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 말레이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도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의 11개 주와 2개의 연방 직할구(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말레이시아의 주요 지역으로, 조호르, 케다, 클란탄, 말라카, 느그리슴빌란, 파항, 페낭, 페락, 유리, 슬랑고르, 트렝가누 주가 있으며, 이 지역은 말레이시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말레이인, 중국인, 인도인 등 다양한 민족과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반도 말레이시아는 동해안과 서해안으로 구분되며, 서해안은 경제적으로 발전된 지역이다. 동말레이시아(사바, 사라왁)와는 별도의 사법 법원 구조 및 이민 규정을 갖는 등 행정적으로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동말레이시아
동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섬 북부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지역으로 사바주, 사라왁주, 라부안 연방 직할지로 구성되며, 서말레이시아보다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가지고 출입국 관리를 시행하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천연자원이 풍부하지만 필리핀 남부 무슬림 세력의 테러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지리 - 말레이반도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 말레이반도 - 태국 남부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태국의 지리적, 행정적 지역으로 크라 지협을 통해 본토와 연결되며, 다양한 지형과 산맥, 강, 호수가 존재하고, 고대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1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고, 남부 태국어가 사용되며, 불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주민이 거주하고, 농업, 산업, 관광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말레이반도 - 빠따니 말레이어
빠따니 말레이어는 태국 남부 빠따니 지역과 말레이시아 켈란탄주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으로,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또는 바하사 파타니라고도 불리며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자위 문자를 사용하며 태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가 존재한다. - 본토 - 덴마크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북유럽 입헌 군주국으로, "덴인의 땅"이라는 뜻의 국명을 가지며, 바이킹 시대를 거쳐 선진 복지 국가로 발전하여 EU와 NATO 회원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높은 삶의 질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 본토 - 프랑스 본토
프랑스 본토는 유럽 대륙에 위치한 프랑스 공화국의 주요 영토로, 프랑스 전체 면적과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외 영토와의 불평등한 관계를 반영한다는 비판으로 대체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반도 말레이시아 | |
---|---|
지도 정보 | |
명칭 | |
한국어 | 말레이시아 반도 |
말레이시아어 | Semenanjung Malaysia (스므난중 말레이시아) |
중국어 | 马来西亚半岛地区 (Mǎláixīyà bàndǎo dìqū, 말레이시아 반다오 디취) |
타밀어 | தீபகற்ப மலேசியா (Tīpakatpa Malēciyā, 티파카트파 말레시아) |
다른 명칭 | 말레이시아 서부 (Malaysia Barat, 말레이시아 바랏), 말라야 (Tanah Melayu, 타나 믈라유) |
지리 | |
위치 | 말레이 반도 남부 |
면적 | 130,598 km² |
행정 구역 | |
구성 국가 | 조호르주 말라카주 느그리슴빌란주 파항주 슬랑오르주 트렝가누주 클란탄주 페락주 프를리스주 피낭주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
인구 | |
2010년 | 21,940,800명 |
2. 행정 구역
반도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의 13개 주와 3개 연방 직할구 중에서 11개 주와 2개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다.[14] 여기에는 말레이시아의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와 행정 수도인 푸트라자야가 포함된다. 이 두 연방 직할구는 지리적으로 슬랑오르 주 안에 위치하고 있다.
2. 1. 주 목록
반도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의 13개 주와 3개 연방 직할구 중 11개 주와 2개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수도인 쿠알라룸푸르를 포함한다. 각 주는 주지사 또는 술탄과 같은 세습 통치자를 국가 원수로 두며, 행정 수반은 주 총리(멘테리 베사르) 또는 수석 장관(크투아 멘테리)이 맡는다.국기 | 문장 | 주 | 주도 | 왕실 수도 | 면적 (km²)[3] | 국가 원수 | 행정 수반 |
---|---|---|---|---|---|---|---|
-- | -- | 조호르 | 조호르바루 | 무아르 | 19166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 -- | 케다 | 알로르스타르 | 아낙 부킷 | 9492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 -- | 클란탄 | 코타바루 | 쿠방 케리안 | 15040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 -- | 말라카 | 말라카 시티 | — | 1712km2 | 양 디-퍼르투아 네게리 (주지사) | 수석 장관 |
-- | -- | 느그리슴빌란 | 세렘반 | 세리 메난티 | 6658km2 | 얌투안 베사르 (대군주) | 멘테리 베사르 |
-- | -- | 파항 | 콴탄 | 페칸 | 35965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 -- | 페낭 | 조지타운 | — | 1049km2 | 양 디-퍼르투아 네게리 (주지사) | 수석 장관 |
-- | -- | 페락 | 이포 | 쿠알라 강사르 | 21146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 -- | 펄리스 | 캉가르 | 아라우 | 819km2 | 라자 | 멘테리 베사르 |
-- | -- | 슬랑오르* | 샤알람 | 클랑 | 7951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 -- | 트렝가누 | 쿠알라 트렝가누 | 쿠알라 트렝가누 | 12958km2 | 술탄 | 멘테리 베사르 |
* 두 개의 연방 직할구인 쿠알라룸푸르와 푸트라자야는 슬랑오르 주 경계 내에 위치한다.
반도 말레이시아의 주와 연방 직할구는 지리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14]
2. 2. 연방 직할구
반도 말레이시아에는 2개의 연방 직할구가 있다.[14] 이들은 말레이시아의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와 행정 수도인 푸트라자야이다. 두 연방 직할구 모두 지리적으로 슬랑고르 주 안에 있다.3. 명칭
"말레이시아"는 "믈라유(Melayu)의 나라"라는 뜻이며, '믈라유'라는 단어 자체는 산스크리트어로 "산맥이 있는 토지"를 의미하는 '말라야드비파(Malayadvipa)'에서 유래했다.[15] 이 명칭은 수마트라 섬의 강 이름에서 유래하여 동인도 제도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퍼져나갔다.[16]
1963년 말레이시아는 기존의 말라야 연방에 북보르네오, 사라왁, 그리고 자치권을 가진 싱가포르 주가 합병하여 새롭게 성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필리핀 역시 과거 자국 영토 일부가 '말레이시아'로 불렸던 역사 때문에 이 명칭 사용을 고려하기도 했다.[17]
현재 말레이시아의 반도 지역을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명칭은 '''반도 말레이시아'''(Semenanjung Malaysia|스므난중 말레이시아msa)이다. 과거에는 '서말레이시아'(West Malaysia|웨스트 말레이시아eng) 또는 '말라야'(Malaya|말라야eng)라는 명칭도 사용되었다.[18][19] 그러나 '서말레이시아'는 동말레이시아와 마치 별개의 국가인 듯한 인상을 줄 수 있고, '말라야'는 영국 식민 통치 시대의 함의를 지니고 있어 오늘날에는 사용 빈도가 낮아졌다.
그럼에도 '말라야'라는 명칭은 말라야 고등 법원, 말라야 대학교, 말레이 철도( Malayan Railwayeng, Keretapi Tanah Melayumsa) 등 일부 공식 기관의 명칭에 여전히 남아있다. 역사적 또는 지리적 맥락에서 '말라야'는 1965년에 분리 독립한 싱가포르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4] 하지만 행정 구역 단위를 나타내는 '말라야 주'(States of Malaya|스테이츠 오브 말라야eng)에는 싱가포르가 포함되지 않는다. 현대 말레이시아 구어에서는 Gempar satu Malaya!|금파르 사투 말라야!msa (온 말라야가 경악하다!)와 같이 농담 섞인 관용구로 사용되기도 한다.[20]
한편, '반도 말레이시아'는 지리적 용어인 말레이 반도와는 구분해야 한다.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남단, 반도 말레이시아, 태국 남부를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지리적 영역을 가리킨다.
4. 지리
반도 말레이시아는 말레이 반도의 남쪽 끝 부분에 해당하며, 미얀마와 태국의 일부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지리적 개념인 말레이 반도와는 구분된다. 지리적으로는 남중국해에 면한 동해안과 말라카 해협에 면한 서해안으로 나뉘기도 한다.
4. 1. 동해안과 서해안
"동해안"(Pantai Timur|판타이 티무르ms)은 말레이시아에서 반도 말레이시아 동쪽에 위치하며 남중국해에 면한 주들을 가리킨다.[14] 동해안에 속하는 주는 다음과 같다.
"서해안"(Pantai Barat|판타이 바랏ms)은 동해안과 달리 인도양의 말라카 해협에 면한 반도 말레이시아의 나머지 주와 연방 직할령을 비공식적으로 지칭한다. 서해안은 북부, 중부, 남부의 세 지역으로 나뉜다.[22]
조호르주는 남중국해에도 해안선이 있지만, 주요 해안선이 조호르 해협에 있어 일반적으로 서해안으로 분류된다.[22] 싱가포르를 포함할 경우에도 서해안으로 간주된다.
반도 말레이시아의 동해안은 서해안과 사회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다. 동해안 주들의 인구는 말레이인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들은 사회 보수 및 이슬람주의 가치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고, 정치적으로는 말레이시아 이슬람당의 지지세가 강하다.
5. 인구
반도 말레이시아 인구는 말레이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이들은 주로 무슬림이다.[5][21] 이외에도 중국계와 인도계 인구가 상당수 거주하며, 토착 민족인 오랑 아슬리도 존재한다.[6]
5. 1. 인구 구성 (2020년)
반도 말레이시아 인구의 다수는 말레이인이며, 이들은 주로 무슬림이다.[5][21] 상당수의 중국계와 인도계 인구도 존재한다. 오랑 아슬리는 반도 말레이시아의 토착민으로, 2022년 기준 약 209,575명이며, 주로 이 지역 내륙에 거주한다.[6]2020년 기준 반도 말레이시아의 민족 구성과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5. 2. 종교 분포 (2020년 추정)
wikitext6. 경제
7. 동말레이시아와의 관계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 (사바 및 사라왁)의 구분은 단순히 지리적인 영역을 넘어선다. 이는 말레이시아 연방 결성 이전부터 행정적으로 분리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말라야 연방의 기존 주보다 더 많은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동말레이시아는 서말레이시아와 다른 사법 법원 구조를 가지며 별도의 이민 규정을 적용한다. 서말레이시아 주민이 동말레이시아를 방문할 때 여권 제시를 요구받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권리는 사라왁 주의 18개 조항 합의 및 사바 주의 20개 조항 합의에 따라 보장된 것이다. 이 합의들은 현재의 말레이시아 연방이 결성될 당시 말라야 연방과의 약속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arth from Space: Separation by Sea
https://www.esa.int/[...]
2022-07-15
[2]
웹사이트
Peninsular Malaysia
https://www.travelfi[...]
2022-07-15
[3]
웹사이트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http://www.statistic[...]
Jabatan Perangkaan Malaysia
2011-01-24
[4]
웹사이트
Interpretation Act 1965 - Singapore Statutes Online
https://sso.agc.gov.[...]
2022-10-07
[5]
논문
Some Aspects of Malay-Muslim Ethnicity in Peninsular Malaysia
1981
[6]
웹사이트
Carta Taburan Etnik Orang Asli Mengikut Negeri
https://www.jakoa.go[...]
2023-05-31
[7]
뉴스
Petronas Sees Growth Slowdown until 2014
https://www.thestar.[...]
2019-09-01
[8]
서적
Dimensions of social life: essays in honor of David G. Mandelbaum
M. de Gruyter
1987
[9]
웹사이트
Laporan Kiraan Permulaan 2010
http://www.statistic[...]
Jabatan Perangkaan Malaysia
2011-01-24
[10]
간행물
Peninsular Malaysia
http://www.travelfis[...]
[11]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alaysiat[...]
Malaysia Travel.org.uk
2010-07-07
[12]
웹사이트
Chart 3: Population distribution by state, Malaysia, 2010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2-12-13
[13]
웹사이트
Population by States and Ethnic Group
http://pmr.peneranga[...]
Department of Information,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Malaysia
2015-02-12
[14]
간행물
Malaysia Regions
http://www.2malaysia[...]
[15]
문서
Some contributions of India to the ancient civilisation of Indonesia and Malaysia
Punthi Pustak
1970
[16]
서적
Sejarah Bahasa Melayu ("History of the Malay Language")
Utusan Publications & Distributors
[17]
서적
Regional Minorities and Development in Asia
http://www.sabrizain[...]
Routledge
[18]
웹사이트
Legitimacy of the Malays as the Sons of the Soil
http://www.ccsenet.o[...]
Canadian Center of Science and Education
2016-11-17
[19]
서적
Imperial alchemy : nationalism and political identity in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문서
Hikmah, kelaziman jodoh tidak kesampaian
http://kosmo.com.my/[...]
[21]
간행물
Some aspects of Malay-Muslim Ethnicity in Peninsular Malaysia
1981-06
[22]
웹사이트
The west coast Guide
https://www.roughgui[...]
Rough Guides
2016-11-17
[23]
웹인용
Earth from Space: Separation by Sea
https://www.esa.int/[...]
2022-07-15
[24]
웹인용
Peninsular Malaysia
https://www.travelfi[...]
2022-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