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터와 유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터와 유령'은 2006년에 공개된 픽사 단편 영화로, '카' DVD의 부록으로 처음 선보였다. 영화는 메이터가 래디에이터 스프링스 주민들에게 장난을 치다 유령불빛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겁에 질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라이트닝 맥퀸과 귀도가 메이터에게 복수하기 위해 유령불빛을 흉내 내고, 마지막 쿠키 영상에서는 메이터가 진짜 밴시를 만나면서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메이터, 라이트닝 맥퀸, 샐리, 닥 허드슨 등이 있으며, 존 래시터가 감독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 - 라이트닝 맥퀸
라이트닝 맥퀸은 픽사 영화 《카》 시리즈의 주인공이자 95번 피스톤 컵 레이서로, 러스티즈 범퍼 연고를 스폰서로 두며 "카차우"라는 결정 대사를 사용하는, 래디에이터 스프링스와의 인연을 통해 성장하는 루키 출신 4회 연속 피스톤 컵 우승자이다. - 카 - 카 (영화)
2006년 픽사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카》는 인간화된 자동차 세계를 배경으로, 레이싱카 라이트닝 맥퀸이 라디에이터 스프링스에서 진정한 가치를 깨닫는 이야기이며, 존 라세터 감독, 오웬 윌슨, 폴 뉴먼 등이 목소리 연기를 맡아 흥행과 함께 골든 글로브, 애니상 등을 수상하고 후속편과 스핀오프를 통해 픽사의 대표 프랜차이즈로 자리 잡았다. - 픽사 단편 영화 - 파티 센트럴
2013년 픽사에서 제작된 단편 영화 파티 센트럴은 《몬스터 대학교》 사건 직후 마이크 와조스키와 설리가 우즈마 카파의 첫 파티를 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2014년 영화 《머펫 모스트 원티드》와 함께 상영되었고 켈시 만이 감독을, 빌리 크리스탈과 존 굿맨 등이 성우를 맡았다. - 픽사 단편 영화 - 라일리의 첫번째 데이트?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단편 영화 《라일리의 첫 번째 데이트?》는 《인사이드 아웃》의 후속작으로, 12살 라일리의 스케이트 데이트와 라일리 부모의 반응, 남자친구 조던의 미숙한 감정, 그리고 AC/DC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라일리 아빠의 이야기가 코믹하게 그려진다. - 도시전설을 소재로 한 영화 - 셔터 (2004년 영화)
셔터는 2004년 태국 공포 영화로, 사진작가 턴이 자동차 사고 후 겪는 초자연적인 현상과 과거의 비밀을 다루며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 도시전설을 소재로 한 영화 - 서울괴담
서울괴담은 현대 사회의 소재로 도시 공포를 다루는 2022년 대한민국 옴니버스 영화로, 현실과 초자연적 현상이 뒤섞인 10개의 에피소드를 통해 공포를 자아내며 다양한 배우와 아이돌이 출연하여 현실과 괴담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메이터와 유령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원제 | Mater and the Ghostlight |
![]() | |
감독 | 존 라세터 |
프로듀서 | 마크 닐슨 |
스토리 | 조 랜프트 존 라세터 댄 스캔론 |
출연 | 래리 더 케이블 가이 오웬 윌슨 보니 헌트 폴 뉴먼 마이클 월리스 치치 마린 폴 둘리 |
음악 | 브루노 쿤 |
편집 | 토빈 잰 불록 |
제작사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배급사 | 월트 디즈니 홈 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2006년 11월 7일 (카 DVD와 함께) |
상영 시간 | 8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2. 줄거리
메이터는 래디에이터 스프링스의 다른 주민들에게 여러 가지 장난을 쳤다. 레드의 꽃을 옮기거나, 콜로세움처럼 쌓은 타이어 더미에서 튀어나와 귀도와 루이지를 놀라게 하고, 뱀파이어로 변장하여 샐리를 겁주는 등 다양한 장난을 쳤다.[2] 라이트닝 맥퀸에게는 유령불빛을 본 것처럼 속이기도 했다.[2] 유령불빛은 66번 국도의 도시 전설에 등장하는 존재였다.[2]
래리 더 케이블 가이는 메이터 역을, 오웬 윌슨은 라이트닝 맥퀸 역을 맡았다. 보니 헌트는 샐리 카레라 역, 폴 뉴먼은 닥 허드슨 역을 연기했다. 마이클 왈리스는 보안관, 치치 마린은 라몬, 폴 둘리는 서지 역을 맡았다. 스티브 퍼셀은 트랙터, 프랭크, 스크리밍 밴시 역을 연기했다.[3]
보안관은 메이터에게 유령불빛이 진짜라고 경고했다. 보안관의 설명에 따르면 유령불빛은 래디에이터 스프링스를 떠도는 파란색 빛 덩어리였다. 보안관은 유령불빛을 만난 젊은 부부가 사라지고 "타주 면허판" 두 개만 남았으며, 쇠붙이가 부딪히는 소리를 가장 싫어한다는 이야기를 덧붙였다. 겁에 질린 메이터는 유령불빛이 가장 싫어하는 소리를 내다가 스스로 멈추려 애썼다. 보안관은 유령불빛이 어디에나 있을 수 있다는 경고와 함께 이야기를 마쳤다.
다른 주민들은 가게 불을 끄고 메이터를 홀로 어둠 속에 남겨두었다. 메이터는 자신의 고물상으로 돌아가던 중 괴물의 그림자를 보고 놀랐지만, 곧 쓰레기 더미에 붙은 자신의 표지판임을 알고 안심했다. 그러나 실수로 전조등을 깨고 벽이 없는 차고로 들어가 문을 닫았다가 문이 무너지는 등 계속해서 소동을 벌였다. 그러다 갑자기 나타난 빛을 보고 유령불빛이라 믿고 공황 상태에 빠졌지만, 곧 반딧불이임을 깨달았다. 하지만 그의 뒤에 진짜 파란 빛이 나타났고, 메이터는 거울로 그것을 확인한 후 유령불빛이라고 확신하고 도망쳤다.
메이터가 유령불빛에게 쫓기는 소동이 벌어졌지만, 결국 유령불빛은 라이트닝과 귀도가 메이터의 견인 케이블에 등불을 매달아 놓은 장난이었음이 밝혀졌다. 래디에이터 스프링스의 다른 주민들은 메이터가 "유령불빛"에 쫓기는 모습을 지켜보았고, 메이터는 지쳐서야 진실을 깨달았다. 자동차들은 메이터에게 그동안 그가 쳤던 장난에 대한 복수였다고 말했다. 보안관은 메이터에게 66번 국도에서 무서워해야 할 것은 "그의 상상력"뿐이라고 말했고, 닥 허드슨은 "비명을 지르는 밴시"를 조심하라는 농담을 덧붙였다.
쿠키 영상에서 메이터는 실제로 비명을 지르는 밴시(몬스터 트럭이자 건설 차량인 거대한 트럭)를 만났지만,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오히려 밴시에 대해 경고하며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3. 등장인물 및 성우
3. 1. 주요 등장인물
등장인물 | 배우 | 일본어 더빙 |
---|---|---|
메이터 | 래리 더 케이블 가이 | 야마구치 토모미츠 |
라이트닝 맥퀸 | 오웬 윌슨 | 츠치다 히로시 |
샐리 카레라 | 보니 헌트 | 토다 케이코 |
닥 허드슨 | 폴 뉴먼 | 우라야마 진 |
보안관 | 마이클 월리스 | 이케다 마사루 |
라몬 | 치치 마린 | 히우라 벤 |
서지 | 폴 둘리 | |
루이지 | ||
귀도 | ||
플로 | ||
필모어 | ||
리지 | 캐서린 헬몬드 | 모리 히로코 |
맥 | ||
레드 |
3. 2. 조연 등장인물
- '''루이지'''
- '''귀도'''
- '''플로'''
- '''필모어'''
- '''리지'''
- '''맥'''
- '''레드'''
- '''서지''': 폴 둘리[3]
- '''트랙터, 프랭크, 스크리밍 밴시''': 스티브 퍼셀[3] (크레딧 없음)
4. 제작진
직책 | 이름 |
---|---|
감독 | 존 래시터 |
미술 | 윌리엄 콘, 밥 폴리 |
제작 총지휘 | 다라 K. 앤더슨 |
5. 공개
2006년 11월 7일 《카》 DVD 특별 부록으로 처음 공개되었다.[1] 2007년 11월 6일에는 《카》[4]의 특별 부록 및 《픽사 단편 영화 컬렉션 1》[5]에 수록되어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
참조
[1]
간행물
SMASH HIT #1 ANIMATED MOVIE OF THE YEAR!
http://www.pixar.com[...]
Pixar
2006-08-10
[2]
뉴스
Riverton man inspired 'Cars' character
http://www.joplinglo[...]
Joplin Globe
2006-06-10
[3]
웹사이트
Thunder Chunky | Hitting the road with Steve Purcell
http://www.thunderch[...]
[4]
웹사이트
Cars Blu-ray
2007-11-06
[5]
웹사이트
Pixar Short Films Collection: Vol. 1 Blu-ray
2007-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