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나케아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우나케아산은 하와이 제도 최고봉으로, 해발 4,207m이며 해저부터의 높이는 10,205m로 에베레스트산보다 높다. 하와이섬을 이루는 5개의 순상화산 중 하나로, 현재는 휴화산 상태이다. 과거 빙하기 동안 빙관으로 덮여 있었으며, 빙하 작용의 흔적이 남아있다. 마우나케아는 천문 관측에 매우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의 천문대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조한 기후, 안정적인 대기, 낮은 광공해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천문대 건설은 환경 및 문화 유산 훼손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 지역을 신성시하여 개발에 반대하고 있다. 마우나케아는 사냥, 등산, 스키 등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장소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섬의 화산 - 마우나로아산
하와이섬을 구성하는 화산 중 하나인 마우나로아산은 질량과 부피 면에서 세계 최대 활화산으로, Decade Volcanoes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받고 있으며 정상에는 여러 연구 시설이 위치해 있다. - 하와이섬의 화산 - 킬라우에아산
킬라우에아산은 하와이 섬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하와이 핫스팟 위에서 형성되었으며, 하와이 원주민에게 불의 여신 펠레로 여겨지고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에 속해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다. - 플라이스토세 오세아니아 - 카호올라웨섬
카호올라웨섬은 하와이 제도에 속한 플라이스토세 순상화산 섬으로, 과거 환경 파괴를 겪었지만 현재는 생태계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며 고대 폴리네시아인의 흔적과 전통 항해술과 관련이 있다. - 플라이스토세 오세아니아 - 할레아칼라산
하와이 마우이 섬에 위치한 "태양의 집"이라는 뜻의 휴화산인 할레아칼라산은 하와이 신화 속 마우이 전설이 깃든 곳으로 국립공원 및 국제생물권보호구로 지정되었으며, 독특한 생물군과 천문대,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 미국의 순상 화산 - 카호올라웨섬
카호올라웨섬은 하와이 제도에 속한 플라이스토세 순상화산 섬으로, 과거 환경 파괴를 겪었지만 현재는 생태계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며 고대 폴리네시아인의 흔적과 전통 항해술과 관련이 있다. - 미국의 순상 화산 - 카우아이섬
카우아이섬은 하와이 제도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자 지질학적으로 가장 오래된 섬 중 하나로,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어 울창한 숲과 다양한 지형을 가진 "정원의 섬"이라 불리며, 폴리네시아인 정착과 제임스 쿡 선장의 상륙 이후 관광 산업과 영화 촬영지로 유명하다.
마우나케아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우나케아 |
다른 이름 | 마우나 케아 |
위치 | 하와이 군, 하와이 주, 미국 |
산맥 | 하와이 제도 |
유형 | 순상 화산, 열점 화산 |
지형 | |
해발고도 | 4207.3 m |
돌출 높이 | 4207.3 m |
순위 | 가장 높은 해양 섬 2위 세계에서 가장 돌출된 봉우리 15위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봉우리 8위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2위 미국에서 가장 높은 주요 봉우리 59위 미국에서 가장 돌출된 봉우리 2위 미국에서 가장 고립된 봉우리 2위 미국 주 최고점 6위 하와이에서 가장 높은 주요 봉우리 1위 |
지형적 고립도 | 3947 km |
지질 | |
나이 | 가장 오래된 암석: 237,000 ± 31,000년 BP, 대략: 약 100만 년 |
화산호 | 하와이-엠페러 해산열 |
마지막 분화 | 기원전 2460년 ± 100년 |
등반 정보 | |
첫 등정 | 기록된 등정: 굿리치 (1823년) |
가장 쉬운 등반로 | 마우나케아 트레일 |
기타 | |
지정 | 국립 자연 랜드마크 (1972년 11월) |
2. 지형 및 지질
마우나케아산의 해발 고도는 4,207m로 하와이 제도 최고봉이다.[119] 해저에서부터의 높이는 10,205m로, 에베레스트산보다 높다.[122][123] 하지만, 마우나케아는 자체 무게로 인해 해저 지각이 눌려 높이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124]
[[파일:MaunaKeaMap.jpg|thumb|left|마우나케아의 지형도. USGS 마우나케아 (1:250,000).] ]
마우나케아는 하와이섬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순상화산 중 하나이다. 마우나케아에서 흘러나온 용암류는 북서쪽에 있는 코할라 산의 남쪽 사면을 덮었고, 서쪽 및 남쪽 사면은 옆에 있는 활화산 마우나로아에서 흘러나온 용암에 덮여 있다. 마우나로아와는 달리, 정상부에는 칼데라가 없고, 수많은 화산탄구와 화산쇄설물퇴적물이 쌓여 있다.[120] 이 때문에 마우나케아의 산록 상부는 마우나로아보다 약 2배 정도 가파르다.[121] 또한, 마우나로아보다 산체의 해부가 더 진행되었다. 최고점인 푸우웨키우는 수많은 화산탄구 중 하나이며, 하와이 제도의 최고점이기도 하다.
마우나케아는 화산 진화의 노년기(post-shield stage)에 있으며, 약 20만~25만 년 전에 장년기(shield stage)에서 이행했다.[121] 장년기에는 마우나로아처럼 거대한 정상 칼데라를 가진 소레아이트질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매끄러운 순상화산이었다. 노년기로 이행한 후, 용암은 점성이 높은 하와이아이트에서 벤모리아이트의 알칼리 용암이 되어 분출은 간헐적이고 폭발적이 되었다.[125] 그 결과 수많은 겹쳐지는 화산탄구가 형성되어 칼데라를 완전히 메우고 덮어버렸다. 마우나케아는 약 4,500년 전에 마지막으로 분출했으며, 현재 휴화산이다.[121]
마우나케아의 정상은 플라이스토세의 빙하기 동안 거대한 빙관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었다. 정상에는 지난 30만 년 동안 적어도 4번의 빙하 시대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남아 있다.[126] 빙하 모레인은 약 7만 년 전과 약 4만 년~1만 3천 년 전에 형성되었다.[111]
마우나 케아는 하와이섬을 이루는 5개의 열점 화산 중 하나이다.[20] 약 100만 년 전 하와이 열점에 의해 전방패 화산으로 시작되어, 50만 년 전까지 방패 단계에서 매우 활동적이었다.[21] 25만 년에서 20만 년 전 사이에는 후방패 단계에 진입했으며,[28] 현재는 휴화산 상태다.[7] 마지막 분출은 4,500년에서 6,000년 전으로 추정된다.[7]
마우나 케아의 용암류는 성장 과정에서 이웃 화산의 용암류와 복잡하게 겹쳐졌다. 특히 북서쪽의 코할라 산의 오래된 용암류 위에 형성되었고, 남쪽의 마우나 로아 화산의 기저부와 교차한다.[22] 마우나 케아 동쪽의 힐로 해령은 한때 이 화산의 일부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코할라의 리프트대로 이해되고 있다.[31][29]
방패 단계 용암은 마우나 로아의 용암과 같은 토레아이트 현무암이며, 25만 년에서 7만-6만 5천 년 전 사이에 분출된 후방패 알칼리 현무암인 '하마쿠아 화산암'에 덮여 있다.[30][31][32] 가장 최근의 화산 용암류는 하와이아이트와 뮤지어라이트이며, 6만 5천 년에서 4천 년 전에 분출된 후방패 '라우파호에호에 화산암'이다.[31][32] 라우파호에호에 용암은 이전의 토레아이트 현무암보다 점성이 더 높고 휘발성 물질이 더 많아, 마우나 케아의 사면을 가파르게 만들었다. 또한, 폭발성 분출은 정상 근처에 스코리아 콘을 형성했다.[2] 현재 정상은 용암 돔과 스코리아 콘이 지배하고 있다.[28]
마우나 케아는 빙하 작용의 흔적이 있는 유일한 하와이 화산이다.[28] 지난 18만 년 동안 세 번의 빙하 작용 에피소드가 있었다.[31] 빙하하 분출은 마카나카 빙하 작용 동안 스코리아 콘을 형성했으며,[34] 그 대부분은 빙하 작용에 의해 심하게 깎였다. 가장 최근 콘은 9,000년에서 4,500년 전 사이에 빙하 퇴적물 위에 형성되었다.[33][35]
마우나 케아에는 와이아우 호가 있는데, 이는 태평양 분지에서 가장 높은 고산 호수이다.[39][40] 1993년에는 하와이 대학교의 시추 작업을 통해 해수면 아래 300m 이상에 있는 피압대수층이 발견되었다.[41]
마우나 케아의 마지막 분화는 약 4,600년 전(기원전 약 2600년)이었다.[31] 휴화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마우나 케아는 다시 분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명 피해는 거의 없겠지만 인프라에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44]
마우나케아산 정상부는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빙관으로 덮여 있었다.[33] 지난 18만 년 동안 최소 세 번의 빙하 작용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포하쿨로아'(18만~13만 년 전), '와이후'(8만~6만 년 전), '마카나카'(4만~1만 3천 년 전)가 그것이다.[31] 이들은 정상부를 광범위하게 침식시켰으며, 모레인과 화산 상부 사면을 따라 틸과 자갈의 원형 고리를 퇴적했다.[31] 빙하하 분출은 마카나카 빙하기 동안 스코리아 콘을 형성했으며,[34] 그 대부분은 빙하에 의해 심하게 침식되었다.[34] 가장 최근 콘은 9,000년에서 4,500년 전 사이에 빙하 퇴적물 위에 형성되었다.[33][35] 하지만 한 연구에서는 마지막 분출이 약 3,600년 전이었을 수 있다고 한다.[36] 빙하의 최대 범위는 정상에서 해발 3200m에서 3800m 사이까지 확장되었다.[37]
마우나케아는 빙하 작용의 명확한 흔적이 있는 유일한 하와이 화산이다.[28] 마우나 로아에도 비슷한 퇴적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후속 용암류에 의해 덮였다.[2]
2. 1. 높이 및 지형적 특징
마우나케아산의 해발 고도는 4,207m로 하와이 제도 최고봉이다.[119] 해저에서부터의 높이는 10,205m로, 에베레스트산보다 높다.[122][123] 하지만, 마우나케아는 자체 무게로 인해 해저 지각이 눌려 높이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124][[파일:MaunaKeaMap.jpg|thumb|left|마우나케아의 지형도. USGS 마우나케아 (1:250,000).] ]
마우나케아는 하와이섬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순상화산 중 하나이다. 마우나케아에서 흘러나온 용암류는 북서쪽에 있는 코할라 산의 남쪽 사면을 덮었고, 서쪽 및 남쪽 사면은 옆에 있는 활화산 마우나로아에서 흘러나온 용암에 덮여 있다. 마우나로아와는 달리, 정상부에는 칼데라가 없고, 수많은 화산탄구와 화산쇄설물퇴적물이 쌓여 있다.[120] 이 때문에 마우나케아의 산록 상부는 마우나로아보다 약 2배 정도 가파르다.[121] 또한, 마우나로아보다 산체의 해부가 더 진행되었다. 최고점인 푸우웨키우는 수많은 화산탄구 중 하나이며, 하와이 제도의 최고점이기도 하다.
마우나케아는 화산 진화의 노년기(post-shield stage)에 있으며, 약 20만~25만 년 전에 장년기(shield stage)에서 이행했다.[121] 장년기에는 마우나로아처럼 거대한 정상 칼데라를 가진 소레아이트질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매끄러운 순상화산이었다. 노년기로 이행한 후, 용암은 점성이 높은 하와이아이트에서 벤모리아이트의 알칼리 용암이 되어 분출은 간헐적이고 폭발적이 되었다.[125] 그 결과 수많은 겹쳐지는 화산탄구가 형성되어 칼데라를 완전히 메우고 덮어버렸다. 마우나케아는 약 4,500년 전에 마지막으로 분출했으며, 현재 휴화산이다.[121]
마우나케아의 정상은 플라이스토세의 빙하기 동안 거대한 빙관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었다. 정상에는 지난 30만 년 동안 적어도 4번의 빙하 시대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남아 있다.[126] 빙하 모레인은 약 7만 년 전과 약 4만 년~1만 3천 년 전에 형성되었다.[111]
2. 2. 화산 활동 역사
마우나 케아는 하와이섬을 이루는 5개의 열점 화산 중 하나이다.[20] 약 100만 년 전 하와이 열점에 의해 전방패 화산으로 시작되어, 50만 년 전까지 방패 단계에서 매우 활동적이었다.[21] 25만 년에서 20만 년 전 사이에는 후방패 단계에 진입했으며,[28] 현재는 휴화산 상태다.[7] 마지막 분출은 4,500년에서 6,000년 전으로 추정된다.[7]마우나 케아의 용암류는 성장 과정에서 이웃 화산의 용암류와 복잡하게 겹쳐졌다. 특히 북서쪽의 코할라 산의 오래된 용암류 위에 형성되었고, 남쪽의 마우나 로아 화산의 기저부와 교차한다.[22] 마우나 케아 동쪽의 힐로 해령은 한때 이 화산의 일부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코할라의 리프트대로 이해되고 있다.[31][29]
방패 단계 용암은 마우나 로아의 용암과 같은 토레아이트 현무암이며, 25만 년에서 7만-6만 5천 년 전 사이에 분출된 후방패 알칼리 현무암인 '하마쿠아 화산암'에 덮여 있다.[30][31][32] 가장 최근의 화산 용암류는 하와이아이트와 뮤지어라이트이며, 6만 5천 년에서 4천 년 전에 분출된 후방패 '라우파호에호에 화산암'이다.[31][32] 라우파호에호에 용암은 이전의 토레아이트 현무암보다 점성이 더 높고 휘발성 물질이 더 많아, 마우나 케아의 사면을 가파르게 만들었다. 또한, 폭발성 분출은 정상 근처에 스코리아 콘을 형성했다.[2] 현재 정상은 용암 돔과 스코리아 콘이 지배하고 있다.[28]
마우나 케아는 빙하 작용의 흔적이 있는 유일한 하와이 화산이다.[28] 지난 18만 년 동안 세 번의 빙하 작용 에피소드가 있었다.[31] 빙하하 분출은 마카나카 빙하 작용 동안 스코리아 콘을 형성했으며,[34] 그 대부분은 빙하 작용에 의해 심하게 깎였다. 가장 최근 콘은 9,000년에서 4,500년 전 사이에 빙하 퇴적물 위에 형성되었다.[33][35]
마우나 케아에는 와이아우 호가 있는데, 이는 태평양 분지에서 가장 높은 고산 호수이다.[39][40] 1993년에는 하와이 대학교의 시추 작업을 통해 해수면 아래 300m 이상에 있는 피압대수층이 발견되었다.[41]
마우나 케아의 마지막 분화는 약 4,600년 전(기원전 약 2600년)이었다.[31] 휴화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마우나 케아는 다시 분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명 피해는 거의 없겠지만 인프라에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44]
2. 3. 빙하 지형
마우나케아산 정상부는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빙관으로 덮여 있었다.[33] 지난 18만 년 동안 최소 세 번의 빙하 작용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포하쿨로아'(18만~13만 년 전), '와이후'(8만~6만 년 전), '마카나카'(4만~1만 3천 년 전)가 그것이다.[31] 이들은 정상부를 광범위하게 침식시켰으며, 모레인과 화산 상부 사면을 따라 틸과 자갈의 원형 고리를 퇴적했다.[31] 빙하하 분출은 마카나카 빙하기 동안 스코리아 콘을 형성했으며,[34] 그 대부분은 빙하에 의해 심하게 침식되었다.[34] 가장 최근 콘은 9,000년에서 4,500년 전 사이에 빙하 퇴적물 위에 형성되었다.[33][35] 하지만 한 연구에서는 마지막 분출이 약 3,600년 전이었을 수 있다고 한다.[36] 빙하의 최대 범위는 정상에서 해발 3200m에서 3800m 사이까지 확장되었다.[37]마우나케아는 빙하 작용의 명확한 흔적이 있는 유일한 하와이 화산이다.[28] 마우나 로아에도 비슷한 퇴적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후속 용암류에 의해 덮였다.[2]
2. 4. 수문 지질
3. 기후
마우나케아는 고산 기후(ET)를 갖고 있으며, 열대 위도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매우 적다. 서리는 연중 흔하지만, 평균 월별 기온은 연중 내내 영상을 유지한다.[132] 눈은 3,352.8m 이상의 고도에서 어떤 달에도 내릴 수 있지만, 10월부터 4월까지 가장 자주 내린다.[101] 1972년부터 1982년까지 기상 관측소가 운영되었지만, 이 기간 중 온도 기록이 있는 것은 33개월에 불과하며, 많은 해는 2개월의 데이터만 있다. 아래 제시된 온도는 미국해양대기청(NOAA)가 기록한 원시 데이터가 아닌 평활화된 평균값이다.[132]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기록 (°C) | 13 | 13 | 12 | 13 | 15 | 14 | 24 | 14 | 16 | 15 | 12 | 13 |
최저 기온 기록 (°C) | -7 | -11 | -8 | -8 | -11 | -5 | -6 | -8 | -5 | -7 | -7 | -8 |
평균 최고 기온 (°C) | 5.6 | 5.8 | 4.6 | 5.2 | 8.6 | 9.6 | 10.5 | 9.9 | 10.3 | 6.6 | 7.3 | 5.9 |
평균 최저 기온 (°C) | -3.2 | -3.3 | -3.9 | -3.2 | -1.7 | -1.4 | -0.9 | -0.6 | -0.4 | -1.4 | -2.3 | -2.4 |
강수량 (mm) | 20.6 | 6.1 | 26.7 | 12.7 | 23.4 | 3.6 | 7.4 | 19.6 | 13 | 14.7 | 26.4 | 13.2 |
마우나케아의 정상 평원은 모두 수목한계선 위에 있으며, 경관의 대부분은 용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고산툰드라가 산재해 있다. 11월부터 3월까지 해발 3,400m 이상에서 눈이 내린다. 특히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에는 1m가 넘는 적설이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4,000m 이상의 정상 지역에 남아 있다. 이는 라니냐 현상이 발생했을 때 특히 두드러진다. 이로 인해 분석구의 사면에서 스키 및 기타 스노우 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하와이대학교는 1970년대부터 정상으로 향하는 접근 도로에서 제설 작업원을 고용하고 있다.[127] 어떤 해에는 7월을 제외하고 매달 눈이 내린 적도 있다고 한다.[127]
그보다 조금 낮은 지역에는 고유종인 마우나케아은검초(en:Mauna Kea silversword)가 서식한다.[128]
1,600~2,400m는 과거에는 코아-마마네 숲이었지만, 대부분이 목초지로 변해 있다. 이 지역은 하와이에 외래종인 골든롯지(ハリエニシダ)의 대량 번식으로 위협받고 있다. 북쪽과 서쪽 사면의 대부분도 목초지이다. 멸종 위기에 처한 핀치와 비슷한 하와이꿀빨이류인 팔릴라(en:Palila)는 거의 마마네 열매만 먹는 새로, 서쪽 사면의 마마네-나이오 숲에 서식한다. 많은 야생 양이 고지대에 서식하며 토착 식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129]
풍상(동) 사면은 약 460~1,600m에서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다. 산 아래쪽은 광범위하게 농업 지역이며, 이전에는 광대한 사탕수수 밭 지역이었다. 1990년대에 발생한 설탕 산업의 붕괴와 함께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휴경지가 되었지만, 일부는 소 방목지, 소규모 농장 및 목재 펄프용 유칼립투스 농장이 되었다.
한때 북미 본토에서 들여온 선인장이 이상 번식했던 시대가 있었지만(미국 본토의 로데오 대회 우승 상품으로 들여왔다), 선인장을 먹는 나방에 의해 구제되어 현재는 거의 선인장을 볼 수 없다.
3. 1. 기온
마우나케아는 고산 기후(ET)를 갖고 있다.[132] 열대 위도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매우 적다.[132] 서리는 연중 흔하지만,[132] 평균 월별 기온은 연중 내내 영상을 유지한다.[132] 눈은 3,352.8m 이상의 고도에서 어떤 달에도 내릴 수 있지만, 10월부터 4월까지 가장 자주 내린다.[101] 1972년부터 1982년까지 기상 관측소가 운영되었지만, 이 기간 중 온도 기록이 있는 것은 33개월에 불과하며, 많은 해는 2개월의 데이터만 있다.[132]3. 2. 강수
마우나케아에서 눈은 해발 3,350m 이상에서 연중 내릴 수 있지만, 10월에서 4월 사이에 가장 자주 내린다.[101] 겨울철에는 4,000m 이상의 정상 지역에 1m가 넘는 적설이 수 주에서 수 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특히 라니냐 현상 발생 시).[132]3. 3. 기상 관측
마우나케아는 고산 기후(ET)를 갖고 있으며, 열대 위도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매우 적다. 서리는 연중 흔하지만, 평균 월별 기온은 연중 내내 영상을 유지한다.[132] 눈은 3,352.8m 이상의 고도에서 어떤 달에도 내릴 수 있지만, 10월부터 4월까지 가장 자주 내린다.[101] 1972년부터 1982년까지 기상 관측소가 운영되었지만, 이 기간 중 온도 기록이 있는 것은 33개월에 불과하며, 많은 해는 2개월의 데이터만 있다. 제시된 온도는 미국해양대기청(NOAA)가 기록한 원시 데이터가 아닌 평활화된 평균값이다.[132]4. 생태
하와이의 지리적 고립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쳐,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고유종들이 생겨났다.[57] 그러나 이러한 고립은 멸종과 침입종의 영향에 취약하게 만들었고, 인간의 개발로 인해 섬 고유종의 약 3분의 1이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산된다. 마우나케아는 고도에 따라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는데, 크게 고산–아고산, 산악, 저지대 숲으로 나뉜다.[53]
19세기 초, 미국인과 유럽인과의 접촉은 더 많은 정착민을 섬으로 이끌었고, 이는 지속적인 생태적 악영향을 초래했다. 낮은 사면의 코아(koa)–오히아(ʻōhiʻa) 숲은 농경지로 바뀌었고, 높은 곳에서는 목장에서 탈출한 야생 동물들이 마우나케아의 토종 마마네(māmane)–나이오(naio) 숲에 피해를 입혔다.[69] 외래 식물 또한 심각한 위협으로, 토종종은 1,000종으로 추산되는 반면, 도입종은 4,600종 이상이다.[59]
=== 고산 환경 ===
마우나케아 정상은 수목한계선 위에 있으며, 대부분 용암과 고산툰드라로 이루어져 있다.[53] 11월부터 3월까지 해발 3,400m 이상에서 눈이 내리며,[127] 특히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에는 1m가 넘는 적설이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4,000m 이상의 정상 지역에 남아 있기도 한다.[127]
마우나케아 은검초(en:Mauna Kea silversword)는 이 지역의 고유종이다.[128]
=== 마마네-나이오 숲 ===
해발 2,000~3,000m의 숲 지역은 마마네와 나이오가 우점종인 마마네-나이오 숲이다.[58] 팔릴라(en:Palila)는 이 숲에 서식하는 새로, 마마네 열매를 주로 먹는다.[129] 많은 야생 양이 고지대에 서식하며 토착 식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129]
=== 저지대 환경 ===
마우나케아 아래쪽 사면의 목장 지역은 과거 코아-오히아(ōhiʻa) 숲이었다.[53] 19세기 초 유럽과 미국 정착민들의 유입으로 숲이 파괴되었고, 광대한 숲의 일부는 사탕수수 농장을 위해 개간되었다.[69] 1990년대 사탕수수 산업 붕괴로 이 땅의 대부분은 휴경지 상태이지만, 일부는 소 방목, 소규모 농업, 목재 펄프를 위한 유칼립투스 재배에 사용된다.[75][70]
하칼라우 숲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은 마우나케아의 바람받이 사면에 있는 주요 코아 숲 보호구역이다.[71]
코아-오히아 숲에는 하와이 까마귀(''Corvus hawaiiensis'') 등 여러 멸종 위기 조류가 서식한다.[71]
한때 북미 본토에서 들여온 선인장이 번성했지만, 나방에 의해 구제되어 현재는 거의 볼 수 없다.
4. 1. 고산 환경
마우나케아산 정상은 수목한계선 위에 있으며, 대부분 용암암과 고산툰드라로 이루어져 있다.[53] 폭설이 자주 내리고 극심한 저온, 짧은 생장기, 낮은 강우량, 겨울철 강설과 부족한 토양으로 인해 식물 성장이 제한된다.[53]이러한 혹독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식물 종에는 ''Styphelia tameiameiae'', ''Taraxacum officinale'', ''Tetramolopium humile'', ''Agrostis sandwicensis'', ''Anthoxanthum odoratum'', ''Trisetum glomeratum'', ''Poa annua'', ''Sonchus oleraceus'' 및 ''Coprosma ernodiodes''가 있다. 마우나케아 은검초(''Argyroxiphium sandwicense'' var. ''sandwicense'')는 마우나케아의 고지대 잿빛 사막에서 번성하는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 식물 종이다.[60][53]
1981년 마우나케아 남쪽 정상 사면에 마우나케아 빙하기 보호구역이 설립되었다.[61] 이 보호구역은 애올리언 사막과 와이아우 호수 지역을 포함하며,[61] 멸종 위기에 처한 우아우(''Pterodroma sandwichensis'')의 피난처가 될 가능성이 높고, wēkiu bug( ''Nysius wekiuicola'')에 대한 연구의 중심지이기도 하다.[38] 늑대거미(Lycosidae)와 솔잎혹파리도 마우나케아 생태계에서 관찰되었다.[63]

11월부터 3월까지 해발 3,400m 이상에서 눈이 내리고,[127] 특히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에는 1m가 넘는 적설이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4,000m 이상의 정상 지역에 남아 있기도 한다.[127]
1,600~2,400m는 과거에는 코아-마마네 숲이었지만, 대부분이 목초지로 변해 있다. 북쪽과 서쪽 사면의 대부분도 목초지이며, 멸종 위기에 처한 핀치와 비슷한 하와이꿀빨이류인 팔릴라(en:Palila)는 서쪽 사면의 마마네-나이오 숲에 서식한다.[129]
풍상(동) 사면은 약 460~1,600m에서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다. 산 아래쪽은 광범위하게 농업 지역이며, 이전에는 광대한 사탕수수 밭 지역이었으나 1990년대에 발생한 설탕 산업의 붕괴와 함께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휴경지가 되었다.
4. 2. 마마네-나이오 숲

화산의 해발 2,000~3,000m 고도에 있는 숲 지역은 고유종인 마마네( ''Sophora chrysophylla'')와 나이오(''Myoporum sandwicense'')가 우점종이며, 따라서 마마네-나이오 숲으로 알려져 있다.[58] 마마네 씨앗과 나이오 열매는 이 지역 조류의 주요 먹이이며, 특히 멸종 위기종인 팔릴라( ''Loxioides bailleui'')는 거의 마마네 열매만 먹는다.[58] 팔리라는 이전에는 마우나케아, 마우나로아, 후알랄라이 산기슭에서 서식했지만, 현재는 마우나케아 산기슭에만 국한되어 이전 서식 범위의 10%만 남아 있다.[58]
18세기 후반 섬에 유입된 들개, 소 (''Bos primigenius''),[64] 염소 (''Capra hircus'')의 방목은 이 생태계에 가장 큰 위협이다.[58] 1920년대 후반부터 이들을 근절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존재했으며,[58] 1949년까지 계속되었다.[64] 1950년대에는 들짐승이 거의 근절되어 수백 마리만 남았으나, 지역 사냥꾼들이 들짐승을 사냥감으로 여기면서 1959년에 하와이(Hawaiʻi) 토지 및 천연자원부는 스포츠 사냥을 촉진하는 정책으로 변경했다.[58]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무플론 (''Ovis aries orientalis'')이 도입되었고,[65] 1964년 액시스사슴 (''Axis axis'') 방출 계획은 농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58]
마우나케아에 천문 시설이 건설되면서 환경 보호론자들은 마우나케아 생태계 보호를 요구했고, 숲의 25%를 보호구역으로, 나머지 75%는 사냥을 위해 관리하는 계획이 제안되었으나 환경 보호론자들의 반대로 실행되지 못했다.[58] 멸종 위기종 보호법이 통과된 후, 미국 오듀본협회와 시에라클럽 법률방위기금은 하와이(Hawaiʻi) 토지 및 천연자원부를 상대로 연방법 위반을 주장하며 ''팔리라 대 하와이 토지 및 천연자원부''(1978) 소송을 제기했다.[58][66] 법원은 환경 보호론자들의 손을 들어주었고, 하와이 주는 멸종 위기종 보호법을 위반하여 산비탈에서 모든 들짐승을 제거해야 했다.[58] 이 판결은 1981년 두 번째 법원 명령으로 이어졌다.[69]
마우나케아 숲 보호구역은 하와이 토지 및 천연자원부의 관할 하에 212km2의 마마네-나이오 숲을 보호하고 있으며, 유제류 사냥은 연중 허용된다.[75] 마마네-나이오 숲의 일부는 마우나케아 주립 휴양지에 포함되어 있다.[68]
1,600~2,400m는 과거에는 코아-마마네 숲이었지만, 대부분이 목초지로 변해 있다. 이 지역은 하와이에 외래종인 골든롯지(ハリエニシダ)의 대량 번식으로 위협받고 있다. 북쪽과 서쪽 사면의 대부분도 목초지이다. 많은 야생 양이 고지대에 서식하며 토착 식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129]
4. 3. 저지대 환경
마우나케아의 아래쪽 사면에 있는 목장 지역은 이전에 코아-오히아(ōhiʻa) 숲이었다.[53] 19세기 초 유럽과 미국 정착민들의 유입으로 인해 이 숲이 파괴되었는데, 1830년대에 걸쳐 광범위한 벌목으로 새로운 주택 건축을 위한 목재를 제공했기 때문이다.[69] 광대한 숲의 일부는 사탕수수 농장을 위해 불태워지고 개간되었다. 섬에 있는 대부분의 집은 코아로 지어졌으며, 살아남은 숲은 사탕수수 농장의 보일러를 가동하고 집을 난방하기 위한 땔나무의 원천이 되었다. 한때 광대했던 숲은 1880년까지 거의 사라졌고, 1900년까지 벌목업은 코나와 마우이 섬으로 이동했다.[69] 1990년대 사탕수수 산업 붕괴로 이 땅의 대부분은 휴경지 상태이지만, 일부는 소 방목, 소규모 농업, 그리고 목재 펄프를 위한 유칼립투스 재배에 사용된다.[75][70]하칼라우 숲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은 마우나케아의 바람받이 사면에 있는 주요 코아 숲 보호구역으로, 1985년에 설립되었다.[71] 이 지역에서는 8종의 멸종 위기 조류, 12종의 멸종 위기 식물, 그리고 멸종 위기종인 하와이 회색 박쥐(''Lasiurus cinereus semotus'')를 비롯한 많은 희귀 생물들이 관찰되었다. 보호구역의 일부는 농업이 토착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데, 보호구역 상부의 많은 토지는 버려진 농지이기 때문이다.[69][71]
코아-오히아 숲에 서식하는 조류 종으로는 하와이 까마귀(''Corvus hawaiiensis''), 아케파(''Loxops coccineus''), 하와이 벌새(''Oreomystis mana''), 아키아폴라우(''Hemignathus munroi''), 그리고 하와이 매(''Buteo solitarius'')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멸종 위기, 위기 또는 위기 근접 종이다. 특히 하와이 까마귀는 야생 멸종되었지만, 하칼라우 보호구역에 이 종을 재도입하려는 계획이 있다.[71]
1,600~2,400m는 과거에는 코아-마마네 숲이었지만, 대부분이 목초지로 변해 있다. 이 지역은 하와이에 외래종인 골든롯지(ハリエニシダ)의 대량 번식으로 위협받고 있다. 멸종 위기에 처한 핀치와 비슷한 하와이꿀빨이류인 팔릴라(en:Palila)는 거의 마마네 열매만 먹는 새로, 서쪽 사면의 마마네-나이오 숲에 서식한다. 많은 야생 양이 고지대에 서식하며 토착 식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129]
풍상(동) 사면은 약 460~1,600m에서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다. 산 아래쪽은 광범위하게 농업 지역이며, 이전에는 광대한 사탕수수 밭 지역이었다. 1990년대에 발생한 설탕 산업의 붕괴와 함께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휴경지가 되었지만, 일부는 소 방목지, 소규모 농장 및 목재 펄프용 유칼립투스 농장이 되었다.
한때 북미 본토에서 들여온 선인장이 이상 번식했던 시대가 있었지만(미국 본토의 로데오 대회 우승 상품으로 들여왔다), 선인장을 먹는 나방에 의해 구제되어 현재는 거의 선인장을 볼 수 없다.
5. 인간 역사
5. 1. 고대 하와이
하와이섬의 초기 정착민들은 주로 해안가에 거주했지만, 12~13세기부터 내륙으로 정착지가 확장되었다.[45] 마우나케아 산은 사냥, 석재 채취, 영적인 이유, 그리고 천문학적 관측을 위해 이용되었다.[45] 숲은 식량과 원자재를 제공했고,[46] 날지 못하는 새들은 주요 식량원이었다.[46] 초기 정착은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많은 조류 종의 멸종을 초래했다.[47] 특히 폴리네시아 쥐의 유입은 숲 생태계 붕괴와 조류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48]하와이 원주민들은 마우나케아를 포함한 다섯 개의 화산을 신성시했으며, 그중 가장 높은 마우나케아 정상은 가장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다. 고위 족장인 알리이만이 정상을 방문할 수 있는 카푸라는 금기가 있었다.[46] 마우나케아는 신화 속에서 신들의 영역으로 여겨졌으며, 눈의 여신 폴리아후가 거주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46] "마우나케아"는 마우나 아 와케아[6]의 약자로 "흰 산"을 의미한다.[49]
1100년경, 원주민들은 마우나케아 빙하기 보호구역에 현무암 채석장을 설립하여 도구를 제작했다.[46] 채석장에서는 빙하 분출 과정에서 생긴 화산 유리와 반려암등이 채굴되었으며, 서기 1400년 이후 채석장 활동이 최고조에 달했다.[46] 와이아우 호수는 작업자들에게 식수를 제공했으며, 족장들은 신생아의 탯줄을 호수에 담그는 의식을 행했다.[46] 채석장과 관련된 유물들은 현재 마우나케아 빙하기 보호구역에 남아있다.[46]
12세기부터 18세기 후반까지 문화적 확장이 이어졌고, 토지는 아후푸아아라는 구역으로 나뉘었다.[46] 마우나케아 정상은 카오헤 아후푸아아에, 동쪽 사면 일부는 후무울라에 속했다. 원주민들은 상부 사면의 마마네-나이오 숲에서 식물과 새를 얻었고, 하부 코아-오히아 숲에서는 카누용 나무와 새 깃털을 얻었다.[46]
하와이어로 마우나(Mauna)는 "산"[112], 케아(Kea)는 "하얀"[113]이라는 뜻으로, "흰 산" 또는 "눈 덮인 산"[114]을 의미하며, 겨울이 되면 정상이 눈으로 덮이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115]. 하와이 원주민의 구전 전승에 따르면 마우나 아 와케아()의 발음이 일부 생략되어 마우나 케아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16]. 이 전승에서는 마우나 케아를 하와이 신화의 대지의 어머니 여신 파파하나우모쿠와 창조와 천공의 신 와케아의 첫째 아이로 여기며, 정상은 땅과 하늘이 만나는 곳으로 여긴다[116][117][118]。
5. 2. 현대
1778년 제임스 쿡이 도착하기 전, 외국인이 하와이를 방문했다는 기록이 세 건 존재한다.[50][51][52]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탐험가들에 의해 마우나케아를 포함한 섬에 대한 초기 서구 묘사가 이루어졌다. 유럽과 미국과의 접촉으로 원주민들은 유입된 질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히로, 케알라케쿠아, 카일루아 등 항구 도시는 무역과 함께 성장했다. 마우나케아의 석도 채석장은 금속 도구 도입 이후 버려졌다.[46]1793년 조지 밴쿠버는 카메하메하 1세에게 소를 선물했고, 19세기 초까지 소들은 섬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생태계에 큰 피해를 입혔다. 존 팔머 파커는 카메하메하 1세에 의해 소 관리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1845년 토지 증여를 통해 마우나케아 북쪽 사면에 파커 목장을 설립했다.[46] 섬 정착민들은 사탕수수 농장과 주택을 위해 하부 지역의 원시림을 불태우고 베어냈다.[58]

1943년 새들로드가 완공되어 마우나케아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75] 포하쿠롤라 훈련장은 1956년부터 미국 육군에 임대된 주정부 소유 토지에 위치한 하와이에서 가장 큰 군사 훈련장이다. 이 지역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75]
1980년대 이후 마우나케아에서 광범위한 고고학 연구가 진행되었다. 2009년까지 223개의 유적이 확인되었으며, 화산 상부 사면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75]
5. 3. 등반 역사
19세기 초, 마우나케아의 초기 등반 기록은 다음과 같다.- 1823년 8월 26일, 미국 선교사 조셉 F. 구드리치(Joseph F. Goodrich)가 최초로 등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그가 발견한 돌무더기는 그 이전에 누군가가 이미 정상에 올랐음을 시사한다.[46] 구드리치는 기저부에서 정상까지 이동하며 네 가지 생태계를 기록했고, 와이아우 호수를 방문했다.[53]
- 1825년 6월 17일, HMS 블론드 탐험대의 식물학자 제임스 맥레이(James Macrae)가 마우나케아 은검초(''Argyroxiphium sandwicense'')를 최초로 기록했다.[53]
- 1834년 1월, 데이비드 더글러스는 산에 올라 고도에 따른 식물 종의 분포를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7월에 카무엘라에서 힐로로 이동하던 중 사망했는데, 그 장소는 ''카 루아 카우카''로 그의 이름을 딴 더글러스 전나무가 있다.[54]
- 1881년, 엠마 여왕이 와이아우 호수를 방문했다.[46]
- 1889년 8월 6일, E.D. 볼드윈(E.D. Baldwin)은 힐로에서 출발해 소떼 길을 따라 정상에 도달했다.[53]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사냥감 무리가 이동하면서 형성된 길을 통해 말을 타고 산을 오르내릴 수 있게 되었다.[46] 1964년 도로 건설 전까지는 차량 접근이 어려웠으며, 현재도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56]
6. 천문대
마우나케아 정상은 천문 관측에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고의 천문 관측 장소 중 하나이다.[75][72][74] 건조한 기후는 서브밀리미터 및 적외선 천문학에 유리하며, 정상은 역전층 위에 있어 대기 오염이 적고 공기가 건조하다.[72] 또한 대기가 안정적이고 난류가 거의 없어 천문학적 시상이 뛰어나다.[72] 주변 지역의 광공해를 최소화하는 법률 덕분에 매우 어두운 하늘에서 희미한 천체 관측이 가능하다.[72]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마우나케아는 역사적으로 별을 관측하기에 훌륭한 장소였다.[56]
마우나케아 산 정상은 이러한 최적의 관측 조건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천체 관측에 적합한 장소 중 하나로 손꼽히며, 13기의 세계 최첨단 천문대가 설치되어 있다.[76][77] 정상은 지구 대류권의 약 40% 고도에 위치하여 대기 중 수증기량이 매우 낮아 선명한 밤하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역전층 위에 위치하여 맑은 날이 연간 300일에 달하며, 북위 20도에 위치하여 북반구와 남반구 하늘을 모두 관측할 수 있다. 완만한 경사 덕분에 자재 수송이 용이하고, 하와이 섬의 낮은 인구 밀도는 인공 광공해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130]
6. 1. 관측 조건
마우나케아 정상은 천문 관측에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세계 최고의 천문 관측 장소 중 하나이다.[75][72][74] 건조한 기후는 서브밀리미터 및 적외선 천문학에 유리하며, 정상은 역전층 위에 있어 대기 오염이 적고 공기가 건조하다.[72] 또한 대기가 안정적이고 난류가 거의 없어 천문학적 시상이 뛰어나다.[72] 주변 지역의 광공해를 최소화하는 법률 덕분에 매우 어두운 하늘에서 희미한 천체 관측이 가능하다.[72]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마우나케아는 역사적으로 별을 관측하기에 훌륭한 장소였다.[56]마우나케아 산 정상은 이러한 최적의 관측 조건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천체 관측에 적합한 장소 중 하나로 손꼽히며, 13기의 세계 최첨단 천문대가 설치되어 있다.[76][77] 정상은 지구 대류권의 약 40% 고도에 위치하여 대기 중 수증기량이 매우 낮아 선명한 밤하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역전층 위에 위치하여 맑은 날이 연간 300일에 달하며, 북위 20도에 위치하여 북반구와 남반구 하늘을 모두 관측할 수 있다. 완만한 경사 덕분에 자재 수송이 용이하고, 하와이 섬의 낮은 인구 밀도는 인공 광공해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130]
6. 2. 천문대 시설
마우나케아 정상은 관측 조건이 뛰어나 세계 최고의 천문 관측 장소 중 하나이다.[75][72][74] 건조한 기후는 서브밀리미터 및 적외선 천문학에 유리하며, 정상은 역전층 위에 있어 구름이 적고 대기가 안정적이다.[72] 또한, 도시 불빛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광공해가 적고, 이는 법률로 보호받고 있다.[72] 이러한 요인들 덕분에 마우나케아는 역사적으로 별을 관측하기에 훌륭한 장소였다.[56]1960년대 초, 하와이 섬 상공회의소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우나케아의 천문학적 개발을 장려했다. 애리조나 대학교의 천문학자 제라르드 쿠이퍼가 적외선 관측 장소를 찾던 시기와 맞물려, 1964년 쿠이퍼의 조수인 알리카 헤링의 조사 결과 정상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이후 NASA 자금을 두고 쿠이퍼, 하버드 대학교, 하와이 대학교(UH) 간의 경쟁이 있었으나, UH의 제안이 채택되었다.[73] 1968년 하와이 토지 및 천연자원부는 UH에 망원경에서 반경 4km 이내의 토지에 대해 65년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75][72] 1970년 완공된 UH 88인치(2.2m) 망원경은 당시 세계에서 7번째로 큰 광학/적외선 망원경이었다.[73]
1970년까지 미 공군과 로웰 천문대가 24인치(0.6m) 망원경 두 대를 건설했고, 1973년 캐나다와 프랑스는 3.6m CFHT 건설에 합의했다.[73] 1982년, UH 이사회는 현장에 과학 시설의 지속적인 개발을 지원하는 계획을 승인했다.[75]
현재 마우나케아 과학 보호구역에는 11개국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13개의 관측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77] 가시광선 및 적외선 망원경 9기, 서브밀리미터 망원경 3기, 라디오 망원경 1기가 있으며, 거울이나 접시의 크기는 0.9m에서 25m에 이른다.[78]
마우나케아 산 정상은 세계에서 가장 천체 관측에 적합한 장소 중 하나로, 13기의 세계 최첨단 천문대가 설치되어 있다. 정상은 지구의 대류권의 약 40% 위치에 있으며, 대기 중 수증기량도 낮아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선명한 야간 하늘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정상은 역전층 위에 위치하며, 맑은 날은 연간 300일에 달한다. 그리고 북위 20도라는 저위도에 위치하여 북천과 남천 양쪽의 많은 영역을 관측할 수 있다. 경사가 완만한 순상화산이기 때문에 정상으로의 자재 수송도 비교적 간편하다. 하와이 섬의 낮은 인구 밀도는 인공 광공해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망원경 건설은 법적,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지 원주민과 환경 운동 단체는 망원경 건설이 환경 피해를 야기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땅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 신화에 따르면 마우나케아 정상은 눈의 여신 폴리아후와 여러 신들이 사는 곳이며, 기도, 매장, 아이의 정화, 전통적인 천체 관측에 중요한 장소이다. 또한, 정상 지역은 고유종 곤충인 웨키우 버그(''Nysius wekiuicola'')의 서식지이며, 개발에 따른 영향이 논의되고 있다.[130] 1995년 이전에는 수은 유출과 폐수 투기가 기존 망원경에서 발생하기도 했다.[131]
6. 3. 논쟁
마우나케아 산 정상은 관측 조건이 뛰어나 세계 최고의 천문 관측 장소 중 하나이다.[75][72][74] 건조한 기후, 안정적인 대기, 낮은 광공해 등은 희미한 천체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72]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마우나케아는 역사적으로 별을 관측하기에 훌륭한 장소였다.[56]
1960년대 하와이 섬 상공회의소의 경제 활성화 노력과 맞물려 애리조나 대학교의 천문학자 제라르드 쿠이퍼가 적외선 관측 장소를 찾으면서 마우나케아 개발이 시작되었다.[73] 1968년 하와이 토지 및 천연자원부는 하와이 대학교(UH)에 망원경에서 반경 4km 이내의 모든 토지에 대해 65년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75][72] 1970년 완공된 UH 88인치 망원경은 당시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큰 광학/적외선 망원경이었다.[73]
그러나 지역 단체들은 천문대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 시작했다.[73] "마우나케아 구하기" 운동은 산의 개발을 신성 모독이라고 비판하며,[79] 문화 유산과 환경에 관심 있는 하와이 원주민 비영리 단체들도 문화적, 종교적 이유로 개발에 반대한다.[80]
삼십미터 망원경(TMT) 건설은 격렬한 시위를 불러일으켰다.[82][83] 2014년 10월 망원경 기공식은 시위대에 의해 중단되었고,[85] 2015년에는 시위대가 정상으로 가는 길을 막으면서 여러 명이 체포되었다.[86][87][88] 시위는 주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건설은 일시 중단되었다.[89] 2018년 10월 31일 하와이 대법원은 건설 재개를 승인했지만,[91] TMT 건설에 반대하는 온라인 청원은 수십만 명의 서명을 받았다.[92]
2022년 7월, 주 법률에 따라 마우나케아 관리 및 감독 기관(MKSOA)이 설립되어 2028년부터 마우나케아 토지 관리의 주요 기관이 된다.[97][99] MKSOA는 천문학자와 하와이 원주민 대표 등으로 구성되며,[98] 2033년 만료되는 현재 마스터 임대차 계약 이후 새로운 토지 이용 허가 발급을 담당한다.[100]
현지 원주민과 환경 운동 단체는 망원경 건설이 환경 피해를 야기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땅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130] 신화에 따르면 마우나케아 정상은 여러 신들이 사는 곳이며, 기도, 매장 등 전통적인 활동에 중요한 장소이다.[130] 또한 정상 지역은 고유종 곤충인 웨키우 버그의 서식지이며, 수은 유출 및 폐수 투기 문제도 발생했다.[130][131]
7. 레크리에이션
마우나케아 해안선은 하마쿠아 해안이 지배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화산 사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붕괴와 산사태로 인해 험준한 지형이 만들어졌다.[103] 이 지역에는 칼로파 주립 휴양지, 와일루쿠 강 주립 공원, 아카카 폭포 주립 공원을 포함한 여러 휴양 공원이 있다.[104]
'''사냥 및 조류 관찰'''
하와이 섬에는 3,000명 이상의 등록된 사냥꾼이 있으며, 이들은 레크리에이션과 생계 유지를 위해 마우나케아에서 사냥을 한다.[75][58] 돼지, 양, 염소, 칠면조, 꿩, 메추라기 등 도입된 동물의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 공공 사냥 프로그램이 사용된다.[75][58] 마우나케아 주립 휴양지는 사냥 활동의 베이스캠프 역할을 한다.[56] 산 아랫부분에서는 조류 관찰도 이루어지는데, 인기 있는 장소는 용암류가 언덕의 숲을 고립시켰을 때 형성된 키푸카 푸오훌루훌루이다.[105]
'''등산'''
마우나케아는 높고 가파른 경사면 때문에 인접한 마우나로아보다 등산 코스가 짧고 전망이 좋다.[56] 그러나 고산병, 기상 문제, 가파른 도로 경사 등으로 인해 정상까지의 여행은 어려울 수 있다.[56] 20세기 중반 도로 건설 이전에는 강인한 사람들만이 마우나케아 상부 경사면을 방문했으며, 1930년대 시민보존단이 건설한 돌 오두막을 베이스캠프로 사용했다.[56] 최초의 마우나케아 정상 도로는 1964년에 건설되었다.[56]
오늘날 마우나케아 트레일을 포함한 여러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다.[75] 2007년까지 매년 10만 명이 넘는 관광객과 3만 2천 대의 차량이 오니즈카 국제 천문학 센터 방문자 정보 센터(VIS)를 방문했다.[75] 마우나케아 접근 도로는 센터까지 2804m까지 포장되어 있다.[75] 한 연구에 따르면 방문객의 약 3분의 1과 산에서 일하는 전문 천문학자의 3분의 2가 급성 고산병 증상을 경험했다고 보고되었다.[106] 따라서 산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낮은 고도에서 적응하거나 처방약을 사용하는 등 미리 준비해야 하며,[107] 정상까지 운전하려면 사륜구동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108] 내리막길에서는 브레이크가 과열되는 경우가 많으며 마우나케아에는 연료가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08]
'''스키'''
겨울철에는 마우나케아에서 스키를 즐길 수 있다.[75] 그러나 시설이 없고,[75] 바람이 시속 80~110km에 달할 수 있어[56] 스키는 일부 섬 주민들에게 제한적인 오락거리로 남아있다. 가장 인기 있는 스키 장소는 캘텍 서브밀리미터 천문대 바로 동쪽에 있는 '포이 볼'이다.[75]
7. 1. 사냥 및 조류 관찰
하와이 섬에는 3,000명 이상의 등록된 사냥꾼이 있으며, 이들은 레크리에이션과 생계 유지를 위해 마우나케아에서 사냥을 한다.[75][58] 돼지, 양, 염소, 칠면조, 꿩, 메추라기 등 도입된 동물의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 공공 사냥 프로그램이 사용된다.[75][58] 마우나케아 주립 휴양지는 사냥 활동의 베이스캠프 역할을 한다.[56] 산 아랫부분에서는 조류 관찰도 이루어지는데, 인기 있는 장소는 용암류가 언덕의 숲을 고립시켰을 때 형성된 키푸카 푸오훌루훌루이다.[105]7. 2. 등산
마우나케아는 높고 가파른 경사면 때문에 인접한 마우나로아보다 등산 코스가 짧고 전망이 좋다.[56] 그러나 고산병, 기상 문제, 가파른 도로 경사 등으로 인해 정상까지의 여행은 어려울 수 있다.[56] 20세기 중반 도로 건설 이전에는 강인한 사람들만이 마우나케아 상부 경사면을 방문했으며, 1930년대 시민보존단이 건설한 돌 오두막을 베이스캠프로 사용했다.[56] 최초의 마우나케아 정상 도로는 1964년에 건설되었다.[56]오늘날 마우나케아 트레일을 포함한 여러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다.[75] 2007년까지 매년 10만 명이 넘는 관광객과 3만 2천 대의 차량이 오니즈카 국제 천문학 센터 방문자 정보 센터(VIS)를 방문했다.[75] 마우나케아 접근 도로는 센터까지 2804m까지 포장되어 있다.[75] 한 연구에 따르면 방문객의 약 3분의 1과 산에서 일하는 전문 천문학자의 3분의 2가 급성 고산병 증상을 경험했다고 보고되었다.[106] 따라서 산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낮은 고도에서 적응하거나 처방약을 사용하는 등 미리 준비해야 하며,[107] 정상까지 운전하려면 사륜구동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108] 내리막길에서는 브레이크가 과열되는 경우가 많으며 마우나케아에는 연료가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08]
7. 3. 스키
겨울철에는 마우나케아에서 스키를 즐길 수 있다.[75] 그러나 시설이 없고,[75] 바람이 시속 80~110km에 달할 수 있어[56] 스키는 일부 섬 주민들에게 제한적인 오락거리로 남아있다. 가장 인기 있는 스키 장소는 캘텍 서브밀리미터 천문대 바로 동쪽에 있는 '포이 볼'이다.[75]참조
[1]
웹사이트
Mauna Kea
http://www.ngs.noaa.[...]
United States National Geodetic Survey
2015-10-27
[2]
웹사이트
Mauna Kea Hawai'i's Tallest Volcano
https://web.archive.[...]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2-05-22
[3]
웹사이트
Why does OMKM spell "Maunakea" as one word?
http://www.malamamau[...]
Office of Maunakea Management
2019-02-26
[4]
웹사이트
Mauna Kea
http://www.peakbagge[...]
peakbagger.com
2015-10-27
[5]
LPD
[6]
잡지
Mapping Abundance on Mauna a Wākea as a Practice of Ea
https://www.research[...]
2019-09-01
[7]
웹사이트
Active Volcanoes of Hawaii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2023-05-01
[8]
서적
The Finest Peaks - Prominence and Other Mountain Measures
Trafford Publishing
2005
[9]
웹사이트
Mauna Kea
https://media.nation[...]
2021-10-10
[10]
웹사이트
Tallest Mountain
http://www.guinnessw[...]
2015-01-21
[11]
서적
Volcanism
Springer
[12]
웹사이트
How High is Mauna Loa?
https://www.usgs.gov[...]
2021-10-10
[13]
웹사이트
How Big Are Hawaiian Volcanoes?
https://www.usgs.gov[...]
U.S. Geological Survey
[14]
웹사이트
How Do Scientists Determine the World's Tallest Mountain?
http://www.wisegeek.[...]
2023-08-09
[15]
웹사이트
Geography of Guam
https://web.archive.[...]
2021-10-10
[16]
웹사이트
Beneath the mountains
https://web.archive.[...]
2015-01-21
[17]
웹사이트
Peru-Chile Trench trench, Pacific Ocean
https://www.britanni[...]
2021-10-11
[18]
웹사이트
Llullaillaco
https://volcano.si.e[...]
Smithsonian Institution
2021-11-22
[19]
서적
The Southern Central Andes: Contributions to Structure and Evolution of an Active Continental Margin
https://link.springe[...]
Springer
1988
[20]
웹사이트
The long trail of the Hawaiian hotspot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99-05-05
[21]
논문
Hawaiian hotspot dynamics as inferred from Hf and Pb isotope evolution of Mauna Kea volcano
http://perso.ens-lyo[...]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3-02-19
[22]
서적
The geology and petrology of Mauna Kea volcano, Hawaii : a study of postshield volcanism
https://pubs.er.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3]
웹사이트
Mauna Kea: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https://web.archive.[...]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8-01-02
[24]
웹사이트
Mauna Loa,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Summary
https://volcanoes.u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7-11-02
[25]
웹사이트
Science In Your Backyard: Hawaii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9-10-02
[26]
웹사이트
The Emperor and Hawaiian Volcanic Chains: How well do they fit the plume hypothesis?
http://www.mantleplu[...]
MantlePlumes.org
2006-03-11
[27]
서적
Volcanism in Hawaii: paper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Hawaii Volcano Observatory
Volcano Hazards Tea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8]
웹사이트
Complete Report for Mauna Kea Volcano (Class B) No. 2601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9-10-26
[29]
웹사이트
What in the world is the Hilo Ridge?
http://hvo.wr.usgs.g[...]
Hawaii Volcano Observatory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98-01-08
[30]
논문
Petrology and thermal structure of the Hawaiian plume from Mauna Kea volcano
Nature Publishing Group
2006-11-30
[31]
웹사이트
Geological Map of the State of Hawaii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32]
논문
The Evolution of Mauna Kea Volcano, Hawaii: Petrogenesis of Tholeiitic and Alkalic Basalts
[33]
웹사이트
GEOL205 – Fire and Ice – Mauna Kea: Lecture Notes
http://www.uhh.hawai[...]
University of Hawaii at Hilo
[34]
웹사이트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Photo Information
http://hvo.wr.usgs.g[...]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98-03-13
[35]
논문
Holocene Eruptions of Mauna Kea Volcano, Hawaii
1971-04-23
[36]
논문
Stratigraphy and Chronology of Late Quaternary Tephra along the South Rift Zone of Mauna Kea Volcano, Hawaii
1973-06-01
[37]
논문
General features and glacial geology of Mauna Kea, Hawaii
https://www.jstage.j[...]
2022-02-27
[38]
웹사이트
Hawaiʻi: Hawaii's Comprehensive Wildlife Conservation Strategy
http://www.state.hi.[...]
Hawaii Department of Land and Natural Resources
2005-10-01
[39]
서적
Geology and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island of Hawai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0]
웹사이트
Impermeable beds trap rain and snow at Mauna Kea's Lake Waiau
http://hvo.wr.usgs.g[...]
Hawaii Volcano Observatory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3-06-19
[41]
뉴스
University plans to drill for water beneath Mauna Kea
http://www.bigisland[...]
Big Island Video News
2012-07-26
[42]
뉴스
Mauna Kea aquifers shallower than expected
http://westhawaiitod[...]
Oahu Publications, Inc.
2014-02-18
[43]
웹사이트
Lava Flow Hazard Maps: Kohala and Mauna Kea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97-07-18
[44]
웹사이트
The next eruption of Mauna Kea
http://hvo.wr.usgs.g[...]
Hawaii Volcano Observatory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0-06-05
[45]
웹사이트
Final Environmental Statement for the Outrigger Telescopes Project: Volume II
http://planetquest.j[...]
NASA
2005-02-01
[46]
웹사이트
Culture: The First Arrivals: Native Hawaiian Uses
http://www.hawaii.ed[...]
University of Hawaii
2010-08-17
[47]
논문
The Impact of the Prehistoric Polynesians on the Hawaiian Ecosystem
http://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0-10-24
[48]
논문
Avifaunal Extinctions, Vegetation Change and Polynesian Impacts in Prehistoric Hawai'i
http://www2.hawaii.e[...]
2015-04-05
[49]
서적
Hawaiian dictiona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50]
서적
Narrative of a Tour Through Hawaii, Or, Owhyhee, with Observations on the Natural History of the Sandwich Islands
https://books.google[...]
H. Fisher, son, and P. Jackson
2015-11-22
[51]
서적
Little Known Tales in Hawaii History
https://books.google[...]
Stagecoach Pub.
2015-11-22
[52]
서적
Examining Social Theory: Crossing Borders/reflecting Back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5-11-22
[53]
논문
The Plant Ecology of Mauna Kea, Hawaii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40-04-01
[54]
논문
Kaluakauka Revisited: the Death of David Douglas in Hawaii
Hawaiian Historical Society, Honolulu
[55]
뉴스
Earth's tallest mountain is in Hawaii. Here's what it took to ascend it.
https://www.sfgate.c[...]
2022-01-11
[56]
웹사이트
Recreation: Enjoying Mauna Kea's Unique Natural Resources
http://www.hawaii.ed[...]
Institute for Astronomy – University of Hawaii
2010-08-17
[57]
논문
Patterns of Endangerment in the Hawaiian Flora
http://si-pddr.si.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0-14
[58]
논문
Mauna Kea and the Myth of Multiple Use: Endangered Species and Mountain Management in Hawaii
International Mountain Society
1984-08-01
[59]
서적
Alteration of native Hawaiian vegetation-Effects of humans, their activities and introduc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5-11-22
[60]
논문
Regeneration of the Mauna Kea silversword Argyroxiphium sandwicense (Asteraceae) in Hawaii
https://www.research[...]
2017-09-04
[61]
웹사이트
Mauna Kea Ice Age
http://dlnr.hawaii.g[...]
Hawaii Department of Land and Natural Resources
2010-08-13
[62]
논문
A Remarkable New Micropterous Nysius Species from the Aelion Zone of Mauna Kea, Hawaii island
http://hbs.bishopmus[...]
2010-08-14
[63]
웹사이트
Wekiu bugs-life on top of a volcano
http://hvo.wr.usgs.g[...]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08-14
[64]
논문
Tree Cover Changes in Mamane (Sophora chrysophylla) Forests Grazed by Sheep and Cattle
http://scholarspace.[...]
2010-08-11
[65]
웹사이트
A Preliminary Assessment of Mouflon Abundance at the Kahuku Unit of Hawaii Volcanoes National Park
https://pubs.usgs.go[...]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8-02-23
[66]
판례
https://scholar.goog[...]
2010-08-29
[67]
간행물
Surveys reveal decline of the palila
2008-09-01
[68]
웹사이트
Mauna Kea State Recreation Area
http://www.hawaiista[...]
Hawaii Department of Land and Natural Resources
2010-08-15
[69]
서적
Alteration of native Hawaiian vegetation-Effects of humans, their activities and introduc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5-11-22
[70]
웹사이트
Economic Impact of Shutting Down Hawaii's Sugar Industry
http://www.ctahr.haw[...]
College of Tropical Agriculture and Human Resources
2004-04-01
[71]
웹사이트
Welcome to Hakalau Forest National Wildlife Refuge
http://www.fws.gov/h[...]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0-08-16
[72]
웹사이트
About Mauna Kea Observatories
http://www.ifa.hawai[...]
Institute for Astronomy – University of Hawaii
2010-08-19
[73]
웹사이트
Timeline of Astronomy in Hawai'i
http://mkooc.org/css[...]
Mauna Kea Observatories Outreach Committee
2010-10-02
[74]
웹사이트
Mauna Kea Science Reserve Astronomy Development Plan 2000–2020 – Summary
http://www.hawaii.ed[...]
Institute for Astronomy – University of Hawaii
2010-08-19
[75]
웹사이트
Mauna Kea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UH Management Areas
http://archive.jan20[...]
Hawai'i State Department of Land and Natural Resources
2010-08-19
[76]
웹사이트
Mauna Kea Observatories
http://www.ifa.hawai[...]
University of Hawaii Institute for Astronomy
2012-01-18
[77]
웹사이트
Mauna Kea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http://archive.jan20[...]
Hawai'i State Department of Land and Natural Resources
2009-01
[78]
웹사이트
Mauna Kea Telescopes
http://www.ifa.hawai[...]
Institute for Astronomy – University of Hawaii
2010-08-29
[79]
서적
Hawaii:: A History of the Big Island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03-11-01
[80]
서적
Place, Race, and Story: Essays on the Past and Future of Historic Preserv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9-11
[81]
뉴스
Ruling could block Mauna Kea projects
http://www.bizjourna[...]
2010-11-04
[82]
웹사이트
Thirty Meter Telescope Selects Mauna Kea
http://www.tmt.org/n[...]
Caltech, University of California, and the Association of Canadian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
2010-08-29
[83]
웹사이트
University of Hawaii Develop New Telescope for "Killer" Asteroid Search
http://www.ifa.hawai[...]
Institute for Astronomy – University of Hawaii
2010-08-29
[84]
뉴스
Massive telescope to be built in Hawaii
http://www.3news.co.[...]
2013-04-15
[85]
뉴스
Protesters halt Mauna Kea telescope groundbreaking
http://www.staradver[...]
2015-04-04
[86]
뉴스
Thirty Meter Telescope protesters continue to block construction on Mauna Kea
http://www.hawaiinew[...]
WorldNow and KHNL
2015-04-04
[87]
뉴스
Clash in Hawaii Between Science and Sacred Land
https://www.usnews.c[...]
2015-04-04
[88]
뉴스
Police, TMT Issue Statements on Mass Arrests on Mauna Kea
http://www.bigisland[...]
Big Island Video News
2015-04-04
[89]
웹사이트
Amid controversy, construction of telescope in Hawaii halted - US News
https://www.usnews.c[...]
2015-04-07
[90]
뉴스
Gov: Hawaii has 'failed' Mauna Kea; telescope can continue
http://www.kitv.com/[...]
Hearst Stations Inc. on behalf of KITV-TV
2015-07-24
[91]
뉴스
Hawaii top court approves controversial Thirty Meter Telescope
https://www.bbc.com/[...]
BBC News
2018-10-31
[92]
뉴스
Online petition demanding halt to Thirty Meter Telescope project collects 100K signatures
https://www.staradve[...]
2019-07-18
[93]
뉴스
Petition on change.org calls for impeachment of Governor David Ige
https://www.kitv.com[...]
2019-07-19
[94]
뉴스
National Panel Recommends Federal Funding For The Thirty Meter Telescope
https://www.civilbea[...]
2021-11-04
[95]
뉴스
Strong Support for TMT
https://www.civilbea[...]
2019-08-07
[96]
뉴스
Poll shows majority support for TMT
https://www.westhawa[...]
2020-05-28
[97]
웹사이트
HB2024 HD1 SD2 CD1
https://www.capitol.[...]
[98]
웹사이트
On a stunning Hawaiian mountain, the fight over telescopes is nearing a peaceful end
https://www.npr.org/[...]
[99]
웹사이트
Hawaii Revised Statutes {{!}} Chapter 195H - MAUNA KEA STEWARDSHIP AND OVERSIGHT AUTHORITY {{!}} Casetext
https://casetext.com[...]
2023-02-23
[100]
웹사이트
A New Stewardship Paradigm for Maunakea
https://aas.org/post[...]
2023-03-01
[10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weather.[...]
2020-09-15
[102]
웹사이트
Western U.S. Climate Historical Summaries Weather
http://www.wrcc.dri.[...]
Western Regional Climate Center
2020-09-15
[103]
서적
Atlas of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104]
웹사이트
Hawaii Island
http://dlnr.hawaii.g[...]
Hawaii Department of Land and Natural Resources
2017-07-27
[105]
서적
Hawai'i: The big island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05-08-01
[106]
논문
Survey of acute mountain sickness on Mauna Kea
[107]
웹사이트
Hike Mauna Kea: The Expert Guide to Hiking Hawaii’s Highest Point
https://www.backpack[...]
2023-10-26
[108]
웹사이트
Mauna Kea Hazards: Please Read Before Travelling Above Hale Pohaku
http://irtfweb.ifa.h[...]
Institute for Astronomy – University of Hawaii
2010-08-28
[109]
웹사이트
Star Gazing Program
http://www.ifa.hawai[...]
Mauna Kea Support Services
2014-09-18
[110]
웹사이트
Maunakea Visitor Information Station
http://www.ifa.hawai[...]
Mauna Kea Support Services
2020-06-11
[111]
웹사이트
マウナ・ケア山(まうなけあさ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1-09
[112]
웹사이트
Nā Puke Wehewehe ʻŌlelo Hawaiʻi - mauna
https://wehewehe.org[...]
2022-01-15
[113]
웹사이트
Nā Puke Wehewehe ʻŌlelo Hawaiʻi - kea
http://www.wehewehe.[...]
2022-01-15
[114]
웹사이트
Nā Puke Wehewehe ʻŌlelo Hawaiʻi - Mauna Kea
http://www.wehewehe.[...]
2022-01-15
[115]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4-08
[116]
논문
Mapping Abundance on Mauna a Wākea as a Practice of Ea
https://www.research[...]
2019-09-01
[117]
논문
Ka Moolelo Hawaii Kahiko
1906-02-10
[118]
서적
Hawaiian Mytholog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9]
웹사이트
SUMMIT USGS 1977 TU2314
http://www.ngs.noaa.[...]
U.S. National Geodetic Survey
2009-01-07
[120]
웹사이트
Mauna Kea
http://www.volcano.s[...]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9-01-07
[121]
웹사이트
Mauna Kea Hawai`i's Tallest Volcano
http://hvo.wr.usgs.g[...]
U.S. Geological Survey
2009-01-07
[122]
웹사이트
Which Mountain is the Tallest?
http://www.sciencera[...]
2009-01-07
[123]
웹사이트
Highest Mountain in the World
http://geology.com/r[...]
Geology.com
2009-01-07
[124]
뉴스
Kiss that Hawaiian timeshare goodbye - Islands will sink in 80 million years
http://www.sfgate.co[...]
2009-01-07
[125]
웹사이트
Mauna Kea
http://www.soest.haw[...]
University of Hawaii
2009-01-07
[126]
서적
Volcanoes in the Sea: The Geology of Hawa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27]
웹사이트
These Mauna Kea ‘snowmen’ work in blizzards and whiteouts to clear a path to the summit
https://www.hawaiine[...]
2022-01-15
[128]
웹사이트
Hawaiian silversword alliance, UH Botany
http://www.botany.ha[...]
2022-01-16
[129]
웹사이트
Arizona Biologists Help Restore Mauna Kea Silversword, One Of Hawaii's Most Critically Endangered Plants
https://www.scienced[...]
2022-01-16
[130]
뉴스
Tiny bug may affect astronomy plans
http://the.honolulua[...]
2009-01-07
[131]
웹사이트
Mauna Kea
http://www.kahea.org[...]
KAHEA The Hawaiian-Environmental Alliance
2009-01-07
[132]
웹인용
Western U.S. Climate Historical Summaries Weather
http://www.wrcc.dri.[...]
Western Regional Climate Center
202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