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차부자리 이오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차부자리 이오타(Iota Aurigae)는 마차부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전통적인 이름인 Al Kab는 '마차부의 발목'을 뜻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어로는 五車一이라고 불린다. 마차부자리 이오타는 밝은 거성으로, K3 II 항성 분류에 속하며 4,160 켈빈의 유효 온도를 가진다. 또한 약한 X선 방사체이며, 변광성일 가능성도 있다. 2007년에는 궤도 공명으로 마차부자리 이오타 주변을 공전하는 두 개의 갈색 왜성 후보가 감지되었으나,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행성계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아르크투루스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며 태양계에 접근하고,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K형 밝은 거성 - 알파드
알파드는 바다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외로운 자'라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거성이자 바륨이 과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며, 동아시아 별자리, 브라질 국기, 토요타 미니밴 이름 등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K형 밝은 거성 - 다비흐
다비흐는 '살육자'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한 염소자리 베타별로, 기에디라고도 불리며 최소 5개 이상의 별로 이루어진 복잡한 항성계이자 다비흐 메이저, 다비흐 마이너로 나뉘고 동양에서는 소 별자리에 해당한다. - 마차부자리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마차부자리 - 카펠라
카펠라는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여섯 번째로 밝은 황백색 별로, 여러 문화권에서 염소와 관련된 신화에 등장하며 복잡한 항성계를 이루는 천문학자들의 관측 대상이다.
마차부자리 이오타 | |
---|---|
명칭 | |
이름 | 마차부자리 이오타 |
로마자 이름 | Iota Autigae |
발음 | IPAc-en|'|h|æ|s|@|l|ei |
관측 정보 | |
적경 (J2000.0) | RA|04|56|59.62109 |
적위 (J2000.0) | DEC|+33|09|57.9585 |
겉보기 등급 | 2.69 |
별자리 | 마차부자리 |
특징 | |
분광형 | K3 II |
B-V 색 지수 | +1.53 |
U-B 색 지수 | +1.78 |
변광성 여부 | 의심됨 |
위치천문학 | |
시선 속도 | +17.78 |
고유 운동 (적경) | +6.79 |
고유 운동 (적위) | −14.88 |
시차 | 6.61±0.38 |
절대 등급 | −3.20 |
상세 정보 | |
질량 | 7.1 ± 0.7 |
반지름 | 127 |
광도 | 4,581 |
표면 온도 | 4,160 |
표면 중력 | 1.74 |
철 함량비 | –0.11 |
자전 속도 | 8 |
나이 | 39.8 ± 4.9 |
식별 부호 | |
기타 명칭 | Hassaleh, Kabdhilinan, ι Aur, 3 Aurigae, BD+32°855, FK5 181, GC 6029, HD 31398, HIP 23015, HR 1577, SAO 57522 |
데이터베이스 | |
SIMBAD | iot+Aur |
거리 | 490 광년 (ly) |
2. 명명법
마차부자리 이오타(''Iota Aurigae'')는 이 항성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마차부자리 이오타까지의 거리에 있는 성간 먼지로 인한 소광 때문에 연주 시차 측정값이 약 0.6 정도 감소했다. 이 항성은 항성분류상 K3II형의 밝은 거성으로, 항성진화 단계를 거친 별이다. 1943년 이후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외부 대기의 유효온도는 약 4,160,000이며, 이 온도로 인해 마차부자리 이오타는 밤하늘에서 전형적인 K형 항성의 오렌지색 빛을 띤다. 약한 X선 방출원으로도 관측된다.
전통적인 이름으로는 알캅(''Al Kab'') 또는 카브딜리난(''Kabdhilinan'', كعب ذي العنان|카브 딜리난ara)[2][3]이 있다. 이 이름은 '마차부의 발목'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 이름은 1391년 제프리 초서가 만든 아스트롤라베에 처음 기록되었다.[4]
1951년 안토닌 베차바쉬의 지도책에는 하사레(''Hassaleh'')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 이름의 정확한 유래나 의미, 특정 언어와의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국제천문연맹(IAU)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이 별의 공식 명칭으로 하사레를 승인하였다.[5][6]
중국어권에서는 오거일(五車一)이라고 부른다.
3. 속성
3. 1. 물리적 특성
마차부자리 이오타까지의 거리에 있는 성간 먼지로 인한 소광 때문에 연주 시차 측정값이 약 0.6 정도 감소했다. 이 항성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항성분류상 K3II로 분류되었다. 광도 등급 'II'는 이 별이 밝은 거성으로, 항성진화 단계를 거친 별임을 나타낸다. 1943년 이후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항성 바깥 대기의 유효온도는 4,160,000으로, 태양의 유효 온도보다 약간 낮다. 이 온도로 인해 마차부자리 이오타는 밤하늘에서 전형적인 K형 항성의 오렌지색 빛을 띤다.
이 별은 약 1.8 × 1027 erg/s의 광도를 가진 약한 엑스선 방출원으로 관측된다. 이 X선은 온도가 약 이상인 항성의 항성대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차부자리 이오타가 변광성이라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변광성일 가능성이 있는 후보 중 하나로 여겨진다.
3. 2. 변광성 여부
이 항성은 변광성인 것이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변광성으로 의심되거나 추측되는 후보 중 하나이다.
3. 3. 미확인 동반성
2007년 6월 25일부터 29일까지 그리스 산토리니에서 열린 'Extreme Solar Systems' 회의에서 리퍼트(Reffert) 연구진은 마차부자리 이오타 주변에서 2개의 동반성 후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후보들은 서로 2:1의 궤도 공명 관계를 가지며, 마차부자리 이오타 주위를 약 2년에서 4년의 공전 주기로 돌고 있는 갈색 왜성으로 추정된다. 아직 이 동반성 후보들의 최소 질량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들의 존재가 최종적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다. 또한, 허커(Hekker) 연구진은 767일과 1586일 주기의 시선 속도 변화를 관측했다고 보고하여, 동반성 존재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더했다.
참조
[1]
문서
ʿAbd al-Raḥmān ibn ʿUmar al-Ṣūfī
[2]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https://www.almaany.[...]
[3]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https://www.almaany.[...]
[4]
문서
ʿAbd al-Raḥmān ibn ʿUmar al-Ṣūfī
[5]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https://www.almaany.[...]
[6]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Arabic word كعب to English
https://www.alma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