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멀티채널 텔레비전 사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티채널 텔레비전 사운드(MTS)는 텔레비전 방송에서 스테레오 및 추가 오디오 채널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1970년대 후반에 개발되어 1980년대에 미국에서 표준으로 채택되었으며, 메인 채널, 스테레오 부채널, SAP 채널, PRO 채널로 구성된다. 2009년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 이후, MTS는 미국의 광역 텔레비전 방송국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저전력 텔레비전 및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MTS는 dbx 압축을 사용하여 잡음을 줄이고, 여러 국가에서 NTSC 및 PAL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송공학 - FM 방송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음질이 좋고 잡음에 강하며 스테레오 방송과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기술이다.
  • 방송공학 - 건조
    건조는 물질 속 수분을 증발시켜 고체나 반고체 상태로 만드는 과정으로, 식품 보존, 화학 실험, 산업 공정, 방송 공학, 생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DNA 손상을 유발하거나 미생물의 저항성을 진화시키기도 한다.
  • 텔레비전 기술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텔레비전 기술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멀티채널 텔레비전 사운드
개요
이름멀티채널 텔레비전 사운드
약칭MTS
다른 이름BTSC (Broadcast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스테레오 텔레비전
유형텔레비전 오디오 부호화 표준
개발미국
개발 시기1980년대 초
사용 지역북아메리카
대한민국
홍콩
아르헨티나
기타 지역
비고아날로그 NTSC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
기술적 세부 사항
주요 특징스테레오 오디오
보조 오디오 프로그램 (SAP)
전문 채널
스테레오 방식컴팬더
주파수 변조FM
파일럿 톤15.734 kHz (수평 주사율)
역사 및 표준
개발 배경스테레오 텔레비전 방송 도입 필요성
기존 모노럴 시스템과의 호환성 유지
표준화 기구BTSC (Broadcast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표준 채택FCC (미국), 기타 국가
기술적 특징
오디오 채널메인 채널 (스테레오 L+R)
SAP (Secondary Audio Program)
프로 채널
컴팬딩 방식고정 컴팬딩 (Fixed Companding)
파일럿 톤 역할스테레오 신호 디코딩 활성화
변조 방식주파수 변조 (FM) 서브캐리어
장점 및 단점
장점스테레오 오디오 제공
다국어 방송 또는 추가 정보 제공 가능 (SAP)
기존 모노럴 시스템과 호환
단점아날로그 시스템의 한계로 인한 음질 제한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대체되면서 사용 빈도 감소
사용 현황
주요 사용 국가미국
캐나다
대한민국
기타 NTSC 방식 채택 국가
디지털 전환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도입으로 점차 사라지는 추세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사용
관련 기술
관련 기술NTSC
스테레오
FM 방송
대체 기술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 오디오 코덱
기타 정보
참고 사항MTS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시대의 중요한 오디오 기술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코덱이 사용됨

2. 역사

MTS 개발은 1975년 텔레소닉 사가 시카고의 공영 방송국 WTTW와 협력하면서 시작되었다.[8] 당시 WTTW는 "사운드스테이지"라는 음악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었고, 지역 FM 방송국을 통해 스테레오 믹스를 동시 방송하고 있었다. 텔레소닉스는 기존의 텔레비전 신호를 통해 동일한 스테레오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FM 동시 방송의 필요성을 없애고자 했다.

1979년, WTTW는 스테레오 마스터 컨트롤 스위처를 설치하고, 마이크로파 스튜디오 트랜스미터 링크(STL)에 추가 오디오 채널을 추가하였다. 이 시기 WTTW 기술자들은 비디오 레코더에 스테레오 오디오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오디오 트랙 헤더를 두 개로 나누었고, 돌비 NR을 사용하여 음악 쇼 프로그램을 녹음하고 전자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FCC 인증 과정에는 여러 기관들이 참가하였고, EIA와 일본 EIA는 승인 과정에 각 조직의 구성원을 참가시키길 원했다. WTTW 기술자들은 주파수 응답, 채널 분리, 스펙트럼 사용에 관한 표준을 만들고, 방송을 실험하기 위한 프로그램 원본을 제공하는 데 협력하였다.

WTTW는 1983년 10월에 스테레오 모듈레이터를 설치하였고, FCC가 BTSC 시스템을 확정하기 이전의 텔레소닉 시스템으로 스테레오 송출을 시작하였다. 1984년 FCC는 BTSC 시스템을 MTS 표준으로 공식 채택하였다. 1984년 8월 모든 시간대로 스테레오 방송이 확장되었다.

1984년 7월 26일, NBC에서 "쟈니 카슨 주연의 투나잇 쇼"를 통해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했으나, 초기에는 뉴욕에 있는 송신소에서만 스테레오 방송이 송출되었다.[8] 1985년, NBC는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했고, ABCCBS는 각각 1986년과 1987년에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하였다. FOX는 1987년에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하였고, 1994년 말까지 4개 네트워크에서 프라임 타임 일정 전체를 입체 음향으로 방송하였다. BTSC 스테레오 송출 기능이 추가된 TV 수신기는 1984년에 최초로 출시되었다.[9]

2. 1. 미국의 디지털 전환

2009년 6월 12일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 이후, 멀티채널 텔레비전 사운드(MTS)는 미국의 광역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1][10] 하지만 저전력 텔레비전 방송국 및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전환 기금으로 제공되는 셋톱박스는 RCA 커넥터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음성을 출력할 수 있지만, MTS 지원은 선택 사항이다.[11] MTS가 선택 사항이 된 이유는 비용 절감 때문이라고 알려졌으나[11], THAT 사의 로열티 지불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측면도 있다.[10]

THAT 사는 이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과 MT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만들었다.[12] 이 사이트에서는 RF 전용 커넥터를 주로 사용하고 MTS는 셋톱박스에서 선택 사항이므로, 디지털 셋톱박스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모노 음성만 들을 수 있다고 밝혔다.[12]

3. 기술 방식

MTS는 이 상단 0.25 MHz 할당량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 새로운 신호를 추가하여 작동한다. 원래 오디오 신호는 그대로 방송되었다. MTS에서는 이것을 메인 채널이라고 한다. 이 채널의 실제 신호는 두 개의 스테레오 채널을 더하여 원래 단음향 신호와 거의 동일한 신호를 생성하며, 스테레오 회로가 없어도 모든 NTSC 텔레비전에서 수신할 수 있다.[6]

두 번째 채널인 스테레오 서브채널은 31.468 kHz를 중심으로 하며 양쪽으로 15 kHz까지 확장된다. 이로 인해 메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15.734 kHz의 작은 간격이 생겼다. 이 파일럿 신호는 "H" 또는 "1H"로도 알려져 있으며, 비디오의 수평 주사 신호의 고조파가 되도록 선택되어 위상 고정 루프를 사용하여 비디오 신호에서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1H 주파수에 신호가 있으면 텔레비전은 신호의 스테레오 버전이 있음을 알 수 있다.[6]

스테레오 서브채널은 동일한 두 개의 오디오 신호 L과 R로 구성되지만, 위상이 반전되어 "L-R" 신호 또는 "차이"를 생성한다. 이 신호는 더 높은 진폭으로 전송되며 고주파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dbx 압축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총 평균 전력을 낮추기 위해 반송파는 전송되지 않는다(즉, 해당 주파수에 항상 신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수신 시 수신기는 비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파일럿을 생성한 다음 해당 주파수에 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 신호가 있으면 1H와 3H 사이의 신호를 별도 채널로 필터링하여 차이 신호를 추출하고 2H를 추가하여 반송파를 재생성한다. 이 신호는 dbx 형식에서 압축 해제된 다음 원래 메인 신호와 함께 스테레오 디코더에 공급된다.[6] FM 스테레오 라디오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H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19 kHz가 아닌 15.734 kHz인 점이 주로 다릅니다.

SAP이 있는 경우 5H를 중심으로 하지만, 더 낮은 오디오 충실도와 진폭으로 단음향 신호를 인코딩한다.[6] PRO 신호는 마찬가지로 7H로 인코딩된다. 네 개의 채널을 모두 사용하는 신호는 원래 오디오 상측파대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의 약 절반까지 확장된다.

이상적인 환경에서 MTS 스테레오는 표준 VHF FM 스테레오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FM 스테레오와 MTS 모두 L-R 부채널은 AM 이중측파대 변조를 사용한다. AM은 간섭에 취약하고 부채널의 잡음 감소는 표준 FM 방송에 비해 신호대 잡음비(SNR) 향상에 도움이 된다. 부채널 정보는 dbx로 인코딩되어 일반적으로 50dB를 초과하는 SNR로 오디오를 개선한다. 부채널에만 잡음 감소를 추가함으로써 완벽한 모노 호환성이 유지되었다. 모노 TV를 소유한 시청자는 일반 오디오를 들을 수 있었지만 대역폭은 15kHz로 제한되었다.

원래 사양은 인코딩 전 각 오디오 채널에 벽돌벽 타원형 필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했다. 이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15kHz로, 수평 동기 간섭(15.734kHz)이 오디오에 인코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변조기 제조업체는 오디오 필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더 낮은 차단 주파수 필터를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14kHz를 선택했지만 일부는 12.5kHz만큼 낮은 필터를 사용하기도 했다. 타원형 필터는 차단 주파수에서 가장 낮은 위상 왜곡으로 가장 큰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반면 표준 FM 변조기는 약간 더 높은 주파수에서 오디오를 필터링하지만 여전히 19kHz 파일럿 신호를 보호해야 한다. EIA/FCC 테스트 중에 사용된 필터는 15.5kHz에서 -60dB의 특성을 가졌다. 당시 변압기 오디오 결합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하한 주파수는 50Hz로 설정되었지만 변압기 입력이 없는 변조기는 최소 20Hz까지 평평했다.

일반적인 분리는 35dB보다 우수했다. 그러나 이 사양을 달성하려면 채널 간 레벨 정합이 필수적이었다. 명시된 분리를 달성하려면 좌우 오디오 레벨이 0.1dB 미만으로 일치해야 했다.

수평 동기의 위상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복호화 과정에서 양호한 오디오에 필수적이다. 전송 중 수평 동기의 위상은 그림과 색상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송된 위상 안정성을 측정하는 ICPM(Incidental Carrier Phase Modulation)은 최상의 오디오 부채널 복호화를 위해 4.5% 미만이어야 한다. 이는 당시 UHF 송신기에서 더 큰 문제였다. 당시의 다중 공동 클라이스트론 RF 증폭기는 일반적으로 7%를 초과하는 ICPM을 가졌다. 이로 인해 MTS 스테레오의 UHF 전송이 불가능해졌다. 이후 UHF 송신기 설계는 ICPM 성능을 개선하여 MTS 스테레오 전송을 가능하게 했다.

3. 1. 채널 구성

멀티채널 텔레비전 사운드(MTS)는 채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주 채널 (Main Channel): 기존 모노 음성(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 데이터가 합쳐져 있음)에 스테레오 음성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테레오 정보는 잡음을 제거하여 신호 대 잡음비(SNR)를 높이기 위해 DBX 부호화 과정을 거친다. 두 채널을 더하면 왼쪽 채널이 나오고, 위상을 반전시켜 빼면 오른쪽 채널이 나온다.
  • 스테레오 부채널 (Stereo Subchannel): 스테레오 차이(stereo difference) 신호는 모노 반송파 위에 송출된다.
  • 세컨드 오디오 프로그램(SAP) 채널: 외국어 음성, DVS와 같은 화면 해설 서비스는 물론 캠퍼스 라디오나 기상정보 방송과 같은 전혀 별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부반송파는 수평 동기 신호의 5배 주파수이며, dBx 인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 PRO (Professional) 채널: 방송국 내부용으로 사용되며, 음성이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다. 전자 뉴스 취재 중 뉴스 방송 시 원격 위치(예: 현장에 있는 기자)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며, 원격 링크를 통해 방송국으로 다시 통신할 수 있다. 이 부반송파는 수평 동기 신호의 6.5배 주파수이다.


MTS 신호가 송출되면 15.734KHz 파일럿 신호가 같이 송출된다. MTS 파일럿은 영상 송출을 잠글 때 사용하는 수평 동기화 신호에서 유도되거나 잠긴다. 1984년에 사용된 UHF 송신기들은 수평 동기화 신호의 품질이 좋지 않아서 스테레오 방송을 송출할 수 없었으며, 이후 나온 송신기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3. 2. 작동 원리

MTS 스테레오는 표준 VHF FM 스테레오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FM 스테레오와 MTS 모두 L-R 부채널은 AM 이중측파대 변조를 사용한다. AM은 간섭에 취약하고 부채널의 잡음 감소는 표준 FM 방송에 비해 신호대 잡음비(SNR) 향상에 도움이 된다. 부채널 정보는 dbx로 인코딩되어 일반적으로 50dB를 초과하는 SNR로 오디오를 개선한다. 부채널에만 잡음 감소를 추가함으로써 완벽한 모노 호환성이 유지되었다. 모노 TV를 소유한 시청자는 일반 오디오를 들을 수 있었지만 대역폭은 15kHz로 제한되었다.

MTS 신호는 15.734kHz 파일럿 톤을 포함하여 스테레오 방송임을 알린다. 수신기에서 파일럿 톤을 감지하고, 스테레오 부채널 신호를 추출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한다. DBX 압축 해제를 통해 잡음을 줄이고, 스테레오 분리도를 높인다.

원래 사양은 인코딩 전 각 오디오 채널에 벽돌벽 타원형 필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했다. 이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15kHz로, 수평 동기 간섭(15.734kHz)이 오디오에 인코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변조기 제조업체는 오디오 필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더 낮은 차단 주파수 필터를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14kHz를 선택했지만 일부는 12.5kHz만큼 낮은 필터를 사용하기도 했다. 타원형 필터는 차단 주파수에서 가장 낮은 위상 왜곡으로 가장 큰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반면 표준 FM 변조기는 약간 더 높은 주파수에서 오디오를 필터링하지만 여전히 19kHz 파일럿 신호를 보호해야 한다. EIA/FCC 테스트 중에 사용된 필터는 15.5kHz에서 -60dB의 특성을 가졌다. 당시 변압기 오디오 결합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하한 주파수는 50Hz로 설정되었지만 변압기 입력이 없는 변조기는 최소 20Hz까지 평평했다.

일반적인 분리는 35dB보다 우수했다. 그러나 이 사양을 달성하려면 채널 간 레벨 정합이 필수적이었다. 명시된 분리를 달성하려면 좌우 오디오 레벨이 0.1dB 미만으로 일치해야 했다.

수평 동기의 위상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복호화 과정에서 양호한 오디오에 필수적이다. 전송 중 수평 동기의 위상은 그림과 색상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송된 위상 안정성을 측정하는 ICPM(Incidental Carrier Phase Modulation)은 최상의 오디오 부채널 복호화를 위해 4.5% 미만이어야 한다. 이는 당시 UHF 송신기에서 더 큰 문제였다. 당시의 다중 공동 클라이스트론 RF 증폭기는 일반적으로 7%를 초과하는 ICPM을 가졌다. 이로 인해 MTS 스테레오의 UHF 전송이 불가능해졌다. 이후 UHF 송신기 설계는 ICPM 성능을 개선하여 MTS 스테레오 전송을 가능하게 했다.

4. 라이선스

MTS를 복호화하는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하는 모든 텔레비전은 초기에는 DBX 사에 로열티를 지불하였고, 1989년에는 분사된 THAT 사에 로열티를 지불하였다.[10][7] THAT 사는 1994년에 특허를 인수하였고, 2004년에 특허권이 만료되었다.[10][7] THAT 사는 디지털 MTS 구현에 관한 특허를 소유하고 있으나, 2007년 미국 국가통신정보청(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 보낸 편지에 의하면 모든 아날로그 및 일부 디지털 MTS 구현에 대해서 로열티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10][4]

5. 도입 국가



MTS 방식을 사용하는 NTSC 사용 국가는 다음과 같다.



북미 이외 여러 국가에서 NTSC 표준을 사용하는 국가들은 아날로그 시스템에 MTS 방식을 채택했다. 일본은 자체 NTSC 변종인 NTSC-J 내에서 자체 EIAJ MTS 표준을 채택했다.

브라질은 PAL-M을, 아르헨티나는 PAL-N을 사용하며, 아날로그 시스템에 MTS 방식을 채택했다.

대한민국은 MTS가 아닌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5. 1. NTSC 사용 국가



MTS 방식을 사용하는 NTSC 사용 국가는 다음과 같다.

북미 이외 여러 국가에서 NTSC 표준을 사용하는 국가들은 아날로그 시스템에 MTS 방식을 채택했다. 일본은 자체 NTSC 변종인 NTSC-J 내에서 자체 EIAJ MTS 표준을 채택했다.

5. 2. PAL 사용 국가

브라질은 PAL-M을, 아르헨티나는 PAL-N을 사용하며, 아날로그 시스템에 MTS 방식을 채택했다.

6. 각주

참조

[1] 뉴스 TV Notes New York Times 1984-07-28
[2] 웹사이트 RCA Dimensia FKC2600E and FKC2601T Monitors http://www.cedmagic.[...] 2014-05-11
[3] 웹사이트 NTIA Letter to THAT Corporation, August 2, 2007 http://www.thatcorp.[...]
[4] 웹사이트 Letter to NTIA, August 21, 2007 (THAT Corporation)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dbx-TV and the Digital TV Transition (THAT Corporation) http://www.thatcorp.[...]
[6] 기술보고서 Understanding Multichannel Television Sound (MTS) https://web.archive.[...] Sencore
[7] 웹사이트 dbx-TV Timeline (THAT Corporation) http://www.thatcorp.[...]
[8] 뉴스 TV Notes New York Times 1984-07-28
[9] 웹사이트 http://www.cedmagic.[...]
[10] 웹인용 Letter to NTIA, August 21, 2007 (THAT Corporation) https://web.archive.[...] 2013-03-17
[11] 웹인용 NTIA Letter to THAT Corporation, August 2, 2007 https://web.archive.[...] 2008-08-24
[12] 웹인용 dbx-TV and the Digital TV Transition (THAT Corporation) https://web.archive.[...] 2008-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