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머리 성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머리 성운은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어둡고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별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1888년 윌리아미나 플레밍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E. E. 바너드에 의해 바너드 33으로 목록에 등재되었다. 성운 뒤쪽의 수소 가스는 근처 별인 시그마 오리온자리에 의해 이온화되어 붉은색을 띠며, 자기장은 가스를 통과하며 줄무늬로 나타난다. 말머리 성운은 주변의 우주 먼지로 인해 어둡게 보이며, 말머리 기저부의 밝은 점들은 막 형성되는 젊은 별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흑성운 - 석탄자루 성운
석탄자루 성운은 켄타우루스자리와 파리자리에 걸쳐 있는 어두운 성운으로, 1499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주변 별빛을 반사하여 희미하게 빛나고,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잉카인에게는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암흑성운 - 보크 구상체
보크 구상체는 밀도가 높고 어두운 분자 구름으로, 내부에서 별이 탄생하는 영역이며, 주로 쌍성 또는 다중성계 형성과 관련이 있고, 혜성 구상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 항성 형성 - 원시별
원시별은 별의 진화 초기 단계로, 분자 구름의 중력 붕괴로 형성되어 수소 핵융합을 시작하기 전 주변 가스와 먼지를 흡수하며 성장하고, 강착 원반과 쌍극류를 형성하며, 적외선 및 밀리미터 영역에서 관측되며, 중심부의 중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주변 물질이 소실된 후 T 타우리형 별 또는 허빅 Ae/Be형 별로 관측되는 천체이다. - 항성 형성 - 성간매질
성간매질은 은하 내 별들 사이 공간을 채우는 물질로, 수소, 헬륨 가스, 먼지, 우주선 등으로 구성되어 별의 탄생과 진화, 은하의 역학 및 화학적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 - NGC 1999
NGC 1999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반사 성운으로, 내부 별의 빛을 받아 빛나며,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당시에는 암흑 성운으로 추정되었으나, 헤르셸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먼지가 거의 없는 공동으로 밝혀졌고, 이는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분출되는 제트가 주변 물질을 밀어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 - 오리온 성운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밝은 확산 성운인 오리온 성운(M42)은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중심부에는 트라페지움 성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어린 별과 원시행성계 원반을 포함하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이다.
말머리 성운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말머리 성운 |
유형 | 암흑 성운, 확산 성운 |
위치 | 오리온자리 |
적경 (J2000.0) | 05시 40분 59.0초 |
적위 (J2000.0) | -02° 27′ 30.0" |
거리 | 1375 광년 (422 파섹) |
겉보기 등급 | 6.8 |
크기 | 8 × 6 분각 |
반지름 | 3.5 광년 |
다른 이름 | 바너드 33 (Barnard 33) LDN 1630 IC 434 |
발견 및 명명 | |
이름 유래 | 말머리 모양에서 유래 |
추가 정보 | |
설명 | 하늘에서 가장 알아보기 쉬운 성운 중 하나이다. |
구글 지도 검색어 | 말머리 성운 |
2. 역사
말머리 성운은 1888년 스코틀랜드 천문학자 윌리아미나 플레밍이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서 촬영한 사진 건판에서 처음 발견했다.[8][9] 초기 기록 중 하나는 E. E. 바너드가 남긴 것으로, 그는 이 성운을 "직경 4분 크기의 어두운 덩어리가 알니탁 남쪽으로 뻗은 성운 띠 위에 있다"고 묘사했다. 또한 이 어두운 성운을 바너드 목록에 바너드 33으로 등재했다.[10]
(내용 없음)
3. 구조
말머리 성운은 어둡고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별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오리온 분자 구름 복합체 내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오리온자리에 속하며, 북반구에서는 겨울 저녁 하늘, 남반구에서는 여름 저녁 하늘에서 관측하기 좋다.
컬러 이미지에서는 성운 뒤쪽의 수소 가스(Hα)가 붉게 빛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근처의 밝은 별인 시그마 오리온자리에 의해 가스가 이온화되었기 때문이다. 자기장은 성운의 가스를 통과하며 배경의 빛을 가로지르는 줄무늬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11] 붉게 빛나는 수소 가스 띠는 거대한 구름의 가장자리를 보여주며, 성운 근처 별들의 밀도는 양쪽에서 눈에 띄게 차이가 난다.
말머리 성운 지역과 이웃한 오리온 성운에는 우주 먼지가 매우 높은 농도로 집중되어 성간 구름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거의 완전히 불투명한 부분과 투명한 부분이 번갈아 나타난다.[12] 말머리 성운이 어둡게 보이는 주된 이유는 짙은 먼지가 그 뒤에 있는 별들의 빛을 가리기 때문이다.[13] 성운의 말머리 형태 중 목 아랫부분은 왼쪽으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14] 이처럼 가스 복합체에서 보이는 어두운 부분은 질량이 작은 별들이 활발하게 생성되는 지역이다. 특히 말머리 성운의 기저부에 보이는 밝은 점들은 이제 막 형성되기 시작한 젊은 별들이다.
4. 사진
4. 1. 다양한 사진들
참조
[1]
DR2
[2]
문서
Based on the parallax of 2MASS J05405172-0226489, a [[young stellar object]] embedded in the 'head' of the nebula.
[3]
웹사이트
Horsehead Nebula
http://astro.ninepla[...]
2000
[4]
웹사이트
VLT Images the Horsehead Nebula
https://www.eso.org/[...]
2002-01-25
[5]
웹사이트
The Horsehead Nebula
http://www.noao.edu/[...]
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
2014
[6]
웹사이트
James Webb Telescope shares Remarkable Views of the Horsehead Nebula
https://www.jamesweb[...]
2024-05-19
[7]
웹사이트
Webb Captures Top of Iconic Horsehead Nebula in Unprecedented Detail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5-19
[8]
웹사이트
Unearthing the legacy of Harvard's female 'computers'
https://www.bbc.co.u[...]
2017-08-28
[9]
간행물
Williamina Paton Fleming
https://zenodo.org/r[...]
1911-06
[10]
간행물
On the dark markings of the sky, with a catalogue of 182 such objects.
1919
[11]
웹사이트
The Horsehead Nebula/IC434
https://noirlab.edu/[...]
NOAO
2020-10-23
[12]
간행물
Some Characteristics of the Orion Association
1966
[13]
간행물
Cosmic dust and our origins
2002
[14]
APOD
The Horsehead Nebula
2009-07-21
[15]
웹사이트
馬頭星雲と燃える木
https://www.wbsac.or[...]
西明石天文同好会
2023-06-07
[16]
서적
星座の事典
ナツメ社
2007
[17]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18]
뉴스
머나먼 우주 공간, 외로운 파란 말머리 ‘눈길’
https://news.naver.c[...]
[19]
웹인용
말머리성운(Horsehead Nebula)
https://www.sciencea[...]
사이언스올
2020-08-20
[20]
뉴스
"[대덕포럼] 시리우스 별과 오리온 성운"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20-09-15
[21]
웹인용
그녀가 발견한 거대한 흑마 이야기
http://dongascience.[...]
동아사이언스
202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