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머르딘 윌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르딘 윌트는 초기 웨일스 시가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르데리드 전투 패배 후 정신 이상을 겪는 인물로 묘사된다. 웨일스 역사가 존 에드워드 로이드는 세 가지 전통의 융합으로 보았으며, 15세기 후반의 사본에서는 라일로켄이라는 이름으로 성 켄티건을 만나 세 번의 죽음을 예언한다. 머르딘은 카마던과 연관되어 예언 문학에서 잉글랜드인 축출을 예언하기도 했다.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멀린을 예언자이자 미치광이로 묘사하며 아서 왕 전설에 등장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브리튼인 - 클러드노 에이던
    클러드노 에이던은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며 마법의 말굴레를 소유하고 북부 통치자들과 연합하여 그위네드를 공격했으며, 그의 아들 키논 압 클리드노는 여러 작품에 등장하고 고대 브리튼 왕 코엘 헨의 계통을 이었다고 전해진다.
  • 북브리튼인 - 파다른 베이스루드
    파다른 베이스루드는 M. J. 트로의 소설 《브리타니아 시리즈》에 등장하는 인물로, '파테르누스'라고도 불리며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지키는 로마 병사이자 2군 파노니안 기병대 소속으로, 북부 브리타니아에서 하드리아누스 방벽 방어 및 로마 제국 국경을 지키는 역할을 수행했다.
  • 540년 출생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6세기 후반 로마 교황으로,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교황권의 봉사 강조, 교회 개혁, 앵글로색슨족 기독교 전파, 전례 개정 및 그레고리오 성가 발전, 그리고 중세 영성에 큰 영향을 미친 저술 활동을 했다.
  • 540년 출생 - 티베리우스 2세
    티베리우스 2세는 유스티누스 2세의 후원으로 엑스큐비토룸 백작에서 동로마 황제가 되어 관대한 정책으로 민심을 얻고 군사력을 강화했으나,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침입에 직면했으며 재정 악화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멀린 - 마법사 멀린
    마법사 멀린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BBC One에서 방영된 영국의 판타지 드라마로, 마법 능력을 가진 소년 멀린이 아서 왕을 보호하며 알비온을 통일하는 여정을 그린다.
  • 멀린 - 대마법사 멀린
    아서 왕 전설 속 마법사 멀린의 생애를 다룬 TV 미니시리즈 대마법사 멀린은 앵글로-색슨족 침략 시대 브리튼을 배경으로 마브 여왕에 의해 창조된 멀린이 아서 왕을 통해 정의를 실현하려 하지만 여왕의 의도와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높은 시청률과 함께 여러 시상식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머르딘 윌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머르딘 윌트
다른 이름머르딘
머르딘 엠리스
멀리누스
멀리누스 칼레도넨시스
멀린 실베스트리스
직업예언가 및 웨일스 전설 속의 미치광이; 아서 왕 전설에서 멀린의 영감이 됨
개인 정보
출생지카마던
국적웨일스
관련 인물
관련 인물성 켄티게른
관련 장소그웬지즈

2. 웨일스 문학

가장 초기의 (12세기 이전) 웨일스 시들은 멀린 전설에 대해 그를 칼레도니아 숲에서 삶을 사는 미치광이로 묘사한다. 숲에서 그는 과거의 삶과 아르데러드 전투의 사건들을 되새겼는데, 여기서 라이더치 하엘이 귄돌레우 압 케이디오의 군대를 학살했고, 미르딘은 이 패배를 지켜보며 미쳐갔다.[4]

웨일스 역사가 존 에드워드 로이드는 세 가지 전통이 융합되었다고 제안한다. 첫 번째는 ''메르리누스 암브로시우스''(아서 왕의 멀린)인데, 제랄두스 캄브렌시스는 이 사람을 ''미르딘 엠리스''(''암브로시우스''의 웨일스어 형태)로 식별했으며, 이 사람은 카마던에서 발견되었고 보티건 앞에서 예언했다. 두 번째는 북쪽(''알바'')에서 온 ''메르리누스 실베스터'' 또는 ''메르리누스 칼레도니우스''였으며, 그는 아서의 동시대 인물로서 전투에서 하늘의 끔찍한 징조를 보고 남은 생을 숲에서 미치광이로 보냈다. 세 번째는 로이드가 퍼네스의 조슬린의 ''성 켄티건의 생애''에서 언급된 ''라일로켄''과 동일시하는 "미르딘 윌트"이다.[6]

웨일스어 문학에는 잉글랜드인—그리고 나중에는 노르만족—을 바다로 몰아낼, 대 브리튼의 모든 켈트 민족의 군사적 승리를 예언하는 예언 문학이 있다. 이러한 작품 중 일부는 미르딘의 예언으로 제시되었다. ''아르메스 프라이데인''(그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 중 하나)에는 "미르딘은 그들이 만날 것이라고 예언한다"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카마던 이름의 두 번째 부분(웨일스어로 ''-fyrddin'')은 미르딘에서 유래되었으며 그의 출생지를 식별한다. 그러나 브리타니아가 로마 속주였을 때, 카마던은 데메타이 부족의 도시 수도였으며, ''모리두눔''(고대 브리튼어 ''*mori-dunon''에서 유래, "바다 요새"라는 의미)으로 알려졌으며, 이것이 도시 이름의 진정한 기원이다. 켈트학자 A. O. H. 자먼은 대신 미르딘이라는 이름이 카마던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제안한다.[8]

2. 1. 초기 전승

초기 웨일스 시가에서 미르딘은 아르데리드 전투에서 주군 귄돌레우 압 케이디오가 사망한 후, 그 패배를 목격하고 정신 이상을 겪은 인물로 그려진다.[4] 캄브리아 연대기는 이 전투가 573년에 일어났다고 기록하고 있다.[4]

15세기 후반의 사본 '라일로켄과 켄티건'에서는 미르딘이 라일로켄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성 켄티건(성 문고)을 만나 세 번의 죽음을 맞이할 것을 예언한다.

2. 2. 중세 문학

중세 웨일스어 시 '미르딘과 그의 누이 그웬디드와의 대화'에서 미르딘은 그의 누이에게 ''랄루그''라고 불린다.[7] 카마던의 검은 책에 수록된 시 'Yr Afallennau'와 'Yr Oianau'에서는 미르딘이 사과나무와 돼지에게 말하며 노르만족과의 전투에서 웨일스 군대의 승패를 예언한다.

웨일스 삼중주에 언급된 '클라스 미르딘'(멀린의 울타리)은 그레이트 브리튼의 초기 이름이다.[9] 이러한 문학 작품들에는 잉글랜드인, 나아가 노르만족을 바다로 몰아낼 켈트 민족의 군사적 승리를 예언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3.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저작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그의 저서에서 멀린을 예언자이자 마법사로 묘사하며 아서 왕 전설에 편입시켰다. 그는 미르딘의 예언을 모은 ''예언자 머를린''을 썼고, 이를 ''브리타니아 열왕사''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는 멀린을 미르딘 윌트의 생애보다 수십 년 전인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와 아더 왕 시대에 배치했다.[1]

이후 제프리는 미르딘과 아르데리드에서의 경험에 대한 초기 웨일스 이야기를 기반으로 ''멀린의 생애''를 썼는데, 이는 멀린이 아더 왕과 관련된 지 한참 후에 일어난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멀린의 생애''는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멀린 버전에 대항할 만큼 대중적이지 못했다.[1]

3. 1. 예언자 멀린 (Prophetiae Merlini)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웨일스 남부 카마던과 관련된 마법사 멀린을 대중화했다. 그의 저서 ''예언자 머를린''(Prophetiae Merlini)은 그가 멀린이라고 부른 웨일스 인물 미르딘의 예언 모음집이었다.[1] 그는 이 ''예언''을 그의 더 유명한 두 번째 저서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Regum Britanniae)에 포함했다.[1] 그러나 이 작품에서 그는 미르딘 윌트의 생애보다 수십 년 전인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와 아더 왕 시대에 멀린의 삶을 배치한 이야기를 구성했다.[1] 몬머스는 앰브로시우스에게 기원을 둔 일화와 자신이 창작한 것으로 보이는 에피소드를 추가했다.[2]

3. 2. 브리타니아 열왕사 (Historia Regum Britanniae)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멀린을 미르딘 윌트의 생애보다 수십 년 전인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와 아더 왕 시대의 인물로 묘사했다. 그는 암브로시우스에게 귀속된 에피소드와 자신이 창작한 에피소드를 멀린에게 덧붙였다.

3. 3. 멀린의 생애 (Vita Merlini)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훗날 ''멀린의 생애''(Vita Merlini)를 썼는데, 이는 미르딘과 아르데리드에서의 그의 경험에 대한 초기 웨일스 이야기를 더 면밀히 기반으로 한다. 이 이야기는 멀린이 아더 왕과 관련된 지 한참 후에 일어난 일이라고 설명했다.[1] 그러나 ''멀린의 생애''는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멀린 버전에 대항할 만큼 대중적이지 못했고, 이 작품은 이후 등장하는 이 캐릭터에 대한 대부분의 이야기에 영향을 미쳤다.[1]

4. 현대 문학에서의 멀린

멀린은 현대의 다양한 문학과 미디어에서 마법사이자 아서 왕의 조력자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tory of Myrddin Wyllt http://www.maryjones[...]
[2] 문서 Seymour, Page 9
[3] 웹사이트 Merlin http://www.maryjones[...]
[4] 문서 Arthurian Period Sources, Page 45
[5] 문서 Phillimore, Page 175
[6] DNB
[7] 서적 Merlin: Knowledge and Power Through the Age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1-23
[9] 문서 Rhys: Hibbert Lectures, p. 168
[10] 웹사이트 The Story of Myrddin Wyllt http://www.maryjo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