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두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두국은 만두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한국의 국이다. 14세기 고려 시대에 중앙아시아를 통해 만두가 유입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쌍화' 또는 '교자'로 불리며 평안도와 함경도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만두국은 왕실에서 '병시', 요리책 《음식디미방》에서는 '석류탕'으로 불리기도 했다. 만두는 얇게 편 반죽에 소를 채워 넣고, 멸치, 표고버섯, 양파 등으로 낸 육수에 끓여 만든다. 떡을 넣어 '떡만두국'으로 먹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두 - 밴새
밴새는 주로 북한과 중국 옌볜에서 먹는 음식으로, 북한에서는 추석에 잎 가루 반죽에 소를 넣어 쪄 먹고, 옌볜에서는 춘절에 나물 만두 형태로 먹으며, 찹쌀가루 등으로 만들어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하는 한편, 대중문화에서 기괴한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 만두 - 어만두
어만두는 흰 살 생선으로 소를 채워 만든 한국 전통 만두의 일종이며, 서울 지역의 반가 음식으로 수라상에 오르기도 했고, 16세기 조리서에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녹말을 씌워 삶아 초간장이나 겨자즙과 함께 먹는다. - 설날 음식 - 떡국
떡국은 얇게 썬 흰 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새해 첫날에 먹고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설날에 조상에게 올리는 음식이다. - 설날 음식 - 적 (음식)
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굽거나 기름에 지진 한국 요리인 적(炙)은 맥적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고기, 생선,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 한국의 국 - 추어탕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삶아 뼈를 제거하고 고추장, 된장, 채소를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부재료에 차이가 있다. - 한국의 국 - 대구탕
대구탕은 대구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탕으로, 경상도의 대표적인 음식이며 부산광역시 가덕도의 대구탕이 유명하다.
만두국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국 |
국가 | 한국 |
주요 재료 | 만두 |
1인분 열량 | 88 kcal |
명칭 | |
한국어 | 만두국 |
한자 | 饅頭국 |
로마자 표기 | mandu-guk |
기타 | |
비슷한 음식 | 떡만둣국 |
2. 역사
만두는 고려 시대 중앙아시아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조선 왕조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4] 만두국은 과거 왕실에서 '병시(餠匙)'로, 음식디미방과 같은 문헌에서는 '석류탕(石榴湯)'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5] 만두와 만두국의 구체적인 역사적 변천 과정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고려 시대
14세기 《고려사(高麗史)》 기록에 따르면, 만두는 이미 고려 시대에 중앙아시아를 통해 유입되었다. 만두는 조선 중기까지 '쌍화(雙花)' 또는 '교자(餃子)'라고 불렸으며, 주재료인 밀과 메밀이 주로 북쪽 지역에서 재배되었기 때문에 평안도와 함경도 지역의 향토 음식이 되었다.[4]만두는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조리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만두국이다. 조선 왕실에서는 이 요리를 '병시(餠匙)'라고 불렀으며, 조선 시대 요리책인 《음식디미방》에서는 '석류탕(石榴湯)'이라고 불렀다. 만두국이 현대적인 이름을 얻게 된 정확한 시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5]
2. 2. 조선 시대
만두는 고려 시대에 중앙아시아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4] 조선 왕조 중기까지 만두는 '쌍화(雙花)' 또는 '교자(餃子)'로 불렸다. 만두의 주재료인 밀가루를 만드는 밀과 메밀이 주로 북부 지방에서 재배되었기 때문에, 만두는 자연스럽게 평안도와 함경도 지역의 향토 음식이 되었다.[4]만두를 이용한 여러 조리법 중 하나가 만두국이다. 조선 왕실에서는 만두국을 '병시(餠匙)'라고 칭했으며, 조선 왕조 시대의 요리책인 《음식디미방》에는 '석류탕(石榴湯)'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는 '만두국'이라는 명칭이 정확히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5]
2. 3. 근현대
14세기 《고려사》 기록에 따르면, 만두는 이미 고려 시대에 중앙아시아를 통해 유입되었다. 만두는 조선 왕조 중기까지 '쌍화(雙花)' 또는 '교자(餃子)'라고 불렸으며, 밀과 메밀(밀가루의 주재료)이 주로 북쪽 지역에서 재배되었기 때문에 평안도와 함경도 지역의 향토 음식이 되었다.[4]만두는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조리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만두국이다. 한국 왕실에서는 이 요리를 '병시(餠匙)'라고 불렀으며, 조선 왕조 요리책인 《음식디미방》에서는 '석류탕(石榴湯)'이라고 불렀다. 만두국이 현대적인 이름을 얻게 된 정확한 시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5]
3. 재료 및 조리
만두는 얇게 민 밀가루 반죽에 고기, 채소, 두부, 김치 등을 다져 만든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은 음식이다. 완성된 만두는 주로 육수에 넣어 끓여 먹으며, 떡을 함께 넣어 떡만두국으로 만들기도 한다.[2][6]
3. 1. 육수
만두국 육수는 전통적으로 멸치, 표고버섯 기둥, 양파를 끓여서 만든다.일부 변형에서는 쇠고기 육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원통형 떡을 추가하는 것도 흔하며, 이 경우 요리 이름이 "떡만두국"으로 바뀐다.[2][6]
3. 2. 떡만두국

만두는 얇게 민 반죽에 다진 고기, 채소, 두부, 때로는 김치를 섞어 만든 소를 채워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은 음식이다. 전통적으로는 멸치, 표고버섯 기둥, 양파 등을 우려낸 육수에 만두를 넣고 끓여 만든다.
일부 조리법에서는 쇠고기 육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만두국에 원통형 떡을 함께 넣어 끓인 음식을 "떡만두국"이라고 부른다.[2][6]
참조
[1]
웹사이트
mandu-guk
http://www.hansik.or[...]
2017-05-16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07-30
[3]
Doosan Encyclopedia
Manduguk
http://100.naver.com[...]
[4]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Mandu
http://100.nate.com/[...]
2011-06-10
[5]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Manduguk
http://100.nate.com/[...]
2011-06-10
[6]
Naver kitchen
Recipe for tteok manduguk
http://kitchen.naver[...]
[7]
웹인용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6
[8]
Naver kitchen
Recipe for tteok manduguk
http://kitchen.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