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초는 1596년부터 1615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이 시기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고 에도 막부를 열면서 정치적 권력이 이동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임진왜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등이 있으며, 자연재해로 게이초 대지진과 산리쿠 지진이 발생했다. 또한, 네덜란드와의 무역이 시작되고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유럽으로 파견되는 등 외교적 변화도 있었다. 문화적으로는 게이초 초쿠한의 제작과 게이초의 활자판 인쇄, 그리고 '게이초 견문집'의 간행 등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다카마쓰성 (가가와현)
다카마쓰성은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 위치한 윤곽식 평성 해성으로, 에도 시대 다카마쓰번의 번청이었으며 일본 3대 수성 중 하나이고, 이코마 지카마사에 의해 축성 시작, 마쓰다이라 요리시게에 의해 수리, 현재는 다마모 공원으로 정비되어 일부 건물이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천수각 복원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게이초 | |
---|---|
개요 | |
시대 | 일본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
기간 | 1596년 ~ 1615년 (20년) |
이전 시대 | 분로쿠 |
다음 시대 | 겐나 |
천황 | 고요제이 천황 (재위: 1586년 ~ 1611년), 고미즈노오 천황 (재위: 1611년 ~ 1629년) |
막부 | 도쿠가와 막부 |
서력과의 대비 | |
기원 | 1596년 |
종료 | 1615년 |
간지와의 대비 | |
시작 간지 | 병신(丙申) |
종료 간지 | 을묘(乙卯) |
주요 사건 | |
사건 | 게이초 지진 세키가하라 전투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 취임 오사카 전투 |
2. 연호 제정
분로쿠 5년 10월 27일(그레고리력 1596년 12월 16일), 천재지변 등 재난을 이유로 개원하였다.[19][21] 도요토미 정권은 권위 유지를 위해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자결한 분로쿠 4년과[19]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게이초 3년에[20] 조정에 개원을 요청했으나, 조정은 이를 거부했다. 당시 개원은 조정과 무가(武家) 양측의 의견 일치가 필요했으며, 고요제이 천황 즉위에 따른 개원 움직임과 도요토미 정권의 전국 통일이 겹친 '분로쿠' 개원, 교토 등에서 지진이 잇따랐던 '게이초' 개원만이 이에 해당했다.[21]
1596년 12월 19일, 26성인의 순교 사건이 발생하였다. 1597년 1월 14일에는 정유재란(게이초 전쟁)이 시작되었다.
3. 주요 사건
1600년 3월 16일, 네덜란드의 배 리프데호가 분고에 표착하였다. 같은 해 9월 15일에는 세키가하라 전투가 벌어졌다.
1602년에는 재건 중이던 호코지(方広寺)의 대불전이 소실되었다.
1604년 윤3월 3일, 천황의 명령으로 『니혼쇼키・가미요노마키(神代巻)』가 간행되었다.
1609년에는 기유약조가 체결되고, 8월 22일에는 히라도섬에 네덜란드 상관이 설치되었다.
1614년 7월 26일에는 호코지(方広寺) 범종 글귀 사건이 발생하였다.
1618년 9월 15일, 유럽 파견 사절단인 하세쿠라 쓰네나가 일행이 출항하였다.
3. 1. 정치 및 사회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1598년 8월 18일에 사망한 후, 일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하는 세력과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옹호하는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4] 1600년 9월 15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은 서군을 격파하고, 사실상 전국 지배권을 확립하였다.[4]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세이이타이쇼군에 임명되어 에도 막부를 열었다.[6] 같은 해,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나이다이진으로 승진하였다.[6]
1614년에는 호코지 범종 명문 사건을 계기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결국 오사카 전투가 발발하여, 1615년 오사카성이 함락되고 도요토미 가문은 멸망하였다.[13][14] 이후 에도 막부는 잇코쿠이치조레이(一国一城令)와 부케쇼핫토(武家諸法度)를 제정하여 통제를 강화하였다.
이 시기에는 사회적으로도 큰 변화가 있었다. 1596년 12월 19일에는 26명 성인의 순교 사건이 발생하였다. 1609년에는 사쓰마번이 류큐 왕국을 침공하여 쇼네이왕이 항복하였다.[6] 또한, 1609년 8월 22일에는 히라도섬에 네덜란드 상관이 설치되어 네덜란드와의 교역이 시작되었다.[6]
1613년부터 1620년까지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이끄는 사절단이 유럽을 방문하여 교황을 알현하고, 1620년에 귀국하였다.[10][11][12]
다음은 게이초 시대의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1596년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들 히데요리 겐푸쿠, 26명 성인의 순교 사건 |
1598년 |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4] |
1600년 | 세키가하라 전투[4] |
1603년 | 도쿠가와 이에야스, 세이이타이쇼군 취임, 에도 막부 개막[6] |
1605년 | 도쿠가와 히데타다, 2대 쇼군 취임 |
1609년 | 류큐 왕국 침공,[6] 히라도섬에 네덜란드 상관 설치[6] |
1614년 | 호코지 범종 명문 사건, 오사카 겨울 전투 시작 |
1615년 | 오사카 여름 전투, 도요토미 가문 멸망, 잇코쿠이치조레이 및 부케쇼핫토 제정 |
3. 2. 자연재해
분로쿠 5년에 잇따라 대지진이 발생하여 게이초로 개원되었지만, 게이초 연간에도 그 후 거대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였다.- '''1605년 1월 23일''' (게이초 10년 12월 15일): 새로운 화산섬인 하치조코지마가 이즈 제도의 하치조지마 옆 바다에서 솟아올랐다.[6]
- '''1614년 10월 18일''' (게이초 19년 10월 25일): 강력한 지진이 교토를 흔들었다.[13]
3. 3. 외교 및 문화
1596년(게이초 원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들 히로이(이후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겐푸쿠(성년식)를 치렀다.[4] 같은 해 26성인의 순교 사건이 발생했다.1597년(게이초 2년) 정유재란(게이초 전쟁)이 시작되었다.[4]
1598년(게이초 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성에서 사망했다.[4]
1600년(게이초 5년) 네덜란드 배 리프데호가 분고에 표착하였다. 같은 해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가문과 그 동맹군은 반대 세력을 격파했다.[4]
1603년(게이초 8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이 되어 에도 막부가 시작되었다.[6]
1605년(게이초 10년)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2대 쇼군에 취임하였다.
1609년(게이초 14년) 류큐의 쇼네이왕이 사쓰마번에 항복하였다.(류큐 침공) 같은 해 기유약조가 체결되고, 히라도섬에 네덜란드 상관이 설치되었다. 1609년 8월 24일(게이초 14년 6월 25일)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름으로 무역 통행증이 발행되었다.
1613년(게이초 18년) 하세쿠라 쓰네나가 일행이 유럽 파견 사절단으로 출항하였다.[10]
1614년(게이초 19년) 호코지(교토) 범종 글귀 사건이 발생하였다.
4. 게이초 시대의 주요 인물
게이초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인물들이 활동했다.
출생 연도 | 이름 | 추가 정보 |
---|---|---|
1595년 (게이초 원년) |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 에도 시대 다이묘, 노중 (+ 간분 2년) |
1596년 (게이초 2년) | 센히메 |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정실 (+ 간분 6년) |
1597년 (게이초 3년) | 아베 시게쓰구 | 에도 시대 초기 노중 (+ 게이안 4년) |
1598년 (게이초 4년) | 이케다 다다쓰구 | 에도 초기 다이묘, 오카야마성 성주 (+ 게이초 20년) |
1598년 (게이초 4년) | 고노에 노부히로 | 에도 초기 공가, 고요제이 천황의 넷째 황자 (+ 게이안 2년) |
1598년 (게이초 4년) | 아라키 마타에몬 | 에도 시대 초기 검객 (+ 간에이 15년), 출생년도는 이설이 있음 |
1599년 (게이초 5년) | 도쿠가와 요시나오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홉째 아들,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 시조 (+ 게이안 3년) |
1600년 (게이초 6년) | 사나다 유키마사 (다이스케) | 사나다 노부시게의 아들 (+ 게이초 20년), 출생년도는 이설이 있음 |
1600년 (게이초 6년) |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 에도 초기 다이묘 (+ 간분 6년) |
1601년 (게이초 7년) | 가노 탄유 | 에도 초기 화가, 가노 나가노리의 손자 (+ 엔포 2년) |
1601년 (게이초 7년) | 도쿠가와 요리노부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열째 아들, 기슈 도쿠가와 가문 시조 (+ 간분 11년) |
1601년 (게이초 7년) | 다카쓰카사 다카코 |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정실 (+ 엔포 2년) |
1601년 (게이초 7년) | 아베 타다아키 | 에도 초기 다이묘, 노중 (+ 엔포 3년) |
1602년 (게이초 8년) | 도쿠가와 요리후사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열한째 아들, 미토 도쿠가와 가문 시조 (+ 간분 원년) |
1603년 (게이초 9년)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에도 막부 제3대 쇼군 (+ 게이안 4년) |
1604년 (게이초 10년) | 사카키바라 다다쓰구 | 에도 초기 다이묘, 숙로 (+ 간분 5년) |
1604년 (게이초 10년) | 유이 쇼세쓰 | 에도 시대 군학자, 게이안의 변을 일으킴 (+ 게이안 4년) |
1605년 (게이초 11년) | 도쿠가와 타다나가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셋째 아들, 스루가슨푸 번 번주 (+ 간에이 10년) |
1606년 (게이초 12년) | 도쿠가와 마사코 (도후쿠몬인)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고미즈노오 천황의 중궁 (+ 엔포 6년) |
1606년 (게이초 12년) | 야규 무네노리 | 에도 초기 검호 (+ 게이안 3년) |
1607년 (게이초 13년) | 나카에 도주 | 에도 초기 양명학자 (+ 게이안 원년) |
1607년 (게이초 13년) | 호리타 마사모리 | 에도 초기 다이묘, 노중 (+ 게이안 4년) |
1607년 (게이초 13년) | 도요토미 구니마쓰 |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아들 (+ 게이초 20년) |
1608년 (게이초 14년) | 이케다 미쓰마사 | 초대 오카야마 번 번주 (+ 덴나 2년) |
1608년 (게이초 14년) | 야마우치 다다토요 | 도사 번 제3대 번주 (+ 간분 9년) |
1608년 (게이초 14년) | 텐슈니 |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아들 (+ 쇼호 2년) |
1609년 (게이초 15년) | 마쓰다이라 사다마사 | 에도 초기 다이묘 (+ 간분 12년) |
1610년 (게이초 16년) | 호시나 마사유키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넷째 아들, 아이즈 번 번주 (+ 간분 12년) |
1613년 (게이초 19년) | 혼다 마사카쓰 | 야마토고리야마 번 초대 번주 (+ 간분 11년) |
4. 1. 정치
- 1596년(게이초 원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게이초의 역을 일으켜 조선을 침략했다.
- 1598년 9월 18일(게이초 3년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성에서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 1600년 10월 21일 (게이초 5년 9월 15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가문과 그 동맹군이 반대 세력을 격파했다.[4]
- 1602년 1월 15일 (게이초 7년 11월 24일): 교토 호코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불상과 다이부쓰덴이 불에 탔다.[5]
- 1603년 (게이초 8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이 되어 도쿠가와 막부가 시작되었다.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내대신으로 승진했다.[6]
- 1604년 ~ 1606년 (게이초 9년 ~ 11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가미의 도움에 감사하며 스루가국 후지산 기슭의 아사마 신사를 재건했다.[7]
- 1605년 (게이초 10년):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쇼군에 임명되었다. 일본의 첫 공식 지도가 제작되었다.(1639년 완성)[8]
- 1605년 1월 23일 (게이초 10년 12월 15일): 이즈 제도 하치조지마 옆 바다에서 화산섬 하치조코지마가 솟아올랐다.[6]
- 1606년 (게이초 11년): 에도성 건설이 시작되었다.[6]
- 1607년 (게이초 12년): 슨푸성 건설이 시작되었고, 중국에서 일본 천황에게 인사를 전하는 대사가 왔다.[6]
- 1609년 (게이초 14년): 사쓰마의 시마즈 씨가 류큐 침공.[6]
- 1609년 8월 24일 (게이초 14년 6월 25일):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름으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무역 통행증 발행.
- 1610년 11월 15일 (게이초 15년 9월 30일):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호코지를 재건하고, 불에 탄 불상을 대체할 청동 불상과 거대한 종을 만들도록 했다.[9]
- 1610년 5월 20일 (게이초 15년 3월 27일): 히데요리가 교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만났고, 고요제이 천황이 아들 마사히토에게 양위했다.[6]
- 1611년 (게이초 16년): 고미즈노오 천황 즉위.
- 1613년 (게이초 18년):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누에바 에스파냐를 거쳐 유럽으로 가는 외교 사절단을 이끌고 로마로 갔다. (게이초 사절단)[10]
- 1614년 (게이초 19년): 오사카 전투. 쇼군이 히데요리를 격파하고 오사카성에 불을 질렀다.[13]
- 1614년 8월 24일 (게이초 19년 7월 19일): 호코지의 새 청동 종 주조.
upright의 절종.]]
thumb
4. 2. 조선 관련 인물 (임진왜란, 정유재란)
- 1596년(게이초 1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 (게이초의 역) 하였다.[4]
- 1598년 9월 18일(게이초 3년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성에서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 1600년 10월 21일(게이초 5년 9월 15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가문과 그 동맹군이 반대 세력을 격파했다.[4]
- 1607년(게이초 12년): 중국에서 일본 천황에게 인사를 전하기 위해 대사가 도착했다.[6]
- 1609년(게이초 14년): 사쓰마의 다이묘인 시마즈 씨가 류큐를 침공했다.[6]
- 1610년 5월 20일(게이초 15년 3월 27일):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교토를 방문하여 전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방문했다.[6]
- 1613년 - 1620년: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누에바 에스파냐를 거쳐 유럽의 여러 기항지를 방문하는 외교 사절단을 이끌고 바티칸이 있는 로마로 향했다. 이 사절단은 게이초 사절단(慶長使節)이라고 불린다.[10] 귀국 여정에서 하세쿠라와 그의 동행자들은 1619년 멕시코를 가로질러 아카풀코에서 마닐라로 항해한 후 1620년 일본으로 북쪽으로 항해했다.[11] 이것은 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최초의 일본 대사로 여겨진다.[12]
- 1614년(게이초 19년): 오사카 전투에서 쇼군이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격파하고 오사카성에 불을 질렀다.[13]
- 1615년(게이초 20년): 오사카 여름 전투가 시작되었다.
출생 연도 | 이름 | 추가 정보 |
---|---|---|
1596년(게이초 원년) | 센히메 |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정실, (+ 간분 6년) |
1601년(게이초 6년) | 사나다 유키마사 (다이스케) | 사나다 노부시게의 아들 (+ 게이초 20년), 출생년도는 이설이 있음 |
1608년(게이초 13년) | 도요토미 구니마쓰 |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아들 (+ 게이초 20년) |
1609년(게이초 14년) | 텐슈니 |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아들 (+ 쇼호 2년) |
4. 3. 문화
upright의 절종.]]
thumb
- '''1596년''' (게이초 1년): 게이초의 역(조선 침략).[4]
- '''1602년 1월 15일''' (게이초 7년 11월 24일): 교토 호코지에서 부주의한 작업자들에 의해 화재가 발생, 거대한 불상과 불상을 안치한 구조물(다이부쓰덴)이 불에 탔다.[5]
- '''1604-1606년''' (게이초 9-11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세키가하라 전투 (1600년) 동안 가미의 도움에 감사, 스루가국 후지산 기슭 아사마 신사를 재건했다.[7]
- '''1605년''' (게이초 10년): 일본의 첫 공식 지도가 명령되었고, 1:280,000 축척으로 1639년에 완성되었다.[8]
- '''1605년 1월 23일''' (게이초 10년 12월 15일): 이즈 제도 하치조지마 옆 바다에서 새로운 화산섬 하치조코지마가 솟아올랐다.[6]
- '''1606년''' (게이초 11년): 에도성 건설이 시작되었다.[6]
- '''1607년''' (게이초 12년): 스루가국 슨푸성 건설이 시작, 중국에서 일본 천황에게 인사를 전하기 위해 대사가 도착했다.[6]
- '''1609년''' (게이초 14년): 사쓰마 시마즈 씨에 의한 류큐 침공.[6]
- '''1609년 8월 24일''' (게이초 14년 6월 25일):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름으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무역 통행증 (''handelpas'') 발행.
- '''1610년 11월 15일''' (게이초 15년 9월 30일):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호코지 재건 사업을 후원, 불에 탄 나무 불상을 대체하기 위해 교토 다이부쓰를 청동으로 재현하고, 청동으로 된 거대한 종을 주조했다.[9]
- '''1613년''' (게이초 18년): 하세쿠라 쓰네나가는 누에바 에스파냐 (아카풀코 도착, 베라크루스 출발)를 거쳐 유럽 여러 기항지를 방문하는 외교 사절단을 바티칸 로마로 이끌었다. 이 사절단은 게이초 사절단(慶長使節)이라고 불린다.[10]
- '''1614년 8월 24일''' (게이초 19년 7월 19일): 호코지 새 청동 종 주조. 그러나 이에야스는 종 명문 '국가안강'(국가와 집안의 평화와 평온)에 불쾌, 자신에 대한 저주로 해석. (문자 安 (''an'' - "평화")이 자신의 이름 家康 (''ka-kō'' - "가정 평온")을 구성하는 두 문자 사이에 놓여, 이에야스 해체 암시). 이에야스는 히데요리가 살아있는 한 찬탈한 권력을 누릴 수 없다고 판단, 히데요리 가신 가타기리 가츠모토의 사과에도 불구, 달래지 않았다.[14]
- '''1614년 10월 18일''' (게이초 19년 10월 25일): 교토에 강력한 지진 발생.[13]

5. 서력과의 대조표
게이초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
서력 | 1596년 | 1597년 | 1598년 | 1599년 | 1600년 | 1601년 | 1602년 | 1603년 | 1604년 | 1605년 | 1606년 | 1607년 | 1608년 | 1609년 | 1610년 | 1611년 | 1612년 | 1613년 | 1614년 | 1615년 |
간지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갑인 | 을묘 |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
서적
Japanese Castles
Kodansha International Ltd. and Shibundo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of Japan
https://books.google[...]
[6]
서적
https://books.google[...]
[7]
서적
Studies in Shinto and Shrines
[8]
서적
The Tokaido Road: Traveling and Representation in Edo and Meiji Japan
[9]
서적
Kyoto
https://books.google[...]
[10]
문서
Keichō Embassy
[11]
웹사이트
Japan-Mexico Relations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2]
문서
Tenshō Embassy
[13]
서적
https://books.google[...]
[14]
서적
Kyoto
https://books.google[...]
[15]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6]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7]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8]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9]
간행물
中山家記
null
[20]
간행물
御湯殿上日記
null
[21]
서적
戦国・織豊期の朝廷と公家社会
校倉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