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토치킨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토치킨 해협은 세계에서 가장 큰 피오르 중 하나로, 길이는 약 100km이며, 가장 좁은 부분의 너비는 약 600m이다. 해협을 따라 높고 가파른 둑이 있으며, 일년 중 대부분 얼음으로 덮여 있다. 1961년 10월, 노바야 제믈랴 군도 상의 마토치킨 해협 인근에서 수소폭탄 차르 봄바가 폭발했다. 1963년부터 1990년까지 약 39차례의 지하 핵실험이 진행되었으며, 2000년 이후 러시아 연방 정부는 실험장을 재활성화하여 매년 여름 아임계 수소 핵실험을 진행했다. 2004년에는 로사톰이 플루토늄을 사용하여 수소 핵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핵 실험장 - 노바야제믈랴 제도
    노바야 제믈랴 제도는 러시아 북극해의 군도로, 역사적으로 탐험가들의 방문이 있었지만 냉전 시대 소련의 핵실험장으로 사용되어 환경 오염을 야기했으며, 현재는 국립공원 일부로 지정되었으나 주민 강제 이주와 환경 문제가 남아있다.
  • 노바야제믈랴 제도 - 빌럼 바런츠
    빌럼 바런츠는 북동 항로를 탐험하다가 노바야제믈랴에서 조난당해 사망했지만, 그의 탐험은 북극 지역에 대한 유럽인들의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 노바야제믈랴 제도 - 차르 봄바
    차르 봄바는 소련에서 개발된 TNT 50Mt 폭발력의 수소 폭탄으로, 냉전 시대 미국에 대한 시위 성격으로 개발 및 실험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핵무기로 기록된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지형 - 바렌츠해
    바렌츠해는 유라시아 대륙 북쪽의 북극해 주변 해역으로,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과 풍부한 어족 자원, 석유·천연가스 매장량으로 경제적으로 중요하지만, 핵폐기물 투기와 급속한 온난화로 환경 오염 문제가 지속되는 해역이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지형 - 우랄산맥
    우랄산맥은 카라해에서 카자흐스탄까지 2,500km에 걸쳐 뻗어 있으며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으로, 다양한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고 기후와 생태계가 위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과거 모피 무역의 중심지였으나 방사능 오염으로 환경적 피해를 입기도 했다.
마토치킨 해협
지리 정보
위치북극해의 노바야젬랴 제도 사이에 위치
연결 해역바렌츠해와 카라해 연결
위치 (노바야젬랴)세베르니 섬과 유즈니 섬 사이
면적323 km²
명칭
한국어마토치킨 해협
러시아어Ма́точкин Шар (마토치킨 샤르)
로마자 표기Matochkin Shar
지리적 특징
길이약 100 km
너비 (가장 좁은 곳)약 600m
깊이12m ~ 42m
해안선쇄빙선 운항 가능
특징해협의 해안선은 높고 가파르며, 만과 피오르로 구부러짐. 해협의 빙하는 녹고 바다로 흘러 들어감.
역사
핵 실험1964년부터 1990년까지 구 소련은 마토치킨 샤르 아래에서 39회의 지하 핵 실험을 수행했음.
실험 장소지하 핵 실험 시설 "알마즈-3" (Almaz-3)
지하 핵 실험 시설 "하르코보-1" (Kharkovo-1)
지하 핵 실험 시설 "하르코보-2" (Kharkovo-2)
기타
중요 사항마토치킨 해협은 북극 항로의 중요한 부분임.
추가 정보마토치킨 해협 지역은 다양한 해양 생물과 조류의 서식지임.

2. 지리

마토치킨 해협은 세계에서 가장 큰 피오르 중 하나이다.[1] 해협을 따라 형성된 양쪽 둑은 높고 가파르다. 해협의 길이는 약 100km이며, 가장 좁은 부분의 너비는 약 600m이다. 해협은 일 년 중 대부분 얼음으로 덮여 있다. 해협을 따라 버려진 어촌인 마토치킨 샤르와 스톨보보이가 위치해 있다.

3. 역사

마토치킨 해협은 냉전 시대 소련의 주요 핵실험 장소 중 하나였다. 1961년 10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폭탄으로 알려진 차르 봄바가 이곳 인근 노바야 제믈랴 군도 상공에서 폭발했다.[2] 또한 1963년부터는 라자레프 산 등지에서 다수의 지하 핵실험이 이루어지기도 했다.[3][4]

3. 1. 핵실험

차르 봄바는 1961년 10월 노바야 제믈랴 군도 상의 마토치킨 해협 인근 미추시카 만에서 폭발했다.[2]

또한 이곳은 1963년부터 1990년까지 약 39차례의 지하 핵실험이 라자레프 산과 기타 산괴 아래의 터널과 갱도에서 진행된 곳이다. 2000년 이후 러시아 연방 정부는 기존 터널을 확장하고 건설 작업을 진행하며 실험장을 재활성화하기 시작했다. 이후 매년 여름마다 다양한 아임계 수소 핵실험이 진행되었으며, 2004년에는 로사톰이 무기급 플루토늄을 최대 100g 사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4]

참조

[1] 서적 Sea-Ice and Iceberg Sedimentation in the Ocean: Recent and Past
[2] 웹사이트 Tsar Bomba {{!}} History, Location, Megaton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9-20
[3] 웹사이트 Russia: Central Test Site, Novaya Zemlya http://www.nti.org/d[...] Nuclear Threat Initiative 2003-07-30
[4] 웹사이트 Russia: Central Test Site, Novaya Zemlya http://www.nti.org/d[...] Nuclear Threat Initiative 2003-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