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넬리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넬리 (영화)는 1994년에 개봉한 영화로, 18세기 유명한 카스트라토 파리넬리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영화는 파리넬리가 어린 시절 겪은 트라우마, 형과의 복잡한 관계, 헨델과의 갈등, 그리고 런던과 스페인 궁정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특히 파리넬리의 뛰어난 노래 실력과 그를 둘러싼 음악적, 심리적 갈등을 묘사하며, 역사적 사실과 다소 차이가 있는 극적 구성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1995년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어 헨델의 아리아 '울게 하소서'를 널리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세네지노
세네지노는 17-18세기 이탈리아 출신의 카스트라토 가수로, 헨델의 오페라에서 주역을 맡았으나 잦은 갈등으로 경쟁 극단으로 옮겨 활동하다가 고향에서 은퇴했다. - 벨기에의 전기 영화 - 토탈 이클립스
19세기 프랑스 시인 랭보와 베를렌의 파격적인 동성애적 관계와 예술적 교감을 다룬 영화 토탈 이클립스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데이비드 듈리스가 주연을 맡았으며, 예술과 욕망, 자유와 파멸이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 벨기에의 전기 영화 - 대니쉬 걸
《대니쉬 걸》은 1920년대 덴마크 코펜하겐을 배경으로, 일러스트레이터 게르다 베게너의 남편 에이나르 베게너가 여성 정체성을 깨닫고 성전환 수술을 결심하며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이탈리아의 전기 영화 - 마지막 황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영화 《마지막 황제》는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파란만장한 삶을 20세기 중국 역사 배경 속에서 시간 순서대로 묘사하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9개 부문을 수상했다. - 이탈리아의 전기 영화 - 토탈 이클립스
19세기 프랑스 시인 랭보와 베를렌의 파격적인 동성애적 관계와 예술적 교감을 다룬 영화 토탈 이클립스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데이비드 듈리스가 주연을 맡았으며, 예술과 욕망, 자유와 파멸이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파리넬리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파리넬리 |
원제 | Farinelli Il Castrato |
감독 | 제라르 코르비오 |
프로듀서 | 베라 벨몬트 |
각본 | 마르셀 보리외 앙드레 코르비오 제라르 코르비오 |
주연 | 스테파노 디오니시 엔리코 로 베르소 엘사 질버스테인 |
음악 | 요한 아돌프 하세 (추가 음악 작곡가) 니콜라 포르포라 (추가 음악 작곡가) 에바 말라스-고들레프스카 (가수) 데릭 리 레이긴 (가수) |
촬영 | 발터 반 덴 엔데 |
편집 | 조엘 아슈 |
제작사 | 스테판 필름 MG 이탈리안 인터내셔널 필름 K2 SA 알리네아 필름 위니옹 제네랄 시네마토그래피크 카날+ 프랑스 2 시네마 스튜디오 이미지 메디아셋 RTL-TVI 필름스티프퉁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배급사 | IIF - 이탈리안 인터내셔널 필름 (이탈리아) 벨가 필름 (벨기에) BAC 필름 (프랑스) 유로스페이스 (일본)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미국) |
개봉일 | 프랑스: 1994년 12월 7일 이탈리아: 1995년 3월 16일 대한민국: 1995년 4월 8일 일본: 1995년 6월 24일 |
상영 시간 | 111분 |
제작 국가 | 이탈리아 벨기에 프랑스 |
언어 |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
제작비 | 9백만 달러 |
흥행 수입 | 1150만 달러 |
스태프 | |
원안 | 앙드레 코르비오 제라르 코르비오 |
음악 감독 | 크리스토프 루세 |
2. 줄거리
영화는 유명한 카스트라토 파리넬리(Farinelli)로 알려진 카를로 브로스키(Carlo Broschi)가 어린 시절 교회 합창단 가수였던 시절을 회상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새롭게 거세된 소년이 달려와 카를로에게 그의 목소리가 죽음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후 자살한다. 카를로는 큰 충격을 받고 그의 스승인 니콜라 포르포라(Nicola Porpora)에게 형인 리카르도(Riccardo)가 작곡한 곡을 부르기를 거부한다. 그는 울면서 아버지에게 달려가 위로를 받지만, 형에게 다시는 자신의 목소리를 거부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한다.[6] 영화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필리페 5세 국왕의 궁전에서 시작된다. 리카르도 브로스키(Enrico Lo Verso)는 그의 형 카를로(Stefano Dionisi), 즉 파리넬리로 알려진 그의 동생을 만나려고 한다. 카를로는 그를 거부한다.[6]
나머지 영화는 회상을 통해 전개된다. 18년 전, 카를로와 리카르도는 떠돌이 나팔 연주자가 젊은 카스트라토를 모욕하는 것을 목격한다. 화가 난 카를로는 군중의 환호 속에 나팔 연주자를 모욕한다. 리카르도는 동생을 미끼로 삼아 군중 속의 아름다운 여인을 유혹한다. 카를로가 그녀와 사랑을 나누기 시작하자 리카르도가 나서서 관계를 완성한다. 한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George Frideric Händel)(헤로엔 크라베)는 자신의 마차에서 파리넬리의 노래를 듣게 된다. 그는 카를로에게 영국에 와서 공연할 것을 요청하지만, 리카르도는 자신도 포함될 것을 요구한다. 헨델은 리카르도를 무능한 작곡가로, 카를로를 기형적인 존재로 모욕하며 떠난다.[6]
몇 년이 지나 카를로는 유명해진다. 그는 오페라보다 책에 더 관심이 많은 아름답고 부유한 젊은 여성인 콩테스 마우어(Marianne Basler)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형제는 그들의 성적 관계를 유지한다. 카를로는 콩테스의 하녀를 유혹하고 리카르도가 관계를 완성한다. 카를로는 헨델로부터 드레스덴에서 노래해 달라는 편지를 받는다. 카를로는 갑자기 열병으로 쓰러지고, 리카르도는 어릴 적부터 카를로에게 해주던 이야기를 반복한다. 카를로는 말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었고, 목숨을 구하기 위해 거세 수술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드레스덴에서 헨델은 막이 오르기 직전 카를로를 만나 조지 2세 국왕이 그의 노래를 듣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헨델의 제안에 당황한 카를로는 무대에서 기절한다. 자기 만족에 찬 헨델은 떠나고, 카를로는 그를 헛되이 기다린다.[6]
곧 카를로는 젊은 알렉산드라 레리스(Elsa Zylberstein)의 초청을 받아 런던으로 간다. 헨델의 코벤트 가든 오페라 하우스는 프레드릭 왕세자가 후원하고 카를로의 옛 스승 포르포라(Omero Antonutti)가 운영하는 근처의 귀족 오페라(Opera of the Nobility)를 파산 직전으로 몰아넣고 있다. 런던에서 카를로와 리카르도는 마가렛 헌터(Caroline Cellier)와 그녀의 불구인 아들 베네딕트(Renaud du Peloux de Saint Romain)를 만난다. 카를로는 그녀에게 청혼하지만, 그녀는 고인이 된 남편을 존중하여 거절한다. 카를로는 리카르도의 과도하게 장식된 작품들이 진정한 예술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고, 헨델의 오페라를 갈망하며 그에게 감명을 주려고 노력한다. 카를로를 사랑하는 알렉산드라는 카를로가 공연할 수 있도록 헨델의 음악을 훔친다. 두 형제의 관계는 악화된다. 훔친 악보를 찾기 위해 리카르도의 집을 수색하던 헨델은 그를 만나 관계를 파괴한다. 헨델에게 현혹된 리카르도는 (회상 속의 회상에서) 카를로가 어릴 적 뛰어난 가수였으며, 아버지가 죽자 그 목소리를 잃을까 두려워 카를로에게 약을 먹이고 불법으로 거세한 후, 그를 위해 위대한 오페라 "오르페우스"를 작곡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밝힌다.[6][5]
그날 저녁, 헨델은 무대 뒤에서 파리넬리를 만난다. 그는 파리넬리에게 그의 거세의 비밀을 말해주고 그가 훔친 음악을 부르도록 허락한다. 충격과 비탄에 잠긴 카를로는 헨델의 음악(아리아 ''Lascia ch'io pianga''[2])을 너무나 아름답게 불러 헨델은 기절한다.
회상이 끝난다. 카를로와 알렉산드라는 리카르도를 피해 스페인 왕궁으로 도망쳤고, 귀족 오페라에서의 승리 이후 3년 동안 공개적으로 노래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카를로는 리카르도를 용서하지 않았지만, 형제간의 유대감을 이해하는 알렉산드라는 그들을 화해시키려고 노력한다. 그녀는 리카르도의 "오르페우스"를 훔친다. 카를로는 리카르도가 마침내 약속했던 걸작을 완성했음을 알지만, 여전히 용서할 수 없다. 카를로는 일식 동안 필리페 국왕 앞에서 노래한다. 리카르도는 카를로의 노래를 듣고 죄책감과 깨진 관계에 압도되어 손목을 그어 자살을 시도한다. 출혈로 의식을 잃은 후, 그는 카를로와 알렉산드라가 함께 사는 집으로 옮겨져 회복한다. 카를로는 형의 행동에 대한 속죄를 깨닫고 리카르도를 거세한 것을 용서한다. 형제는 함께 알렉산드라와 성교를 한다. 몇 달이 지난다. 알렉산드라는 이제 리카르도의 아이를 임신했고, 카를로와 알렉산드라는 그 아이를 자신의 아이처럼 대한다. 영화는 리카르도가 작곡가로서의 운을 찾아 마드리드를 떠나면서 끝을 맺는다. 그는 카를로에게 아이를 남겨줌으로써 형에게 "인간성의 일부"를 되돌려 주었다는 사실에 위안을 얻는다.[6]
2. 1. 어린 시절과 트라우마
카를로 브로스키는 어린 시절 교회 합창단에서 뛰어난 미성을 지닌 소년이었다.[6] 하지만 형 리카르도는 동생의 목소리를 보존하기 위해 그에게 약을 먹이고 불법으로 거세했다.[6][5] 이로 인해 카를로는 평생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카를로는 자신의 목소리가 죽음을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와 함께 자살하는 거세된 소년을 본 후 큰 충격을 받았다.[6]어느 날, 카를로와 리카르도는 떠돌이 나팔 연주자가 젊은 카스트라토를 모욕하는 것을 목격한다. 화가 난 카를로는 군중의 환호 속에 나팔 연주자를 모욕하고, 리카르도는 동생을 미끼로 삼아 군중 속의 아름다운 여인을 유혹한다. 카를로가 그녀와 사랑을 나누기 시작하자 리카르도가 나서서 관계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이후 형제는 함께 여성을 유혹하는 관계를 맺는다.[6]
2. 2. 파리넬리의 성공과 좌절
파리넬리(Farinelli)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카를로 브로스키(Carlo Broschi)는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었다.[6] 그는 오페라보다 책에 더 관심이 많은 아름답고 부유한 젊은 여성의 마음을 사로잡기도 한다.[6] 그러나 그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George Frideric Händel)과의 갈등을 겪는다.[6] 헨델은 카를로에게 영국에서 공연할 것을 요청하지만, 그의 형 리카르도(Riccardo)를 무능한 작곡가로, 카를로를 기형적인 존재로 모욕하며 떠난다.[6]카를로는 런던에서 귀족 오페라(Opera of the Nobility)를 통해 헨델의 코벤트 가든 오페라 하우스를 파산 직전으로 몰아넣는다.[6] 하지만, 카를로는 리카르도의 과도하게 장식된 작품들이 진정한 예술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헨델의 오페라를 갈망한다.[6] 결국, 카를로는 헨델의 아리아 ''Lascia ch'io pianga''[2]를 아름답게 불러 헨델을 감동시킨다.[6]
이후 카를로는 형과의 관계,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으로 고뇌한다. 알렉산드라의 도움으로 형과 화해하고, 알렉산드라가 임신한 아이를 통해 "인간성의 일부"를 되찾았다는 위안을 얻는다.[6]
2. 3. 런던에서의 갈등과 화해
카를로는 런던에서 헨델의 코벤트 가든 오페라 하우스와 경쟁하는 귀족 오페라 극단에 합류한다.[6] 이 극단은 프레드릭 왕세자가 후원하고 카를로의 옛 스승 포르포라가 운영하는 곳으로, 헨델의 오페라 하우스를 파산 직전으로 몰아넣고 있었다.[6] 런던에서 카를로는 귀족 오페라의 주요 후원자인 마가렛 헌터를 알게 된다.[5]카를로는 형 리카르도가 작곡한 곡들의 예술성에 대해 회의를 느끼고 헨델의 음악을 갈망한다.[6] 카를로를 사랑하는 알렉산드라는 그가 헨델의 곡을 부를 수 있도록 헨델의 악보를 훔친다.[6] 헨델은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하여 리카르도의 집을 수색하고, 그 과정에서 리카르도는 카를로의 거세에 대한 진실을 털어놓는다.[6]
일식이 있던 날, 헨델은 파리넬리에게 그의 거세에 대한 비밀을 폭로하며 훔친 악보를 부르도록 허락한다.[6] 충격과 슬픔에 잠긴 카를로는 헨델의 아리아 'Lascia ch'io pianga'를[2] 매우 아름답게 불러 헨델을 감동시킨다.[6] 헨델은 자신의 패배를 인정한다.
2. 4. 스페인 궁정에서의 은둔과 구원
카를로 브로스키(파리넬리)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궁정에서 노래를 부르며 은둔 생활을 한다.[6] 3년간 그는 공개적인 무대에 서지 않고 오직 왕을 위해서만 노래하며 마음의 평화를 찾는다.[6]어느 날, 형 리카르도가 그를 찾아와 화해를 시도한다. 리카르도는 그동안 완성한 오페라 '오르페오(Orfeo)'를 카를로에게 보여주지만, 카를로는 여전히 형을 용서하지 못한다.[6] 리카르도는 죄책감과 절망감에 자살을 시도하지만, 카를로와 알렉산드라의 보살핌으로 회복한다.[6] 카를로는 형의 진심을 깨닫고 그를 용서하며, 형제는 알렉산드라와 함께 성교를 한다.[6]
몇 달 후, 알렉산드라는 리카르도의 아이를 임신하고, 카를로와 알렉산드라는 그 아이를 자신들의 아이처럼 대한다. 리카르도는 작곡가로서의 삶을 찾아 마드리드를 떠나며, 카를로에게 아이를 남겨 "인간성의 일부"를 돌려주었다는 사실에 위안을 얻는다.[6]
3. 등장인물
wikitable
배우 | 역할 |
---|---|
스테파노 디오니시 | 카를로 마리아 브로스키 |
엔리코 로 베르소 | 리카르도 브로스키 |
엘자 질버스테인 | 알렉산드라 레리스 |
예로엔 크라베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캐롤린 셀리에르 | 마르가레트 헌터 |
Renaud du Peloux de Saint Romain | 베네딕트 |
오메로 안토누티 | 니콜라 포르포라 |
마리안느 바슬레 | 마우어 백작부인 |
피에르 파올로 카포니 | 살바토레 브로스키(카를로와 리카르도의 아버지) |
그레험 발렌타인 | 웨일스의 왕자 |
자크 부데 | 펠리페 5세 |
델핀 젠타우트 | 어린 소녀 팬 |
3. 1. 주요 인물
'''파리넬리 (카를로 브로스키)''' (스테파노 디오니시): 뛰어난 재능을 지닌 카스트라토. 형에 의해 거세당한 후 트라우마를 겪지만, 음악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간다.'''리카르도 브로스키''' (엔리코 로 베르소): 파리넬리의 형이자 작곡가. 동생의 재능을 이용하려 하지만, 결국에는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깨닫는다.
'''알렉산드라 레리스''' (엘자 질버스타인): 파리넬리와 사랑에 빠지는 여인. 파리넬리와 리카르도 형제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예로엔 크라베): 저명한 작곡가. 코벤트 가든 극장의 음악감독이다.
'''마르가레트 헌터''' (캐롤린 셀리에르): "귀족 오페라"의 후원자. 알렉산드라는 그녀의 조카딸이다.
'''베네딕트''' (Renaud du Peloux de Saint Romain): 마가렛의 아들. 난치병을 앓고 있다.
'''니콜라 포르포라''' (오메로 안토누티): 파리넬리의 스승. "귀족 오페라"를 맡아 헨델과 경쟁한다.
3. 2. 런던의 인물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예로엔 크라베)은 당대 최고의 작곡가로, 파리넬리의 재능을 인정하면서도 그를 견제한다. 영화 속 헨델은 파리넬리의 재능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진보 진영에서 헨델과 같은 당대 기득권층, 보수적인 인물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니콜라 포르포라(오메로 안토누티)는 파리넬리의 스승이자 헨델의 라이벌로, 귀족 오페라 극단을 이끌며 헨델과 경쟁한다. 마가렛 헌터(캐롤린 셀리에)는 귀족 오페라 극단의 후원자이며, 베네딕트(르노 뒤 펠루 드 생 로망)는 마가렛 헌터의 아들이다.3. 3. 기타 인물
펠리페 5세 (자크 부데): 스페인의 국왕.4. 제작 과정
디오니시가 (원래 프랑스어로) 대사를 맡았지만, 파리넬리의 노래는 폴란드 소프라노 에바 말라스-고들레프스카(Ewa Malas-Godlewska)와 미국 카운터테너 데릭 리 레인(Derek Lee Ragin)이 따로 녹음한 것을 디지털로 합쳐 카스트라토의 소리를 재현했다.[3][4] 음악 감독은 프랑스 하프시코드 연주자이자 지휘자인 크리스토프 루세(Christophe Rousset)였다.[5] 음악 녹음은 메츠의 (Arsenal de Metz) 콘서트홀에서 레 탈랑 리리크(Les Talens Lyriques) 오케스트라와 함께 이루어졌다.
영화의 제작에는 프랑스의 전자음악 연구기관인 IRCAM(Institut de Recherche et Coordination Acoustique/Musique)이 기술적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영화이기 때문에 주인공 파리넬리의 연기는 배우가 입 모양만 맞추는(립싱크) 장면을 촬영하고, 실제 성악가가 더빙을 맡았다. 하지만 실제 파리넬리가 레퍼토리로 삼았던 곡들은 현재의 카운터테너들에게는 음높이와 음색의 문제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그 곡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음역은 여성 소프라노 가수가, 저음역은 남성 카운터테너가 맡아 두 파트의 녹음을 준비했다. 그 후 IRCAM이 음성 변환을 담당하여, 여성 소프라노 부분의 음성 포르만트를 남성 가수의 음색에 가깝게 만들어 영화의 영상과 합성했다. 이를 통해 영화에서는 마치 남성의 목소리로 초고음역이 불려지는 것처럼 들을 수 있다.
IRCAM에서는 이때 음성 변환에 사용된 컴퓨터에도 "Farinelli"라는 이름을 붙였다. 현재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지만, IRCAM의 역사를 짊어진 명기로 보관되어 있다.[13] 사운드트랙에는 브로스키의 ''이다스페'', 하세의 ''클레오피데''와 ''아르타세르세'', 헨델의 (Dixit Dominus)와 ''리날도'', 그리고 포르포라의 ''폴리페모''의 음악이 포함되어 있다. 영화의 일부는 바이로이트의 마르크그래프 궁정 오페라 극장에서 촬영되었다.
4. 1. 음향 기술
영화 속 파리넬리의 목소리는 폴란드 소프라노 에바 말라스-고들레프스카(Ewa Malas-Godlewska)와 미국 카운터테너 데릭 리 레인(Derek Lee Ragin)의 목소리를 디지털로 합성하여 만들어졌다.[3][4] 카스트라토의 음색을 재현하기 위해 프랑스 전자음악 연구기관 IRCAM(Institut de Recherche et Coordination Acoustique/Musique)의 음향 기술이 사용되었다. 여성 소프라노의 고음역과 남성 카운터테너의 저음역을 녹음한 후, IRCAM에서 음성 변환 기술을 통해 여성 소프라노 부분의 음성 포르만트를 남성 가수의 음색에 가깝게 조정하여 영화 영상과 합성했다. 이를 통해 남성의 목소리로 초고음역을 부르는 것처럼 들리게 했다.[13]IRCAM은 음성 변환에 사용된 컴퓨터에 "Farinelli"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컴퓨터는 현재 작동하지 않지만, IRCAM의 역사에서 중요한 기기로 보관되어 있다.[13]
4. 2. 음악
영화 음악은 프랑스 하프시코드 연주자이자 지휘자인 크리스토프 루세가 맡았으며, 음악 녹음은 메츠의 (Arsenal de Metz) 콘서트홀에서 레 탈랑 리리크 오케스트라와 함께 이루어졌다.[5] 파리넬리의 노래는 폴란드 소프라노 에바 말라스-고들레프스카와 미국 카운터테너 데릭 리 레인이 따로 녹음한 것을 디지털로 합쳐 카스트라토의 소리를 재현했다.[3][4]사운드트랙에는 브로스키의 ''이다스페'', 하세의 ''클레오피데''와 ''아르타세르세'', 헨델의 (Dixit Dominus)와 ''리날도'', 포르포라의 ''폴리페모''의 음악이 포함되어 있다.
영화 제작에는 프랑스의 전자음악 연구기관인 IRCAM(Institut de Recherche et Coordination Acoustique/Musique)이 기술적으로 크게 기여했다. 여성 소프라노 부분의 음성 포르만트를 남성 가수의 음색에 가깝게 만들어 영화의 영상과 합성했다. 이를 통해 영화에서는 마치 남성의 목소리로 초고음역이 불려지는 것처럼 들을 수 있다. IRCAM에서는 이때 음성 변환에 사용된 컴퓨터에 "Farinelli"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현재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지만, IRCAM의 역사를 짊어진 명기로 보관되어 있다.[13]
5.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영화는 파리넬리의 삶을 극적으로 각색했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6][7][8][9]
영화에서는 리카르도 브로스키가 동생의 목소리를 보존하기 위해 직접 거세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이는 의심스럽다.[5] 실제로는 전문의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거세 전 우유 목욕을 통해 몸을 부드럽게 한 후 거세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였다. 영화에서는 거세 후 우유 목욕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순서가 다르다.
영화에서는 헨델과 파리넬리가 나폴리에서 만나 극심한 갈등을 겪고, 파리넬리가 헨델에게 침을 뱉는 장면이 묘사되지만 이 또한 의심스럽다.[5] 헨델과 포르포라의 라이벌 관계, 파리넬리가 트럼펫 연주자와 고음을 유지하는 것을 겨루었던 이야기, 그의 하프시코드 연주 실력 등은 역사적으로 기록된 요소이나,[6] 헨델이 파리넬리의 노래를 듣고 더 이상 작곡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은 과장된 설정이다.[6][10]
리카르도 브로스키는 영화에 묘사된 것보다 파리넬리의 경력에서 중요성이 덜했으며, 두 형제가 서로에게 의존적이었다는 설정이나 파리넬리가 형제의 아이를 키웠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다.[6][10]
6. 수상 내역
영화 파리넬리는 1995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최고의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였다.[11] 또한 같은 부문에서 아카데미상 후보에도 올랐다.[12]
제52회 골든 글로브상(1994년도)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7. 한국과의 관계
파리넬리는 1990년대 후반 한국에서 개봉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영화에 삽입된 헨델의 아리아 '울게 하소서'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1] 2011년에는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재개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arinelli (1994) - JPBox-Office
http://www.jpbox-off[...]
[2]
서적
The End of Early Mus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3]
서적
Music: A Social Exper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6-03
[4]
서적
The Science of Musical Sound: Volume 1: Stringed Instruments, Pipe Organs, and the Human Vo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9-04
[5]
서적
The Great Composers Portrayed on Film, 1913 through 2002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07-11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Musicians and Bands on Fil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6-10-07
[7]
서적
Opera as Soundtrac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13
[8]
서적
Intermediales Spiel im Film: Ästhetische Erfahrung zwischen Schrift, Bild und Musik
https://books.google[...]
transcript Verlag
2014-03-31
[9]
학술지
Twentieth-Century Farinelli
1997-06-01
[10]
서적
Iconography of the New Empire: Race and Gender Images and the American Colonization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P Press
[11]
뉴스
Movie About 18th-Century Castrato Uses Technology to Create Voice
https://apnews.com/d[...]
2020-02-09
[12]
웹사이트
The 67th Academy Awards (1995)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5-09-26
[13]
웹사이트
参考リンク・IRCAM
http://mediatheque.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