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시벳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벳(학명: ''Viverra tangalunga'')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몸에는 검은 반점과 줄무늬가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 특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등지에 분포하며, 숲, 경작지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잡식성으로 육상 생활을 하며, 벌목으로 인해 서식지가 위협받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야생동물 보호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지만, 해충으로 간주되어 사냥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포유류 - 듀공
    듀공은 바다소목 듀공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얕은 바다에서 해초를 먹고 악어, 범고래, 상어 등이 천적이며, 과거 사냥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싱가포르의 포유류 - 이라와디돌고래
    이라와디돌고래는 짧은 부리와 둥근 머리, 작은 삼각형 등지느러미가 특징인 참돌고래과의 돌고래로 동남아시아 하천 하구와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가 시급하다.
  • 1832년 기재된 포유류 - 자바워티피그
    자바워티피그는 인도네시아 자바 섬 등에 분포하며 머리 윗부분부터 등까지 긴 갈기 머리와 얼굴에 세 쌍의 혹이 있는 멧돼지과의 야행성 동물이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832년 기재된 포유류 - 세줄무늬사향고양이
    세줄무늬사향고양이는 지리적 분포에 따라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며, 주요 아종으로는 Arctogalidia trivirgata bancana, Arctogalidia trivirgata fusca, Arctogalidia trivirgata inornata 등이 있다.
  • 필리핀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필리핀의 포유류 - 듀공
    듀공은 바다소목 듀공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얕은 바다에서 해초를 먹고 악어, 범고래, 상어 등이 천적이며, 과거 사냥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말레이시벳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말레이시벳
말레이시벳
학명Viverra tangalunga
명명자Gray, 1832
멸종 위기 등급LC (최소 관심)
말레이시벳 분포 지역 (진한 녹색: 현존, 연한 녹색: 추정)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사향고양이과
사향고양이속
말레이시벳 (V. tangalunga)

2. 특징

말레이시벳의 꼬리는 윗부분은 검고 아랫부분은 둥글게 말려있다.[16] 상체는 수많은 검은색 반점과 함께 회색빛을 띠며, 꼬리에는 약 15줄의 검은 줄무늬가 나 있다.[16][3]

3. 분포 및 서식지

역사적으로 알려져 있는 말레이시벳의 분포 지역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제도, 싱가포르이다.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시벳은 보르네오섬, 방기섬, 랑카위, 피낭섬 그리고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에서 발견된다.[17] 수마트라섬술라웨시섬에서도 알려져 있으며,[18] 말루쿠 제도에서 사는 종들은 도입종이다.[15]

박물관 기록에 의하면, 말레이시벳은 인도네시아의 자와섬, 바웰, 텔록 파이 그리고 필리핀의 레이테섬에서도 발견된다.[19] 2012년에는 싱가포르에서 한 개체가 사진으로 포착되기도 했다.[20] 서식지는 숲과 이차 서식지, 경작지, 마을 외곽 등 아주 다양하다.[21] 사바주 군눙 마달란의 해발 900m 높이와 사라왁의 우순 아파우 및 켈라빗 고지의 해발 1100m 높이에서 발견된다.

필리핀의 말레이시벳 개체군은 보르네오에서 기원하여 팔라완섬으로 자연적으로 서식지를 넓혔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빙하기 동안 필리핀 섬들 사이에는 육지 연결이 없었기 때문에, 이후 인간에 의해 필리핀 나머지 지역으로 확산되었을 수 있다.[8]

4. 생태 및 행동

말레이사향고양이는 잡식성이며, 주로 육상에서 생활한다.[10]

말레이사향고양이의 밀도는 벌채되지 않은 숲에서 벌채된 숲보다 더 높다. 과일은 벌채되지 않은 숲에서 벌채된 숲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벌채되지 않은 숲에서 과일이 식단의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벌채는 주로 육상 생활을 하는 말레이사향고양이와 달리 나무에서 직접 과일을 섭취할 수 있는 팜시벳과 같은 다른 과식동물에 의한 경쟁을 증가시킬 수 있다.[11]

말레이시아 베라 호 주변에서 말레이사향고양이는 벌채된 숲에서도 발견되었다. 수목성 과식성 사향고양이는 벌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육상성 육식성 또는 곤충식성 종은 벌채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12]

5. 계통 분류

다음은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22]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줄무늬사향고양이

|-

|



|}

|-

| 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인도사향고양이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시벳

|-

| 사향고양이속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존스턴제넷

|-

|



|}

|-

|

{| class="wikitable"

|-

| 서발린제넷

|-

|

{| class="wikitable"

|-

| 케이프제넷

|-

| 유럽제넷

|-

|



|}

|}

|}

|}

|}

|}

|}

6. 위협

말레이시벳은 땅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올가미나 다른 지상 덫, 사냥개를 이용한 사냥에 취약하다.[1] 사람이 많이 다니는 지역에 대한 제한적인 조사에 따르면, 말레이시벳은 이러한 위협 속에서도 비교적 잘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종은 가끔 식용으로 사냥되거나, 가금류를 공격하는 해로운 동물로 취급되기도 한다.[1]

보르네오섬에서는 벌목 작업이 말레이사향고양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13]

7. 보존

말레이시벳은 1972년 야생동물 보호법(WPA)에 따라 말레이시아에서 보호받고 있다.[1] 그러나 말레이시아 반도의 많은 시골 지역에서는 말레이시벳이 작은 가축을 잡아먹고 과수원을 습격하기 때문에 해충으로 간주된다. 1972년 WPA 제55조에 따르면, 농부는 동물에게 위협을 가하려는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인 경우 재산에 피해를 입히는 야생 동물을 사살할 수 있다.[14]

참조

[1] 간행물 "''Viverra tangalunga''" 2016
[2] 논문 On the family of Viverridae and its generic sub-divisions, with an enumeration of the species of several new ones https://books.google[...]
[3] 논문 A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viverrine animals (Viverridae), founded on the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4] 서적 Mammals of the Indomalayan region. A systematic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Checklist of the Mammals of Indonesia: Scientific Names and Distribution Area Tables in Indonesia Including CITES, IUCN and Indonesian Categories for Conservation LIPI-JICA-PHKA
[6] 논문 Small carnivores on small islands: new data based on old skulls http://www.smallcarn[...] 2012-10-24
[7] 논문 Occurrence of the Malay civet, ''Viverra Tangalunga''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in Singapore
[8] 논문 The distribution of the Malay civet ''Viverra tangalunga'' (Carnivora: Viverridae) across Southeast Asia: natural or human-mediated dispersal? 2014
[9] 논문 Ranging behaviour and activity of the Malay civet (''Viverra tangalunga'') in a logged and an unlogged forest in Danum Valley, East Malaysia
[10] 문서 Carnivores of Mainland South-East Asia Endangered Species Unit, WWF-Thailand Project Office, Thailand
[11] 문서 "Ecology of the Malay Civet (''Viverra tangalunga'') in a logged and unlogged forest in Sabah, East Malaysia." PhD dissertation. Fordham University, New York, USA
[12] 문서 A small-mammal survey at Tasek Bera, Pahang, Malaysia's first Ramsar site Malayan Nature Journal, 54: 31–41
[13] 서적 "Life after logging: reconciling wildlife conservation and production forestry in Indonesian Borneo" https://books.google[...]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14] 간행물 The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mustelids, viverrids, and herpestids in a disturbed forest in Peninsular Malaysia https://web.archive.[...] Small Carnivore Conservation 29 2015-01-29
[15] 간행물 Viverra tangalunga
[16] 문서 "A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viverrine animals (Viverridae), founded on the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http://archive.org/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for the year 1864: 502–579
[17] 서적 "Mammals of the Indomalayan region. A systematic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8] 서적 "Checklist of the Mammals of Indonesia: Scientific Names and Distribution Area Tables in Indonesia Including CITES, IUCN and Indonesian Categories for Conservation" LIPI-JICA-PHKA, Bogor, Indonesia
[19] 간행물 "Small carnivores on small islands: new data based on old skulls" http://www.smallcarn[...] Small Carnivore Conservation 33 20150129171921
[20] 문서 "Occurrence of the Malay civet, ''Viverra Tangalunga''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in Singapore" Nature in Singapore 5: 79–81
[21] 문서 "Ranging behaviour and activity of the Malay civet (''Viverra tangalunga'') in a logged and an unlogged forest in Danum Valley, East Malaysia" Journal of Zoology (London) 257: 473–485
[22]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uahost.uantw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