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기어의 귀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틴 기어의 귀향은 16세기 프랑스에서 일어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전쟁 후 돌아온 남자의 신분을 둘러싼 갈등을 다룬다. 1982년 영화는 이 사건을 재구성하여, 마르탱 게르가 오랜 방랑 끝에 돌아오지만, 그의 신분을 의심받고 재판에 휘말리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는 진실 공방과 아내 베르트랑의 복잡한 심리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결국 사칭자의 처형으로 마무리된다. 이 이야기는 영화, 뮤지컬, 소설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1993년 영화 썸머스비는 미국 남북 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각색되었고, 동티모르를 배경으로 한 영화 베아트리스의 전쟁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천군 (영화)
50메가톤급 핵탄두 '비격진천뢰'를 둘러싼 남북한 군인들이 1572년 조선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나 어린 이순신 장군과 함께 여진족과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천군은 남북한 화해와 협력, 민족적 자긍심 고취를 주제로 흥행에 성공했으나,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 16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1592년 임진왜란 직전 조선을 배경으로, 반란을 일으키는 이몽학과 이를 막으려는 황정학, 그리고 복수를 꿈꾸는 견자의 갈등을 통해 권력, 배신, 복수 등을 그리는 이준익 감독의 2010년 개봉 영화이다. - 프랑스의 전기 영화 - 피아니스트 (2002년 영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피아니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생존하려는 폴란드계 유대인 피아니스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아드리언 브로디가 주연을 맡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프랑스의 전기 영화 - 파리넬리 (영화)
18세기 카스트라토 파리넬리의 삶과 예술적 고뇌, 형과의 갈등, 사랑을 그린 1994년 영화 파리넬리는 스테파노 디오니시가 주연을 맡았으며 골든 글로브상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 1982년 영화 - 48시간
48시간은 1982년 개봉한 미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로, 탈옥수와 형사가 48시간 동안 파트너가 되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 1982년 영화 - SAS 특공대
《SAS 특공대》는 1982년에 개봉한 영화로, 영국 SAS가 테러 단체에 잠입하여 인질 구출 작전을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핵무기 철폐 운동 시위를 테러리스트로 묘사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마틴 기어의 귀향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Le Retour de Martin Guerre |
영어 제목 | The Return of Martin Guerre |
![]() | |
영화 정보 | |
감독 | 다니엘 비뉴 |
제작 | 다니엘 비뉴 |
각본 | 다니엘 비뉴 장클로드 카리에르 나탈리 제먼 데이비스 |
출연 | 제라르 드파르디유 나탈리 베이 |
음악 | 미셸 포르탈 |
촬영 | 앙드레 노 |
편집 | 데니스 드 카사비앙카 |
배급사 | European International |
개봉일 | 1982년 5월 14일 |
상영 시간 | 122분 |
제작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2. 역사적 배경 및 실화
이 영화는 16세기 프랑스 남부 아르티가(Artigat) 마을에서 실제로 일어난 '마르탱 게르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 전쟁과 여행을 이유로 오랫동안 집을 떠났던 마르탱 게르라는 남자가 돌아오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정체에 대한 의심이 불거진다. 특히 인근 마을 틸 출신의 아르노 뒤 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1] 사건은 법정 다툼으로 이어진다.
이 사건은 한 개인의 신원 문제를 넘어, 당시 프랑스 사회상과 법 제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례이다. 사건은 파르망 법원까지 올라갈 정도로 큰 관심을 끌었으며, 재판 결과는 당사자들의 목숨과 직결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였다. 만약 돌아온 남자가 가짜로 판명되면, 그와 아내 베르트랑은 간통죄로 처벌받고 자녀는 사생아가 될 위험이 있었다.
특히 이 재판을 담당했던 판사 장 드 코라스는 사건의 전말과 자신의 판결 과정을 상세히 기록으로 남겼다. 그의 기록은 후대에 이 기이한 사건의 진실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되듯, 장 드 코라스는 이후 위그노(개신교) 신념 때문에 처형당했는데, 이는 당시의 종교적 갈등 상황을 보여주는 단면이기도 하다.
2. 1. 마르탱 게르의 실종과 귀환
마르탱 게르는 전쟁에 참전하고 여행을 떠나기 위해 프랑스의 작은 마을에 어린 아내를 남겨두고 떠났다. 8년 또는 9년이 지난 후, 마르탱(제라르 드파르디외 분)이 돌아와 자신의 삶을 다시 시작하려 했다. 처음에는 그가 과거의 삶에 대한 세세한 부분까지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아내와 가족, 친구들 모두 그를 알아보고 환영했다.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몇몇 방랑자들이 그를 인근 마을인 틸 출신의 아르노라고 지목했다.[1] 마을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러한 주장을 믿지 않고 무시했다. 하지만 마르탱이 삼촌에게 받을 돈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고, 이는 결국 그의 진짜 신원을 둘러싼 재판으로 이어지게 된다.
2. 2. 아르노 뒤 틸의 등장과 신분 위조
마르탱 게르가 전쟁 참여와 여행을 이유로 아내와 마을을 떠난 지 8~9년이 지난 후, 한 남자가 자신이 마르탱(영화에서는 제라르 드파르디외 분)이라며 돌아온다. 그는 과거 마르탱의 삶에 대한 세세한 부분까지 알고 있었기에, 아내 베르트랑을 비롯한 가족과 친구들은 처음에는 그를 진짜 마르탱으로 믿고 환영한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몇몇 방랑자들이 그가 인근 마을 틸 출신의 '아르노 뒤 틸'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한다.[1] 처음 마을 사람들은 이 주장을 믿지 않았지만, 그가 삼촌에게 받을 돈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생기고 결국 그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재판이 열리게 된다. 만약 그가 가짜로 밝혀질 경우, 아내 베르트랑과의 관계는 간통으로 간주되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사생아가 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에 재판 결과는 그의 목숨과 직결되었다.
재판 과정에서 아르노 뒤 틸은 능숙하게 자신을 변호했고, 마을 사람들의 의견은 그가 진짜 마르탱인지 아닌지를 두고 나뉘었다. 아내 베르트랑은 재판 내내 그의 편에 서서 그가 마르탱이라고 증언했다. 재판은 파르망 법원까지 이어졌고, 판사 장 드 코라스는 베르트랑의 증언을 중요하게 여겨 그에게 무죄를 선고하려 했다.
그러나 판결 직전, 젊은 시절 마르탱의 모습과 더 흡사한 새로운 증인이 나타나면서 상황은 급변한다. 결국 아르노 뒤 틸은 자신이 진짜 마르탱과 함께 군 복무를 했으며, 진짜 마르탱이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는 것을 알고 그의 자리를 대신 차지하기로 결심했다고 자백한다. 베르트랑마저 새로운 증인이 진짜 마르탱이라고 증언하면서 아르노 뒤 틸은 사형 선고를 받게 된다.
2. 3. 재판과 진실 공방
시간이 흐르면서 마르탱 게르(실제로는 아르노 뒤 틸)의 정체에 대한 의심이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몇몇 방랑자들이 그를 인근 마을인 틸 출신의 '아르노'라고 지목했지만,[1] 마을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를 믿지 않았다. 그러나 마르탱(아르노)이 삼촌에게 과거에 빌려준 돈을 요구하자, 격분한 삼촌이 그를 공격하면서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결국 그의 신원을 둘러싼 재판이 열리게 되었다. 만약 그가 진짜 마르탱 게르가 아니라면, 아내 베르트랑과의 관계는 간통으로 규정되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사생아가 될 운명이었기에, 재판 결과는 그의 목숨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였다.재판 과정에서 마르탱(아르노)은 뛰어난 언변으로 자신을 변호했으며, 마을 사람들은 그의 정체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 아내 베르트랑은 일관되게 남편이 맞다고 증언하며 그를 지지했다. 재판은 여러 차례 이어져 파르망 법정까지 올라갔고, 담당 판사인 장 드 코라스는 주로 베르트랑의 증언에 무게를 두고 마르탱(아르노)에게 무죄를 선고하려던 참이었다.
그러나 판결 직전, 진짜 마르탱 게르가 극적으로 법정에 나타나면서 모든 상황이 뒤바뀌었다. 진짜 마르탱은 젊은 시절의 모습과 더욱 흡사했고, 그의 등장은 법정에 큰 충격을 주었다. 결국 사칭자 아르노 뒤 틸은 자신이 진짜 마르탱과 함께 군 복무를 했으며, 마르탱이 고향으로 돌아갈 뜻이 없음을 알게 되자 그의 신분을 도용하기로 결심했다고 자백했다. 심지어 베르트랑마저 입장을 바꿔 새로 나타난 증인이 진짜 남편 마르탱이라고 증언했다. 아르노 뒤 틸에게는 사형이 선고되었다.
재판이 끝난 후, 판사 장 드 코라스는 베르트랑을 찾아가 그녀가 아르노의 사칭에 공모하지 않았다는 판결을 받았음을 알렸다. 하지만 코라스는 베르트랑이 처음부터 아르노가 가짜임을 알았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왜 그를 진짜 마르탱이라고 주장했는지 물었다. 베르트랑은 아르노가 이전의 남편보다 더 나은 사람이었고, 그와 함께 행복한 삶을 누렸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코라스가 마지막 순간에 왜 마음을 바꾸었는지 묻자, 그녀는 아르노의 눈빛에서 재판이 더 이상 희망이 없음을 읽었고, 그가 자신과 아이들을 위해 진실을 밝히기를 원했다고 설명했다.
아르노 뒤 틸은 참회하며 교수대로 향했다. 영화의 내레이션은 판사 장 드 코라스 역시 몇 년 후 위그노(개신교) 신념 때문에 처형당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덧붙이며 마무리된다.
3. 영화 "마르탱 게르의 귀향" (1982)
다니엘 비뉴 감독이 연출한 1982년작 영화로, 마르탱 게르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프랑스의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전쟁과 여행을 위해 어린 아내 베르트랑 드 롤(나탈리 베이)을 남겨두고 떠난 마르탱 게르의 이야기를 다룬다.
8~9년이 흐른 뒤, 한 남자가 자신이 마르탱 게르(제라르 드파르디외)라며 마을로 돌아온다. 그는 과거 마르탱의 삶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어 아내와 가족, 친구들 모두 그를 환영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몇몇 방랑자들이 그가 인근 마을 틸 출신의 아르노 뒤 틸이라고 지목한다.[1] 처음에는 마을 사람들이 이를 무시했지만, 그가 삼촌 피에르 게르(모리스 바리에)에게 상속받을 돈을 요구하자 갈등이 불거지고 결국 그의 신원을 둘러싼 재판이 열리게 된다. 만약 그가 가짜로 밝혀지면 아내 베르트랑과 간통죄로 처벌받고 아이들은 사생아가 될 위기에 처한다. 재판 과정은 영화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재판에서 남자는 능숙하게 자신을 변호하고, 마을 사람들의 의견은 분분하게 나뉜다. 아내 베르트랑은 그가 진짜 마르탱이라고 증언하며 그를 지지한다. 재판은 파르망 법정까지 이어지고, 판사 장 드 코라스(로제 플랑숑)는 주로 베르트랑의 증언에 기대어 무죄 판결을 내리려 한다. 그러나 판결 직전, 진짜 마르탱 게르(베르나르-피에르 도나디외)가 나타나면서 모든 상황이 뒤바뀐다. 진짜 마르탱은 젊은 시절의 모습과 더 닮아 있었다. 결국 가짜 마르탱, 즉 아르노 뒤 틸은 자신이 진짜 마르탱과 함께 군 복무를 했으며, 마르탱이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는 것을 알고 그의 자리를 대신하기로 결심했다고 자백한다. 베르트랑마저 증언을 번복하여 새로 나타난 남자가 진짜 마르탱이라고 밝힌다. 아르노는 사형 선고를 받는다.
재판 후, 판사 드 코라스는 베르트랑을 찾아가 그녀가 무죄로 풀려났음을 알린다. 그는 베르트랑이 처음부터 아르노가 가짜임을 알았을 것이라 추측하며 왜 그를 마르탱이라고 주장했는지 묻는다. 베르트랑은 아르노가 진짜 마르탱보다 더 나은 남편이자 좋은 사람이었고, 함께 행복한 삶을 살았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마지막 순간 증언을 바꾼 이유에 대해서는, 아르노의 눈빛에서 재판 결과에 대한 절망을 읽었고, 그가 자신과 아이들을 위해 살아가도록 거짓말을 하길 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아르노는 참회하며 교수형에 처해진다. 영화는 판사 장 드 코라스 역시 몇 년 후 개신교 신앙 때문에 처형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언급하며 마무리된다.
이 영화를 바탕으로 미국의 근대 초기 프랑스사 학자인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나탈리 제몬 데이비스가 같은 제목의 책을 1983년에 출판했다. 그녀는 영화 제작 당시 자문 역할을 맡아 각본 작업에도 참여했다. 이 이야기는 여러 차례 각색되었다. 1993년에는 헐리우드에서 미국 남북 전쟁 시기를 배경으로 한 리메이크 영화 ''썸머스비''가 제작되었으며, 리처드 기어와 조디 포스터가 주연을 맡았다. 카메론 매킨토시가 제작한 웨스트 엔드 뮤지컬 ''마틴 게르''는 영화를 바탕으로 하되, 16세기 프랑스의 위그노와 가톨릭교도 간의 종교 분쟁 시기로 배경을 옮겼다. 또한, 동티모르 최초의 장편 영화인 ''아 게라 다 베아트리스''(2013)는 마르탱 게르 이야기를 1980년대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 시기를 배경으로 재구성했다.[4]
3. 1. 한국어 더빙 성우진 (SBS)
'''1994년 8월 14일 방영분'''성우 | 배역 | 원 배우 |
---|---|---|
장광 | 아르노 | 제라르 드빠르디유 |
송도영 | 베르트랑드 | 나탈리 베이 |
김기현 | 쟝 드 코라스 | 로저 플랜천 |
황원 | 신부 | 안드레 쇼마유 |
이종구 | 피에르 삼촌 | 모리스 베리어 |
김현직 | 판사 / 해설 | 모리스 쟈끄몽 |
김계원 | 판사 | 프란시스 아르노 |
강연숙 | 베르트랑드의 어머니 | 로즈 티에리 |
유지영 | 잔느 | 챈털 데루아 |
이종오 | 마틴의 아버지 | 에드리언 듀게인 |
최상기 | 티힐 사람 | 알랭 프레로 |
성병숙 | 카트린느 | 이자벨 사도양 |
황윤걸 | 앙드레 | 도미니크 피뇽 |
김정신 | 마을 사람 | 이베트 프티 |
도용구 | 티힐 사람 | 마르셀 캠펠 |
김강산 | 쟈크 | 필리프 바빈 |
박규웅 | 니콜라 | 장-클로드 페렝 |
박홍식 | 구두장이 / 오귀스탱 | 악셀 부고유스라프스키 / 체키 카리오 |
홍승섭 | 마틴 | 버나드 피에르 도나디우 |
문선희 | 길메트 | 발레리 채싱노 |
'''2003년 9월 26일 방영분'''
성우 | 배역 | 원 배우 |
---|---|---|
장광 | 아르노 뒤 틸(가짜 마틴 기어) | 제라르 드빠르디유 |
송도영 | 베르트랑드 드 롤즈 | 나탈리 베이 |
서광재 | 나레이터 / 마틴 기어 | 버나드-피에르 도나디우 |
이병식 | 장 드 코라스 판사 | 로저 플랜천 |
조동희 | 피에르 기어 삼촌 | 모리스 베리어 |
정동열 | 페갈라 [공증인] | Pégalha프랑스어 |
이명숙 | 카트린 보에르[유모] | 이자벨 사도양 |
기경옥 | 길메트 [마틴의 여동생] | 발레리 채싱노 |
이진화 | 베르트랑드의 어머니 | 로즈 티에리 |
황윤걸 | 바르텔레미 [구두장이] | 악셀 부고유스라프스키 |
이선호 | 젊은 베르트랑드 | 실비 메다 |
안용욱 | 젊은 마틴 | 스테파니 펜 |
3. 2. 수상 내역
''마틴 기어의 귀향''은 여러 영화제 및 시상식에서 주목받았다. 미국의 전미 비평가 협회는 이 영화를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로 선정했다.[2] 또한, 앤마리 마르샹은 이 영화의 의상 디자인으로 1984년 아카데미 의상상 후보에 올랐다.[3]- '''아카데미상'''
- * 후보: 아카데미 의상상 (앤마리 마르샹)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 후보: 외국어 영화상
- '''세자르상'''
- * 수상: 각본상 (장클로드 카리에르, 다니엘 비뉴)
- * 수상: 음악상 (미셸 포르탈)
- * 수상: 프로덕션 디자인상 (알랭 네그르)
- * 후보: 유망한 남자 배우상 (도미니크 피뇽)
- '''전미 비평가 위원회'''
- * 수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
- * 수상: 남우주연상 (제라르 드파르디외)
-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
- * 수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4. 각색 및 재해석
마르탱 게르 사건은 여러 차례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재해석되었다. 대표적으로 미국 남북 전쟁 시기를 배경으로 한 헐리우드 영화 ''썸머스비''(1993), 16세기 프랑스의 위그노와 가톨릭교도 간 종교 갈등 시기를 다룬 웨스트 엔드 뮤지컬 ''마틴 게르'', 그리고 1980년대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 시기를 배경으로 한 동티모르 최초의 장편 영화 ''아 게라 다 베아트리스''(2013) 등이 있다.[4] 이 작품들은 원본 이야기의 핵심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각기 다른 시대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탐구했다.
4. 1. 나탈리 제몬 데이비스의 저서 "마르탱 게르의 귀향" (1983)
1983년, 같은 제목의 책이 미국의 근대 초 프랑스사 학자이자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인 나탈리 제몬 데이비스에 의해 출판되었다. 그녀는 영화의 자문역을 맡았고 각본을 쓰는 데 도움을 주었다.- 데이비스, 나탈리 제몬. ''[https://books.google.com/books?id=5f46_hWsJAkC 마틴 게르의 귀향]'' (The Return of Martin Guerre).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83. ISBN 0-674-76691-1
4. 2. 영화 "썸머스비" (1993)
''썸머스비''는 마르탱 게르의 실화를 바탕으로 1993년 헐리우드에서 제작한 미국 영화이다. 원작의 배경인 16세기 프랑스 대신 미국 남북 전쟁 시기를 배경으로 각색했으며, 리처드 기어와 조디 포스터가 주연을 맡았다.4. 3. 뮤지컬 "마틴 게르" (1996)
카메론 매킨토시가 제작한 웨스트 엔드 뮤지컬인 ''마틴 게르''는 1993년 영화 ''썸머스비''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삼아 역사적 자료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이 뮤지컬은 원작 이야기의 배경을 16세기 프랑스로 옮겨, 위그노와 가톨릭교도 사이의 종교적 갈등이 심했던 시기를 다룬다.4. 4. 영화 "베아트리스의 전쟁" (2013)
동티모르 최초의 장편 영화인 ''아 게라 다 베아트리스'' (''Beatriz's War'')는 2013년에 개봉했다. 이 영화는 마르탱 게르 이야기를 1980년대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이라는 비극적인 시기를 배경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감독인 베티 레이스와 함께 각본을 공동 집필한 이림 톨렌티노가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4]참조
[1]
문서
While the modern spelling of the village name is ''Thil'' in French, it is ''Tilh'' in local langue d'oc. This was evidently the spelling used at the time of the story, as witnessed by the spelling of ''Arnaud du Tilh''. This is also the spelling used by Natalie Zemon Davis in her book on Martin Guerre.
[2]
웹사이트
1983 Award Winners
http://www.nationalb[...]
National Board of Review of Motion Pictures
2016-01-01
[3]
웹사이트
1984 {{!}} Oscars.org {{!}}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https://www.oscars.o[...]
2023-11-22
[4]
웹사이트
Beatriz's War in Australian Cinemas : A Guerra da Beatriz
http://www.aguerr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