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이라 기요무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기요무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으로, 이마가와 씨에 대항하는 이에야스를 지지하며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1563년 미카와 잇코잇키 진압, 1564년 요시다 성 공략, 1570년 아네가와 전투,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 참여했다. 1582년 스루가 병탄 후 고코쿠지 성을 지켰으며,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했다. 1591년에는 하치만야마 번의 영주가 되었으며, 1605년 아들 이에키요의 영지인 요시다 성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시다번 (미카와국) 사람 - 마쓰다이라 스케마사
    마쓰다이라 스케마사는 에도 시대 다이묘로, 마쓰다이라 스케노리의 아들이며 하마마쓰 번과 미야즈 번의 번주를 지냈으나 병약함으로 일찍 은거하고 쇼군을 알현하지 못했으나,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과의 연고로 가문 존속을 인정받았다.
  • 다케노야 마쓰다이라씨 - 마쓰다이라 다다키요
    마쓰다이라 다다키요는 아버지의 급사로 가문을 계승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숙박을 제공했으나 28세에 급사하여 요시다 번이 몰수되었고, 이복 동생에게 영지가 주어져 가문이 존속되었다.
  • 다케노야 마쓰다이라씨 - 마쓰다이라 모리이에
    마쓰다이라 모리이에는 마쓰다이라 노부미쓰의 장남이자 타케야 마쓰다이라 가문의 당주로서, 마쓰다이라 일족의 결속에 기여했으나 정확한 사망 시기는 불분명하다.
  • 1538년 출생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38년 출생 - 이일
    이일은 1538년에 태어나 1601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제승방략』을 저술했으나 이순신을 모함한 행적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마쓰다이라 기요무네
기본 정보
씨족다케타니 마쓰다이라 가문
가명 (통칭)요지로, 겐바노조
계명류코인 가오 젠에이
묘소젠에이지 → 덴케이지
시대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출생덴분 7년 (西暦 1538년)
사망게이초 10년 11월 10일 (西暦 1605년12월 19일)
아버지마쓰다이라 기요요시
어머니마쓰다이라 이에히로의 딸
배우자마쓰다이라 요시카게의 딸
자녀이에키요
기요사다
구노 요지로 (구노 무네요시의 아들)의 정실
도리이 야스타다 (도리이 모토다다의 아들)의 정실
오카베 나가모리의 정실
마쓰다이라 기요무네 초상 ([[덴케이지]] 소장)
마쓰다이라 기요무네 초상 (덴케이지 소장)
정치
주군도쿠가와 이에야스

2. 생애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섬긴 무장으로, 1562년(에이로쿠 5년) 이에야스가 이마가와 씨(今川氏)로부터 독립할 때 이에 동조하여 가미노고 성(上ノ郷城) 공략에 참여한 것으로 보이나, 아버지 기요요시의 업적에 가려 뚜렷한 실적은 보이지 않는다. 1563년(에이로쿠 6년) 산슈 잇코잇키(一向一揆) 진압전에서 무공을 세웠고, 1564년(에이로쿠 7년)에는 이에야스의 산슈 동쪽 거점 요시다 성 공략전에 참전하여 류넨지(龍拈寺) 입구에서 두 군데에 부상을 입고도 적의 수급 5개를 얻는 공을 세웠다.

1568년(에이로쿠 11년) 12월에는 이에야스의 엔슈 침공에 호응했다. 당시 미카와 군단은 서쪽의 오카자키성과 동쪽의 요시다 성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는데, 기요무네는 요시다 성주 대리였던 사카이 다다쓰구(酒井忠次)의 지시를 받는 여러 호족들 가운데 하나였다. 엔슈 정복전에서 이에야스 본진은 하마나호 동안의 히쿠마 성 탈취를, 사카이 다다쓰구의 지대는 별동대로서 하마나 호 서안의 조기 제압을 목표로 했다.

1570년(겐키 원년) 6월 29일 고슈 오네가와(姉川) 전투, 1575년(덴쇼 3년) 5월 21일 나가시노 전투(長篠の戦い)에 참전했다. 나가시노 전투에서는 사카이 다다쓰구(酒井忠次)의 기습대로 참전했다.

1582년(덴쇼 10년) 이에야스가 슨슈를 병탄한 후 고코쿠지 성에 2천 관으로 배치되어 요리키(与力) 50인도 붙여졌으나, 고마키ㆍ나가쿠테 전투(小牧・長久手の戦い)에서는 아들 이에키요와 함께 참전하지 않고 고코쿠지 성에 머무르며 소슈 고호조씨(後北条氏)에 대비했다.

1590년(덴쇼 18년) 오다와라 정벌(小田原の役)에 참전했을 때, 이에야스 세력은 이에야스 본진 앞에 '전비(全備)', '전비' 앞에 '제2 선진', 그 앞이 '제1 선진'으로 구성되었고, 기요무네의 다케노야(혹은 고코쿠지) 부대는 '제2 선진' 7조에 위치하여 왼쪽 끝 날개를 담당했다.

1591년(덴쇼 19년) 미카와 군단이 간토로 이동할 때, 기요무네는 부슈 고다마군(児玉郡) 하치만야마(八幡山) 1만 석의 영주가 되어 가지가오카 성(기오카 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8~9월 경에 입봉한 기요무네는 영내로 이주한 주민에게 이듬해 각종 세금을 면제하는 정책을 실시하여 영민 증가를 도모했다. 아들 이에키요에게 가독을 물려준 것도 이 무렵이다.

1605년(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이후 아들 이에키요의 전봉지인 산슈 요시다 성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했다. 요시다 성 아래에 보리사로 전영사가 창건되어 그곳에 매장되었으며, 법명은 龍興院華翁全栄(류코인 게오 전에이)이다.

2. 1. 초기 활동과 이에야스 가신 시절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에게 사관하여 1562년(에이로쿠 5년) 이마가와 씨(今川氏)로부터 독립하려는 이에야스를 지지하여 가미노고 성(上ノ郷城) 공략에 참여했다. 1563년(에이로쿠 6년) 미카와 잇코잇키(一向一揆) 진압전에서 무공을 세워 이름을 알렸다. 1564년(에이로쿠 7년) 이에야스의 미카와 동부 거점인 요시다 성 공략에 참여, 류넨지(龍拈寺) 입구 전투에서 부상에도 불구하고 적 5명을 베는 공을 세웠다.

2. 2. 엔슈 침공과 주요 전투

1568년(에이로쿠 11년) 12월, 도쿠가와 이에야스엔슈 침공에 호응했다. 당시 미카와 군단은 서쪽의 오카자키성과 동쪽의 요시다 성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는데, 기요무네는 요시다 성주 대리 사카이 다다쓰구의 지휘 하에 있었다. 엔슈 정복전에서 이에야스 본진은 하마나호 동쪽의 히쿠마 성을, 다다쓰구의 별동대는 하마나 호 서쪽을 목표로 했다.

1570년(겐키 원년) 6월 29일, 고슈 오네가와(姉川) 전투에 참전했다.

1575년(덴쇼 3년) 5월 21일, 나가시노 전투에서 사카이 다다쓰구의 기습대원으로 참전했다.

2. 3. 스루가 병탄과 고호조 가문 대비

1582년(덴쇼 10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스루가국을 병합한 후, 기요무네는 고코쿠지 성에 2천 관으로 배치되었고, 50명의 요리키를 받았다.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참전하지 않고, 고코쿠지 성에 머무르며 사가미국의 고호조 가문에 대비했다.

2. 4. 오다와라 정벌과 하치만야마 번주

1590년(덴쇼 18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했다. 이때 도쿠가와 이에야스 군은 이에야스 본진 앞에 '전비(全備)', '전비' 앞에 '제2 선진', 그 앞에 '제1 선진'으로 배치되었다. 기요무네의 다케노야(혹은 고코쿠지) 부대는 '제2 선진' 7조 중 왼쪽 끝 날개를 담당했다.

1591년(덴쇼 19년), 도쿠가와 군이 간토로 이동할 때, 기요무네는 무사시 국 고다마군(児玉郡) 하치만야마 1만 석 영주가 되었다. 가지가오카 성(기오카 성)을 거성으로 삼고, 8~9월 경 입봉했다. 기요무네는 영민을 늘리고자 이주민에게 이듬해 각종 세금을 면제하는 정책을 폈다. 아들 이에키요에게 가독을 물려준 것도 이 무렵이다.

2. 5. 만년

1605년 (게이초 1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아들 이에키요가 전봉된 산슈 요시다 성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했다. 요시다 성 아래에 보리사인 전영사가 창건되어 그곳에 매장되었다. 법명은 龍興院華翁全栄(류코인 게오 전에이)이다.

3. 가계

松平 清宗|마쓰다이라 기요무네일본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적자 이에키요와 손자 다다키요이에야스 부자에게 이름 한 자씩을 하사받은 것은, 기요무네이에야스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많은 무공을 세웠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4. 평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수많은 무공을 세운 충신으로 평가받는다. 아들 이에키요와 손자 다다키요가 이에야스로부터 이름 한 글자를 하사받은 것은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