한다.

    $i(z):=-\overline{z}$라고 하면, ''i''는 $i(f):=f(i(z))$로 모든 함수 $f :\mathbb{H} \to \Complex$에 작용하며 쌍곡 라플라시안과 교환한다. 마스 형식 $f$가 $i(f)=f$이면 짝수, $i(f)=-f$이면 홀수라고 한다. f가 마스 형식인 경우, $\tfrac{1}{2}(f+i(f))$는 짝수 마스 형식이고, $\tfrac{1}{2}(f-i(f))$는 홀수 마스 형식이며 $f=\tfrac{1}{2}(f+i(f))+\tfrac{1}{2}(f-i(f))$가 성립한다.

    $f(x+iy)=\sum_{n \neq 0} c_{n}\sqrt{y}K_{\nu}(2\pi|n|y)e^{2\pi inx}$를 마스 첨점 형식이라고 하면, $f$의 L-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L(s,f) = \sum_{n=1}^\infty c_n n^{-s}$

    그러면 급수 $L(s,f)$는 $\Re(s) > \frac{3}{2}$에 대해 수렴하며, $\Complex$상에서 전체 함수로 해석적 연속될 수 있다.

    만약 $f$가 짝함수이거나 홀함수이면, 다음을 얻는다.

    $\Lambda(s,f) := \pi^{-s}\Gamma \left( \frac{s+\varepsilon+\nu}{2} \right) \Gamma \left( \frac{s+\varepsilon-\nu}{2} \right) L(s,f)$

    여기서 $\varepsilon = 0$는 $f$가 짝함수일 경우이고, $\varepsilon = -1$은 $f$가 홀함수일 경우이다. 그러면 $\Lambda$는 다음과 같은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

    $\Lambda(s,f)=(-1)^\varepsilon \Lambda(1-s,f)$

    3. 2. 아이젠슈타인 급수와의 관계

    비정수형 아이젠슈타인 급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z,s) := \pi^{-s}\Gamma(s)\frac{1}{2} \sum_{(m,n) \neq (0,0)}\frac{y^s}

    3. 3. 합동 부분군과 가중치 k 마스 형식

    \Gamma (N)을 레벨 N의 주 합동 부분군이라고 부른다. 부분군 \Gamma \subseteq \mathrm{SL}_{2}(\Z)\Gamma (N) \subseteq \GammaN\in \N 가 존재하면 합동 부분군이라고 한다.

    \gamma \infty (\gamma \in S)인 점들은 기본 영역 SD의 첨점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Q \cup \{\infty\}의 부분 집합이다. 모든 첨점 c에 대해 \sigma \in \Gamma(1)가 존재하여 \sigma \infty = c가 된다. \Gamma를 합동 부분군, k \in \Z라 하자.

    가중치 k의 쌍곡 라플라스 연산자 \Delta_{k}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lta_{k} : C^{\infty }(\mathbb{H}) \to C^{\infty}(\mathbb{H}),

    :\Delta_{k} = -y^{2} \left (\frac{\partial^{2}}{\partial x^{2}} + \frac{\partial^{2}}{\partial y^{2}} \right ) + iky\frac{\partial}{\partial x}.

    이는 쌍곡 라플라스 연산자 \Delta_{0}=\Delta의 일반화이다.

    가중치 k\in \Z에 대한 \Gamma의 '''마스 형식'''은 \Delta_{k}의 고유함수이고 첨점에서 완만한 성장을 보이는 함수 f \in C^{\infty}(\Gamma \backslash \mathbb{H}, k)이다.

    여기서,

    • C^{\infty}(\Gamma \backslash \mathbb{H},k) := \{ f \in C^{\infty}(\mathbb{H}) : f_{||k}\gamma = f \forall \gamma \in \Gamma\}
    • f_{||k}g(z) := \left(\frac{cz+d}

    \right)^{-k}f(gz)
  • z \in \mathbb{H}, g = \begin{pmatrix} \ast & \ast \\ c & d \\ \end{pmatrix} \in \mathrm{SL}_{2}(\R), f \in C^{\infty}(\mathbb{H}).


  • 함수 f \in C^{\infty}(\Gamma \backslash \mathbb{H}, k)y \to \infty일 때 f(x+iy)가 ''y''의 다항식에 의해 경계가 져 있으면 무한대(\infty)에서 완만한 성장을 보인다. c \in \Q를 다른 첨점이라고 하자. 그러면 \theta (\infty)=c\theta \in \mathrm{SL}_{2}(\Z)가 존재한다. f':=f_{||k}\theta라고 하면, f' \in C^{\infty}(\Gamma' \backslash \mathbb{H}, k)이다. (\Gamma'은 합동 부분군 \theta^{-1}\Gamma\theta). f가 첨점 c에서 완만한 성장을 보인다는 것은 f'\infty에서 완만한 성장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Gamma가 레벨 N의 주 합동 부분군을 포함할 때, f가 무한대에서 '''첨점'''이려면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forall z \in \mathbb{H}: \quad \int_{0}^{N} f(z+u) du = 0.

    f'가 무한대에서 첨점이면 f가 첨점 c에서 첨점이라고 한다. 만약 f가 모든 첨점에서 첨점이라면, f를 '''첨점 형식'''이라고 부른다.

    3. 4. 스펙트럼 문제

    SL|2|R영어의 합동 부분군 Γ를 생각하자. L2(Γ\H, k)는 모든 가측 함수 f:H → C의 벡터 공간으로, 모든 γ ∈ Γ에 대해 f||kγ = f를 만족하고, 다음 조건을 갖는다.

    :\|f\|^2 := \int_{\Gamma \backslash \mathbb{H}} |f(z)|^2 d\mu(z) < \infty

    여기서 ||f|| = 0인 함수는 제외한다. 함수 |f(z)|2는 Γ에 불변하므로 적분은 잘 정의된다. 내적은 다음과 같으며, 이는 힐베르트 공간이다.

    :\langle f,g\rangle = \int_{\Gamma \backslash \mathbb{H}} f(z)\overline{g(z)} d\mu(z).

    연산자 Δk는 L2(Γ\H, k)에서 조밀한 벡터 공간 B ⊂ L2(Γ\H, k) ∩ C(Γ\H, k)에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Δk는 양의 준정부호 대칭 연산자이다. L2(Γ\H, k)에서 고유한 자기 수반 연장선이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C(Γ\H, k)를 모든 첨점 형태 L2(Γ\H, k) ∩ C(Γ\H, k)의 공간으로 정의한다. 그러면 Δk는 C(Γ\H, k)에서 작동하며 이산 스펙트럼을 갖는다. 직교 여집합에 속하는 스펙트럼은 연속적인 부분을 가지며, (수정된) 비정칙 아이젠슈타인 급수, 그들의 유수 확장 및 그들의 잔차의 도움으로 설명할 수 있다.

    Γ가 SL|2|R영어의 이산 (비틀림이 없는) 부분군이어서 몫 Γ\H가 컴팩트하면 스펙트럼 문제가 단순해진다. 이는 이산 공컴팩트 부분군에는 첨점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공간 L2(Γ\H, k)의 전체가 고유 공간의 합이다.

    f를 가중치 0인 마스 첨점 형식이라고 하자. 소수 ''p''에서의 정규화된 푸리에 계수는 p7/64로 억제된다.

    3. 5. 아델 군의 자기동형 표현

    Adelic automorphic representation영어를 번역하면 아델 군의 자기동형 표현이다.

    G_{\mathbb{A}}의 기약적이고 허용 가능한 유니타리 표현을 \pi라고 하자. 텐서 곱 정리에 의해 \pi\pi = \bigotimes_{p\leq \infty} \pi_{p}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p는 소수 또는 무한대를 의미하며, \pi_p는 각 위치 p에서의 국소 표현을 나타낸다.

    S\infty와 모든 분기된 소수(ramified prime)를 포함하는 유한한 장소(place) 집합이라고 하자. \pi의 전역 헤케 L-함수(global Hecke L-functio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L^S(s,\pi) :=\prod_{p \notin S} L(s,\pi_{p})

    여기서 L(s,\pi_p)는 국소 표현 \pi_p의 국소 L-함수(local L-function)이다. 국소 L-함수의 구성은 Deitmar C. 8.2에서 찾을 수 있다.

    \pi가 첨점 표현(cuspidal representation)인 경우, L-함수 L^S(s,\pi)는 복소 평면 \Complex에서 유리형 연속(meromorphic continuation)을 갖는다. 이는 L^S(s,\pi)가 특정 함수 방정식(functional equation)을 만족하기 때문이다.

    4. 주요 정리 및 결과

    함수 f를 가중치 0인 마스 첨점 형식이라고 할 때, 소수 ''p''에서의 정규화된 푸리에 계수는 ''p''7/64 + ''p''−7/64로 제한된다. 이 정리는 김형, Henry Kim과 피터 사르나크, Peter Sarnak의 결과이며, 라마누잔-페테르손 추측에 대한 근사이다.

    김형과 피터 사르나크는 f를 가중치 0인 마스 첨점 형식이라고 할 때, 소수 ''p''에서의 정규화된 푸리에 계수를 p^{7/64}로 억제했다.

    5. 응용 및 확장

    마스 파동 형식은 여러 분야에서 응용 및 확장되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차원 마스 형식이나 가짜 모듈러 형식과의 관계 등이 연구되고 있다.

    5. 1. 고차원 마스 형식

    마스 첨점 형식은 GL영어(2) 상의 자기동형 형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마스 첨점 형식을 유리수 상의 GL영어(n) 상의 구형 자기동형 형식으로 정의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들의 존재는 밀러(Miller), 뮐러(Mueller) 등에 의해 증명되었다.

    5. 2. 가짜 모듈러 형식과의 관계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가짜 모듈러 형식(mock modular form)은 약한 마스 파동 형식의 정칙적 부분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