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속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선 속도는 관측 대상과 관측자를 잇는 시선 방향으로의 속도 성분이다. 천문학에서는 도플러 분광법을 통해 시선 속도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별의 궤도 운동, 외계 행성의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한다. 시선 속도 측정 자료는 지구의 운동, 은하 중심 주위의 운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제거하는 자료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치천문학 - 극운동
극운동은 지구 자전축의 불규칙한 운동으로 챈들러 요동, 연주기 진동, 불규칙적 표류로 구성되며 지구 핵-맨틀 운동, 해수면 재분포, 지각균형 재조정 등으로 발생하고 우주측지학 방법으로 관측되며 IERS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 위치천문학 - 천체역학
천체역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케플러 운동 법칙, 섭동 이론, 다체 문제 등을 포함하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해석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우주 탐사 및 행성 형성 연구에 기여한다. - 측정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측정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시선속도 | |
---|---|
개요 | |
정의 | 어떤 기준점에서 관찰자를 기준으로 천체가 얼마나 빠르게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지를 나타내는 속도의 한 요소이다. |
다른 이름 | 시선 속도 (視線速度), 방사 속도 |
측정 | |
측정 방법 |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분광학적 방법 |
측정 단위 | km/s (킬로미터 매 초) |
응용 | |
응용 분야 | 외계 행성 탐색 쌍성 연구 은하 역학 연구 우주론 연구 |
특징 | |
중요 특징 | 관측자의 시선 방향으로의 속도 성분만을 측정한다. |
참고 사항 | 천체의 실제 공간 속도와는 다르다.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고유 운동 접선 속도 공간 속도 |
2. 정의
'''시선 속도'''는 관측 대상과 관측자를 잇는 시선 방향으로의 속도 성분이다.[1]
2. 1. 수학적 표현
관찰자에 대한 목표물의 순간적인 상대 위치를 미분 가능한 벡터 로 정의하면, 관찰자에 대한 목표물의 순간적인 상대 속도는 다음과 같다.:
위치 벡터 의 크기는 내적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거리 변화율은 크기(노름)의 시간 미분으로 표현된다.
:
위 식들을 결합하면,
:
연쇄 법칙에 의해 우변의 미분을 평가하면,
:
:
이를 정리하면,
:
상호성[1]에 의해, 이다. 단위 벡터 상대 위치 벡터 (또는 LOS 방향)을 정의하면, 거리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현된다.
:
즉, 상대 속도 벡터를 LOS 방향으로 투영한 것이다.
또한 속도 방향 를 정의하고, 상대 속도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내적은 각각 평행 및 반평행 벡터의 경우 +1 또는 -1이다.
관찰자와 목표가 일치하는 경우, 즉 인 경우 특이점이 존재하며, 이 경우 거리 변화율은 정의되지 않는다.
3. 천문학에서의 응용
천문학에서 시선 속도는 주로 도플러 분광법을 통해 측정된다. 이렇게 측정된 시선 속도는 '중심 시선 속도 측정' 또는 분광 시선 속도라고 불린다.[2] 그러나 빛이 천문 객체로부터 관측자에게 도달하기 위해 이동하는 엄청난 거리 때문에 발생하는 상대론적 및 우주론적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 측정값을 기하학적 시선 속도로 정확하게 변환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가정이 필요하다.[3]
3. 1. 분광 시선 속도
도플러 분광법을 이용해 시선 속도를 1차 근사치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중심 시선 속도 측정' 또는 분광 시선 속도라고 부른다.[2] 그러나 상대론적 및 우주론적 효과 때문에, 이 측정값을 기하학적 시선 속도로 정확하게 변환하려면 추가적인 가정이 필요하다.[3]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천체의 빛은 도플러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천체가 멀어지면 빛의 주파수가 감소하는 적색편이가 나타나고, 가까워지면 주파수가 증가하는 청색편이가 나타난다.
별과 같이 멀리 떨어진 천체의 시선 속도는 고해상도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알려진 스펙트럼 선의 파장을 실험실 측정값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양의 시선 속도는 거리가 증가하고 있음을, 음의 시선 속도는 거리가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윌리엄 허긴스는 1868년에 별빛의 적색편이를 관찰하여 태양에 대한 시리우스의 시선 속도를 추정하였다.[6]

쌍성의 궤도 운동은 초당 수 킬로미터(km/s)의 시선 속도 변화를 유발한다. 분광 쌍성은 도플러 효과 때문에 스펙트럼이 변하는 쌍성을 말한다. 시선 속도를 통해 별의 질량 비율, 이심률, 장반경 등 궤도 요소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별 주위의 행성을 탐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행성의 궤도 주기를 결정하고, 시선 속도 진폭을 통해 이진 질량 함수를 사용하여 행성 질량의 하한을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시선 속도 방법만으로는 하한만 알 수 있는데, 시선에 대해 매우 높은 각도로 공전하는 큰 행성이 시선상에 있는 궤도 평면을 가진 작은 행성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은 이심률을 가진 행성이 실제로는 원형 또는 거의 원형의 공명 궤도를 가진 두 행성계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7][8]
3. 2. 외계 행성 탐색

외계 행성 탐지를 위한 시선 속도 방법은 별 주위를 공전하는 (보이지 않는) 외계 행성으로부터의 중력적 당김의 방향 변화로 인해 중심 별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데 기반을 둔다. 별이 우리 쪽으로 이동하면 스펙트럼이 청색편이되고, 우리로부터 멀어지면 적색편이된다. 별의 스펙트럼을 정기적으로 관찰하여—따라서 속도를 측정하여—외계 행성 동반자의 영향으로 주기적으로 움직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7]
많은 쌍성에서 궤도 운동은 일반적으로 초당 수 킬로미터(km/s)의 방사 속도 변화를 유발한다. 이 별들의 스펙트럼이 도플러 효과로 인해 변하기 때문에, 이들을 분광 쌍성이라고 한다. 방사 속도는 별의 질량 비율과 이심률 및 장반경과 같은 일부 궤도 요소를 추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같은 방법은 별 주위의 행성을 감지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이 운동의 측정을 통해 행성의 궤도 주기를 결정하고, 결과 방사 속도 진폭을 통해 이진 질량 함수를 사용하여 행성의 질량의 하한을 계산할 수 있다. 방사 속도 방법만으로는 하한만 나타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시선에 대해 매우 높은 각도로 공전하는 큰 행성은 시선상에 있는 궤도 평면을 가진 훨씬 더 작은 행성과 마찬가지로 별을 방사상으로 교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으로 계산된 높은 이심률을 가진 행성은 실제로 원형 또는 거의 원형의 공명 궤도의 두 행성계일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다.[8]
3. 3. 자료 처리
시선 속도 측정 자료에는 여러 요인이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제거해야 한다.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참조
[1]
서적
Linear Algebra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Inc.
[2]
간행물
"Resolution C1 on the Definition of a Spectroscopic \"Barycentric Radial-Velocity Measure\""
https://www.iau.org/[...]
IAU Secretariat
2002-07
[3]
논문
The fundamental definition of "radial velocity"
http://www.aanda.org[...]
2017-02-04
[4]
논문
Astrometric radial velocities. I. Non-spectroscopic methods for measuring stellar radial velocity
[5]
간행물
"Resolution C 2 on the Definition of \"Astrometric Radial Velocity\""
https://www.iau.org/[...]
IAU Secretariat
2002-07
[6]
논문
Further observations on the spectra of some of the stars and nebulae, with an attempt to determine therefrom whether these bodies are moving towards or from the Earth, also observations on the spectra of the Sun and of Comet II
1868
[7]
논문
How eccentric orbital solutions can hide planetary systems in 2:1 resonant orbits
[8]
논문
Disentangling 2:1 resonant radial velocity oribts from eccentric ones and a case study for HD 27894
[9]
서적
Chaos and Stability in Planetary Systems
[10]
논문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Milky Way determined from HI emission
[11]
논문
Rigorous treatment of the heliocentric motion of stars
[12]
문서
적색편이
[13]
문서
청색편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