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포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포시는 자강도 중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의 지안과 마주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산림이 75% 이상을 차지하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과거 평안북도 강계군의 일부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교통 요충지로서 철도교가 건설되었다. 현재는 11개의 동과 15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재업과 교통이 발달했다. 철도와 도로를 통해 북한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며, 2019년에는 전차 노선이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포시 - 자강삼강역
자강삼강역은 1959년 개통되어 운봉선의 일부였으나, 1988년 북부선에 흡수되었으며 과거 운봉댐 건설 당시 중국 측 건설 현장까지 지선이 건설되기도 했다. - 만포시 - 만포청년역
만포청년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만포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평양과 길림을 잇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며 현재 평양 방면 급행열차와 지안 방면 국제열차가 운행되고, 향후 북부내륙선의 분기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자강도의 도시 - 강계시
강계시는 자강도의 도청 소재지로, 4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강의 합류 지점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한국 전쟁 당시에는 임시 수도, 냉전 시대에는 군수 공업 도시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군수 산업과 다양한 제조업, 수력 발전이 활발하며 교육 및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자강도의 도시 - 희천시
희천시는 자강도에 위치한 도시로, 기계 공업 도시로 건설되었으며, 자동차, 전기 전자 공업이 발달하고, 희천 발전소에서 평양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만포선 철도와 평양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 1961년 설치 -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는 1960년 장면 정부가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건축 및 토목 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국토 개발 사업에 투입되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국토건설단으로 개편되어 병역 미필자 강제 동원 논란과 군사 정권의 통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961년 설치 - 태장동
태장동은 강원도 원주시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태장동, 봉산동, 가현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학교와 강원도 유형문화재인 원주 태장동 왕녀복란태실비가 위치해 있다.
만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만포시 |
한글 | 만포시 |
한자 | 滿浦市 |
로마자 표기 | Manpo-si |
McCune-Reischauer 표기 | Manp'o si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
![]() | |
![]() | |
방언 | 평안 방언 |
행정 구역 | |
종류 | 행정 구역 |
구성 | 11개 동, 15개 리 |
인구 정보 | |
인구 (2008년) | 116,760명 |
정치 | |
당 위원장 | 오명철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9 |
2. 지리
자강도 중북부 압록강변에 있는 시이다. 북동쪽으로 자성군, 동쪽으로 장강군, 남쪽으로 시중군, 서남쪽으로 위원군이 있다.
압록강 연안을 따라 여러 지류가 흐르고, 건포강과 작은 고산 평야, 건하 평야가 있다. 맞은편 지안과의 사이에는 철도교가 가설되어 있어 유통의 거점이 되고 있다.[4]
만포시의 대부분은 자강도의 다른 지역보다 낮은 고도에 위치해 있지만, 북동부와 동부에는 더 높은 고도의 지역이 있으며, 이는 압록강 강둑을 따라 훨씬 낮은 지역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시의 약 75.6%는 산림으로 덮여 있다.
2. 1. 기후
만포시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a'')를 보인다.연평균 기온은 6.5°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4.4°C이고, 7월 평균 기온은 23.6°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947.8mm로, 산악 지형으로 인해 강수량이 풍부하다.[17] [5]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6.3°C | -1.9°C | 5.9°C | 15.8°C | 22.6°C | 26.2°C | 28.3°C | 27.8°C | 22.2°C | 15.4°C | 4.9°C | -4°C |
평균 기온 (℃) | -12.9°C | -8.6°C | 0.2°C | 8.8°C | 15.4°C | 20.1°C | 23.4°C | 22.9°C | 16.2°C | 8.8°C | -0.1°C | -9.4°C |
평균 최저 기온 (℃) | -19.5°C | -15.2°C | -5.5°C | 1.9°C | 8.3°C | 14°C | 18.6°C | 18°C | 10.3°C | 2.2°C | -5.1°C | -14.8°C |
강수량 (mm) | 11mm | 13mm | 20mm | 51mm | 71mm | 116mm | 236mm | 220mm | 90mm | 44mm | 33mm | 16mm |
예전에는 평안북도 강계군의 일부로서 만포진(滿浦鎭)으로 불렸다.[14] 조선 시대에는 이 지역에 요새와 진영이 건설되었으며, 현재 도시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3]
제재업과 교통이 발달되어 있다. 아연 광산과 만포제련소가 있어 구리를 정련한다. 목재 가공 및 운송도 발달되어 있다.
만포시는 도로를 통해 북한의 다른 도시들과 연결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의 만포선, 북부내륙선과 연결된다.
3. 역사
국경의 요충지이며, 일제강점기에는 세관 지서와 수비대가 있었다. 1920년경에는 만주에서 활동하는 항일유격대가 자주 이곳을 공격하였다. 1937년에는 만주로의 철도교가 놓여져 일본 제국의 만주 지배를 위한 교통로의 하나가 되었다. 한국전쟁 때에는 중국인민지원군이 지안으로부터 만포에 월경하였다.[10]
만포시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연도 내용 1940년 11월 1일 강계군 문옥면이 만포읍으로 승격하였다.[15] 1944년 5월 10일 자성군 삼풍면 운봉동을 강계군 만포읍에 편입하였다.[16] 1949년 1월 평안북도 강계군 만포면, 고산면, 외귀면, 리서면, 시중면을 관할로 자강도 만포군 설치 (5면).[2] 1952년 12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자강도 만포군 만포면, 고산면, 외귀면, 리서면을 관할로 만포군 설치. 만포군에 만포읍, 별오리, 건평리, 문악리, 연포리, 삼강리, 미타리, 포상리, 춘산리, 남상리, 연하리, 오류리, 연상리, 건상리, 건중리, 건하리, 약수리, 흥판리, 리남리, 등공리, 송하리, 송학리, 함부리 설치 (1읍 22리). 1952년 말 건평리가 해방노동자구로 승격 (1읍 1노동자구 21리). 1958년 춘산리와 포상리가 합병하여 고산리 발족 (1읍 1노동자구 20리). 1961년 3월 오류리가 연하리에 편입, 약수리, 흥판리, 리남리가 시중군에 편입, 시중군 노남리 일부가 연상리에 편입. (1읍 1노동자구 16리) 1961년 만포시로 승격.[2] 1967년 10월 만포군이 만포시로 승격 (11동 15리). 만포읍이 분할되어 고개동, 군막동, 강안동, 세검동, 생물동, 봉화동, 관문동 발족. 문악리가 분할되어 문악동, 새마을동 발족. 연포리 일부가 분립되어 십리동리 발족. 해방노동자구 일부가 분립되어 구오동 발족. 별오리와 해방노동자구 잔부 합병되어 별오동 발족.
4. 행정 구역
동(洞) 리(里) valign="top" | valign="top" |
5. 경제
6. 교통
1937년에 건설된 국경 대교는 철도 전용 다리로, 맞은편의 집안(중국)과 연결되며 만포 대교, 집만 대교라고도 불린다. 화물 수송이 주된 용도이며,[11] 국제 열차도 하루에 한 편 운행된다.[12]
6. 1. 철도
만포청년역에서 만포선과 북부내륙선이 합류한다. 2019년 12월 군막동에서 벼루동까지 전차 노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총 길이는 약 5km이다.[6][7][8]6. 2. 도로
만포시는 도로를 통해 북한의 다른 도시들과 연결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의 은하, 만포 및 북부내륙을 통해 연결된다.
2019년 12월에 군막동에서 벼루동까지 새로운 전차 노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6][7] 총 길이는 약 5km이다.[8]6. 3. 기타
만포시는 도로를 통해 북한의 다른 도시들과 연결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만포선, 북부내륙선과 연결된다.
2019년 12월에는 군막동에서 벼루동까지 1단계 전차 노선이 새로 개통되었다.[6][7] 이 노선의 총 길이는 약 5km이다.[8]
참조
[1]
웹사이트
당의 령도업적을 빛내이는 사업에 힘을 넣어
https://rodong.rep.k[...]
Rodong Sinmun
2020-04-10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2-02
[3]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2-02
[4]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2-03
[5]
웹사이트
Climate: Manpo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6-30
[6]
웹사이트
목숨처럼 지켜야 할 본태
http://www.uriminzok[...]
2021-01-25
[7]
웹사이트
당의 령도업적을 빛내이는 사업에 힘을 넣어
https://rodong.rep.k[...]
[8]
웹사이트
Manpo
https://transphoto.o[...]
2021-01-25
[9]
웹사이트
ICBM発射台のタイヤ工場、金正恩氏が視察 〝100%国産化〟誇示「輸入品より・・・」
https://www.sankei.c[...]
2023-06-27
[10]
웹사이트
자강도 만포시 역사
http://www.cybernk.n[...]
[11]
뉴스
金正日訪中は満浦市住民も分からなかった
http://www.asiapress[...]
デイリーNK
[12]
뉴스
北 “満浦市を現代的都市に再開発”
http://japan.dailynk[...]
デイリーNK
[1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14]
문서
정3품 당상관 무관인 만포진첨절제사가 임명된 지방 육군 군영이다.
[15]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16]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99호
1944-05-10
[17]
웹인용
Climate: Manpo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