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꽁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맹꽁이는 몸 등면은 황색 바탕에 연한 청색을 띠고, 배면은 황색 바탕에 흑색 얼룩무늬가 있는 개구리이다. 아래턱에 울음주머니가 있으며, "매앵~꽁" 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다. 장마철에 웅덩이나 고인 물에 알을 낳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법적 보호를 받는다. 맹꽁이와 같은 속에 속하는 아시아맹꽁이는 애완동물로 키워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맹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Kaloula borealis |
명명자 | Barbour, 1908 |
한국어명 | 맹꽁이 |
영어명 | boreal digging frog |
중국어명 | 北方狭口蛙 (běifāng xiákǒu wā) |
형태 | |
크기 | 약 35mm |
분포 | |
서식지 | 한국 중국 러시아 |
보전 상태 | |
IUCN | [[파일:Status iucn3.1 LC.svg|보존 상태=주의 필요]] LC |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양서강 |
목 | 개구리목 |
아목 | 신와아목 |
과 | 맹꽁이과 |
속 | 맹꽁이속 |
2. 특징
2. 1. 신체적 특징
몸의 등면은 황색 바탕에 연한 청색을 띠고 있고, 배면은 황색 바탕에 옆쪽에 연한 흑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비교적 큰 숨구멍이 세로로 줄지어 있다. 울음주머니는 아래턱 앞쪽 끝에 하나 있다.[1]2. 2. 울음소리
울음주머니는 아래턱 앞쪽 끝에 하나 있으며, 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비교적 큰 숨구멍이 세로로 줄지어 있다. 맹꽁이는 다른 개구리와 마찬가지로 울음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다. 맹꽁이의 울음소리는 '''매앵~꽁''' 과 같은 소리이다.[1]2. 3. 알
맹꽁이 알은 산란 직후 약 1mm 정도의 공 모양이며, 4개 정도가 서로 붙어 한 덩어리를 이룬다. 한 마리의 맹꽁이는 한 번에 15~20개의 알을 낳고, 이러한 산란 과정을 15~20회 반복한다. 산란된 알은 28~30시간 만에 부화하며, 약 30일 후에는 변태가 완료된다.[1]3. 생태
맹꽁이는 천적에게 위협받으면 복어처럼 몸을 부풀리고 등에서 끈끈한 점액을 내뿜는다.[1] 장마철에 만들어진 웅덩이나 고인 물에 산란하므로 다른 개구리류에 비해 변태 과정을 빨리 거친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으며, http://cafe.naver.com/koreafrog 한국양서류보존네트워크에서 전국적인 맹꽁이 산란 조사와 모니터링, 장마철 산란 자료수집을 하고 있다.[1]
연중 땅 속에서 생활하다가 밤중에 지표로 나와 먹이를 잡아먹으며, 맹꽁이와 같은 속에 속하는 열대산 아시아맹꽁이는 애완동물로 키워진다.[1]
3. 1. 생활 방식
맹꽁이는 주로 땅 속에서 생활하며, 밤에 먹이를 잡아먹는 습성이 있다. 천적에게 위협받으면 복어처럼 몸을 부풀리고 등에서 끈끈한 점액을 내뿜는다.[1] 장마철에 만들어진 웅덩이나 고인 물에 산란하므로 다른 개구리류에 비해 변태 과정을 빨리 거친다.[1] 열대산 아시아맹꽁이는 애완동물로 키워지기도 한다.[1]3. 2. 번식
맹꽁이는 장마철에 만들어진 웅덩이나 고인 물에 산란하므로 다른 개구리류에 비해 변태 과정을 빨리 거친다.3. 3. 천적 및 보호
천적에게 위협받으면 맹꽁이는 복어처럼 몸을 빵빵하게 부풀리고, 등에서 끈끈한 점액을 내뿜는다. 맹꽁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1]4. 기타
(내용 없음)
4. 1. 애완동물
맹꽁이와 같은 속에 속하는 열대산 아시아맹꽁이는 애완동물로 키워진다.5. 사진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Kaloula borealis''"
2020
[2]
웹사이트
"''Kaloula borealis'' (Barbour, 1908)"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9-22
[3]
백과사전
맹꽁이 (Narrow-mouth frog)
http://terms.naver.c[...]
2013-10-28
[4]
서적
Atlas of Amphibians of China
Henan P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5]
논문
Korea regional update
https://web.archive.[...]
2013-10-28
[6]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