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사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사프는 "쟁반"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요르단의 전통 음식이다. 양고기를 삶아 자미드(발효 및 건조된 요구르트)로 만든 소스에 익히고, 쌀밥과 함께 쟁반에 담아 먹는 방식으로, 쌀밥 대신 부르굴을 사용하기도 한다. 만사프는 결혼, 출산, 졸업 등 특별한 행사나 손님을 접대할 때, 그리고 이드 알피트르, 이드 알 아드하, 크리스마스, 부활절, 요르단 독립 기념일과 같은 주요 공휴일에 제공되며, 2022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요르단에서는 국가 음식으로 여겨지며, 팔레스타인, 시리아,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등 인접 지역에서도 변형된 형태로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두인 - 쿠라이시족
쿠라이시족은 아드난에서 기원한 아랍 부족으로, 쿠사이 이븐 킬라브에 의해 메카의 지배 세력이 되었으며, 무함마드의 출현과 함께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슬람 세계의 지도력을 장악했다. - 베두인 - 샌드 스톰 (2016년 영화)
2016년에 제작된 영화 샌드 스톰은 라미스 아마르, 루바 블랄, 히탐 오마리, 카디자 알 아켈, 잘랄 마스르와 등이 출연했으며, 라미스 아마르는 라일라 역을, 루바 블랄은 잘릴라 역을, 히탐 오마리는 술리만 역을, 카디자 알 아켈은 타스님 역을, 잘랄 마스르와는 안와르 역을 연기했다. - 요구르트 요리 - 자지키
자지키는 그리스의 요거트 소스로, 오이, 마늘, 딜 등을 넣어 만들며 빵, 채소, 고기 요리 등에 곁들여 먹고, 튀르키예어에서 유래하여 발칸 반도와 이란 등지에도 유사한 요리가 존재한다. - 요구르트 요리 - 탄두리 치킨
탄두리 치킨은 탄두르라는 가마에서 구워낸 인도 및 파키스탄 요리로, 요구르트와 향신료에 재운 닭고기를 구워 특유의 붉은 색과 풍미를 지니며, 인도 분할 이후 펀자브인 이민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쿠웨이트 요리 - 쿠브즈
쿠브즈는 중동 지역에서 널리 소비되는 납작빵의 일종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랩,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쿠웨이트 요리 - 샤와르마
샤와르마는 회전하는 회전구이 요리로, 19세기 오스만 제국에서 도네르 케밥 형태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다양한 고기 종류와 비건 옵션으로 빵과 함께 제공되는 대표적인 패스트푸드이다.
만사프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음식 |
국가 | 요르단 |
주요 재료 | 양고기 자미드 쌀 또는 부르굴 '슈라크' 빵 |
세부 정보 | |
코스 | 식사 |
언어별 명칭 |
2. 이름
아랍어 "만사프(مَنْسَف|만사프ar)"는 "쟁반"이라는 뜻이다. 만사프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요르단의 전문가나 아랍 국가의 신문·기사 등에서 소개되는 것은 주로 다음 두 가지이다.
20세기 동안 원래의 유목민 베두인 만사프는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이 요리는 원래 고기(낙타 또는 양고기), 육수 또는 기(정제 버터)와 빵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5] 1920년대에 북부 트란스요르단에서 쌀이 대중화되면서 쌀은 점차 이 요리에 도입되었고, 처음에는 불거와 섞여서 사용되다가 나중에는 단독으로 사용되면서 흰 쌀을 기본으로 하는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자미드 소스도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 베두인은 현대에 정착하기 전까지 요리에 자미드를 사용하지 않았다.[13]
만사프는 양고기를 자미드로 만든 밑국물에 익히고, 강황과 고기 삶은 물로 지은 쌀밥과 함께 낸다. 큰 쟁반에 슈라크(얇은 납작빵)를 깔고 자미드 소스를 부어 적신 후 밥과 고기를 올린다. 기름에 튀긴 아몬드나 잣, 다진 파슬리 등을 고명으로 얹는다. 먹을 때는 손으로 고기와 쌀밥을 쥐어 한입 크기로 뭉쳐 먹는다.[8]
'''설1: 밀에 섞여 있는 쓰레기를 골라낸 후 먹었던 것에 유래한다'''
곡물을 골라내는 것을 의미하는 نسف|나사파ar(nasafa, "골라내다"의 뜻), نسف|나스프ar(nasf, "곡물을 골라내는 것/행위"의 뜻)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과거 고성능 콤바인도 없고 만사프에 넣는 밀의 수확 기술이 높지 않았을 무렵, 작은 돌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지 않은지 (손으로) 골라내 확인한 후 먹었던 것이 유래라는 설이다.
손님에게 내놓을 때 안심하고 먹도록 "أكلك منسف ونضيف"(현지 구어 아랍어 발음: aklak mnassaf w-nḍīf, "당신의 식사는 골라내져 깨끗합니다"의 뜻)의 منسّف|므낫사프ar(mnassaf, 골라내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39][40][41][42][43]
'''설2: 고대 모압 왕국의 메샤 왕에 유래한다'''
현재 요르단 부근에 과거에 있었던 모압의 메샤 왕은 어느 날 백성들에게 고기와 요구르트를 사용한 요리를 특정 날짜에 조리하도록 명령했다. 그의 지시와 요리의 내용은 유대교의 계율에 반하는 것이었지만, 신민 전원이 유대교의 계율을 알면서도 그것에 반하는 요리를 명령대로 만들었다는 보고를 받은 메샤 왕은 종주국 이스라엘에 반기를 들기로 결심했다.
왕이 이스라엘과 맺었던 협약도 모두 파기했다 نسف|나사파ar(nasafa, 여기서는 "부수다"와 같은 뜻)[44][45]는 것에 연유하여 만사프(منسف|만사프ar)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39][40][41][42]
'''설3: 만사프를 담는 접시의 이름'''
위의 두 가지 설 외에도, 만사프를 담는 큰 접시의 이름이 유래라는 설명도 있다. 원래는 문어 아랍어에서 منسف|민사프ar(minsaf)라고 불리는 곡물용 체를 가리키는 단어[46]로 존재하지만, 요리 만사프를 담는 접시의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현지 방언에서는 منسف|만사프ar(mansaf)로 요리를 담기 위한 큰 접시·트레이도 의미[46]한다. 요리 자체도 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47]
3. 역사
4. 만들기
1945년 이전에는 빵, 고기, 정제 버터(사민 벨라디)를 주재료로 사용했고, 빵은 호브즈 알-샤라크라고 불리는 통밀빵이었다.[20] 1950년대에는 불거 밀 대신 쌀을 사용하기 시작했고,[23] 1960년대 초에는 구운 아몬드와 잣을 고명으로 사용하고, 정제 버터와 육수 대신 자미드 요구르트 소스를 사용했다.[24] 1970년대 이후에는 빵이 쌀로 대체되었고, 전통적인 구리 접시 대신 꽃무늬 에나멜 또는 알루미늄 접시를 사용하게 되었다.[22]
4. 1. 재료
데쳐서 씻은 양고기를 카다멈 등 향신료를 넣어 삶은 다음, 국물에서 건져 자미드로 만든 밑국물에 넣어 익힌다. 쌀밥은 강황과 고기 삶은 물을 넣어 짓는다. 큰 쟁반에 슈라크(얇은 납작빵)를 깔고, 자미드 소스를 부어 적신 다음 쌀밥(또는 익힌 부르굴)을 올리고, 그 위에 양고기를 올린다. 껍질 벗겨 기름에 튀긴 아몬드나 잣, 다진 파슬리 등을 고명으로 얹어 낸다.
자미드는 양이나 염소 우유를 끓여서 만든 단단하고 건조된 요거트이다.[6] 이 혼합물은 나중에 고운 직조 치즈 천에 넣어 걸쭉한 요거트를 만든다. 소금을 매일 첨가하여 며칠 동안 요거트를 더욱 걸쭉하게 만들고, 그러면 매우 밀도가 높아져 둥근 공 모양으로 성형된다. 요르단의 알카라크시는 최고 품질의 자미드를 생산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다.[7]
자미드 국물을 준비하여 양고기 조각을 넣고 끓인다. 이 요리는 큰 쟁반에 납작빵(마르쿡 또는 샤락)을 깔고 그 위에 밥과 고기를 올린 다음 아몬드와 잣으로 장식하고, 마지막으로 크림 자미드 소스를 듬뿍 끼얹어 낸다.[8]
1945년 이전에는 만사프는 빵, 고기, 정제 버터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만들어졌으며, 사용된 빵은 호브즈 알-샤라크라고 불리는 통밀 빵이었다.[20] 당시 밀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작물이었기 때문에 만사프는 통밀가루를 사용하여 만들었다.[21]
1950년대 무렵 요르단의 하르타라는 도시가 시리아 및 팔레스타인 국경과 인접해 무역 네트워크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만사프를 만들 때 불거 밀을 쌀로 대체하는 것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23]
1960년대 초, 만사프 레시피에 구운 아몬드와 잣과 같은 새로운 토핑이 도입되었다.[24]
양고기는 Jameed영어라고 불리는 발효 및 건조시킨 요구르트 제품으로 만든 일종의 브로스로 삶아진다. 큰 접시에 Markook영어 또는 슈라크와 같은 무발효 빵을 깔고 그 위에 밥을 올린 다음, 고기를 올리고, 아몬드와 잣을 장식한 후, 전체에 소스를 뿌린다. Baharat영어라고 불리는 혼합 향신료로 독특한 풍미를 더한다.
4. 2. 자미드
자미드는 양이나 염소의 우유를 끓여서 만든 단단하고 건조된 요거트이다.[6] 이 혼합물은 나중에 고운 직조 치즈 천에 넣어 걸쭉한 요거트를 만든다. 며칠 동안 매일 소금을 첨가하여 요거트를 더욱 걸쭉하게 만든다. 그러면 매우 밀도가 높아져 둥근 공 모양으로 성형된다. 요르단의 알카라크는 최고 품질의 자미드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4. 3. 조리 과정
데쳐서 씻은 양고기를 카다멈 등 향신료를 넣어 삶은 다음, 국물에서 건져 자미드로 만든 밑국물에 넣어 익힌다. 쌀밥은 강황과 고기 삶은 물을 넣어 짓는다. 큰 쟁반에 슈라크(얇은 납작빵)를 깔고, 자미드 소스를 부어 적신 다음 쌀밥(또는 익힌 부르굴)을 올리고, 그 위에 양고기를 올린다. 껍질 벗겨 기름에 튀긴 아몬드나 잣, 다진 파슬리 등을 고명으로 얹어 낸다. 먹을 때는 만사프에 자미드 소스를 끼얹은 다음, 손으로 고기와 쌀밥을 쥐어 한입 크기로 뭉쳐 먹는다.[8]
1945년 이전 만사프는 빵, 고기, 정제 버터(사민 벨라디)를 주재료로 사용했다. 사용된 빵은 호브즈 알-샤라크라고 불리는 통밀빵이었다.[20] 고기는 흙과 막을 제거하기 위해 물에 삶아 빵 위에 올리고, 고기 육수를 빵 위에 부었다.[22]
이후 만사프 조리법은 몇 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육수의 양을 줄이고 불거 밀을 추가했다. 불거는 1945년경 널리 재배되면서 밀을 세척, 삶은 후 햇볕에 말려 갈아서 만들었다.[22] 1950년대에는 요르단의 하르타가 시리아 및 팔레스타인 국경과 가까워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불거 밀 대신 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3]
1960년대 초에는 구운 아몬드와 잣을 고명으로 사용하고, 정제 버터와 육수 대신 자미드 요구르트 소스를 사용했다. 사람들은 요구르트 소스에 고기를 넣어 더욱 강렬한 풍미를 냈다.[24]
1970년대 이전에는 만사프를 집 뜰의 불 위에 놓인 큰 구리 솥에 요리했으며, 재료가 익으면 큰 구리 접시에 담아 실내로 옮겼다.[25] 1970년대 이후, 빵은 쌀로 대체되었고, 전통적인 구리 접시 대신 꽃무늬 에나멜 또는 알루미늄 접시를 사용하게 되었다.[22]
만사프는 양고기를 Jameed영어라고 불리는 발효 및 건조시킨 요구르트 제품으로 만든 일종의 브로스로 삶아 만든다. 큰 접시에 마르쿡 또는 슈라크와 같은 무발효 빵을 깔고 밥, 고기, 아몬드, 잣을 올린 후 소스를 뿌린다. Baharat영어라고 불리는 혼합 향신료로 독특한 풍미를 더한다.
5. 문화와 전통
20세기 동안 원래 유목민 베두인족의 만사프는 큰 변화를 겪었다. 원래 만사프는 고기(낙타 또는 양고기), 육수 또는 기(정제 버터)와 빵으로 만들었다.[5] 1920년대 트란스요르단 북부에서 쌀이 대중화되면서 점차 만사프에 쌀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불거와 섞어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쌀만 사용하여 흰 쌀을 기본으로 하는 현대적인 만사프가 되었다. 자미드 소스 또한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 베두인족은 현대에 정착하기 전까지 만사프에 자미드를 사용하지 않았다.[13]
만사프는 고기와 요구르트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농목업 생활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요르단 문화와 관련이 깊다. 역사학자이자 인류학자인 유세프 가와네(Yousef Ghawanmeh)는 자신의 저서 『''마무루크 시대 요르단의 문화사 1250-1517''』에서 만사프가 육류와 요구르트를 쉽게 구할 수 있고 농업과 목축이 결합된 전통적인 요르단 문화의 생활 방식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요르단 서부의 카라크는 만사프의 "수도"로 널리 알려져 있다.
5. 1. 전통적인 식사 방식
만사프는 결혼, 출산, 졸업과 같은 특별한 행사나 손님을 대접할 때, 그리고 이드 알피트르, 이드 알 아드하, 크리스마스, 부활절, 요르단 독립 기념일과 같은 주요 공휴일에 제공된다.[9] 전통적으로 베두인과 시골에서는 큰 접시에 만사프를 담아 다 함께 먹는다. 이때 사람들은 접시 주위에 서서 왼손을 등 뒤에 대고 오른손을 사용하여 식기를 대신한다.[9] 만사프는 요르단에서 ''Atwa''(휴전)와 ''Ja'ha''(평화 정착 과정)로 알려진 부족 분쟁을 해결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분쟁 중인 부족의 지도자들이 서로를 방문하여 화해의 표시로 만사프를 함께 먹기 위해 양이나 염소를 희생하는데, 이는 갈등이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로 여겨진다.[11]만사프 쟁반은 사람들이 서서 둘러싸는 테이블 위에 놓인다. 만사프를 먹을 때는 왼손을 등 뒤에 대고 오른손만 사용해야 한다. 손으로 밥알을 뭉친 다음 세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에 넣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이다. 밥알이 아무리 뜨거워도 불어서 식히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 이러한 전통은 여전히 많이 지켜지고 있지만, 숟가락과 접시를 사용하여 만사프를 먹을 수도 있다.[12]
5. 2. 요르단의 국가 음식
만사프는 요르단의 전통 음식으로, 농목업 생활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결혼, 출산, 졸업과 같은 특별한 행사나 손님을 대접할 때, 그리고 이드 알피트르, 이드 알 아드하, 크리스마스, 부활절 및 요르단 독립 기념일과 같은 주요 공휴일에 주로 먹는다.[9] 전통적으로 베두인과 시골에서는 큰 접시에 담아 여럿이 함께 먹으며, 접시 주위에 서서 왼손을 등 뒤에 대고 오른손으로만 먹는다.[9]만사프는 요르단에서 부족 간 분쟁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분쟁 중인 부족의 지도자들이 만나 화해의 표시로 양이나 염소를 희생하여 만사프를 함께 먹는 것은 갈등이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로 여겨진다.[11]
원래 베두인족 사이에서 인기 있었던 만사프는, 왼손을 등 뒤에 대고 오른손만 사용하여 먹는 등 여러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밥알을 뭉친 다음 세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에 넣으며, 밥알이 뜨거워도 불어서 식히는 것은 좋지 않게 여겨진다. 물론 숟가락과 접시를 사용해서 먹을 수도 있다.[12]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수 조셉 마사드는 만사프가 20세기 초 하심-위임통치 시대에 개발되어 독립 이후 국가 요리로 공표된 비교적 최근의 요리라고 주장한다. 마사드는 만사프의 현재 형태가 독립 및 위임통치 시대의 레시피와는 다르지만 요르단 정부는 이를 국가적인 요리이자 베두인 전통의 일부로 묘사한다고 지적했다.[13]
만사프는 요르단 부족 사회의 상징적인 요리로, 다양한 축하 행사에서 먹는다. 요르단 문화에서 만사프를 제공하는 것은 후함, 즉 제공자의 관대함을 단적으로 상징하는 행위이다.
2022년 유네스코의 무형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6. 지역과 변형
알-살트와 알-카라크 주민들은 요르단에서 최고의 만사프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지역의 취향과 상황에 따라 만사프의 다른 변형도 존재한다. 아카바 항구 도시 주변 남부에서는 생선 만사프가 발견된다. 말린 요구르트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적이고 덜 의례적인 만사프의 변형은 "샤크레예"라고 부른다. 요르단 북부 지역에서는 양고기 대신 가금류로 요리하기도 한다.[17]
만사프는 요르단에서 가장 많이 먹으며, 요르단의 국민 음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팔레스타인, 시리아,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북부의 유목민 부족 사회에서도 만사프를 먹으며, 각각 팔레스타인 만사프, 시리아 만사프, 이라크 만사프, 사우디 만사프 등으로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Jordanian cuisine
http://www.kinghusse[...]
2016-04-19
[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4-14
[3]
간행물
Palestinian Food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4-12-15
[4]
서적
Middle Eastern Kitchen
https://books.google[...]
Hippocrene Books
2012-07-23
[5]
서적
Identifying the nation: the juridical and military bases of Jordanian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6]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4 volumes]: [Four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5-25
[7]
서적
Recipes and remembrances from an Eastern Mediterranean kitchen: a culinary journey through Syria, Lebanon, and Jordan
https://books.google[...]
Siamanto Press
2012-07-23
[8]
웹사이트
"الجميد الكركي" .. الخلطة السرية لانتشار شهرة المنسف الأردني
https://addustour.co[...]
2016-04-19
[9]
문서
The cultural history of Jordan during the Mamluk period 1250–1517
[10]
논문
Tribal Customary Law in Jordan
https://scholarcommo[...]
2008
[11]
웹사이트
Mansaf
https://www.tasteatl[...]
[12]
웹사이트
المنسف الأردني.. حاضر في الأعراس وسرادق العزاء
https://www.alaraby.[...]
2016-04-19
[13]
서적
Colonial Effects: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in Jorda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07-23
[14]
서적
Identifying the nation: the juridical and military bases of Jordanian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2012-07-23
[15]
서적
Temps et espaces en Palestine: flux et résistances identitaires
https://books.google[...]
Institut français du Proche-Orient
[16]
서적
Recipes and remembrances from an Eastern Mediterranean kitchen: a culinary journey through Syria, Lebanon, and Jordan
https://books.google[...]
Siamanto Press
2012-07-23
[17]
웹사이트
المنسف.. سيد الطعام العربي
http://www.addustour[...]
2016-04-20
[18]
뉴스
An Innovator Sold Jordan's National Dish in a To-Go Cup. Controversy Ensued.
https://www.nytimes.[...]
2022-06-26
[19]
뉴스
Jordanians enjoy national dish on the go
https://news.yahoo.c[...]
2022-06-26
[20]
논문
Bad Bread and the 'Outrageous Drunkenness of the Turks': Food and Identity in the Accounts of Early Modern European Travelers to the Ottoman Empire
http://dx.doi.org/10[...]
2014
[21]
논문
Making mansaf: the interplay of identity and political economy in Jordan's 'national dish'
https://doi.org/10.1[...]
2020-07-02
[22]
논문
The Sociocultural and Economic Evolution of Mansaf in Hartha, Northern Jordan
2016-04-21
[23]
논문
Modernizing Mansaf: The Consuming Contexts of Jordan's National Dish
https://doi.org/10.1[...]
2003-10-01
[24]
논문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sheep and goat milk in the Middle East
https://www.scienced[...]
2011-11-01
[25]
논문
National meal or tribal feasting dish? Jordan's mansaf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https://doi.org/10.1[...]
2021-07-13
[26]
웹사이트
Annals of the caliphs' kitchens: Ibn Sayyār al-Warrāq's tenth-century Baghdadi cookbook
https://books.google[...]
2012-06-24
[27]
웹사이트
Reference Library of Arab America: Countries & ethnic groups, Algeria to Jordan
https://books.google[...]
2012-06-24
[28]
웹사이트
Mansaf
http://lrs.ed.uiuc.e[...]
University of Illinois
2011-03-22
[29]
웹사이트
Countries around the world: Jordan
http://www.libraryvi[...]
2012-06-24
[30]
웹사이트
Travel guide: Jordanian Cuisine
http://www.isabelles[...]
2012-06-24
[31]
웹사이트
Visit Jordan: Feasting in Jordan
http://in.visitjorda[...]
2012-06-24
[32]
웹사이트
Jordan - Jordanian Cuisine
http://www.kinghusse[...]
Kinghussein.gov.jo
2011-03-22
[33]
웹사이트
Mansaf
http://lrs.ed.uiuc.e[...]
University of Illinois
2011-03-22
[34]
웹사이트
Jordan National Dish, Mansaf - Waleg Kitchen
http://www.waleg.com[...]
Waleg.com
2011-03-22
[35]
웹사이트
طريقة عمل المنسف الفلسطيني
https://www.majalla.[...]
2024-01-29
[36]
웹사이트
طريقة عمل المنسف السوري - مجلة هي
https://www.hiamag.c[...]
2024-01-29
[37]
웹사이트
منسف عراقي من المطبخ العراقي
https://www.encyclop[...]
2024-01-29
[38]
웹사이트
طريقة عمل المنسف السعودي
https://www.justfood[...]
2024-01-30
[39]
웹사이트
لماذا سميّ "المنسف" بهذا الاسم .. وما علاقة اليهود ؟! - فيديو {{!}} أردنيات {{!}} زاد الاردن الاخباري - أخبار الأردن
https://www.jordanza[...]
2024-01-29
[40]
웹사이트
«المنسف».. صلة وثيقة بالثقافة الأردنية
https://www.alkhalee[...]
2024-01-29
[41]
웹사이트
المنسف.. عشقه الأردنيون ونبذه اليهود
https://alrai.com/ar[...]
2019-05-07
[42]
웹사이트
المنسف.. الأكلة الرسمية الأردنية يوم الجمعة
https://royanews.tv/[...]
2024-01-29
[43]
Youtube
حكاية طبق - المنسف / الأردن
https://www.youtube.[...]
2024-01-29
[44]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نسف
https://www.livingar[...]
2024-01-29
[45]
웹사이트
المعاني - نسف
https://www.almaany.[...]
2024-01-30
[46]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منسف
https://www.livingar[...]
2024-01-29
[47]
웹사이트
تراثيات بيئية
https://www.maan-ctr[...]
2024-01-29
[48]
웹사이트
Mansaf: the national dish of Jordan
http://www.guidedbya[...]
2012-06-24
[49]
웹사이트
UNESCO - Al-Mansaf in Jordan, a festive banquet and its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https://ich.unesco.o[...]
2022-11-30
[50]
웹사이트
Recipes and remembrances from an Eastern Mediterranean kitchen: a culinary journey through Syria, Lebanon, and Jordan
https://books.google[...]
2012-06-24
[51]
뉴스
조용한 응급실의 의미
http://www.huffingto[...]
2016-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