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 트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스터 트럭은 픽업트럭을 개조하여 차체를 높이고 큰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으로,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어 머드 보깅과 트럭 풀링 스포츠와 함께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 초 "몬스터 트럭"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빅풋(Bigfoot)과 같은 개조된 트럭들이 주목받았다. 1980년대 중반부터 몬스터 트럭 경주가 정기적으로 개최되었고, 기술 발전과 함께 몬스터 트럭 레이싱 협회(MTRA)가 설립되어 안전 규칙을 표준화했다. 현재 몬스터 트럭은 경주와 프리스타일 공연을 결합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몬스터 잼(Monster Jam)과 같은 대규모 투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몬스터 트럭은 1.7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타이어, 튜닝된 엔진, 특수 서스펜션, 안전 장비 등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기록과 사고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프로드 차량 - 베이징 BJ60
베이징 BJ60은 2.0리터 터보차저 4기통 가솔린 엔진과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을 탑재하고 8단 자동 변속기와 결합되며, 2.0리터 터보 디젤 엔진도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과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 오프로드 차량 - 베이징 BJ80
베이징 BJ80은 베이징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대형 SUV로, 군용차량과 유사한 디자인을 채택하여 중국 인민해방군에 채택되었으며,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와의 디자인 유사성으로 표절 논란이 있다. - 모터스포츠 - 자동차 경주
자동차 경주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발명과 함께 시작된 모터스포츠로, 초기 장거리 경주에서 전용 경주장 건설, 기술력 경쟁 심화, 국제자동차연맹 설립과 F1 도입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종류의 경주가 전 세계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 모터스포츠 - 모터사이클 경주
모터사이클 경주는 모터사이클을 사용하여 속도, 기술, 내구성을 겨루는 스포츠 경기로, 포장 도로의 로드 레이스와 비포장 도로의 오프로드 레이스로 나뉘며 모토GP, 슈퍼바이크, 모토크로스, 엔듀로, 랠리 레이드 등의 종목이 있고 최근에는 전기 모터사이클 경주도 등장했다. - 화물자동차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화물자동차 - 현대 포터
현대 포터는 1977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를 거치며 대한민국 상용차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현대자동차의 1톤급 소형 트럭으로, 4세대 모델인 포터 II는 페이스리프트와 엔진 개선, 안전사양 강화, LPG 터보 및 전기차 모델 출시 등 다양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고 있으며 기아 봉고와 경쟁하고 있고 안전성 및 과적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몬스터 트럭 | |
---|---|
개요 | |
![]() | |
종류 | 자동차 |
용도 | 쇼 엔터테인먼트 |
특징 | |
바퀴 크기 | 약 66 |
차체 높이 | 약 12 |
특징 | 거대한 바퀴 강화된 서스펜션 |
상세 정보 | |
설명 | 몬스터 트럭은 쇼와 엔터테인먼트 목적으로 개조되거나 특별히 제작된 차량이다. 일반적으로 매우 큰 바퀴와 서스펜션을 갖추고 있다. |
2. 역사
1991년, TNT는 미국 핫 로드 협회(USHRA)에 인수되었고, 포인트 시리즈가 병합되었다. 스페셜 이벤트 챔피언십은 USHRA 챔피언십과 달리 예선 자리가 있어 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1997년 펜달라이너(Pendaliner)의 스폰서십을 잃었다. 2000년에는 짧은 기간 동안 ProMT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경주가 경쟁의 중심으로 떠올랐지만, USHRA 이벤트는 1993년부터 프리스타일 전시회를 시작했다. 특히 그레이브 디거의 데니스 앤더슨과 같은 드라이버들이 경주에서 일찍 탈락했을 때, 팬들에게 더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프리스타일 공연을 요청하면서 이러한 전시회가 발전했다. 프로모터들은 프리스타일의 인기를 알아차리고, 2000년 USHRA는 이벤트에서 심사 방식으로 프리스타일을 개최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프리스타일 챔피언십을 시상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크게 개조된 픽업트럭이 인기를 얻었고, 머드 보깅(mud bogging)과 트럭 풀링(truck pulling)과 같은 스포츠도 함께 인기를 얻었다. 몇몇 트럭 소유주들은 이러한 경기에 참가하기 위해 리프트된 트럭을 제작했고, 곧 "가장 큰 트럭"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벌어졌다. 이 경쟁에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은 트럭으로는 밥 챈들러(Bob Chandler)의 빅풋(Bigfoot), 에버렛 재스머(Everett Jasmer)의 USA-1(USA-1), 프레드 셰이퍼(Fred Shafer)와 잭 윌먼 시니어(Jack Willman Sr.)의 베어 풋(Bear Foot), 그리고 제프 데인(Jeff Dane)의 킹콩(King Kong)이 있었다. 당시 이 트럭들이 장착한 가장 큰 타이어는 지름이 약 121.92cm였다.1981년 4월, 밥 챈들러는 빅풋을 몰고 고물차를 밟고 지나갔는데, 이것은 몬스터 트럭이 차를 부순 최초의 사건으로 종종 여겨진다. 챈들러는 자신의 4륜 구동 성능 샵을 홍보하기 위해 빅풋으로 두 대의 차를 밟고 지나가는 영상을 촬영했다. 한 이벤트 기획자가 이 영상을 보고 챈들러에게 군중 앞에서 이 퍼포먼스를 해달라고 요청했고, 챈들러는 "파괴적인" 이미지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결국 동의했다. 1982년, 챈들러는 폰티악 실버돔에서 약 167.64cm 타이어를 장착한 새로운 빅풋을 선보이며 이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1980년대 초, 빅풋이 여전히 약 121.92cm 타이어를 장착하고 있었을 때, 모터스포츠 프로모션 회사인 트럭-어-라마(Truck-a-rama, 훗날 미국 핫 로드 협회(USHRA)로 알려짐)의 소유주 중 한 명인 밥 조지(Bob George)는 빅풋을 지칭하며 "몬스터 트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후 "몬스터 트럭"이라는 용어는 대형 타이어를 장착한 모든 트럭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이름이 되었다.
킹콩과 베어 풋은 빅풋에 이어 약 167.64cm 타이어를 장착했고, 곧 킹 크런치(King Krunch), 매드독(Maddog), 버지니아 자이언트(Virginia Giant)와 같은 다른 몬스터 트럭들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초기 몬스터 트럭들은 대대적으로 보강된 일반 섀시 위에 제작되었으며, 판 스프링 서스펜션, 일반 차체, 그리고 군사용 차량에서 가져온 무거운 차축을 사용하여 타이어를 지지했다.
2. 2. 발전과 경쟁 (1980년대 중반 ~ 1990년대 초)
1980년대 초 대부분의 기간 동안 몬스터 트럭은 트럭 풀링 또는 머드 보깅 이벤트의 부대 행사로 주로 전시회를 열었다. 1983년 8월, 빅풋과 USA-1은 최초의 몬스터 트럭 나란히 경주를 벌였고, 이는 텔레비전 쇼 ''That's Incredible''을 위해 촬영되었다.[3] 1985년까지 미국 핫 로드 협회(USHRA)와 TNT 모터스포츠와 같은 주요 프로모터들이 몬스터 트럭 경주를 정기적으로 개최했다.[3] 1988년, TNT 모터스포츠는 몬스터 트럭 경주의 첫 번째 전국 챔피언십을 설립하기 위한 시리즈를 만들었고, USA-1과 신인 드라이버 로드 리츠(Rod Litzau)가 리치 후지어(Rich Hoosier)가 운전하는 빅풋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3]1988년, 트럭 제작 및 안전에 대한 규칙을 표준화하기 위해 밥 챈들러, 브래든, 조지 카펜터가 몬스터 트럭 레이싱 협회(MTRA)를 설립했다.[3] MTRA는 몬스터 트럭을 관리하기 위한 표준 안전 규칙을 만들었다.[3] 이 조직은 여전히 미국과 EU에서 스포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경주가 우선시되면서, 여러 팀들은 트럭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생각하기 시작했다. 1988년 말, 게리 쿡(Gary Cook)과 데이비드 모리스(David Morris)는 코일 스프링과 쇼크 업소버를 판 스프링과 쇼크 업소버의 표준 대신 주요 서스펜션으로 사용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선보였다.[3] 1989년, 잭 윌먼 시니어는 자신의 트럭인 토러스(Taurus)를 가지고 병렬 4링크 서스펜션과 코일오버로 구성된 견고한 차축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무게가 거의 약 4082.33kg에 달하는 새로운 트럭을 선보였다.[3] 그러나 가장 큰 혁신은 1989년 챈들러로부터 나왔는데, CAD로 설계된 빅풋 #8이 풀 튜브 섀시와 롱 트래블 서스펜션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이 시스템은 삼각 4링크 서스펜션, 범프 스톱, 리미트 스트랩, 캔틸레버 및 질소 가스가 충전된 쇼크 업소버로 구성되었다.[3] 이 트럭은 몬스터 트럭의 제작 방식을 혁신했으며, 몇 년 안에 대부분의 최고 수준 팀들이 유사한 차량을 제작했다.[3]
3. 주요 특징 및 기술
몬스터 트럭은 일반 차량과는 확연히 다른 독특한 특징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픽업 트럭이나 SUV를 개조하여 큰 타이어와 서스펜션을 장착했지만, 현재는 첨단 기술과 안전 장비가 적용된 경주용 차량으로 발전했다. 1980년대 몬스터 트럭은 판 스프링 서스펜션과 일반 차체를 사용하고, 군용 사양의 무거운 차축을 사용했다.[2] 1980년대 후반, 코일 스프링과 쇼크 업소버를 주요 서스펜션으로 사용하는 트럭이 등장했고, 1989년에는 CAD로 설계된 풀 튜브 섀시와 롱 트래블 서스펜션 시스템을 갖춘 빅풋 #8이 등장하여 몬스터 트럭 제작 방식을 혁신했다.[3]
차축은 대부분 대형 군용 트럭이나 스쿨 버스와 같은 도로 차량에서 가져온 것이며, 타이어 회전을 돕기 위해 허브에 유성 기어 감속 장치를 갖도록 개조되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후 액슬에 장착되어 있어, 풀 브레이킹 시 격렬한 불꽃을 튀긴다.[1]
승용차나 픽업트럭을 본뜬 차체를 높이 올리고, 지름 약 167.64cm(약 1.7미터)나 되는 성인 키만한 큰 타이어를 장착한 것이 외관상의 특징이다. 스티어링 시스템은 전륜 조향, 역위상 4WS/동위상 4WS를 순간적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강력한 출력과 함께 5미터가 넘는 거대한 차체를 연속적으로 도넛 턴시킬 수도 있다.[1]
3. 1. 외관 및 차체
몬스터 트럭의 가장 큰 특징은 거대한 타이어이다. 일반적으로 지름 약 167.64cm, 너비 약 109.22cm인 농업용 "테라" 타이어를 사용한다. 차체는 가벼운 유리 섬유 또는 수지 소재로 제작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테마를 적용할 수 있다. 초기에는 픽업 트럭이나 SUV를 개조했지만, 오늘날에는 맞춤형 튜브형 섀시를 사용하고, 약 1.22m의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4링크 서스펜션을 갖추고 있다. 차체는 섀시에 별도로 부착되어 손상 시 쉽게 교체 가능하다.차체는 얇은 수지 제이며, 디자인은 시판 차를 기반으로 한 것 외에 개 등을 본뜬 우스꽝스러운 것도 있다.[1]
3. 2. 엔진 및 동력 전달
몬스터 트럭의 엔진은 대부분 운전자 뒤쪽에 장착되며, 주로 과급기(supercharged)를 사용하고 메탄올 기반 연료를 사용한다. 엔진 배기량(Engine displacement)은 최대 575 세제곱인치(약 9.4리터)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용으로 사용되는 배기량 9,000cc 전후의 엔진을 슈퍼차저로 과급하여 1,500마력에서 2,000마력을 발휘한다.[10]대부분 터보 400, Powerglide, Ford C6 transmission, 또는 TorqueFlite 727과 같이 개조되거나 맞춤 설계된 자동 변속기를 사용한다. 일부는 드래그 레이싱에서 유래된 Lenco 변속기를 사용하는데, 대부분 자동 변속기는 트랜스브레이크, 수동 밸브 바디 및 대형 기어 세트로 크게 수정된다. Lenco 변속기를 사용하는 트럭은 자동 변속기에 사용되는 토크 컨버터와 반대로 원심 클러치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2단 또는 3단 구성으로 제공되며, 압축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변속한다.[10]
3. 3. 서스펜션 및 조향
최초의 몬스터 트럭은 대형 서스펜션과 대형 타이어를 장착하여 개조된 픽업 트럭과 SUV였다. 오늘날 트럭은 맞춤형 튜브형 섀시를 사용하며, 최대 약 1.22m의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4링크 서스펜션을 갖추고 있다. 섀시에 별도로 부착되어 손상 시 쉽게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리 섬유 차체를 가지고 있다.모든 몬스터 트럭은 전륜 및 후륜 모두 유압식 조향 장치(4륜 조향)를 갖추고 있으며, 전륜은 스티어링 휠로 제어하고 후륜은 토글 스위치로 제어한다.
3. 4. 안전 장비
몬스터 트럭에는 운전자와 관객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안전 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트럭에는 세 개의 차단 스위치가 있는데, 이벤트 관리자가 트럭을 원격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원격 점화 인터럽트(RII), 운전석 내 운전자가 접근할 수 있는 스위치, 전복 시 모든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트럭 후면에 있는 스위치가 그것이다.[7]많은 몬스터 트럭은 운전자가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운전석을 중앙에 배치한다. 대부분의 운전석은 렉산 또는 유사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보호되어 트랙 파편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고 가시성을 높여준다. 운전자는 내화복, 안전 벨트, 헬멧, 머리 및 목 지지대를 착용해야 한다. 트럭의 대부분의 움직이는 부품도 보호되며, 고압 부품에는 폭발 시를 대비한 고정 스트랩이 부착되어 있다.[7]
4. 몬스터 트럭 경기 및 이벤트
몬스터 트럭 이벤트는 최근 몬스터잼의 인기가 매우 높으며, 매주말 미국 전역에서 이벤트가 개최되고 TV로 방영된다. 1980년대에는 TNT 모터스포츠, 1996년에는 PENDA 레이싱 시리즈[12] 등 많은 몬스터 트럭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모터스포츠 이벤트는 미국에서 United States Hot Rod Association (미국 핫 로드 협회, USHRA)가 주최한다.
4. 1. 경기 방식
몬스터 트럭 쇼는 일반적으로 경주와 자유형 스턴트 운전 경기의 두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며, 행사 중간에 인터미션이 진행된다.[12]경주는 짧고 대칭적인 트랙에서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고물차나 흙더미와 같은 장애물이 포함될 수 있다. 트랙의 길이와 복잡성은 경기장 규모에 따라 다르며, 실내 경기장의 코스는 일반적으로 더 짧고 장애물이 적다. 이는 전문적인 드래그 레이싱과 비교되며, 프로모터 또는 행사 규모에 따라 크리스마스 트리 시작 절차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자유형 행사에서 각 운전자는 장애물 점프, 백플립, 윌리, 도넛과 같은 스턴트로 구성된 공연을 펼친다. 심사위원단은 각 공연에 점수를 부여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운전자가 우승자로 선언되지만, 정확한 채점 형식은 프로모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12]
과거에는 자유형 행사를 위해 모터홈과 스쿨 버스와 같이 운전자가 짓밟을 추가 차량이 트랙에 배치되었지만, 파편이 관중석으로 날아가 심각한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행사 프로모터는 이러한 장애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자유형 코스는 트럭이 착지 시 큰 점프와 윌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큰 둔덕과 경사로로 구성된다. 자유형 공연은 정해진 시간 제한이 있으며, 안전을 위해 한 번에 한 대의 트럭만 트랙에 진입할 수 있다. 자유형 행사는 일반적으로 쇼의 마지막 경쟁으로, 트럭이 손상되면 경주를 할 수 없게 된다.[12]
몬스터 트럭 경기에는 다양한 장르가 존재하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프리스타일"이라고 불리는 경기 종목이 있다. 이 프리스타일은 아래 7개 항목을 심사하여 점수를 겨룬다.
항목 | 내용 |
---|---|
경기에 주어진 규정 시간 내 수행도 | 얼마나 시간 내에 잘 수행했는가 |
속도를 최대한 유지한 경기 내용 | 얼마나 빠르게 경기를 진행했는가 |
장애물(주로 지면에 놓인 차량)에 대한 공격과 파괴 | 장애물을 얼마나 잘 공격하고 파괴했는가 |
마운트에서 점프했을 때의 높이와 길이 | 점프 높이와 길이는 어떠한가 |
트릭 사용 여부 (윌리 주행, 도넛 턴 등, 사용한 트릭의 난이도와 심미성이 보너스 점수로 가산됨) | 트릭을 사용했는가, 사용했다면 얼마나 난이도와 심미성이 높은가 |
웅장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 연출 여부 | 얼마나 웅장한 충돌을 연출했는가 |
기타 "인상적인 순간" | 그 외 인상적인 순간이 있었는가 |
"박력"을 추구하는 형태의 심사 방식이며, 고득점을 위해서는 시작 시 윌리를 선보이고 마운트 시까지 차체를 일정 높이로 내린 후, 크게 점프하여 불안정한 스크랩 자동차를 높은 높이에서 떨어뜨려 밟아 부수고, 그대로 튀어 오르면서 불안정한 그립 상태로 차체를 전복시키거나, 불안정한 차체를 절묘한 컨트롤로 도넛 턴을 하는 등 관객들을 열광시키는 것이 승패의 열쇠가 된다.[12]
4. 2. 프리스타일 심사 기준
프리스타일 경기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심사한다.- 주어진 경기 시간 내 얼마나 잘 수행했는가
-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유지하며 경기를 진행했는가
- 놓여 있는 차량 등의 장애물을 얼마나 공격적으로 파괴했는가
- 마운트에서 점프했을 때 높이와 거리는 어떠했는가
- 윌리 주행, 도넛 턴 등의 트릭을 사용했는가 (사용한 트릭의 난이도와 얼마나 보기 좋았는가에 따라 추가 점수가 주어진다)
- 웅장한 충돌을 일으킬 만한 상황을 만들었는가
- 그 외 인상적인 순간
즉, "박력"을 얼마나 보여주는지가 심사 기준이다. 높은 점수를 받으려면, 시작할 때 윌리를 하고 마운트까지 차체를 일정 높이로 유지한 후, 크게 점프하여 스크랩 자동차를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밟아 부순다. 그리고 그대로 튀어 오르면서 불안정한 상태로 차체를 뒤집거나, 불안정한 차체를 절묘하게 조종하여 도넛 턴을 하는 등 관객을 열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12]
4. 3. 주요 프로모터 및 이벤트
Feld Entertainment가 소유한 USHRA의 몬스터 잼 시리즈는 현재 미국, 캐나다 및 유럽 일부 지역을 순회하는 가장 큰 규모의 투어이다. 몬스터 트럭 이벤트를 주최하는 다른 프로모터로는 Toughest Monster Truck Tour, Monster X Tour, 핫 휠 몬스터 트럭 라이브 등이 있다.[12]5. 몬스터 트럭 관련 기록
몬스터 트럭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네스 세계 기록이 있다. 채점식 대회에서 몬스터 트럭 최초의 백플립은 2010년 캠 맥퀸이 니트로 서커스(Nitro Circus)에서 성공했고, 최초의 프론트 플립은 2017년 리 오도넬이 VP 레이싱 퓨얼스(VP Racing Fuels)의 매드 사이언티스트(Mad Scientist)를 타고 몬스터 잼 월드 파이널 18에서 성공했다.[5]
5. 1. 최대/최장 기록
세계에서 가장 큰 몬스터 트럭은 1986년에 제작된 빅풋 5이며, 타이어 크기는 3m이다.[3]세계에서 가장 긴 몬스터 트럭은 2014년 브래드 켐벨과 젠 켐벨이 제작한 Sin City Hustler이며, 길이는 9.8m이다.[4]
5. 2. 속도 및 점프 기록
몬스터 트럭 최고 속도 기록은 2022년 8월 6일 조 실베스터가 배드 해비트(Bad Habit)로 기록한 101.84mph이다.[3] 몬스터 트럭 최장 램프 점프 기록은 2013년 조이 실베스터가 배드 해비트(Bad Habit)로 기록한 약 72.45m이다.2020년 6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투어가 중단되면서 몬스터 잼은 플로리다주 브레이든턴에서 "몬스터 잼 브레이킹 월드 레코드(Monster Jam Breaking World Records)"라는 유료 시청 이벤트를 개최하여 많은 새로운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다.
5. 3. 기타 기록
최초로 백플립을 성공한 것은 2010년 캠 맥퀸(Cam McQueen)이 니트로 서커스(Nitro Circus)에서였다. 최초의 프론트 플립은 2017년 리 오도넬(Lee O'Donnell)이 VP 레이싱 퓨얼스(VP Racing Fuels)의 매드 사이언티스트(Mad Scientist)를 타고 성공했다.[5]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투어가 중단되면서 몬스터 잼 브레이킹 월드 레코드(Monster Jam Breaking World Records)라는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기록이 경신되었다.
6. 한국의 몬스터 트럭 문화
한국에서는 몬스터 트럭이 장난감이나 모형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타미야는 1987년에 크래드 버스터라는 전동・엔진 RC 카를 발매했다.[13] RC 카 외에도 와일드 미니 사구, 토미카에서도 발매된 적이 있다.
게임 분야에서는 1996년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몬스터 트럭 매드니스』라는 게임 시리즈를 발매하는 등, 몬스터 트럭을 소재로 한 게임도 많다.[13] 1990년에는 바리에에서 『몬스터 트럭』이라는 레이스 게임이 발매되었다.[13]
7. 사고
몬스터 트럭 쇼는 위험성이 따르는 만큼, 사고 발생 가능성도 존재한다. 실제로 사망자를 낸 사고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발생일 | 사고 내용 |
---|---|
2009년 1월 16일 |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에서 열린 몬스터 잼 행사에서 6세 세바스찬 하이제이가 Natural High 트럭에서 날아온 파편에 맞아 사망했다.[1] |
2009년 1월 25일 |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서 몬스터 트럭 Samson 사고로 해설자 조지 아이젠하트 주니어가 사망했다.[2] |
2013년 10월 6일 | 멕시코 치와와시에서 몬스터 트럭 Big Show가 관중을 덮쳐 8명이 사망하고 79명이 부상당했다. (치와와 몬스터 트럭 사고) |
2014년 9월 29일 | 네덜란드 하악스베르겐에서 Eurol's King On Wheels라는 몬스터 트럭이 관중을 덮쳐 3명이 사망했다. (하악스베르겐 몬스터 트럭 사고) |
7. 1. 주요 사고 사례
다음은 사망자를 낸 사고 목록이다.- 2009년 1월 16일,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에서 열린 몬스터 잼 행사에서 6세의 세바스찬 하이제이가 Natural High 트럭에서 날아온 파편에 맞아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다음 날 아침 사망했다.[1]
- 2009년 1월 25일,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서 몬스터 트럭 Samson 사고로 해설자 조지 아이젠하트 주니어가 움직이는 Samson 앞에 실수로 발을 들여 사망했다.[2]
- 2013년 10월 6일, 멕시코 치와와시에서 몬스터 트럭 Big Show가 관중을 덮쳐 8명이 사망하고 79명이 부상당했다. (치와와 몬스터 트럭 사고) 이 사건은 몬스터 트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사고이다.
- 2014년 9월 29일, 네덜란드 하악스베르겐에서 Eurol's King On Wheels라는 몬스터 트럭이 관중을 덮쳐 3명이 사망했다. (하악스베르겐 몬스터 트럭 사고)
이러한 사고들은 몬스터 트럭 쇼의 안전 문제를 제기하며, 안전 규정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roblems nearly sidelined monster truck prior to fatal accident
http://www.seattlepi[...]
2009-01-17
[2]
웹사이트
Monster truck driver didn't see victim in fatal accident
http://archive.jsonl[...]
archive.jsonline.com
2009-01-25
[3]
웹사이트
1986: Largest Monster Truck
https://www.guinness[...]
2015-08-18
[4]
뉴스
Longest monster truck
http://www.guinnessw[...]
[5]
웹사이트
First ever Monster Jam Truck front flip - Lee O'Donnell at Monster Jam World Finals XVIII FULL RUN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Highest ramp jump - monster truck
https://www.guinness[...]
[7]
웹사이트
Most monster trucks jumped by a monster truck
https://www.guinness[...]
[8]
웹사이트
Most consecutive donuts (spins) in a monster truck
https://www.guinness[...]
[9]
웹사이트
Longest stoppie (nose wheelie) on a monster truck (distance)
https://www.guinness[...]
[10]
웹사이트
Farthest bicycle (side wheelie) in a monster truck
https://www.guinness[...]
[11]
웹사이트
Longest monster truck wheelie (distance)
https://www.guinness[...]
[12]
뉴스
-The Penda Points Series Results-
http://www.monstertr[...]
MONSTER TRUCKS U.K.
[13]
서적
게임보이クソゲー番付
http://qbq.jp/
株式会社QBQ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