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시아의 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의 인구는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1년 기준 부미푸트라(말레이인과 기타 토착민)가 약 69.7%, 중국계가 22.5%, 인도계가 6.8%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의 공식 언어는 말레이어이며, 영어도 널리 사용된다. 주요 종교는 이슬람교(약 63.5%), 불교(약 18.7%), 기독교(약 9.1%), 힌두교(약 6.1%) 등이다. 교육 시스템은 초등, 중등, 고등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맹률은 88.7%로 높은 편이다. 말레이시아는 보편적 의료 보장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쿠알라룸푸르, 조지타운, 조호르 바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말레이시아의 인구
말레이시아 인구 통계
2020년 말레이시아 단일 연령 인구 피라미드
2020년 말레이시아 인구 피라미드
기본 정보
국가말레이시아
민족부미푸트라 (69.9%)
중국인 (22.8%)
인도인 (6.6%)
공용어말레이어
인구 통계
총 인구 (2024년 추정치)34,100,000명
0-14세22.46%
15-64세69.42%
65세 이상8.12%
인구 성장률 (2023년 추정치)1.03%
출생률 (2023년 추정치)1,000명당 13.2명
사망률 (2023년 추정치)1,000명당 5.8명
순 이민율 (2022년 추정치)1,000명당 1.48명
성비 (출생 시)남아 1.07명/여아 1명
성비 (15세 미만)남아 1.06명/여아 1명
성비 (65세 이상)남아 1.14명/여아 1명
총 성비 (2022년 추정치)남아 1.05명/여아 1명
영아 사망률1,000명당 6.59명
평균 수명76.13년
평균 수명 (남성)74.5년
평균 수명 (여성)77.87년
합계 출산율 (2023년 추정치)여성 1인당 1.70명
면적
총 면적131,598 제곱킬로미터 (50,810.22 제곱마일)

2. 인구 통계

말레이시아의 인구 추이는 연간 평균 기준으로 유엔의 통계를 따랐다.[104]

기간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조사망률자연 증감률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
1950–1955280 00092 000188 00042.714.025.36.2396.4
1955–1960318 00089 000229 00041.911.728.96.2379.5
1960–1965361 00086 000275 00040.89.729.96.2364.3
1965–1970351 00082 000268 00034.28.028.15.2151.0
1970–1975365 00082 000283 00031.47.125.94.5640.4
1975–1980385 00083 000302 00029.46.321.73.9331.9
1980–1985436 00086 000350 00029.55.826.43.7325.3
1985–1990488 00091 000397 00028.75.326.93.5919.9
1990–1995535 00097 000438 00027.55.022.83.4215.7
1995–2000559 000104 000454 00025.34.719.83.1812.4
2000–2005572 000114 000458 00019.44.514.92.45align="right" |
2005–2010571 000127 000443 00017.64.613.02.22align="right" |


2. 1. 인구 추이

말레이시아의 인구 추이는 연간 평균 기준으로 유엔의 통계를 따랐다.[104]

기간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조사망률자연 증감률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
1950–1955280 00092 000188 00042.714.025.36.2396.4
1955–1960318 00089 000229 00041.911.728.96.2379.5
1960–1965361 00086 000275 00040.89.729.96.2364.3
1965–1970351 00082 000268 00034.28.028.15.2151.0
1970–1975365 00082 000283 00031.47.125.94.5640.4
1975–1980385 00083 000302 00029.46.321.73.9331.9
1980–1985436 00086 000350 00029.55.826.43.7325.3
1985–1990488 00091 000397 00028.75.326.93.5919.9
1990–1995535 00097 000438 00027.55.022.83.4215.7
1995–2000559 000104 000454 00025.34.719.83.1812.4
2000–2005572 000114 000458 00019.44.514.92.45align="right" |
2005–2010571 000127 000443 00017.64.613.02.22align="right" |


2. 2. 출생 및 사망 통계

wikitext

1961년부터 2003년까지의 인구 성장


출처는 국제 연합이다.[26]

기간연간 출생연간 사망연간 자연 증가출생률1사망률1자연 증가율1합계 출산율1영아 사망률1
1950–1955280 00092 000188 00042.714.025.36.2396.4
1955–1960318 00089 000229 00041.911.728.96.2379.5
1960–1965361 00086 000275 00040.89.729.96.2364.3
1965–1970351 00082 000268 00034.28.028.15.2151.0
1970–1975365 00082 000283 00031.47.125.94.5640.4
1975–1980385 00083 000302 00029.46.321.73.9331.9
1980–1985436 00086 000350 00029.55.826.43.7325.3
1985–1990488 00091 000397 00028.75.326.93.5919.9
1990–1995535 00097 000438 00027.55.022.83.4215.7
1995–2000559 000104 000454 00025.34.719.83.1812.4
2000–2005572 000114 000458 00019.44.514.92.45style="text-align:right;"|
2005–2010571 000127 000443 00017.64.613.02.22style="text-align:right;"|
2010–2015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7.14.712.42.11style="text-align:right;"|
2015–2020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6.85.111.72.01style="text-align:right;"|
2020–2025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5.95.510.41.92style="text-align:right;"|
2025–2030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4.55.98.61.85style="text-align:right;"|
1 출생률 =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사망률 =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자연 증가율 = 자연 증가율(인구 1,000명당); 합계 출산율 = 합계 출산율(여성 1명당 출생아 수); 영아 사망률 = 영아 사망률(출생아 1,000명당)



출처는 말레이시아 통계청이다.[105][106]

{| class="wikitable"

!

! width="80" |인구

! width="80" |출생아 수

! width="80" |사망자 수

! width="80" |자연 증감

! width="80" |조출생률 (1000명당)

! width="80" |조사망률 (1000명당)

! width="80" |자연 증감률 (1000명당)

! width="80" |합계출산율

|-

|1947

| align="right" |4,908,1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0

| align="right" |19.4

| align="right" |23.6

| align="right" |

|-

|1948

| align="right" |4,987,4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0.4

| align="right" |16.3

| align="right" |24.2

| align="right" |

|-

|1949

| align="right" |5,081,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8

| align="right" |14.2

| align="right" |29.6

| align="right" |

|-

|1950

| align="right" |5,226,5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2.0

| align="right" |15.8

| align="right" |26.2

| align="right" |

|-

|1951

| align="right" |5,337,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6

| align="right" |15.3

| align="right" |28.3

| align="right" |

|-

|1952

| align="right" |5,506,4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4.4

| align="right" |13.6

| align="right" |30.8

| align="right" |

|-

|1953

| align="right" |5,706,0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7

| align="right" |12.4

| align="right" |31.3

| align="right" |

|-

|1954

| align="right" |5,888,6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8

| align="right" |12.2

| align="right" |31.6

| align="right" |

|-

|1955

| align="right" |6,058,3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0

| align="right" |11.5

| align="right" |31.6

| align="right" |

|-

|1956

| align="right" |6,251,6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5.5

| align="right" |11.3

| align="right" |34.3

| align="right" |

|-

|1957

| align="right" |6,278,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6.2

| align="right" |12.4

| align="right" |33.7

| align="right" |

|-

|1958

| align="right" |6,504,6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3.3

| align="right" |11.0

| align="right" |32.3

| align="right" |6.3

|-

|1959

| align="right" |6,702,6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2.1

| align="right" |9.7

| align="right" |32.4

| align="right" |6.2

|-

|1960

| align="right" |8,118,0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0.9

| align="right" |9.5

| align="right" |31.4

| align="right" |6.0

|-

|1961

| align="right" |8,378,5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1.8

| align="right" |9.2

| align="right" |32.6

| align="right" |6.2

|-

|1962

| align="right" |8,651,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40.4

| align="right" |9.4

| align="right" |31.0

| align="right" |6.0

|-

|1963

| align="right" |8,920,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8.1

| align="right" |8.5

| align="right" |29.7

| align="right" |6.0

|-

|1964

| align="right" |9,168,4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8.2

| align="right" |7.7

| align="right" |30.5

| align="right" |6.0

|-

|1965

| align="right" |9,436,6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6.1

| align="right" |7.5

| align="right" |28.5

| align="right" |5.6

|-

|1966

| align="right" |9,732,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6.7

| align="right" |7.3

| align="right" |29.4

| align="right" |5.7

|-

|1967

| align="right" |10,007,4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4.9

| align="right" |7.2

| align="right" |27.7

| align="right" |5.4

|-

|1968

| align="right" |10,252,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5.2

| align="right" |7.2

| align="right" |28.0

| align="right" |5.4

|-

|1969

| align="right" |10,500,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3.3

| align="right" |7.0

| align="right" |26.3

| align="right" |5.1

|-

|1970

| align="right" |10,881,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2.4

| align="right" |6.7

| align="right" |25.7

| align="right" |4.9

|-

|1971

| align="right" |11,159,7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2.8

| align="right" |6.6

| align="right" |26.3

| align="right" |4.9

|-

|1972

| align="right" |11,441,3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2.2

| align="right" |6.3

| align="right" |25.9

| align="right" |4.7

|-

|1973

| align="right" |11,719,8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1.1

| align="right" |6.3

| align="right" |24.8

| align="right" |4.5

|-

|1974

| align="right" |12,001,3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1.3

| align="right" |6.0

| align="right" |25.3

| align="right" |4.4

|-

|1975

| align="right" |12,300,3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7

| align="right" |6.0

| align="right" |24.8

| align="right" |4.3

|-

|1976

| align="right" |12,588,1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9

| align="right" |5.7

| align="right" |25.3

| align="right" |4.2

|-

|1977

| align="right" |12,901,1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3

| align="right" |5.8

| align="right" |24.5

| align="right" |4.1

|-

|1978

| align="right" |13,200,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29.7

| align="right" |5.4

| align="right" |24.3

| align="right" |4.0

|-

|1979

| align="right" |13,518,3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4

| align="right" |5.4

| align="right" |25.0

| align="right" |4.0

|-

|1980

| align="right" |13,879,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6

| align="right" |5.3

| align="right" |25.4

| align="right" |4.0

|-

|1981

| align="right" |14,256,9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1.2

| align="right" |4.9

| align="right" |26.3

| align="right" |4.0

|-

|1982

| align="right" |14,651,1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1.0

| align="right" |5.0

| align="right" |26.0

| align="right" |4.0

|-

|1983

| align="right" |15,048,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2

| align="right" |5.1

| align="right" |25.1

| align="right" |3.8

|-

|1984

| align="right" |15,450,4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1.0

| align="right" |5.0

| align="right" |25.9

| align="right" |3.9

|-

|1985

| align="right" |15,882,700

| align="right" |497,414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1.5

| align="right" |5.0

| align="right" |26.6

| align="right" |4.0

|-

|1986

| align="right" |16,329,4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30.6

| align="right" |4.7

| align="right" |25.8

| align="right" |3.9

|-

|1987

| align="right" |16,773,500

| align="right" |488,200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29.3

| align="right" |4.5

| align="right" |24.7

| align="right" |3.7

|-

|1988

| align="right" |17,219,100

| align="right" |507,579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29.7

| align="right" |4.6

| align="right" |25.0

| align="right" |3.7

|-

|1989

| align="right" |17,662,100

| align="right" |469,663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26.8

| align="right" |4.6

| align="right" |22.2

| align="right" |3.4

|-

|1990

| align="right" |18,102,400

| align="right" |497,522

| align="right" |83,244

| align="right" |414,278

| align="right" |27.9

| align="right" |4.6

| align="right" |23.3

| align="right" |3.5

|-

|1991

| align="right" |18,547,200

| align="right" |511,527

| align="right" |84,221

| align="right" |427,306

| align="right" |27.6

| align="right" |4.5

| align="right" |23.0

| align="right" |3.4

|-

|1992

| align="right" |19,067,500

| align="right" |528,475

| align="right" |86,040

| align="right" |442,435

| align="right" |27.7

| align="right" |4.5

| align="right" |23.2

| align="right" |3.5

|-

|1993

| align="right" |19,601,500

| align="right" |541,887

| align="right" |87,626

| align="right" |454,261

| align="right" |27.6

| align="right" |4.5

| align="right" |23.2

| align="right" |3.5

|-

|1994

| align="right" |20,141,700

| align="right" |537,654

| align="right" |90,079

| align="right" |447,575

| align="right" |26.7

| align="right" |4.5

| align="right" |22.2

| align="right" |3.4

|-

|1995

| align="right" |20,681,800

| align="right" |539,295

| align="right" |95,103

| align="right" |444,192

| align="right" |26.1

| align="right" |4.6

| align="right" |21.5

| align="right" |3.3

|-

|1996

| align="right" |21,222,600

| align="right" |540,866

| align="right" |95,520

| align="right" |445,346

| align="right" |25.5

| align="right" |4.5

| align="right" |21.0

| align="right" |3.2

|-

|1997

| align="right" |21,769,300

| align="right" |537,104

| align="right" |97,042

| align="right" |440,062

| align="right" |24.8

| align="right" |4.5

| align="right" |20.3

| align="right" |3.1

|-

|1998

| align="right" |22,333,500

| align="right" |554,573

| align="right" |97,906

| align="right" |456,667

| align="right" |25.0

| align="right" |4.4

| align="right" |20.6

| align="right" |3.0

|-

|1999

| align="right" |22,909,500

| align="right" |554,200

| align="right" |100,900

| align="right" |453,300

| align="right" |24.4

| align="right" |4.4

| align="right" |20.0

| align="right" |2.9

|-

|2000

| align="right" |23,494,900

| align="right" |569,500

| align="right" |102,100

| align="right" |467,400

| align="right" |24.5

| align="right" |4.4

| align="right" |20.1

| align="right" |2.9

|-

|2001

| align="right" |24,030,500

| align="right" |516,000

| align="right" |104,600

| align="right" |411,400

| align="right" |21.5

| align="right" |4.4

| align="right" |17.1

| align="right" |2.7

|-

|2002

| align="right" |24,542,500

| align="right" |482,600

| align="right" |105,900

| align="right" |376,700

| align="right" |19.7

| align="right" |4.3

| align="right" |15.4

| align="right" |2.6

|-

|2003

| align="right" |25,038,100

| align="right" |516,300

| align="right" |111,700

| align="right" |404,600

| align="right" |20.6

| align="right" |4.5

| align="right" |16.1

| align="right" |2.5

|-

|2004

| align="right" |25,541,500

| align="right" |514,500

| align="right" |113,900

| align="right" |400,600

| align="right" |20.1

| align="right" |4.5

| align="right" |15.6

| align="right" |2.5

|-

|2005

| align="right" |26,045,500

| align="right" |512,700

| align="

2. 2. 1. 유엔 통계 (1950-2030)



출처: 국제 연합[26]

기간연간 출생연간 사망연간 자연 증가출생률1사망률1자연 증가율1합계 출산율1영아 사망률1
1950–1955280 00092 000188 00042.714.025.36.2396.4
1955–1960318 00089 000229 00041.911.728.96.2379.5
1960–1965361 00086 000275 00040.89.729.96.2364.3
1965–1970351 00082 000268 00034.28.028.15.2151.0
1970–1975365 00082 000283 00031.47.125.94.5640.4
1975–1980385 00083 000302 00029.46.321.73.9331.9
1980–1985436 00086 000350 00029.55.826.43.7325.3
1985–1990488 00091 000397 00028.75.326.93.5919.9
1990–1995535 00097 000438 00027.55.022.83.4215.7
1995–2000559 000104 000454 00025.34.719.83.1812.4
2000–2005572 000114 000458 00019.44.514.92.45style="text-align:right;"|
2005–2010571 000127 000443 00017.64.613.02.22style="text-align:right;"|
2010–2015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7.14.712.42.11style="text-align:right;"|
2015–2020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6.85.111.72.01style="text-align:right;"|
2020–2025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5.95.510.41.92style="text-align:right;"|
2025–2030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style="text-align:right;"|14.55.98.61.85style="text-align:right;"|
1 출생률 =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사망률 =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자연 증가율 = 자연 증가율(인구 1,000명당); 합계 출산율 = 합계 출산율(여성 1명당 출생아 수); 영아 사망률 = 영아 사망률(출생아 1,000명당)


2. 2. 2. 말레이시아 통계청 통계 (1947-현재)

출처는 말레이시아 통계청:[105][106]

인구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 (1000명당)조사망률 (1000명당)자연 증감률 (1000명당)합계출산율
19474,908,1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019.423.6align="right" |
19484,987,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0.416.324.2align="right" |
19495,081,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814.229.6align="right" |
19505,226,5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2.015.826.2align="right" |
19515,337,2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615.328.3align="right" |
19525,506,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4.413.630.8align="right" |
19535,706,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712.431.3align="right" |
19545,888,6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812.231.6align="right" |
19556,058,3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011.531.6align="right" |
19566,251,6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5.511.334.3align="right" |
19576,278,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6.212.433.7align="right" |
19586,504,6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3.311.032.36.3
19596,702,6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2.19.732.46.2
19608,118,0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0.99.531.46.0
19618,378,5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1.89.232.66.2
19628,651,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0.49.431.06.0
19638,920,2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8.18.529.76.0
19649,168,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8.27.730.56.0
19659,436,6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6.17.528.55.6
19669,732,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6.77.329.45.7
196710,007,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4.97.227.75.4
196810,252,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5.27.228.05.4
196910,500,2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3.37.026.35.1
197010,881,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2.46.725.74.9
197111,159,7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2.86.626.34.9
197211,441,3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2.26.325.94.7
197311,719,8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1.16.324.84.5
197412,001,3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1.36.025.34.4
197512,300,3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76.024.84.3
197612,588,1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95.725.34.2
197712,901,1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35.824.54.1
197813,200,2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29.75.424.34.0
197913,518,3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45.425.04.0
198013,879,2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65.325.44.0
198114,256,9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1.24.926.34.0
198214,651,1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1.05.026.04.0
198315,048,2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25.125.13.8
198415,450,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1.05.025.93.9
198515,882,700497,414align="right" |align="right" |31.55.026.64.0
198616,329,400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0.64.725.83.9
198716,773,500488,200align="right" |align="right" |29.34.524.73.7
198817,219,100507,579align="right" |align="right" |29.74.625.03.7
198917,662,100469,663align="right" |align="right" |26.84.622.23.4
199018,102,400497,52283,244414,27827.94.623.33.5
199118,547,200511,52784,221427,30627.64.523.03.4
199219,067,500528,47586,040442,43527.74.523.23.5
199319,601,500541,88787,626454,26127.64.523.23.5
199420,141,700537,65490,079447,57526.74.522.23.4
199520,681,800539,29595,103444,19226.14.621.53.3
199621,222,600540,86695,520445,34625.54.521.03.2
199721,769,300537,10497,042440,06224.84.520.33.1
199822,333,500554,57397,906456,66725.04.420.63.0
199922,909,500554,200100,900453,30024.44.420.02.9
200023,494,900569,500102,100467,40024.54.420.12.9
200124,030,500516,000104,600411,40021.54.417.12.7
200224,542,500482,600105,900376,70019.74.315.42.6
200325,038,100516,300111,700404,60020.64.516.12.5
200425,541,500514,500113,900400,60020.14.515.62.5
200526,045,500512,700116,200396,50019.64.415.22.4
200626,549,900490,000117,300372,70018.44.414.02.3
200727,058,400456,443116,672339,77116.54.212.32.3
200827,567,600470,900123,300346,70017.04.412.62.3
200928,081,500496,315130,135366,17817.74.613.02.329
201028,588,600491,239130,978360,26117.24.612.62.136
201129,062,000511,594135,463376,13117.64.712.92.174
201229,510,000508,774136,836371,93817.24.612.62.188
201330,213,700503,914142,202361,71216.74.712.02.022
201430,708,500528,612150,318378,29417.24.912.32.018
201531,186,100521,136155,786365,35016.75.011.71.941
201631,633,500508,203162,201346,00216.15.111.01.892
201732,022,600508,685168,168340,51715.95.310.61.890
201832,382,300501,945172,031329,91415.55.310.21.841
201932,523,000487,957173,746314,21115.05.39.71.781
202032,730,000468,975174,313294,66214.35.39.0align="right" |


2. 3. 지역별 인구 분포 및 구성

2000년 전국 인구 조사[14]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면적 (km2)인구 밀도도시 인구부미푸트라중국인인도인
조호르2,740,62518,98714465.2%57.1%35.4%6.9%
케다1,649,7569,42517539.3%76.6%14.9%7.1%
클란탄1,313,01415,0248734.2%95.0%3.8%0.3%
말라카635,7911,65238567.2%62.8%30.1%6.5%
느그리슴빌란859,9246,64412953.4%57.9%25.6%16.0%
파항1,288,37635,9653642.0%76.8%17.7%5.0%
페낭1,313,4491,0311,27480.1%42.5%46.5%10.6%
페락2,051,23621,0059858.7%54.7%32.0%13.0%
유일204,45079525734.3%85.5%10.3%1.3%
슬랑고르4,188,8767,96052687.6%53.5%30.7%14.6%
트렝가누898,82512,9556948.7%96.8%2.8%0.2%
사바2,603,48573,6193548.0%80.5%13.2%0.5%
사라왁2,071,506124,4501748.1%72.9%26.7%0.2%
FT 쿠알라룸푸르1,379,3102435,676100.0%43.6%43.5%11.4%
FT 라부안76,0679282777.7%79.6%15.8%1.3%
FT 푸트라자야45,000148304100.0%94.8%1.8%2.7%



푸트라자야 데이터는 2004년 기준이며, 인구 추정치는 백 단위로 반올림되었다.

2010년 전국 인구 조사는 말레이시아 통계청에서 실시하였다.[15]

[16]인구면적 (km2)인구 밀도도시 인구(%)부미푸트라 (%)중국계 (%)인도계 (%)
조호르3,348,28318,98717471.958.933.67.1
케다1,890,0989,42519964.677.913.67.3
클란탄1,459,99415,0249742.495.73.40.3
말라카788,7061,65247086.566.926.46.2
느그리슴빌란997,0716,64415066.561.323.215.2
파항1,443,36535,9654050.579.016.24.4
페낭1,520,1431,0311,50090.843.645.610.4
페락2,258,42821,00511069.757.030.412.2
유일227,02579528051.488.48.01.2
슬랑고르5,411,3247,96067091.457.128.613.5
트렝가누1,015,77612,9556959.197.02.60.2
사바3,117,40573,6194254.084.812.80.3
사라왁2,420,009124,4501953.874.824.50.3
쿠알라룸푸르1,627,1722436,891100.045.943.210.3
라부안86,9089295082.383.713.40.9
푸트라자야67,9641481,400100.098.00.71.2



2020년 전국 인구 조사[17]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주별 인구, 면적, 인구 밀도, 도시 인구(%), 부미푸트라 (%), 중국계 (%), 인도계 (%), 인구 성장(%)은 다음과 같다.

[17]인구면적 (km2)인구 밀도도시 인구(%)부미푸트라 (%)중국계 (%)인도계 (%)인구 성장(%)
조호르4,009,67018,98721077.460.132.86.619.753%
케다2,131,4279,42522567.380.112.36.312.7681%
클란탄1,792,50115,02411944.196.62.50.322.7745%
말라카998,4281,65260490.971.722.15.626.5906%
느그리슴빌란1,199,9746,64418069.363.321.914.320.3499%
파항1,591,29535,9654452.881.014.73.710.249%
페낭1,740,4051,0311,68692.544.744.99.714.4896%
페락2,496,04121,00511972.060.927.211.510.5212%
유일한284,88579534853.888.87.41.825.4862%
슬랑오르6,994,4237,96088295.860.627.311.329.2553%
트렝가누1,149,44012,9558964.297.62.10.2
사바3,418,78573,6194654.788.79.50.2
사라왁2,453,677124,4502057.075.723.80.2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1,982,1122438,157100.047.741.610.021.8133%
라부안 연방 직할구95,12092103888.986.211.71.1
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109,202492,215100.097.90.61.225.6524%



지방 자치 단체별 말레이시아 반도 인구 (2020년 인구 조사)

2. 3. 1. 2000년 인구 조사

wikitable

인구면적 (km2)인구 밀도도시 인구부미푸트라중국인인도인
조호르2,740,62518,98714465.2%57.1%35.4%6.9%
케다1,649,7569,42517539.3%76.6%14.9%7.1%
클란탄1,313,01415,0248734.2%95.0%3.8%0.3%
말라카635,7911,65238567.2%62.8%30.1%6.5%
느그리슴빌란859,9246,64412953.4%57.9%25.6%16.0%
파항1,288,37635,9653642.0%76.8%17.7%5.0%
페낭1,313,4491,0311,27480.1%42.5%46.5%10.6%
페락2,051,23621,0059858.7%54.7%32.0%13.0%
유일204,45079525734.3%85.5%10.3%1.3%
슬랑고르4,188,8767,96052687.6%53.5%30.7%14.6%
트렝가누898,82512,9556948.7%96.8%2.8%0.2%
사바2,603,48573,6193548.0%80.5%13.2%0.5%
사라왁2,071,506124,4501748.1%72.9%26.7%0.2%
FT 쿠알라룸푸르1,379,3102435,676100.0%43.6%43.5%11.4%
FT 라부안76,0679282777.7%79.6%15.8%1.3%
FT 푸트라자야45,000148304100.0%94.8%1.8%2.7%



푸트라자야 데이터는 2004년 기준이며, 인구 추정치는 백 단위로 반올림되었다.

2. 3. 2. 2010년 인구 조사

wikitext

2010년 전국 인구 조사는 말레이시아 통계청에서 실시하였다.[15]

[16]인구면적 (km2)인구 밀도도시 인구(%)부미푸트라 (%)중국계 (%)인도계 (%)
조호르3,348,28318,98717471.958.933.67.1
케다1,890,0989,42519964.677.913.67.3
클란탄1,459,99415,0249742.495.73.40.3
말라카788,7061,65247086.566.926.46.2
느그리슴빌란997,0716,64415066.561.323.215.2
파항1,443,36535,9654050.579.016.24.4
페낭1,520,1431,0311,50090.843.645.610.4
페락2,258,42821,00511069.757.030.412.2
유일227,02579528051.488.48.01.2
슬랑고르5,411,3247,96067091.457.128.613.5
트렝가누1,015,77612,9556959.197.02.60.2
사바3,117,40573,6194254.084.812.80.3
사라왁2,420,009124,4501953.874.824.50.3
쿠알라룸푸르1,627,1722436,891100.045.943.210.3
라부안86,9089295082.383.713.40.9
푸트라자야67,9641481,400100.098.00.71.2


2. 3. 3. 2020년 인구 조사

wikitext

2020년 전국 인구 조사[17]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주별 인구, 면적, 인구 밀도, 도시 인구(%), 부미푸트라 (%), 중국계 (%), 인도계 (%), 인구 성장(%)은 다음과 같다.

[17]인구면적 (km2)인구 밀도도시 인구(%)부미푸트라 (%)중국계 (%)인도계 (%)인구 성장(%)
조호르4,009,67018,98721077.460.132.86.619.753%
케다2,131,4279,42522567.380.112.36.312.7681%
클란탄1,792,50115,02411944.196.62.50.322.7745%
말라카998,4281,65260490.971.722.15.626.5906%
느그리슴빌란1,199,9746,64418069.363.321.914.320.3499%
파항1,591,29535,9654452.881.014.73.710.249%
페낭1,740,4051,0311,68692.544.744.99.714.4896%
페락2,496,04121,00511972.060.927.211.510.5212%
유일한284,88579534853.888.87.41.825.4862%
슬랑오르6,994,4237,96088295.860.627.311.329.2553%
트렝가누1,149,44012,9558964.297.62.10.2
사바3,418,78573,6194654.788.79.50.2
사라왁2,453,677124,4502057.075.723.80.2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1,982,1122438,157100.047.741.610.021.8133%
라부안 연방 직할구95,12092103888.986.211.71.1
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109,202492,215100.097.90.61.225.6524%


2. 4. 연령별 인구 구조

말레이시아의 연령별 인구 구조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지속적인 변화를 겪었다.[18][19][20][21] 2001년에는 15세 미만 인구가 32.7%, 15-64세 인구가 63.4%, 65세 이상 인구가 3.9%를 차지했다. 2010년에는 15세 미만 인구가 27.2%, 15-64세 인구가 68.1%, 65세 이상 인구가 4.7%로 변화했다. 2020년에는 15세 미만 인구는 23.27%, 15-64세 인구는 69.71%, 65세 이상 인구는 7.02%로 나타났다.

연도15세 미만15 - 64세64세 이상인구 (백만 명)
200132.7%63.4%3.9%24.12
201027.2%68.1%4.7%28.25
202023.27%69.71%7.02%32.65



이러한 변화는 15세 미만 인구 비율의 감소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의 증가를 보여주며, 말레이시아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10년 7월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의 인구 피라미드는 다음과 같다.[18]

인구 피라미드


2020년 기준 연령별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

연령대남성여성총계%
총계16 805 60115 851 65932 657 260100
0–143 923 6743 676 5677 600 24123.27
15–6411 776 18810 987 58722 763 77569.71
65+1 105 7391 187 5052 293 2447.02



2021년 민족별 연령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2021년 민족별 연령별 인구
연령대0–1415–6465세 이상
말레이인31%63.9%5.1%
화교12.3%72.7%15%
인도인16.6%75.4%8%


2. 5. 기타 주요 인구 통계

말레이시아의 기타 주요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104]

  • 인구 성장률: 1.542% (2012년)
  • 순이동률: 인구 1,000명당 -0.37명 (2012년 추산). 이 수치는 다른 국가에서 온 불법 이민자들의 순 이동을 반영하지 않는다.
  • 성비:
  • 출생 시: 남성 1.07명/여성
  • 15세 미만: 남성 1.06명/여성
  • 15–64세: 남성 1.03명/여성
  • 65세 이상: 남성 0.89명/여성
  • 전체 인구: 남성 1.03명/여성 (2012년 추산)
  • 영아 사망률: 출생아 1,000명당 14.57명 (2012년)[24][25]
  • 출생 시 기대 수명:
  • 전체 인구: 74.04세
  • 남성: 71.28세 (2012년)
  • 여성: 76.99세 (2012년)
  • 합계 출산율: 여성 1명당 2.64명 출산 (2012년 추산). 1987년 말레이시아인의 합계 출산율은 4.51명, 중국인은 2.25명, 인도인은 2.77명이었다. 싱가포르의 해당 수치는 2.16명, 1.48명, 1.95명이었다.[23]


1950년 이후 말레이시아의 기대 수명


1960년 이후 성별에 따른 말레이시아의 기대 수명


1950-1955년 54.8세였던 출생 시 기대수명은 2015-2020년 75.9세로 증가했다.[33]

기간기대 수명 (년)기간기대 수명 (년)
1950–195554.81985–199070.1
1955–196057.91990–199571.3
1960–196560.91995–200072.3
1965–197063.32000–200573.2
1970–197565.42005–201073.7
1975–198067.22010–201574.7
1980–198568.82015-202075.9



다음은 유엔에서 추산한 연간 평균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조사망률, 자연 증감률, 합계출산율, 영아 사망률이다.[104]

기간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조사망률자연 증감률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
1950–1955280 00092 000188 00042.714.025.36.2396.4
1955–1960318 00089 000229 00041.911.728.96.2379.5
1960–1965361 00086 000275 00040.89.729.96.2364.3
1965–1970351 00082 000268 00034.28.028.15.2151.0
1970–1975365 00082 000283 00031.47.125.94.5640.4
1975–1980385 00083 000302 00029.46.321.73.9331.9
1980–1985436 00086 000350 00029.55.826.43.7325.3
1985–1990488 00091 000397 00028.75.326.93.5919.9
1990–1995535 00097 000438 00027.55.022.83.4215.7
1995–2000559 000104 000454 00025.34.719.83.1812.4
2000–2005572 000114 000458 00019.44.514.92.45align="right" |
2005–2010571 000127 000443 00017.64.613.02.22align="right" |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지역별 합계출산율은 다음과 같다.[108]

지역201120152019
푸트라자야1.441.371.26
쿠알라룸푸르1.531.401.68
피낭주1.621.511.28
사바주1.811.641.41
슬랑오르주1.961.821.57
조호르주2.181.882.05
믈라카주2.231.931.78
사라왁주2.232.011.59
느그리슴빌란주2.302.022.00
페락주2.392.051.76
파항주2.502.312.01
프를리스주2.562.331.98
크다주2.612.372.10
트렝가누주3.462.802.91
클란탄주3.773.072.77


3. 민족

말레이시아 인구는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인 기원의 사람들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이들은 부미푸트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규모 중국계 말레이시아인과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소수 민족도 존재한다. 1969년 인종 폭동 이후 부미푸트라는 말레이시아에서 특별한 특권을 누려왔다. 최고위 정부직은 말레이인에게 할당되었고, 말레이인들은 더 저렴한 주택, 정부 일자리 및 사업 허가에서 우선권을 받았다. 그러나 폭동 이후, 완전한 화합은 아니지만 인종적 안정은 유지되어 왔으며, 혼혈 결혼이 증가하고 있다.[34] 2010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의 68.8%가 ''부미푸트라'', 23.2%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7%가 인도계 말레이시아인으로 간주되었다.[35] 2021년에는 부미푸트라가 69.7%, 중국계가 22.5%, 인도계가 6.8%였다.[36]

말레이시아의 부미푸트라 및 중국계 인구 분포


집단총 인구
말레이인, 말레이어6,916,000
말레이인, 케다 말레이어3,095,000
말레이인, 동해안2,448,000
한족, 호키엔어1,903,000
타밀족1,796,000
한족, 객가어1,729,000
한족, 광둥어1,396,000
한족, 조주어1,004,000
한족, 만다린어986,000
미낭카바우족901,000
이반족686,000
자바족640,000
아랍인500,000
필리핀인, 타갈로그어456,000
한족, 해남어396,000
한족, 민북어384,000
브루나이 말레이인, 케다얀족350,000
말레이인, 동말레이시아280,000
한족, 민동어256,000
해협 중국인244,000
네팔인224,000
타우수그족209,000
두순족, 중앙197,000
말레이시아 말라얄리인, 말라얄람어228,900
부기스족139,000
텔루구족, 텔루구어120,000
무룻족110,131
펀자브인, 인도 펀자브인100,000
샴족80,000
세마이족50,000
테미아르족40,000
룬 바왕/룬다예족31,600
켈라비트족5,000



==== 부미푸트라 ====

말레이시아의 언어와 민족을 묘사한 쿠알라룸푸르 코피 티암의 상점


2021년 기준 말레이시아 인구의 69.7%를 차지하는 부미푸트라는 무슬림 말레이인(말레이시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57.9%)과 기타 부미푸트라(말레이시아 인구의 13.2%를 차지하며, 대부분이 무슬림 말레이인과 관련된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에 속함)로 나뉜다.[37] 부미푸트라 지위는 또한 민족 타이인, 크메르인, 참족과 사바 및 사라왁의 원주민을 포함한 일부 비말레이 원주민에게도 부여된다. 부미푸트라 지위를 얻는 사람에 대한 법률은 주마다 다르다.[38] 일부 유라시아인도 포르투갈(크리스타인족) 혈통임을 증명할 수 있다면 부미푸트라 특권을 얻을 수 있다.[39]

==== 말레이인 ====

말레이시아 반도와 수마트라, 보르네오 일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 집단인 말레이족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공동체를 형성하며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헌법적 정의에 따르면, 말레이족은 말레이 관습(''아닷'')과 문화를 따르는 무슬림이다.[40]

그들의 언어인 말레이어(''바하사 멜라유'')는 말레이시아의 국어이다.[40] 미낭카바우족, 부기스족, 또는 자바족 출신 시민들은 헌법적 정의에 따라 "말레이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조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영어도 말레이시아 주요 도시에서 널리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 출신 말레이족은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며, 때로는 다른 말레이시아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말레이시아 헌법의 정의에 따르면, 모든 말레이인은 무슬림이다.

과거에는 말레이족이 팔라바 문자 또는 카위 문자의 산스크리트어 기반 문자를 사용했다. 아랍 상인들은 이후 자위 문자(Jawi)라는 아랍어 기반 문자를 도입했으며, 이는 15세기 이후 인기를 얻었다. 그전까지 읽고 쓰는 것은 주로 학자와 귀족의 영역이었고, 대부분의 말레이 평민들은 문맹이었다. 자위 문자는 이슬람과 함께 가르쳐졌으며, 모든 사회 계층에 걸쳐 퍼져나갈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위 문자는 15세기까지 상류층에서 사용되었다. 로마자 문자는 식민지 시대에 도입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산스크리트어와 자위 문자를 대체하게 되었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라틴 문자를 가르치는 유럽 교육 시스템의 영향이 컸다.

말레이 문화는 불교, 힌두교, 그리고 애니미즘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1980년대와 90년대의 이슬람 부흥 운동 이후 이러한 측면은 종종 무시되거나 완전히 금지되었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모든 무슬림은 부미푸트라 특권을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에,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비 말레이 무슬림들이 말레이어, 관습 및 의상을 채택했다. 이는 반도의 인도 무슬림과 보르네오의 커다얀족의 경우 특히 그렇다. 말레이족은 말레이 인종의 개념과 구별되는데, 말레이 인종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대부분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사람들을 포괄한다.

==== 기타 부미푸트라 ====

사바의 민족 집단


말레이시아에는 말레이인이 아닌 다른 토착민들이 많이 있으며, 이들은 부미푸트라 지위를 부여받는다. 토착 부족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민이며, 말레이 반도의 토착 집단은 집합적으로 오랑 아슬리로,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오랑 아살"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국가 인구의 약 11%를 차지하며, 사바와 사라왁의 동말레이시아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사라왁에서는 지배적인 부족 집단이 다약족이며, 이들은 주로 기독교인인 이반족(바다 다약족이라고도 함) 또는 비다유족(육지 다약족이라고도 함)이다. 이반족은 60만 명이 넘는(사라왁 인구의 35%) 모든 토착 집단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며, 대부분 최대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전통적인 롱하우스에 여전히 거주하고 있다.[41] 롱하우스는 주로 라장강과 루파르강 및 그 지류를 따라 위치해 있지만, 많은 이반족이 도시로 이주했다. 약 17만 명의 비다유족은 사라왁 남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은 사라왁의 다른 토착 집단과 함께 주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37]

사바에서 가장 큰 토착 부족은 카다잔이며, 이들 대부분은 기독교인[42]이고 쌀 농부이다.[43] 그들은 자급자족 농부로 생활한다. 사바에는 많은 수의 토착민이 있으며, 인구의 19.3%는 카다잔-두순족이고, 16.5%는 바자우족이다.[44]

원주민 집단도 반도에 훨씬 적은 수로 존재하며, 이들은 집합적으로 오랑 아슬리(문자 그대로 "원래 사람"을 의미)라고 알려져 있다.[45] 14만 명의 오랑 아슬리는 여러 다른 민족 공동체로 구성된다. 반도와 보르네오의 많은 부족은 전통적으로 유목민 또는 반유목민 수렵 채집민이었으며 푸난, 페난 및 세노이를 포함하여 애니미즘을 실천했다. 그러나 그들의 조상 땅과 사냥터는 일반적으로 국가에 의해 회수되어 열악한 땅으로 이동하고 때로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서 벗어나게 한다.[46] 오랑 아슬리 중에서 가장 많은 수는 '네그리토스'라고 불리며 다른 현대 동아시아인의 조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47] 그들은 초기 인구 층 중 하나를 구성한다. 다른 부미푸테라 소수 민족으로는 말레이시아 시암인, 크메르인, 참족, 버마인 및 일반적으로 마마크로 알려진 인도 무슬림이 덜 포함된다.

==== 중국계 ====

말레이시아 주변 지역의 부미푸트라 및 화교 비율 지도
말레이시아 화교


말레이시아 화교 in 페락주


말레이시아 화교는 2022년 기준으로 시민권을 갖지 않은 인구를 제외하고 인구의 22.8%를 차지하는 669만 명으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 그들은 20세기 초부터 무역과 사업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다. 말레이시아 화교 사업은 공통의 가족 및 문화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운영되는 해외 화교 사업 네트워크인 더 큰 대나무 네트워크의 일부로 발전했다.[49] 조지타운, 이포 및 이스칸다르 푸테리는 화교가 다수인 도시이며,[50] 페낭주는 말레이시아에서 부미푸트라가 아닌 인구가 다수인 유일한 주였다. 2020년 현재 페낭주의 인구의 41% 이상이 화교로 구성되어 페낭주는 화교가 다수인 유일한 주이다.[51] 화교는 '페라나칸' 문화의 등장에서 볼 수 있듯이 수세기 동안 말레이시아에 정착해 왔지만, 19세기에 무역과 주석 채굴을 통해 이주가 절정에 달했다. 처음 도착했을 때 화교는 주석 채굴 및 철도 건설과 같은 가장 고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일부는 오늘날 말레이시아의 대기업이 된 사업체를 소유했다. 대부분의 화교는 도교 불교 신자이며, 조상의 고향과의 강한 문화적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다.

주로 말라카를 중심으로 해협 식민지에 정착한 최초의 화교들은 점차 말레이 문화의 요소를 받아들였고, 일부는 말레이 공동체와 통혼했다. '바바스'(남성)와 '뇨냐스'(여성)라는 독특한 하위 민족 집단이 등장했다. '바바스'와 '뇨냐스'는 통칭하여 '페라나칸'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말레이 전통과 중국 전통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방식으로 일련의 융합적인 관습, 신념 및 예술을 만들어냈다. '페라나칸' 문화는 오늘날에도 이전 해협 식민지인 싱가포르, 말라카, 페낭주에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의 화교 커뮤니티는 특정 지역의 지배적인 방언에 따라 표준 중국어,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 조저우어를 포함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한다. 말레이시아의 특정 지역에서는 일부 방언이 더 널리 사용된다. 호키엔어는 페낭주와 케다주에서 우세하며, 이포쿠알라룸푸르와 같은 이전 주석 채굴 중심지의 대부분의 화교는 광둥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학교에서 표준 중국어의 표준화되고 의무적인 사용으로 인해 대부분의 말레이시아 화교는 현재 중국 북부에서 유래된 비(非)모국어인 표준 중국어를 사용한다.

반면에 말레이시아 화교의 최대 10%가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52] 영어를 사용하는 화교 소수는 일반적으로 쿠알라룸푸르, 페탈링 자야, 푸총, 수방 자야, 조지타운, 이포, 말라카 시티와 같은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더 큰 화교 커뮤니티 내에서 뚜렷한 하위 집단을 형성하는데, 그들은 시노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덜 가지고 있으며, 사고 방식과 태도 면에서 오히려 서구화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도계 ====

슬랑고르주의 말레이시아 인도인


말레이시아의 202만 명에 달하는 인도인 공동체는 2021년 기준 비시민권을 제외한 전체 인구의 6.6%를 차지하며 세 주요 민족 집단 중 가장 작은 규모이다. 인도인들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영국 식민지 시대에 말레이시아로 유입되었다. 라젠드라 촐란에 의해 수천 년 전에 말레이시아에 인도 문명이 시작되었다는 또 다른 역사적 증거가 있다. 그 증거는 여전히 끄다주의 렘바 부장(Lembah Bujang)에 존재한다. 이것은 말레이시아와 인도인에 관한 역사적 증거이다.[53] 그들은 처음에는 무역, 특히 싱가포르, 말라카, 페낭의 옛 해협 식민지에서 물물 교환을 위해 왔다. 영국 식민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 타밀 나두 출신의 남부 인도 타밀족, 그리고 남부 인도 다른 지역 출신의 텔루구족말라얄리족을 포함한 인도 노동자들이 사탕수수와 커피 농장, 고무 및 야자 농장, 건물, 철도, 도로 및 교량 건설에 투입되었다.[54] 영어 교육을 받은 실론 타밀족은 실론(현재 스리랑카)에서, 일부 말레이시아 텔루구족과 말라얄리족 (케랄라 출신)은 화이트칼라 직업을 위해 데려왔다. 케랄라는 인도 최초의 미션 스쿨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영어 교육을 받은 행정가들을 배출했다. 두 민족 모두 주로 서기, 공무원, 교사, 병원 조수, 의사 및 기타 숙련된 전문직으로 일했다.[55][56][57] 펀자브족은 펀자브 출신으로, 대부분은 말라야에서 군대에 입대했고 일부는 이 나라에서 소달구 서비스를 담당했다.[58][59]

말레이시아로 온 인도인들은 힌두교와 그들의 독특한 사원인 코빌, 그리고 그들의 구르드와라와 함께 시크교를 가져왔다. 타밀 요리는 매우 인기가 높다. 말레이시아 인도인의 86% 이상이 힌두교를 따른다. 말라카의 치티 공동체는 현지 문화를 받아들인 훨씬 더 오래된 인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힌두교도로 남아 있지만, 치티족은 바하사 말레이시아를 사용하며 여성들은 사롱 케바야를 입는다. 힌두 공동체는 두 개의 주요 축제인 디파발리와 타이푸삼, 그리고 매년 많은 다른 소규모 종교 행사를 기념한다. 안드라 프라데시와 케랄라 출신의 민족 텔루구족과 말라얄리족 모두 우가디 축제 (새해)와 오남을 기념한다. 펀자브족은 바사키, 로디 및 구르푸라브를 기념한다. 말레이시아 인도인의 대다수는 타밀어 (모든 인도인들 사이의 공용어)를 사용하며, 소수 민족은 텔루구어, 말라얄람어펀자브어를 사용한다.

==== 기타 민족 ====

말레이시아의 소수는 더 넓은 민족 집단에 속하지 않는다. 유럽 및 중동 출신 인구도 소수 존재한다. 식민지 시대에 처음 도착한 유럽인과 중동인은 기독교 및 이슬람 공동체로의 혼인을 통해 동화되었다. 대부분의 유라시아 말레이시아인은 영국, 네덜란드 및/또는 포르투갈 식민지 개척자를 조상으로 두고 있으며, 크리스탕 공동체가 말라카에 자리 잡고 있다.

네팔인은 대부분 네팔에서 온 이주 노동자로 총 356,199명[60][61][62]이며, 이 중 말레이시아 시민은 600명이 조금 넘고 슬랑고르주 라왕에 거주한다. 원래 영국인에 의해 경호원 및 보안 요원으로 데려온 네팔 인구는 라나, 체트리, 라이 및 구룽 씨족으로 구성된다. 기타 소수 민족으로는 필리핀인과 버마인이 있다. 캄보디아베트남에서 온 소수의 베트남 민족은 베트남 전쟁 난민으로 말레이시아에 정착했다.

혼혈 자녀의 민족 프로파일링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없다. 어떤 사람은 아버지의 민족에 따라 식별되기를 선택하고, 다른 사람은 단순히 "기타"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부모 중 한 명이 말레이인인 경우, 대부분 말레이인으로 자신을 식별하는데, 이는 부미푸트라의 법적 정의와 그에 따른 특권 때문이다. 중국-인도 부모 사이의 자녀는 친디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국가 인구 조사 데이터의 공식적인 범주는 아니지만, 특히 도시 지역에서 중국-인도 간의 관계가 증가하면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온 많은 다른 사람들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다. 70,000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다.[63]

3. 1. 부미푸트라



2021년 기준 말레이시아 인구의 69.7%를 차지하는 부미푸트라는 무슬림 말레이인(말레이시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57.9%)과 기타 부미푸트라(말레이시아 인구의 13.2%를 차지하며, 대부분이 무슬림 말레이인과 관련된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에 속함)로 나뉜다.[37] 부미푸트라 지위는 또한 민족 타이인, 크메르인, 참족과 사바 및 사라왁의 원주민을 포함한 일부 비말레이 원주민에게도 부여된다. 부미푸트라 지위를 얻는 사람에 대한 법률은 주마다 다르다.[38] 일부 유라시아인도 포르투갈(크리스타인족) 혈통임을 증명할 수 있다면 부미푸트라 특권을 얻을 수 있다.[39]

==== 말레이인 ====

말레이시아 반도와 수마트라, 보르네오 일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 집단인 말레이족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공동체를 형성하며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헌법적 정의에 따르면, 말레이족은 말레이 관습(''아닷'')과 문화를 따르는 무슬림이다.[40]

그들의 언어인 말레이어(''바하사 멜라유'')는 말레이시아의 국어이다.[40] 미낭카바우족, 부기스족, 또는 자바족 출신 시민들은 헌법적 정의에 따라 "말레이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조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영어도 말레이시아 주요 도시에서 널리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 출신 말레이족은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며, 때로는 다른 말레이시아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말레이시아 헌법의 정의에 따르면, 모든 말레이인은 무슬림이다.

과거에는 말레이족이 팔라바 문자 또는 카위 문자의 산스크리트어 기반 문자를 사용했다. 아랍 상인들은 이후 자위 문자(Jawi)라는 아랍어 기반 문자를 도입했으며, 이는 15세기 이후 인기를 얻었다. 그전까지 읽고 쓰는 것은 주로 학자와 귀족의 영역이었고, 대부분의 말레이 평민들은 문맹이었다. 자위 문자는 이슬람과 함께 가르쳐졌으며, 모든 사회 계층에 걸쳐 퍼져나갈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위 문자는 15세기까지 상류층에서 사용되었다. 로마자 문자는 식민지 시대에 도입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산스크리트어와 자위 문자를 대체하게 되었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라틴 문자를 가르치는 유럽 교육 시스템의 영향이 컸다.

말레이 문화는 불교, 힌두교, 그리고 애니미즘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1980년대와 90년대의 이슬람 부흥 운동 이후 이러한 측면은 종종 무시되거나 완전히 금지되었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모든 무슬림은 부미푸트라 특권을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에,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비 말레이 무슬림들이 말레이어, 관습 및 의상을 채택했다. 이는 반도의 인도 무슬림과 보르네오의 커다얀족의 경우 특히 그렇다. 말레이족은 말레이 인종의 개념과 구별되는데, 말레이 인종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대부분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사람들을 포괄한다.

==== 기타 부미푸트라 ====

말레이시아에는 말레이인이 아닌 다른 토착민들이 많이 있으며, 이들은 부미푸트라 지위를 부여받는다. 토착 부족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민이며, 말레이 반도의 토착 집단은 집합적으로 오랑 아슬리로,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오랑 아살"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국가 인구의 약 11%를 차지하며, 사바와 사라왁의 동말레이시아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사라왁에서는 지배적인 부족 집단이 다약족이며, 이들은 주로 기독교인인 이반족(바다 다약족이라고도 함) 또는 비다유족(육지 다약족이라고도 함)이다. 이반족은 60만 명이 넘는(사라왁 인구의 35%) 모든 토착 집단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며, 대부분 최대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전통적인 롱하우스에 여전히 거주하고 있다.[41] 롱하우스는 주로 라장강과 루파르강 및 그 지류를 따라 위치해 있지만, 많은 이반족이 도시로 이주했다. 약 17만 명의 비다유족은 사라왁 남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은 사라왁의 다른 토착 집단과 함께 주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37]

사바에서 가장 큰 토착 부족은 카다잔이며, 이들 대부분은 기독교인[42]이고 쌀 농부이다.[43] 그들은 자급자족 농부로 생활한다. 사바에는 많은 수의 토착민이 있으며, 인구의 19.3%는 카다잔-두순족이고, 16.5%는 바자우족이다.[44]

원주민 집단도 반도에 훨씬 적은 수로 존재하며, 이들은 집합적으로 오랑 아슬리(문자 그대로 "원래 사람"을 의미)라고 알려져 있다.[45] 14만 명의 오랑 아슬리는 여러 다른 민족 공동체로 구성된다. 반도와 보르네오의 많은 부족은 전통적으로 유목민 또는 반유목민 수렵 채집민이었으며 푸난, 페난 및 세노이를 포함하여 애니미즘을 실천했다. 그러나 그들의 조상 땅과 사냥터는 일반적으로 국가에 의해 회수되어 열악한 땅으로 이동하고 때로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서 벗어나게 한다.[46] 오랑 아슬리 중에서 가장 많은 수는 '네그리토스'라고 불리며 다른 현대 동아시아인의 조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47] 그들은 초기 인구 층 중 하나를 구성한다. 다른 부미푸테라 소수 민족으로는 말레이시아 시암인, 크메르인, 참족, 버마인 및 일반적으로 마마크로 알려진 인도 무슬림이 덜 포함된다.

3. 1. 1. 말레이인

말레이족은 말레이시아 반도와 수마트라, 보르네오 일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 집단이다.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공동체를 형성하며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헌법적 정의에 따르면, 말레이족은 말레이 관습(''아닷'')과 문화를 따르는 무슬림이다.[40]

그들의 언어인 말레이어(''바하사 멜라유'')는 말레이시아의 국어이다.[40] 미낭카바우족, 부기스족, 또는 자바족 출신 시민들은 헌법적 정의에 따라 "말레이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조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영어도 말레이시아 주요 도시에서 널리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 출신 말레이족은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며, 때로는 다른 말레이시아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말레이시아 헌법의 정의에 따르면, 모든 말레이인은 무슬림이다.

과거에는 말레이족이 팔라바 문자 또는 카위 문자의 산스크리트어 기반 문자를 사용했다. 아랍 상인들은 이후 자위 문자(Jawi)라는 아랍어 기반 문자를 도입했으며, 이는 15세기 이후 인기를 얻었다. 그전까지 읽고 쓰는 것은 주로 학자와 귀족의 영역이었고, 대부분의 말레이 평민들은 문맹이었다. 자위 문자는 이슬람과 함께 가르쳐졌으며, 모든 사회 계층에 걸쳐 퍼져나갈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위 문자는 15세기까지 상류층에서 사용되었다. 로마자 문자는 식민지 시대에 도입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산스크리트어와 자위 문자를 대체하게 되었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라틴 문자를 가르치는 유럽 교육 시스템의 영향이 컸다.

말레이 문화는 불교, 힌두교, 그리고 애니미즘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1980년대와 90년대의 이슬람 부흥 운동 이후 이러한 측면은 종종 무시되거나 완전히 금지되었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모든 무슬림은 부미푸트라 특권을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에,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비 말레이 무슬림들이 말레이어, 관습 및 의상을 채택했다. 이는 반도의 인도 무슬림과 보르네오의 커다얀족의 경우 특히 그렇다. 말레이족은 말레이 인종의 개념과 구별되는데, 말레이 인종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대부분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사람들을 포괄한다.

3. 1. 2. 기타 부미푸트라



말레이시아에는 말레이인이 아닌 다른 토착민들이 많이 있으며, 이들은 부미푸트라 지위를 부여받는다. 토착 부족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민이며, 말레이 반도의 토착 집단은 집합적으로 오랑 아슬리로, 동말레이시아에서는 "오랑 아살"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국가 인구의 약 11%를 차지하며, 사바와 사라왁의 동말레이시아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사라왁에서는 지배적인 부족 집단이 다약족이며, 이들은 주로 기독교인인 이반족(바다 다약족이라고도 함) 또는 비다유족(육지 다약족이라고도 함)이다. 이반족은 60만 명이 넘는(사라왁 인구의 35%) 모든 토착 집단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며, 대부분 최대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전통적인 롱하우스에 여전히 거주하고 있다.[41] 롱하우스는 주로 라장강과 루파르강 및 그 지류를 따라 위치해 있지만, 많은 이반족이 도시로 이주했다. 약 17만 명의 비다유족은 사라왁 남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은 사라왁의 다른 토착 집단과 함께 주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37]

사바에서 가장 큰 토착 부족은 카다잔이며, 이들 대부분은 기독교인[42]이고 쌀 농부이다.[43] 그들은 자급자족 농부로 생활한다. 사바에는 많은 수의 토착민이 있으며, 인구의 19.3%는 카다잔-두순족이고, 16.5%는 바자우족이다.[44]

원주민 집단도 반도에 훨씬 적은 수로 존재하며, 이들은 집합적으로 오랑 아슬리(문자 그대로 "원래 사람"을 의미)라고 알려져 있다.[45] 14만 명의 오랑 아슬리는 여러 다른 민족 공동체로 구성된다. 반도와 보르네오의 많은 부족은 전통적으로 유목민 또는 반유목민 수렵 채집민이었으며 푸난, 페난 및 세노이를 포함하여 애니미즘을 실천했다. 그러나 그들의 조상 땅과 사냥터는 일반적으로 국가에 의해 회수되어 열악한 땅으로 이동하고 때로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서 벗어나게 한다.[46] 오랑 아슬리 중에서 가장 많은 수는 '네그리토스'라고 불리며 다른 현대 동아시아인의 조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47] 그들은 초기 인구 층 중 하나를 구성한다. 다른 부미푸테라 소수 민족으로는 말레이시아 시암인, 크메르인, 참족, 버마인 및 일반적으로 마마크로 알려진 인도 무슬림이 덜 포함된다.

3. 2. 비 부미푸트라



말레이시아 화교는 2022년 기준으로 시민권을 갖지 않은 인구를 제외하고 인구의 22.8%를 차지하는 669만 명으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 그들은 20세기 초부터 무역과 사업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다. 말레이시아 화교 사업은 공통의 가족 및 문화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운영되는 해외 화교 사업 네트워크인 더 큰 대나무 네트워크의 일부로 발전했다.[49] 조지타운, 이포 및 이스칸다르 푸테리는 화교가 다수인 도시이며,[50] 페낭주는 말레이시아에서 부미푸트라가 아닌 인구가 다수인 유일한 주였다. 2020년 현재 페낭주의 인구의 41% 이상이 화교로 구성되어 페낭주는 화교가 다수인 유일한 주이다.[51] 화교는 '페라나칸' 문화의 등장에서 볼 수 있듯이 수세기 동안 말레이시아에 정착해 왔지만, 19세기에 무역과 주석 채굴을 통해 이주가 절정에 달했다. 처음 도착했을 때 화교는 주석 채굴 및 철도 건설과 같은 가장 고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일부는 오늘날 말레이시아의 대기업이 된 사업체를 소유했다. 대부분의 화교는 도교 불교 신자이며, 조상의 고향과의 강한 문화적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다.

주로 말라카를 중심으로 해협 식민지에 정착한 최초의 화교들은 점차 말레이 문화의 요소를 받아들였고, 일부는 말레이 공동체와 통혼했다. '바바스'(남성)와 '뇨냐스'(여성)라는 독특한 하위 민족 집단이 등장했다. '바바스'와 '뇨냐스'는 통칭하여 '페라나칸'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말레이 전통과 중국 전통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방식으로 일련의 융합적인 관습, 신념 및 예술을 만들어냈다. '페라나칸' 문화는 오늘날에도 이전 해협 식민지인 싱가포르, 말라카, 페낭주에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의 화교 커뮤니티는 특정 지역의 지배적인 방언에 따라 표준 중국어,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 조저우어를 포함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한다. 말레이시아의 특정 지역에서는 일부 방언이 더 널리 사용된다. 호키엔어는 페낭주와 케다주에서 우세하며, 이포쿠알라룸푸르와 같은 이전 주석 채굴 중심지의 대부분의 화교는 광둥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학교에서 표준 중국어의 표준화되고 의무적인 사용으로 인해 대부분의 말레이시아 화교는 현재 중국 북부에서 유래된 비(非)모국어인 표준 중국어를 사용한다.

반면에 말레이시아 화교의 최대 10%가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52] 영어를 사용하는 화교 소수는 일반적으로 쿠알라룸푸르, 페탈링 자야, 푸총, 수방 자야, 조지타운, 이포, 말라카 시티와 같은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더 큰 화교 커뮤니티 내에서 뚜렷한 하위 집단을 형성하는데, 그들은 시노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덜 가지고 있으며, 사고 방식과 태도 면에서 오히려 서구화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레이시아의 202만 명에 달하는 인도인 공동체는 2021년 기준 비시민권을 제외한 전체 인구의 6.6%를 차지하며 세 주요 민족 집단 중 가장 작은 규모이다. 인도인들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영국 식민지 시대에 말레이시아로 유입되었다. 라젠드라 촐란에 의해 수천 년 전에 말레이시아에 인도 문명이 시작되었다는 또 다른 역사적 증거가 있다. 그 증거는 여전히 끄다주의 렘바 부장(Lembah Bujang)에 존재한다. 이것은 말레이시아와 인도인에 관한 역사적 증거이다.[53] 그들은 처음에는 무역, 특히 싱가포르, 말라카, 페낭의 옛 해협 식민지에서 물물 교환을 위해 왔다. 영국 식민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 타밀 나두 출신의 남부 인도 타밀족, 그리고 남부 인도 다른 지역 출신의 텔루구족말라얄리족을 포함한 인도 노동자들이 사탕수수와 커피 농장, 고무 및 야자 농장, 건물, 철도, 도로 및 교량 건설에 투입되었다.[54] 영어 교육을 받은 실론 타밀족은 실론(현재 스리랑카)에서, 일부 말레이시아 텔루구족과 말라얄리족 (케랄라 출신)은 화이트칼라 직업을 위해 데려왔다. 케랄라는 인도 최초의 미션 스쿨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영어 교육을 받은 행정가들을 배출했다. 두 민족 모두 주로 서기, 공무원, 교사, 병원 조수, 의사 및 기타 숙련된 전문직으로 일했다.[55][56][57] 펀자브족은 펀자브 출신으로, 대부분은 말라야에서 군대에 입대했고 일부는 이 나라에서 소달구 서비스를 담당했다.[58][59]

말레이시아로 온 인도인들은 힌두교와 그들의 독특한 사원인 코빌, 그리고 그들의 구르드와라와 함께 시크교를 가져왔다. 타밀 요리는 매우 인기가 높다. 말레이시아 인도인의 86% 이상이 힌두교를 따른다. 말라카의 치티 공동체는 현지 문화를 받아들인 훨씬 더 오래된 인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힌두교도로 남아 있지만, 치티족은 바하사 말레이시아를 사용하며 여성들은 사롱 케바야를 입는다. 힌두 공동체는 두 개의 주요 축제인 디파발리와 타이푸삼, 그리고 매년 많은 다른 소규모 종교 행사를 기념한다. 안드라 프라데시와 케랄라 출신의 민족 텔루구족과 말라얄리족 모두 우가디 축제 (새해)와 오남을 기념한다. 펀자브족은 바사키, 로디 및 구르푸라브를 기념한다. 말레이시아 인도인의 대다수는 타밀어 (모든 인도인들 사이의 공용어)를 사용하며, 소수 민족은 텔루구어, 말라얄람어펀자브어를 사용한다.

말레이시아의 소수는 더 넓은 민족 집단에 속하지 않는다. 유럽 및 중동 출신 인구도 소수 존재한다. 식민지 시대에 처음 도착한 유럽인과 중동인은 기독교 및 이슬람 공동체로의 혼인을 통해 동화되었다. 대부분의 유라시아 말레이시아인은 영국, 네덜란드 및/또는 포르투갈 식민지 개척자를 조상으로 두고 있으며, 크리스탕 공동체가 말라카에 자리 잡고 있다.

네팔인은 대부분 네팔에서 온 이주 노동자로 총 356,199명[60][61][62]이며, 이 중 말레이시아 시민은 600명이 조금 넘고 슬랑고르주 라왕에 거주한다. 원래 영국인에 의해 경호원 및 보안 요원으로 데려온 네팔 인구는 라나, 체트리, 라이 및 구룽 씨족으로 구성된다. 기타 소수 민족으로는 필리핀인과 버마인이 있다. 캄보디아베트남에서 온 소수의 베트남 민족은 베트남 전쟁 난민으로 말레이시아에 정착했다.

혼혈 자녀의 민족 프로파일링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없다. 어떤 사람은 아버지의 민족에 따라 식별되기를 선택하고, 다른 사람은 단순히 "기타"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부모 중 한 명이 말레이인인 경우, 대부분 말레이인으로 자신을 식별하는데, 이는 부미푸트라의 법적 정의와 그에 따른 특권 때문이다. 중국-인도 부모 사이의 자녀는 친디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국가 인구 조사 데이터의 공식적인 범주는 아니지만, 특히 도시 지역에서 중국-인도 간의 관계가 증가하면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온 많은 다른 사람들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다. 70,000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다.[63]

3. 2. 1. 중국계



말레이시아 화교는 2022년 기준으로 시민권을 갖지 않은 인구를 제외하고 인구의 22.8%를 차지하는 669만 명으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 그들은 20세기 초부터 무역과 사업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다. 말레이시아 화교 사업은 공통의 가족 및 문화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운영되는 해외 화교 사업 네트워크인 더 큰 대나무 네트워크의 일부로 발전했다.[49] 조지타운, 이포 및 이스칸다르 푸테리는 화교가 다수인 도시이며,[50] 페낭주는 말레이시아에서 부미푸트라가 아닌 인구가 다수인 유일한 주였다. 2020년 현재 페낭주의 인구의 41% 이상이 화교로 구성되어 페낭주는 화교가 다수인 유일한 주이다.[51] 화교는 '페라나칸' 문화의 등장에서 볼 수 있듯이 수세기 동안 말레이시아에 정착해 왔지만, 19세기에 무역과 주석 채굴을 통해 이주가 절정에 달했다. 처음 도착했을 때 화교는 주석 채굴 및 철도 건설과 같은 가장 고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일부는 오늘날 말레이시아의 대기업이 된 사업체를 소유했다. 대부분의 화교는 도교 불교 신자이며, 조상의 고향과의 강한 문화적 유대감을 유지하고 있다.

주로 말라카를 중심으로 해협 식민지에 정착한 최초의 화교들은 점차 말레이 문화의 요소를 받아들였고, 일부는 말레이 공동체와 통혼했다. '바바스'(남성)와 '뇨냐스'(여성)라는 독특한 하위 민족 집단이 등장했다. '바바스'와 '뇨냐스'는 통칭하여 '페라나칸'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말레이 전통과 중국 전통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방식으로 일련의 융합적인 관습, 신념 및 예술을 만들어냈다. '페라나칸' 문화는 오늘날에도 이전 해협 식민지인 싱가포르, 말라카, 페낭주에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의 화교 커뮤니티는 특정 지역의 지배적인 방언에 따라 표준 중국어,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 조저우어를 포함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한다. 말레이시아의 특정 지역에서는 일부 방언이 더 널리 사용된다. 호키엔어는 페낭주와 케다주에서 우세하며, 이포쿠알라룸푸르와 같은 이전 주석 채굴 중심지의 대부분의 화교는 광둥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학교에서 표준 중국어의 표준화되고 의무적인 사용으로 인해 대부분의 말레이시아 화교는 현재 중국 북부에서 유래된 비(非)모국어인 표준 중국어를 사용한다.

반면에 말레이시아 화교의 최대 10%가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52] 영어를 사용하는 화교 소수는 일반적으로 쿠알라룸푸르, 페탈링 자야, 푸총, 수방 자야, 조지타운, 이포, 말라카 시티와 같은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더 큰 화교 커뮤니티 내에서 뚜렷한 하위 집단을 형성하는데, 그들은 시노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덜 가지고 있으며, 사고 방식과 태도 면에서 오히려 서구화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2. 인도계



말레이시아의 202만 명에 달하는 인도인 공동체는 2021년 기준 비시민권을 제외한 전체 인구의 6.6%를 차지하며 세 주요 민족 집단 중 가장 작은 규모이다. 인도인들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영국 식민지 시대에 말레이시아로 유입되었다. 라젠드라 촐란에 의해 수천 년 전에 말레이시아에 인도 문명이 시작되었다는 또 다른 역사적 증거가 있다. 그 증거는 여전히 끄다주의 렘바 부장(Lembah Bujang)에 존재한다. 이것은 말레이시아와 인도인에 관한 역사적 증거이다.[53] 그들은 처음에는 무역, 특히 싱가포르, 말라카, 페낭의 옛 해협 식민지에서 물물 교환을 위해 왔다. 영국 식민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 타밀 나두 출신의 남부 인도 타밀족, 그리고 남부 인도 다른 지역 출신의 텔루구족말라얄리족을 포함한 인도 노동자들이 사탕수수와 커피 농장, 고무 및 야자 농장, 건물, 철도, 도로 및 교량 건설에 투입되었다.[54] 영어 교육을 받은 실론 타밀족은 실론(현재 스리랑카)에서, 일부 말레이시아 텔루구족과 말라얄리족 (케랄라 출신)은 화이트칼라 직업을 위해 데려왔다. 케랄라는 인도 최초의 미션 스쿨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영어 교육을 받은 행정가들을 배출했다. 두 민족 모두 주로 서기, 공무원, 교사, 병원 조수, 의사 및 기타 숙련된 전문직으로 일했다.[55][56][57] 펀자브족은 펀자브 출신으로, 대부분은 말라야에서 군대에 입대했고 일부는 이 나라에서 소달구 서비스를 담당했다.[58][59]

말레이시아로 온 인도인들은 힌두교와 그들의 독특한 사원인 코빌, 그리고 그들의 구르드와라와 함께 시크교를 가져왔다. 타밀 요리는 매우 인기가 높다. 말레이시아 인도인의 86% 이상이 힌두교를 따른다. 말라카의 치티 공동체는 현지 문화를 받아들인 훨씬 더 오래된 인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힌두교도로 남아 있지만, 치티족은 바하사 말레이시아를 사용하며 여성들은 사롱 케바야를 입는다. 힌두 공동체는 두 개의 주요 축제인 디파발리와 타이푸삼, 그리고 매년 많은 다른 소규모 종교 행사를 기념한다. 안드라 프라데시와 케랄라 출신의 민족 텔루구족과 말라얄리족 모두 우가디 축제 (새해)와 오남을 기념한다. 펀자브족은 바사키, 로디 및 구르푸라브를 기념한다. 말레이시아 인도인의 대다수는 타밀어 (모든 인도인들 사이의 공용어)를 사용하며, 소수 민족은 텔루구어, 말라얄람어펀자브어를 사용한다.

3. 2. 3. 기타 민족

말레이시아의 소수는 더 넓은 민족 집단에 속하지 않는다. 유럽 및 중동 출신 인구도 소수 존재한다. 식민지 시대에 처음 도착한 유럽인과 중동인은 기독교 및 이슬람 공동체로의 혼인을 통해 동화되었다. 대부분의 유라시아 말레이시아인은 영국, 네덜란드 및/또는 포르투갈 식민지 개척자를 조상으로 두고 있으며, 크리스탕 공동체가 말라카에 자리 잡고 있다.

네팔인은 대부분 네팔에서 온 이주 노동자로 총 356,199명[60][61][62]이며, 이 중 말레이시아 시민은 600명이 조금 넘고 슬랑고르주 라왕에 거주한다. 원래 영국인에 의해 경호원 및 보안 요원으로 데려온 네팔 인구는 라나, 체트리, 라이 및 구룽 씨족으로 구성된다. 기타 소수 민족으로는 필리핀인과 버마인이 있다. 캄보디아베트남에서 온 소수의 베트남 민족은 베트남 전쟁 난민으로 말레이시아에 정착했다.

혼혈 자녀의 민족 프로파일링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없다. 어떤 사람은 아버지의 민족에 따라 식별되기를 선택하고, 다른 사람은 단순히 "기타"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부모 중 한 명이 말레이인인 경우, 대부분 말레이인으로 자신을 식별하는데, 이는 부미푸트라의 법적 정의와 그에 따른 특권 때문이다. 중국-인도 부모 사이의 자녀는 친디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국가 인구 조사 데이터의 공식적인 범주는 아니지만, 특히 도시 지역에서 중국-인도 간의 관계가 증가하면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온 많은 다른 사람들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다. 70,000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이 말레이시아로 이주했다.[63]

4. 언어

말레이시아는 137개의 살아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를 포함하고 있으며,[64] 그 중 41개는 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다.[65] 말레이시아의 공식 언어는 바하사 말레이시아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말레이어의 표준화된 형태이다.[40] 영어는 오랫동안 말레이시아의 사실상 행정 언어였지만, 나중에 그 지위가 폐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는 말레이시아 사회의 많은 지역에서 활발한 제2 언어로 남아 있으며 모든 공립 학교에서 필수 과목으로 가르친다.[66][67]

말레이시아의 일반적인 언어를 보여주는 세븐일레븐 매장의 표지: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


말레이시아 영어는 말레이시아 표준 영어(MySE)라고도 하며, 영국 영어에서 파생된 영어의 한 형태이지만, 교육과 관련하여는 이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말레이시아 영어는 또한 망글리시와 함께 비즈니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망글리시는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구어체 영어이다. 대부분의 말레이시아인은 영어를 구사하지만, 일부는 망글리시 형태만 유창하게 구사한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망글리시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68] 말레이시아의 많은 기업이 영어로 거래를 수행하며, 때로는 공식 서신에도 사용된다. 시험은 영국 영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텔레비전을 통해 미국의 영향이 많았다.

말레이시아 화교는 주로 중국 남부 지방의 중국어를 사용한다. 말레이 반도에서 더 흔한 언어는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어, 조주어, 해남어, 푸저우어이다.[69] 사라왁에서는 대부분의 화교가 푸저우어 또는 객가어를 사용하며, 사바에서는 객가어가 우세하다. 단, 산다칸시는 예외인데, 그곳에 거주하는 화교가 객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광둥어가 더 자주 사용된다. 호키엔어는 주로 페낭, 케다, 펄리스에서 사용되며, 광둥어는 주로 이포쿠알라룸푸르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전체에서 대다수의 화교는 이제 표준 중국어인 만다린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만다린어는 중국 북부에서 온 비토착 언어이다(원래는 베이징 엘리트가 사용했으며 중국의 공식 언어로 선택됨). 반면 영어는 나머지의 모국어이다. 해남어와 같이 덜 사용되는 언어 중 일부는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다른 인종의 말레이시아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중국 청소년은 다국어 구사 능력이 있으며, 모국어인 중국어, 만다린어, 영어, 말레이어를 포함하여 최대 4개의 언어를 어느 정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타밀어는 말레이시아의 남아시아 민족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며,[70] 특히 고국인 타밀 나두 및 실론과 밀접한 문화적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말레이 반도에서 그렇다. 이는 동말레이시아에 반도보다 인도인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실론 출신의 타밀 공동체는 스리랑카 타밀어로 알려진 자체 타밀 방언을 가지고 있다. 타밀어 외에도, 말라얄람어는 말레이시아에서 20만 명 이상의 말레이시아 말라얄리가 사용하며, 주로 페락, 셀랑고르, 느그리슴빌란, 조호르에서 사용된다.[71] 텔루구어는 텔루구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펀자브어는 펀자브 공동체에서 흔히 사용된다. 그 외에도 싱할라어스리랑카 출신인 소수의 싱할라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미낭카바우족, 부기스족 또는 자바족 출신으로 헌법적 정의에 따라 "말레이"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들도 각 조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동말레이시아의 토착 부족들은 자체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말레이어와 관련이 있지만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반어는 사라왁의 주요 부족 언어이며, 두순어는 사바의 원주민이 사용한다.[72] 브루나이 말레이어의 한 변종도 두 주 모두에서 흔히 사용된다.

일부 말레이시아인은 백인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크리올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포르투갈어 기반 말라카 크리올어[73], 스페인어 기반 삼보앙가어가 있다.[74] 태국어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37]

4. 1. 말레이어

말레이시아는 137개의 살아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41개는 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다.[64][65] 말레이시아의 공식 언어는 바하사 말레이시아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말레이어의 표준화된 형태이다.[40] 영어는 오랫동안 말레이시아의 사실상 행정 언어였지만, 나중에 그 지위가 폐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는 말레이시아 사회의 많은 지역에서 활발한 제2 언어로 남아 있으며 모든 공립 학교에서 필수 과목으로 가르친다.[66][67]

말레이시아 영어는 말레이시아 표준 영어(MySE)라고도 하며, 영국 영어에서 파생된 영어의 한 형태이다. 망글리시는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구어체 영어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망글리시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68]

말레이시아 화교는 주로 중국 남부 지방의 중국어를 사용한다. 말레이 반도에서 더 흔한 언어는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어, 조주어, 해남어, 푸저우어이다.[69] 사라왁에서는 대부분의 화교가 푸저우어 또는 객가어를 사용하며, 사바에서는 객가어가 우세하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전체에서 대다수의 화교는 이제 표준 중국어인 만다린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타밀어는 말레이시아의 남아시아 민족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며,[70] 말라얄람어는 말레이시아에서 20만 명 이상의 말레이시아 말라얄리가 사용한다.[71] 텔루구어는 텔루구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펀자브어는 펀자브 공동체에서 흔히 사용된다. 그 외에도 싱할라어스리랑카 출신인 소수의 싱할라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미낭카바우족, 부기스족 또는 자바족 출신으로 헌법적 정의에 따라 "말레이"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들도 각 조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동말레이시아의 토착 부족들은 자체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말레이어와 관련이 있지만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반어는 사라왁의 주요 부족 언어이며, 두순어는 사바의 원주민이 사용한다.[72]

일부 말레이시아인은 백인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크리올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포르투갈어 기반 말라카 크리올어[73], 스페인어 기반 삼보앙가어가 있다.[74]

4. 2. 영어

말레이시아는 137개의 살아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41개는 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다.[64][65] 바하사 말레이시아로 알려진 말레이어의 표준화된 형태가 공식 언어이다.[40] 영어는 오랫동안 사실상 행정 언어였지만, 나중에 그 지위가 폐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는 말레이시아 사회의 많은 지역에서 활발한 제2 언어로 남아 있으며 모든 공립 학교에서 필수 과목으로 가르친다.[66][67]

말레이시아의 많은 기업이 영어로 거래를 수행하며, 때로는 공식 서신에도 사용된다. 시험은 영국 영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텔레비전을 통해 미국의 영향이 많았다. 말레이시아 영어(MySE)는 영국 영어에서 파생된 영어의 한 형태이지만, 교육과 관련하여 이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말레이시아 영어는 또한 망글리시와 함께 비즈니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망글리시는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구어체 영어이다. 대부분의 말레이시아인은 영어를 구사하지만, 일부는 망글리시 형태만 유창하게 구사한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공식적으로 망글리시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68]

4. 3. 중국어

말레이시아 화교는 주로 중국 남부 지방의 방언을 사용한다. 말레이 반도에서 흔히 쓰이는 방언은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어, 조주어, 해남어, 푸저우어이다.[69] 사라왁에서는 대부분의 화교가 푸저우어 또는 객가어를 사용하며, 사바에서는 객가어가 우세하다. 단, 산다칸시는 예외인데, 그곳에 거주하는 화교가 객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광둥어가 더 자주 사용된다.[69] 호키엔어는 주로 페낭, 케다, 펄리스에서 사용되며, 광둥어는 주로 이포쿠알라룸푸르에서 사용된다.[69]

그러나 말레이시아 전체에서 대다수의 화교는 이제 표준 중국어인 만다린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만다린어는 중국 북부에서 온 비토착 언어이다(원래는 베이징 엘리트가 사용했으며 중국의 공식 언어로 선택됨).[69] 반면 영어는 나머지의 모국어이다. 해남어와 같이 덜 사용되는 방언 중 일부는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다른 인종의 말레이시아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중국 청소년은 다국어 구사 능력이 있으며, 모국어인 중국어 방언, 만다린어, 영어, 말레이어를 포함하여 최대 4개의 언어를 어느 정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69]

4. 4. 타밀어

타밀어는 말레이시아의 남아시아 민족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며,[70] 특히 타밀 나두 및 실론과 밀접한 문화적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말레이 반도에서 그렇다. 동말레이시아에는 반도보다 인도인이 훨씬 적다. 실론 출신의 타밀 공동체는 스리랑카 타밀어로 알려진 자체 타밀 방언을 가지고 있다.

4. 5. 기타 언어

말레이시아는 137개의 살아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를 포함하고 있으며,[64] 그 중 41개는 말레이 반도에서 발견된다.[65] 바하사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어의 표준화된 형태로 공식 언어이다.[40] 영어는 제2 언어로 남아 있으며 모든 공립 학교에서 필수 과목이다.[66][67]

말레이시아 영어는 영국 영어에서 파생되었으며, 망글리시와 함께 비즈니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망글리시는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구어체 영어이다.[68]

말레이시아 화교는 주로 중국 남부 지방의 중국어를 사용하며, 호키엔어, 광둥어, 객가어, 조주어, 해남어, 푸저우어 등이 사용된다.[69] 사라왁에서는 푸저우어 또는 객가어가, 사바에서는 객가어가 우세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교는 표준 중국어인 만다린어를 사용한다. 해남어와 같이 덜 사용되는 언어는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대부분의 중국 청소년은 다국어 구사 능력이 있다.

타밀어는 말레이시아의 남아시아 민족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며,[70] 말라얄람어,[71] 텔루구어, 펀자브어, 싱할라어도 사용된다.

미낭카바우족, 부기스족, 자바족 등도 각 조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동말레이시아의 토착 부족들은 자체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반어는 사라왁의 주요 부족 언어이며, 두순어는 사바의 원주민이 사용한다.[72] 브루나이 말레이어의 한 변종도 흔히 사용된다.

일부 말레이시아인은 백인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포르투갈어 기반 말라카 크리올어,[73] 스페인어 기반 삼보앙가어를 사용한다.[74] 태국어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37]

5. 종교

A Map of Malaysia showing religious statistics by state

  • 짙은 녹색: 무슬림 다수 > 50%
  • 연한 녹색: 무슬림 다수 미만 < 50%
  • 파란색: 기독교 다수 > 50%

말레이시아는 다종교 사회이며 말레이시아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이슬람교는 말레이시아의 최대 종교이자 국교이다. 초대 총리 4명은 말레이시아가 세속 국가로 기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78] 2020년 인구 및 주택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63.5%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불교 18.7%, 기독교 9.1%, 힌두교 6.1%를 믿고 있으며, 2.7%는 다른 종교를 믿거나 무종교라고 답하거나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78] 무슬림 인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1년 58.6%, 2000년 60.4%, 2010년 61.5%에서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63.5%를 기록했다.[79][80]

말레이시아계 인도인의 대다수는 힌두교(84.5%)를 믿으며, 기독교인(7.7%), 시크교도(3.9%), 무슬림(3.8%)도 상당수 존재하며, 자이나교 신자 1,000명도 있다.[80] 대부분의 말레이시아계 중국인은 불교, 도교, 유교, 조상 숭배를 혼합하여 따르지만, 종교를 구체적으로 묻는 질문에는 불교도라고 답한다. 2000년 인구 조사 통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중국계는 75.9%가 불교도라고 답했으며, 도교(10.6%)와 기독교(9.6%) 신자도 상당수를 차지하고, 후이 무슬림 인구가 페낭과 같은 지역에 소수 존재한다.[80] 기독교는 비말레이 부미푸트라 공동체의 근소한 다수(50.1%)를 차지하며, 36.3%는 무슬림으로, 7.3%는 민속 종교를 따른다.[80]

5. 1. 이슬람교

[77]

이슬람교는 말레이시아의 최대 종교이자 국교이지만, 말레이시아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78] 2020년 인구 및 주택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63.5%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이는 1991년 58.6%, 2000년 60.4%, 2010년 61.5%에서 꾸준히 증가한 수치이다.[79][80]

타일 지붕에 양파 모양 돔이 있고 첨탑이 있는 나무로 된 캄풍 라웃 모스크.
캄풍 라웃 모스크는 18세기 초에 지어진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이다.


이슬람교는 12세기경 아랍 상인에 의해 말레이시아에 전파된 것으로 여겨진다.[81] 모든 민족 말레이인은 말레이시아 헌법 제160조에 따라 무슬림으로 간주된다.[82] 무슬림은 종교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샤리아 법원의 결정을 따라야 하며, 이슬람 판사는 말레이시아의 주요 마드하브인 이슬람의 샤피이 법학 학파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83] 샤리아 법원의 관할권은 결혼, 상속, 이혼, 배교, 개종, 양육권 등과 같은 문제에 있어 무슬림에게만 제한된다.[84] 민사 법원은 이슬람 관행과 관련된 문제를 심리하지 않는다.[84] 무슬림 인구의 성적 활동 규제는 엄격하며, 미혼 커플이 이슬람교에서 금지된 행위에 대한 의혹을 막기 위해 은밀한 지역이나 좁은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이 있다.[85]

5. 2. 불교

말레이시아의 종교는 다양하며, 이슬람교가 최대 종교이자 국교이지만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77]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18.7%가 불교를 믿는다고 답했다.[78] 초대 총리 4명은 말레이시아가 세속 국가로 기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78]

짙은 녹색: 무슬림 다수 > 50%

연한 녹색: 무슬림 다수 미만 < 50%

파란색: 기독교 다수 > 50%

대부분의 말레이시아계 중국인은 불교, 도교, 유교, 조상 숭배를 혼합하여 따르지만, 종교를 묻는 질문에는 불교도라고 답한다. 2000년 인구 조사 통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중국계는 75.9%가 불교도라고 답했으며, 도교(10.6%)와 기독교(9.6%) 신자도 상당수를 차지한다.[80] 후이 무슬림 인구가 페낭과 같은 지역에 소수 존재한다.[80]

5. 3. 기독교

말레이시아는 다종교 사회이며 헌법상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만, 이슬람교가 최대 종교이자 국교이다.[78] 2020년 인구 및 주택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9.1%가 기독교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78] 이는 1991년 이후 무슬림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와는 대조적이다.[79][80]

  • 짙은 녹색: 무슬림 다수 > 50%
  • 연한 녹색: 무슬림 다수 미만 < 50%
  • 파란색: 기독교 다수 > 50%


말레이시아계 인도인 중에서는 기독교인(7.7%)이 힌두교도(84.5%) 다음으로 많고,[80] 말레이시아계 중국인 중에서는 기독교인(9.6%)이 불교도(75.9%)와 도교 신자(10.6%) 다음으로 많다.[80] 비말레이 부미푸트라 공동체에서는 기독교인이 50.1%로 근소한 다수를 차지하며, 이외에 무슬림(36.3%)과 민속 종교(7.3%) 신자가 있다.[80]

5. 4. 힌두교

말레이시아계 인도인의 대다수는 힌두교(84.5%)를 믿으며, 기독교인(7.7%), 시크교도(3.9%), 무슬림(3.8%)도 상당수 존재한다.[80] 자이나교 신자도 1,000명 가량 있다.[80]

5. 5. 기타 종교

말레이시아는 다종교 사회이며 헌법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78] 이슬람교가 국교로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초대 총리 4명은 말레이시아가 세속 국가로 기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78]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약 63.5%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불교 18.7%, 기독교 9.1%, 힌두교 6.1%를 믿고 있으며, 2.7%는 다른 종교를 믿거나 무종교라고 답하거나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78] 무슬림 인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1년 58.6%, 2000년 60.4%, 2010년 61.5%에서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63.5%를 기록했다.[79][80][77]

  • 짙은 녹색: 무슬림 다수 > 50%
  • 연한 녹색: 무슬림 다수 미만 < 50%
  • 파란색: 기독교 다수 > 50%

6. 교육

말레이시아의 문맹률(15세 이상 인구 중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은 88.7%로 높은 편이다.[86] 남성의 문맹률(92%)이 여성(85.4%)보다 높다.

말레이시아의 교육은 연방 정부 교육부에서 관리한다.[87] 교육 시스템은 의무가 아닌 유치원 교육과 6년의 의무 초등 교육,[88] 그리고 5년의 선택적인 중등 교육으로 구성된다.[89] 대부분의 말레이시아 어린이들은 3세에서 6세 사이에 유치원에서 학교를 시작한다.

[[File:Nottinghamunimalaysia.JPG|thumb|left|200px|말레이시아 캠퍼스 노팅엄 대학교 (University of Nottingham) 세메니], 슬랑고르

'''초등 교육'''

말레이시아의 아이들은 7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6년 동안 교육을 받는다. 초등학교는 국민학교와 민족 학교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90] 민족 학교(''Sekolah Jenis Kebangsaan'')는 중국어 또는 타밀어를 수업 매체로 사용하는 반면, 국민학교(''Sekolah Kebangsaan'')는 영어, 과학, 수학을 제외한 과목에 대해 바하사 말레이시아어를 수업 매체로 사용한다.[90]

중등 교육 과정으로 진학하기 전에, 6학년 학생들은 초등학교 성취도 평가(''우지안 픈차파이안 스콜라 렌다'', UPSR)를 치러야 한다.[91] 초등학교 3학년 때 치러졌던 1단계 평가(''Penilaian Tahap Satu'', PTS) 프로그램은 2001년에 폐지되었다.

'''중등 교육'''

말레이시아의 중등 교육은 5년 동안 중등학교(''Sekolah Menengah Kebangsaan'')에서 진행된다.[92] 국립 중등학교는 말레이어를 주된 수업 언어로 사용하며, 예외적으로 수학, 과학 및 말레이어가 아닌 언어는 2003년부터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었으나, 2012년부터는 다시 바하사 말레이시아로 교육한다.[92] 3학년 말에는 중3 평가(PT3)를 받으며, 2014년에 폐지된 3학년 PMR은 더 이상 치르지 않는다.[92] 중등 교육 마지막 해(5학년)에는 말레이시아 교육 증명서(''Sijil Pelajaran Malaysia'', SPM) 시험을 치르며, 이는 이전 영국의 일반 또는 'O' 레벨과 같다.[92]

말레이시아 국립 중등학교는 국립 중등학교 (''Sekolah Menengah Kebangsaan''), 종교 중등학교 (''Sekolah Menengah Agama''), 국립형 중등학교 (Sekolah Menengah Jenis Kebangsaan) (미션 스쿨이라고도 함), 기술 학교 (Sekolah Menengah Teknik), 기숙 학교 및 MARA Junior Science College (Maktab Rendah Sains MARA)와 같이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92]

말레이시아에는 대부분의 과목이 중국어로 가르쳐지는 60개의 중국 독립 고등학교가 있으며, 이 학교들은 말레이시아의 United Chinese School Committees' Association (UCSCAM)에서 관리한다.[92] 독립 학교는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중등 교육을 마치려면 6년이 걸린다.[92] 학생들은 UCSCAM에서 실시하는 표준화 시험을 치르며, 주니어 미들 3 (PMR과 동일) 및 시니어 미들 3 (A level과 동일)에서 통일 시험 증명서 (UEC)를 받는다.[92] 일부 독립 학교에서는 말레이어와 영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PMR과 SPM을 추가로 치를 수 있도록 한다.[92]

'''고등 교육'''

매트리큘레이션 시스템 도입 전에는, 국립 대학교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폼 식스에서 18개월의 추가적인 중등 교육을 마치고 말레이시아 고등 학교 졸업 증명서(''Sijil Tinggi Persekolahan Malaysia'', STPM)를 취득해야 했다.[93] 이는 영국의 A 레벨과 동등하다. 1999년 STPM의 대안으로 매트리큘레이션 프로그램이 도입된 이후, 매트리큘레이션 칼리지(말레이어로 kolej matrikulasi)에서 12개월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현지 대학교에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매트리큘레이션 시스템에서는 비 부미푸트라 학생들에게 단 10%의 자리만 열려 있다.[94]

말레이시아에는 여러 개의 정부 지원 국립 대학교가 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곳은 말라야 대학교이다. 2002년에 말레이계 학생을 선호하는 민족 할당제가 폐지되었지만, 비 부미푸트라 학생들의 저조한 입학으로 인해 이러한 대학교에서는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한다.[95] 대신, 사립 대학교가 현지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생겨났다. 이러한 사립 대학교들은 국제적인 교육의 질로 명성을 얻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온 학생들이 이 대학교에 다닌다.

1998년 이후 모나쉬 대학교 말레이시아 캠퍼스, 커틴 대학교, 말레이시아, 스윈번 공과 대학교 사라왁 캠퍼스 및 노팅엄 대학교 말레이시아 캠퍼스와 같은 4개의 평판 좋은 국제 대학교가 말레이시아에 분교 캠퍼스를 설립했다. 분교 캠퍼스는 본교와 동일한 과정을 제공하고 학위를 수여하는 외국 대학교의 '해외 캠퍼스'로 볼 수 있다. 현지 학생과 국제 학생 모두 말레이시아에서 이러한 동일한 외국 자격을 더 낮은 수수료로 취득할 수 있다.

학생들은 중등 교육을 마친 후 사립 고등 교육 기관에 등록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기관들은 미국, 영국 및 호주의 해외 대학교와 교육적 연계를 맺고 있어, 학생들이 과정의 일부를 해외에서 보내고 해외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예시 중 하나는 툰쿠 압둘 라만 대학교이며, 셰필드 할람 대학교 및 코벤트리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96]

6. 1. 초등 교육

말레이시아의 아이들은 7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6년 동안 교육을 받는다. 초등학교는 국민학교와 민족 학교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90] 민족 학교(''Sekolah Jenis Kebangsaan'')는 중국어 또는 타밀어를 수업 매체로 사용하는 반면, 국민학교(''Sekolah Kebangsaan'')는 영어, 과학, 수학을 제외한 과목에 대해 바하사 말레이시아어를 수업 매체로 사용한다.[90]

말레이 칼리지 쿠알라캉사르(MCKK)는 영국령 말라야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기숙 학교 중 하나이다.


중등 교육 과정으로 진학하기 전에, 6학년 학생들은 초등학교 성취도 평가(''우지안 픈차파이안 스콜라 렌다'', UPSR)를 치러야 한다.[91] 초등학교 3학년 때 치러졌던 1단계 평가(''Penilaian Tahap Satu'', PTS) 프로그램은 2001년에 폐지되었다.

6. 2. 중등 교육

말레이시아의 중등 교육은 5년 동안 중등학교(''Sekolah Menengah Kebangsaan'')에서 진행된다.[92] 국립 중등학교는 말레이어를 주된 수업 언어로 사용하며, 예외적으로 수학, 과학 및 말레이어가 아닌 언어는 2003년부터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었으나, 2012년부터는 다시 바하사 말레이시아로 교육한다.[92] 3학년 말에는 중3 평가(PT3)를 받으며, 2014년에 폐지된 3학년 PMR은 더 이상 치르지 않는다.[92] 중등 교육 마지막 해(5학년)에는 말레이시아 교육 증명서(''Sijil Pelajaran Malaysia'', SPM) 시험을 치르며, 이는 이전 영국의 일반 또는 'O' 레벨과 같다.[92]

말레이시아 국립 중등학교는 국립 중등학교 (''Sekolah Menengah Kebangsaan''), 종교 중등학교 (''Sekolah Menengah Agama''), 국립형 중등학교 (Sekolah Menengah Jenis Kebangsaan) (미션 스쿨이라고도 함), 기술 학교 (Sekolah Menengah Teknik), 기숙 학교 및 MARA Junior Science College (Maktab Rendah Sains MARA)와 같이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92]

말레이시아에는 대부분의 과목이 중국어로 가르쳐지는 60개의 중국 독립 고등학교가 있으며, 이 학교들은 말레이시아의 United Chinese School Committees' Association (UCSCAM)에서 관리한다.[92] 독립 학교는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중등 교육을 마치려면 6년이 걸린다.[92] 학생들은 UCSCAM에서 실시하는 표준화 시험을 치르며, 주니어 미들 3 (PMR과 동일) 및 시니어 미들 3 (A level과 동일)에서 통일 시험 증명서 (UEC)를 받는다.[92] 일부 독립 학교에서는 말레이어와 영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PMR과 SPM을 추가로 치를 수 있도록 한다.[92]

6. 3. 고등 교육

Multimedia University의 사이버자야 캠퍼스의 항공 사진. Multimedia University는 말레이시아 최초의 사립대학교이다.


매트리큘레이션 시스템 도입 전에는, 국립 대학교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폼 식스에서 18개월의 추가적인 중등 교육을 마치고 말레이시아 고등 학교 졸업 증명서(''Sijil Tinggi Persekolahan Malaysia'', STPM)를 취득해야 했다.[93] 이는 영국의 A 레벨과 동등하다. 1999년 STPM의 대안으로 매트리큘레이션 프로그램이 도입된 이후, 매트리큘레이션 칼리지(말레이어로 kolej matrikulasi)에서 12개월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현지 대학교에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매트리큘레이션 시스템에서는 비 부미푸트라 학생들에게 단 10%의 자리만 열려 있다.[94]

말레이시아에는 여러 개의 정부 지원 국립 대학교가 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곳은 말라야 대학교이다. 2002년에 말레이계 학생을 선호하는 민족 할당제가 폐지되었지만, 비 부미푸트라 학생들의 저조한 입학으로 인해 이러한 대학교에서는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한다.[95] 대신, 사립 대학교가 현지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생겨났다. 이러한 사립 대학교들은 국제적인 교육의 질로 명성을 얻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온 학생들이 이 대학교에 다닌다.

1998년 이후 모나쉬 대학교 말레이시아 캠퍼스, 커틴 대학교, 말레이시아, 스윈번 공과 대학교 사라왁 캠퍼스 및 노팅엄 대학교 말레이시아 캠퍼스와 같은 4개의 평판 좋은 국제 대학교가 말레이시아에 분교 캠퍼스를 설립했다. 분교 캠퍼스는 본교와 동일한 과정을 제공하고 학위를 수여하는 외국 대학교의 '해외 캠퍼스'로 볼 수 있다. 현지 학생과 국제 학생 모두 말레이시아에서 이러한 동일한 외국 자격을 더 낮은 수수료로 취득할 수 있다.

학생들은 중등 교육을 마친 후 사립 고등 교육 기관에 등록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기관들은 미국, 영국 및 호주의 해외 대학교와 교육적 연계를 맺고 있어, 학생들이 과정의 일부를 해외에서 보내고 해외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예시 중 하나는 툰쿠 압둘 라만 대학교이며, 셰필드 할람 대학교 및 코벤트리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96]

7. 보건

말레이시아 정부는 의료 서비스 확대 및 개발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정부 사회 부문 개발 예산의 5%를 공공 의료에 투입하고 있다. 이는 이전 수치보다 47% 이상 증가한 것이며, 총 20억 링깃 이상 증가했다.[98] 인구 증가와 고령화에 따라 정부는 기존 병원 개조, 신규 병원 건설 및 장비 구비, 진료소 수 확대, 원격의료 훈련 및 확충 등 많은 분야에서 개선을 원하고 있다. 의료 부문의 주요 문제점은 농촌 지역의 의료 시설 부족이며, 정부는 "원격 1차 진료" 시스템 개발 및 확대를 통해 이에 대응하려 하고 있다.[98] 또 다른 문제는 약물 과다 처방인데,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감소했다.[99] 2009년부터 말레이시아 보건부는 시스템 개혁과 더 많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97]

말레이시아는 일반적으로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의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민간 의료 시스템과 공존하는 보편적 의료 보장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다.[98] 2009년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 1,000명당 6명이었으며, 2009년의 출생 시 기대 수명은 75세였다.[100] 말레이시아는 비만 유병률이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높다.[101][102]

말레이시아 의료 시스템은 의사들이 공공 병원에서 3년의 의무 복무를 수행하여 이러한 병원의 인력을 유지하도록 요구한다.[98] 최근에는 외국인 의사들도 말레이시아에서 취업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의료 인력, 특히 고도로 훈련된 전문의가 부족하여 특정 의료 서비스 및 치료는 대도시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대부분의 사립 병원은 도시 지역에 있으며, 많은 공립 병원과 달리 최신 진단 및 영상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사립 병원은 일반적으로 이상적인 투자로 여겨지지 않았으며, 기업이 수익을 얻기까지 최대 10년이 걸렸다. 그러나 상황이 바뀌어 현재 기업들은 의료 서비스를 위해 말레이시아에 입국하는 외국인의 증가와 의료 관광 산업 개발에 대한 최근 정부의 관심과 일치하여 이 분야를 다시 탐색하고 있다.[103] 정부는 또한 말레이시아를 지역 및 국제적으로 의료 목적지로 홍보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97]

8. 주요 도시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많은 행정 및 사법부의 연방 정부가 푸트라자야로 이전했지만,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 국회가 있는 곳으로, 입법 수도 역할을 한다. 또한 말레이시아의 경제 및 비즈니스 중심지이며, 프라이메트 시티이기도 하다. 쿠알라룸푸르는 또한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하게 알파 등급을 받은 세계 도시이다. 수방 자야, 클랑, 페탈링 자야, 샤알람, 카장-숭가이 추아, 암팡 자야, 셀라양과 함께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권을 형성하며, 이 도시권을 클랑 밸리라고 부른다.

조지 타운은 페낭의 주도로, 쿠알라룸푸르가 도시 지위를 얻었던 1970년대까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크고 유일한 도시였다. 오늘날, 감마급 세계 도시로 평가받는 조지 타운은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의 금융, 산업 및 의료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세베랑 페라이, 숭가이 페타니, 쿨림 구, 반다르 바하루 구, 얀 구, 케리안 구와 라룻, 마탕 및 셀라마 구의 일부 지역과 함께, 인구 284만 명 이상인 조지 타운 도시권을 형성하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도시권을 이룬다.

말레이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은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조호르 바루, 이스칸다르 푸테리, 파시르 구당, 쿨라이, 폰티안이 여기에 포함된다. 싱가포르 옆에 위치해 있으며, 말레이시아 남부 지역의 중요한 산업, 관광 및 상업 중심지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요 도시로는 이포, 코타키나발루, 쿠칭 등이 있다.

8. 1.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많은 행정 및 사법부의 연방 정부가 푸트라자야로 이전했지만,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 국회가 있는 곳으로, 입법 수도 역할을 한다. 또한 말레이시아의 경제 및 비즈니스 중심지이며, 프라이메트 시티이기도 하다. 쿠알라룸푸르는 또한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하게 알파 등급을 받은 세계 도시이다. 수방 자야, 클랑, 페탈링 자야, 샤알람, 카장-숭가이 추아, 암팡 자야, 셀라양과 함께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권을 형성하며, 이 도시권을 클랑 밸리라고 부른다.

8. 2. 조지타운

조지 타운은 페낭의 주도로, 1970년대 쿠알라룸푸르가 도시 지위를 얻기 전까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크고 유일한 도시였다. 오늘날 조지 타운은 감마급 세계 도시로 평가받으며,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의 금융, 산업 및 의료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세베랑 페라이, 숭가이 페타니, 쿨림 구, 반다르 바하루 구, 얀 구, 케리안 구와 라룻, 마탕 및 셀라마 구의 일부 지역과 함께 조지 타운 도시권을 형성하며, 인구 284만 명 이상으로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도시권이다.

8. 3. 기타 도시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많은 행정 및 사법부의 연방 정부가 푸트라자야로 이전했지만,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시아 국회가 있는 곳으로, 입법 수도 역할을 한다. 또한 말레이시아의 경제 및 비즈니스 중심지이며, 프라이메트 시티이기도 하다. 쿠알라룸푸르는 또한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하게 알파 등급을 받은 세계 도시이다. 수방 자야, 클랑, 페탈링 자야, 샤알람, 카장-숭가이 추아, 암팡 자야, 셀라양과 함께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권을 형성하며, 이 도시권을 클랑 밸리라고 부른다.

조지 타운은 페낭의 주도로, 쿠알라룸푸르가 도시 지위를 얻었던 1970년대까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크고 유일한 도시였다. 오늘날, 감마급 세계 도시로 평가받는 조지 타운은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의 금융, 산업 및 의료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세베랑 페라이, 숭가이 페타니, 쿨림 구, 반다르 바하루 구, 얀 구, 케리안 구와 라룻, 마탕 및 셀라마 구의 일부 지역과 함께, 인구 284만 명 이상인 조지 타운 도시권을 형성하며,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도시권을 이룬다.

말레이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은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조호르 바루, 이스칸다르 푸테리, 파시르 구당, 쿨라이, 폰티안이 여기에 포함된다. 싱가포르 옆에 위치해 있으며, 말레이시아 남부 지역의 중요한 산업, 관광 및 상업 중심지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의 다른 주요 도시로는 이포, 코타키나발루, 쿠칭 등이 있다.

참조

[1] CIA World Factbook 2024-08-10
[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2020 https://cloud.stats.[...]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22-03-23
[3] 웹사이트 Population, Household and Living Quarters (2010)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1-09-28
[4] 웹사이트 Current Population Estimates, Malaysia, 2014 – 2016 https://www.statisti[...]
[5] 웹사이트 Demographic Transition in Malaysia http://www.cwsc2011.[...] Demographic Statistics Division, Malaysia 2012-03-28
[6] 웹사이트 Population by States and Ethnic Group http://pmr.peneranga[...] Department of Information,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Malaysia 2015-02-12
[7]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0 http://www.statistic[...] 2011-08-23
[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2020 https://cloud.stats.[...]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22-03-23
[9] 서적 Growth, structural change, and regional inequality in Malaysia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6-08-05
[10] 뉴스 As Malaysia deports illegal workers, employers run short https://www.nytimes.[...] 2010-10-26
[11] 뉴스 Illegal workers leave Malaysia http://news.bbc.co.u[...] 2010-10-26
[12] 뉴스 Demographic implosion in Sabah? Really? http://www.malaysiak[...] 2010-06-21
[13] 뉴스 World Refugee Survey 2008 http://www.refugees.[...] U.S. Committee for Refugees and Immigrants 2008-06-19
[14]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0 http://www.statistic[...]
[15]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16]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http://www.statistic[...] 2015-07-02
[17] 웹사이트 Census Dashboard https://tableau.dosm[...]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23-02-21
[18] 웹사이트 Population by Age Group (1963–2010),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http://www.statistic[...] 2010-08-21
[19]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8-11-09
[20] 웹사이트 2015 Demographic Yearbook https://unstats.un.o[...] 2017-06-04
[21]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Unstats.un.org 2022-06-25
[22] 웹사이트 Rapid ageing crisis: Reforms needed https://www.nst.com.[...] 2022-05-17
[23] 논문 Ethnic fertility differentials in Peninsular Malaysia and Singapore. 1990-01
[24] 웹사이트 9 February 2007 – Statistics Department, Malaysia – Vital statistics http://www.statistic[...] 2008-03-23
[25] 웹사이트 9 February 2007 – Statistics Department, Malaysia – Demographic key rates http://www.statistic[...] 2007-06-06
[26]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9 Revision https://population.u[...] 2015-07-02
[27]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https://www.dosm.gov[...] 2019-05-27
[28] 웹사이트 EStatistik https://newss.statis[...] 2020-11-19
[29] 웹사이트 Demographic Statistics Fourth Quarter 2021, Malaysia https://www.dosm.gov[...] 2022-09-09
[30] 웹사이트 Demographic Statistics, Malaysia https://www.dosm.gov[...] 2024-05-14
[31] DOSM DOSM https://www.dosm.gov[...]
[32] 서적 The Population of Malay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
[33]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esa.un.org/u[...] 2018-08-26
[34] 뉴스 Bound for Glory http://www.time.com/[...] 2011-08-26
[35] 웹사이트 Population Distribution and Basic Demographic Characteristic Report 2010 (Ethnic composition) http://www.statistic[...]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2013-10-10
[36] 웹사이트 Infographics https://www.mycensus[...] Department of Statistics 2021-08-13
[3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5-07-02
[38] 웹사이트 PM asked to clarify mixed-race bumiputra status https://web.archive.[...] Thestar.com.my 2010-10-26
[39] 서적 Southeast Asian identities: culture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Indonesia, Malaysian, Singapore and Thailand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23-03-22
[40] 문서
[41] 간행물 Geography of Wealth — Iban People/Malaysia Profile https://www.national[...] 2010-09-15
[42] 웹사이트 KadazanDusun, Kadazan Dusun Sabahan | ABC Sabah Malaysia https://web.archive.[...] Abcsabah.com 2010-09-15
[43] 웹사이트 The People of Sabah https://web.archive.[...] Sabah.org.my 2010-09-15
[44] 웹사이트 ownCloud::DOSM https://web.archive.[...] Cloud.stats.gov.my null
[45] 서적 Modernity and Malaysia: settling the Menraq forest nomad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Group 2016-08-05
[46] 웹사이트 Environmental Justice Case Study: Displacement of Indigenous People in Sarawak, Malaysia http://www.umich.edu[...] Umich.edu 2010-09-17
[47] 논문 The Peopling and Migration History of the Natives in Peninsular Malaysia and Borneo: A Glimpse on the Studies Over the Past 100 years 2022
[48] 논문 Demographic Trends in Peninsula Malaya https://faculty.wash[...] 2017-07-02
[49] 서적 The Bamboo Network: How Expatriate Chinese Entrepreneurs are Creating a New Economic Superpower in Asia https://archive.org/[...] Martin Kessler Books, Free Press 1996-01-01
[50] 웹사이트 Table 8.1 : Total population by ethnic group, Local Authority area and state, Malaysia, 2010 Negeri : PERAK http://www.statistic[...]
[51] 간행물 Key Finding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alaysia 2020: Urban and Rural 2022-12
[52] 웹사이트 Chinese, and truly Malaysian – Nation – The Star Online http://www.thestar.c[...] 2017-03-15
[53] 웹사이트 Racism alive and well in Malaysia http://www.atimes.co[...] 2010-10-27
[54] 서적 Indian Communities in Southeast Asia
[55] 서적 Sojourners to citizens: Sri Lankan Tamils in Malaysia, 1885–1965
[5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ri Lankan Diaspora
[57] 서적 Indian Communities in Southeast Asia
[58] 웹사이트 Non-resident Indian and Person of Indian Origin http://www.nriol.com[...] 2008-11-27
[59] 뉴스 Indian Fulbright scholar Honored by Malaysian PM http://indiapost.com[...] 2008-11-27
[60] 웹사이트 Total migrant workers from Terai Madhesh of Nepal to Malaysia http://nepal.iom.int[...] 2016-05-04
[61] 웹사이트 1 in 10 madhesi of Madhesi are migrant workers in Malaysia : Nepali times http://nepalitimes.c[...] 2016-05-04
[62] 웹사이트 Madhesi are recognizes Nepali first in Qatar, Malaysia and India http://nepalitimes.c[...] 2016-05-04
[63] 뉴스 African migrants aspire to a better life in Asia https://www.dw.com/e[...] 2020-02-09
[6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Malaysia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10-18
[65]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Malaysia (Peninsular)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0-10-18
[66] 뉴스 PAGE hands in second memorandum http://thestar.com.m[...] 2010-07-09
[67] 뉴스 Math and Science back to Bahasa, mother tongues http://thestar.com.m[...] 2009-07-08
[68] 웹사이트 Language Log: Malaysia cracks down on "salad language" http://itre.cis.upen[...] Itre.cis.upenn.edu 2010-09-14
[69]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Chinese in Malaysia http://phuakl.tripod[...] Phuakl.tripod.com 2010-09-21
[7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Volume 1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 2016-08-05
[71] 웹사이트 Malayali, Malayalam in Malaysia https://joshuaprojec[...] 2021-03-21
[7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0-09-21
[73] 간행물 Malaysian Creole Portuguese: Asian, African or European? University of Texas
[74] 서적 Roots of Creol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75] 문서
[76] 웹사이트 More than just a card https://web.archive.[...] Thestar.com.my 2007-08-30
[77]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Official Portal https://www.dosm.gov[...]
[78]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Official Portal https://open.dosm.go[...] 2023-02-17
[79] 웹사이트 Key Findings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0 https://web.archive.[...] 2022-08-20
[80] 서적 General Report of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0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81] 서적 A History of Malays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Press Ltd
[82] 문서
[83] 서적 Islamic modern: religious courts and cultural politics in Malay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4] 웹사이트 Malaysia moving forward in matters of Islam and women by Marina Mahathir – Common Ground News Service https://web.archive.[...] Commongroundnews.org 2010-08-17
[85] 뉴스 Unmarried couples caught in Malaysia hotel raids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1-04
[86] 서적 Managing cultural differences: global leadership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Butterworth Heinemann
[87] 문서
[88] 웹사이트 Malaysia https://2009-2017.st[...] State.gov 2010-07-14
[89] 웹사이트 Education in Malaysia https://wenr.wes.org[...] 2014-12-02
[90] 뉴스 Malay groups want vernacular schools abolished https://web.archive.[...] 2010-08-22
[91] 웹사이트 Primary School Education https://web.archive.[...] Malaysia.gov.my
[92] 뉴스 In Malaysia, English Ban Raises Fears for Future https://www.nytimes.[...] 2009-07-10
[93] 웹사이트 Academic Qualification Equivalence http://www.studymala[...] 2010-09-15
[94] 서적 Malaysia: recent trend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95] 뉴스 Is Malaysia university entry a level playing field? https://www.bbc.co.u[...] 2013-09-02
[96] 웹사이트 Collaborative Partnership https://web.archive.[...] Tunku Abdul Rahman University College
[97] 웹사이트 The Official Site of Malaysia Healthcare Travel & Medical Tourism https://web.archive.[...] Myhealthcare.gov.my 2009-07-03
[98] 웹사이트 Health Care in Malaysia http://www.expatforu[...] Expatforum.com 2009-08-08
[99] 웹사이트 Healthcare in Malaysia http://www.allianzwo[...] Allianzworldwidecare.com
[100] 웹사이트 Malaysia – Statistics http://www.unicef.or[...] UNICEF
[101] 뉴스 Confirmed: Malaysia fattest ASEAN nation https://web.archive.[...] Investvine.com 2013-02-26
[102] 뉴스 Too fat http://investvine.co[...] Investvine.com 2013-04-06
[103] 웹사이트 Media Release:Health Tourism in Malaysia http://www.tourism.g[...] Tourism Malaysia 2010-06-21
[104]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9 Revision https://web.archive.[...] 2015-07-02
[105] 웹인용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https://www.dosm.gov[...] 2019-05-27
[106] 웹사이트 https://newss.statis[...]
[107] 문서 DOSM
[108] 서적 The Population of Malay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
[109]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web.archive.[...] 2018-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