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클렌부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클렌부르크는 대부분 평평한 시골 풍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트해로 갈수록 지형이 변화한다. 주요 도시로는 로스토크, 슈베린 등이 있다.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서슬라브족이 거주했으며, 11세기에는 오보트리테의 니클로트가 메클렌부르크 공작 및 대공 왕조를 창시했다. 12세기 후반에는 작센 공작 헨리 사자공이 이 지역을 재정복하고 기독교화를 진행했다. 1621년에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국과 메클렌부르크-귀스트로 공국으로 분할되었고, 1701년 귀스트로 가문이 단절된 후 영토가 재분할되었다. 1815년에는 대공국으로 승격되었으며, 1918년 혁명으로 멸망했다. 1934년 독일 정부에 의해 통일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동독의 주로 편입되었다가, 1990년 독일 재통일로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가 부활했다. 현재는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며, 발트해 해변, 호수 지구, 중세 시대 건물 등이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클렌부르크 - 로스토크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는 1419년에 설립되어 북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며, 독일에서 세 번째로 오래되었고, 인문주의와 루터주의를 특징으로 하며, 아인슈타인과 플랑크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한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역사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은 1815년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국에서 승격되어 독일 제국의 주가 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 혁명으로 대공이 퇴위하며 메클렌부르크-슈베린 자유주가 되었다가 나치에 의해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와 통합되어 현재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일부가 되었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역사 - 노이브란덴부르크구
    노이브란덴부르크구는 1952년 동독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어 동독 북동부에 위치했으며, 1990년 독일 재통일로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와 브란덴부르크 주에 편입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메클렌부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1866년부터 1934년까지 메클렌부르크-슈베린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로 나뉜 메클렌부르크 지도
1866년부터 1934년까지 메클렌부르크-슈베린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로 나뉜 메클렌부르크 지도
유형독일의 역사적 지역
최대 도시로스토크
일반 정보
이름메클렌부르크
로마자 표기Mecklenburg
독일어 발음,
관련 민족
역사
설립해당사항 없음
설립자해당사항 없음
행정
정부 형태해당사항 없음
통치 기관해당사항 없음
지리
면적 단위미터법
면적해당사항 없음
도시 면적해당사항 없음
농촌 면적해당사항 없음
수도권 면적해당사항 없음
물 면적 비율해당사항 없음
해발 고도해당사항 없음
인구
인구 조사 기준해당사항 없음
총 인구해당사항 없음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메클렌부르크인, 메클렌부르거

2. 지리

메클렌부르크는 대부분 평평한 시골 풍경으로 알려져 있다. 지형의 많은 부분이 늪지대이며, 연못, 늪, 밭이 일반적인 특징이며, 작은 숲이 드문드문 섞여 있다. 지형은 북쪽의 발트해로 갈수록 변화한다.

메클렌부르크의 이탄 아래에서는 때때로 고대 용암류 퇴적물이 발견된다. 전통적으로, 적어도 시골에서는 이러한 흐름에서 나온 돌을 잘라내어 주택 건설에 사용하며, 시멘트, 벽돌 및 목재와 함께 사용하여 시골집 외관에 독특한 모습을 형성한다.

메클렌부르크는 생산적인 농업을 가지고 있지만, 토지는 가축 방목에 가장 적합하다.

메클렌부르크의 대부분은 평지이며, 연못이 있는 저습지대나 늪지, 초원, 드문드문 작은 숲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발트해를 향해 북상할수록 지세도 변화한다.

메클렌부르크의 이탄층 아래에서는 고대의 용암 부스러기가 자주 발견된다. 전통적으로 시골에서는 이것을 잘라 시멘트, 벽돌, 목재와 함께 집의 건축 자재로 사용한다. 그래서 시골집의 외관은 매우 특징적이다.

메클렌부르크에서는 농업도 행해지고 있지만, 토지가 척박하여 차라리 방목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2. 1. 주요 도시

2012년 12월 31일 기준이미지로스토크군 미편입 도시206,011 (2015년 12월 31일)
로스토크-바르네뮌데
슈베린군 미편입 도시91,264
슈베린 성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회 소재지)
노이브란덴부르크메클렌부르크 쉐엔플라테63,509
|120px|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노이브란덴부르크, 안개 속에서]]비스마르노르트서메클렌부르크42,433
|120px|비스마르 상수도]]귀스트로로스토크28,586
|120px|귀스트로 르네상스 궁전]]노이슈트렐리츠메클렌부르크 쉐엔플라테20,322
|120px|노이슈트렐리츠 왕립 교회]]바렌 (뮈리츠)메클렌부르크 쉐엔플라테21,074
|120px|바렌의 뮈리체움 수족관]]파르힘루트비히슬루스트-파르힘17,174
|120px|파르힘 우체국]]루트비히슬루스트루트비히슬루스트-파르힘11,998
|120px|루트비히슬루스트 바로크 궁전 ("북쪽의 베르사유")]]바트 도베란로스토크11,427
|120px|고딕 양식 도베란 수도원]]하게노루트비히슬루스트-파르힘11,324
|120px|하게노 구시가지와 교회]]그레베스뮐렌노르트서메클렌부르크10,621
|120px|그레베스뮐렌의 풍차]]보이첸부르크/엘베루트비히슬루스트-파르힘10,169
|120px|보이첸부르크 구시가지 주변 해자]]테테로로스토크8,733
|120px|테테로 베르크링 경주 트랙]]말친메클렌부르크 쉐엔플라테7,657
|120px|말친의 도시 문, 칼렌셰스 문]]


3. 역사

메클렌부르크에는 선사 시대의 돌무덤이 많이 발견된다. 이 지역에 처음으로 조직적으로 거주한 민족은 켈트계 민족으로 여겨지며, 적어도 기원전 100년 전에는 이미 기독교화되기 전의 게르만족이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메클렌부르크의 전통적인 상징은 웃는 황소 머리(저지 독일어: ''Ossenkopp'', 문자 그대로 '황소 머리'로, ''osse''는 중 저지 독일어에서 황소와 수소의 동의어)에 가죽이 붙어 있고, 그 위에 왕관이 있는 형태인데, 이는 초기 사람들이 투구로 사용된 황소 머리와 햇볕으로부터 목을 보호하기 위해 뒤로 늘어뜨린 가죽, 그리고 전반적으로 적에게 공포심을 심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메클렌부르크에는 현재의 동폴란드와 북서우크라이나에서 이주해 온 서슬라브족이 거주했다. 그중에는 프랑크족 자료에서 "벤드족"이라고 지칭한 오보트리테를 비롯한 여러 부족이 있었다. 1918년까지 지속된 메클렌부르크 공작 및 후대 대공 왕조의 11세기 창시자는 오보트리테의 니클로트였다.

12세기 후반, 작센의 공작인 헨리 사자공이 이 지역을 재정복하고, 지역 영주들에게 충성을 맹세하게 한 후, 기독교화를 통해 이 지역 사람들을 기독교화했는데, 이는 북방 십자군의 전조였다.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많은 수의 독일인과 플랑드르인이 이 지역에 정착하여(동방 식민 운동), 독일법과 개선된 농업 기술을 도입했다. 벤드족은 작센, 덴마크 및 류티치 지역에 대한 침략과 원정을 포함하여 내부 분쟁을 겪은 후 수 세기 동안 동화되었다. 그러나 메클렌부르크에서 사용되는 특정 이름과 단어의 요소는 남아 있는 슬라브족의 영향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슈베린시는 원래 슬라브어로 ''Zuarin''이라고 불렸다. 또 다른 예는 브레제가르트 마을인데, 이 마을 이름의 '가르드' 부분은 도시 또는 마을을 의미하는 슬라브어 단어 'grad'에서 파생되었다.

12세기부터 이 영토는 안정적이었고 이웃 국가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이었으며, 이는 몇 안 되는 독일 영토 중 하나였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슈베린의 공작은 개신교로 개종했고, 메클렌부르크 공국은 1549년에 이를 따랐다.

메클렌부르크의 7개 영주국을 상징하는 역사적인 7분할 문장: 메클렌부르크 공작령, 슈베린라체부르크의 공작령(전 교구), 슈베린 백작령 및 로스토크, 베를레 및 스타르가르트의 ''헤어샤프트''(영주국).

3. 1. 초기 역사

메클렌부르크에는 선사 시대의 돌무덤이 많이 발견된다. 이 지역에 처음으로 조직적으로 거주한 민족은 켈트계 민족으로 여겨지며, 적어도 기원전 100년 전에는 이미 기독교화되기 전의 게르만족이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메클렌부르크의 전통적인 상징은 웃는 황소 머리(저지 독일어: ''Ossenkopp'', 문자 그대로 '황소 머리'로, ''osse''는 중 저지 독일어에서 황소와 수소의 동의어)에 가죽이 붙어 있고, 그 위에 왕관이 있는 형태인데, 이는 초기 사람들이 투구로 사용된 황소 머리와 햇볕으로부터 목을 보호하기 위해 뒤로 늘어뜨린 가죽, 그리고 전반적으로 적에게 공포심을 심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메클렌부르크에는 현재의 동폴란드와 북서우크라이나에서 이주해 온 서슬라브족이 거주했다. 그중에는 프랑크족 자료에서 "벤드족"이라고 지칭한 오보트리테를 비롯한 여러 부족이 있었다. 1918년까지 지속된 메클렌부르크 공작 및 후대 대공 왕조의 11세기 창시자는 오보트리테의 니클로트였다.

12세기 후반, 작센의 공작인 헨리 사자공이 이 지역을 재정복하고, 지역 영주들에게 충성을 맹세하게 한 후, 기독교화를 통해 이 지역 사람들을 기독교화했는데, 이는 북방 십자군의 전조였다.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많은 수의 독일인과 플랑드르인이 이 지역에 정착하여(동방 식민 운동), 독일법과 개선된 농업 기술을 도입했다. 벤드족은 작센, 덴마크 및 류티치 지역에 대한 침략과 원정을 포함하여 내부 분쟁을 겪은 후 수 세기 동안 동화되었다. 그러나 메클렌부르크에서 사용되는 특정 이름과 단어의 요소는 남아 있는 슬라브족의 영향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슈베린시는 원래 슬라브어로 ''Zuarin''이라고 불렸다. 또 다른 예는 브레제가르트 마을인데, 이 마을 이름의 '가르드' 부분은 도시 또는 마을을 의미하는 슬라브어 단어 'grad'에서 파생되었다.

12세기부터 이 영토는 안정적이었고 이웃 국가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이었으며, 이는 몇 안 되는 독일 영토 중 하나였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슈베린의 공작은 개신교로 개종했고, 메클렌부르크 공국은 1549년에 이를 따랐다.

3. 2. 중세 시대

3. 3. 분할과 재통합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국과 메클렌부르크-귀스트로 공국으로 분할되었다. 1701년 귀스트로 가문이 단절되면서 귀스트로 영토는 재분할되어 일부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에게, 일부는 새로 생긴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국 가문에 넘어갔다.

1815년, 두 메클렌부르크 공국은 대공국으로 승격되어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이 되었으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헌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몽적이지만 절대적인 통치하에 독일 내에서 별도로 존재하다가 1918년 혁명으로 멸망했다. 메클렌부르크의 삶은 매우 고될 수 있었다. 결혼 허가를 대공에게 요청하거나 이민 허가를 신청해야 하는 관행은 다른 독일 지역에서 이러한 관행이 폐지된 지 오래된 1918년까지 메클렌부르크 역사에 오래 남아 있었다. 심지어 19세기 후반에도 대공은 개인적으로 시골의 절반을 소유했다. 마지막 공작은 유럽 전역에서 군주제가 붕괴되면서 1918년에 퇴위했다. 공작의 통치 가문은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된 이후 1918년까지 (2년을 제외하고) 메클렌부르크에서 단절 없이 통치했다. 1918년부터 1933년까지 공국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자유 국가였다.

전통적으로 메클렌부르크는 항상 독일의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다. 농업적으로 토지가 열악하여 독일의 다른 지역과 같은 수준으로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두 개의 메클렌부르크는 1918년 이후 독립 국가가 되려는 시도를 했지만 나머지 독일 영토에 대한 의존성이 분명해지면서 결국 실패했다.

3. 4. 현대

많은 독일 영토와 마찬가지로 메클렌부르크는 통치 왕조 내에서 여러 번 분할과 재분할을 거쳤다. 1621년에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국과 메클렌부르크-귀스트로 공국으로 분할되었다. 1701년 귀스트로 가문이 단절되면서 귀스트로 영토는 재분할되어 일부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에게, 일부는 새로 생긴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국 가문에 넘어갔다.

1815년, 두 메클렌부르크 공국은 대공국으로 승격되어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이 되었으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헌법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몽적이지만 절대적인 통치하에 독일 내에서 별도로 존재하다가 1918년 혁명으로 멸망했다. 메클렌부르크의 삶은 매우 고될 수 있었는데, 결혼 허가를 대공에게 요청하거나 이민 허가를 신청해야 하는 관행은 다른 독일 지역에서 이러한 관행이 폐지된 지 오래된 1918년까지 메클렌부르크 역사에 오래 남아 있었다. 심지어 19세기 후반에도 대공은 개인적으로 시골의 절반을 소유했다. 마지막 공작은 유럽 전역에서 군주제가 붕괴되면서 1918년에 퇴위했다. 공작의 통치 가문은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된 이후 1918년까지 (2년을 제외하고) 메클렌부르크에서 단절 없이 통치했다. 1918년부터 1933년까지 공국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자유 국가였다.

전통적으로 메클렌부르크는 항상 독일의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다. 농업적으로 토지가 열악하여 독일의 다른 지역과 같은 수준으로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중 하나였다. 두 개의 메클렌부르크는 1918년 이후 독립 국가가 되려는 시도를 했지만 나머지 독일 영토에 대한 의존성이 분명해지면서 결국 실패했다.

3세기에 걸친 분할 이후, 1934년 1월 1일 독일 정부에 의해 메클렌부르크는 통일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국방군(Wehrmacht)은 메클렌부르크와 포메라니아를 슈테틴에 사령부를 둔 ''보병 대장'' 베르너 키니츠의 지휘 아래 제2 방위군관구(Wehrkreis II)에 배정했다. 메클렌부르크는 슈베린에 본부를 둔 지역에 배정되었으며, 이곳은 슈베린, 로스토크, 파르침, 노이슈트렐리츠의 군사 부대를 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독을 점령한 소련은 메클렌부르크를 인접한 작은 지역인 서부 포메라니아(독일어: Vorpommern)와 합쳐 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을 형성했다. 메클렌부르크는 새로운 주의 지리적 크기의 약 3분의 2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또한, 새로운 주는 전쟁 후 소련과 폴란드에 의해 점령된 전 독일 영토에서 추방된 많은 난민들의 임시 또는 영구적인 거처가 되었다. 소련은 1947년에 "메클렌부르크-서부 포메라니아"에서 "메클렌부르크"로 이름을 변경했다.

1952년, 동독 정부는 메클렌부르크의 독립적 존재를 종식시키고, 그 영토에서 로스토크, 슈베린, 노이브란덴부르크의 3개 구(Bezirke)를 만들었다.

1990년 독일의 재통일 동안, 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이 부활했으며, 현재 독일 연방 공화국의 16개 주 중 하나이다.

4. 경제

4. 1. 농업

평평한 지형을 가진 메클렌부르크는 퀴노아, 밀, 보리, 옥수수 등을 생산하는 농경지와 소, 특히 메클렌부르크 품종의 말 사육으로 유명하다.[5] 최근 세계화로 인한 격변과 환경 파괴로 인해 독일 농부들은 큰레아와 아시아 말벌과 같은 침입 외래종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5]

4. 2. 관광

메클렌부르크는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관광이 크게 증가했으며, 특히 다음 지역들이 인기있다.

이 지역들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옛 왕궁들이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5. 문장



메클렌부르크 가문은 1160년에 사망한 오보트리테스, 치치니, 키르치파니의 군주 니클로트에 의해 건국되었다. 그의 기독교 후손은 1170년 신성 로마 제국의 공작으로, 1348년 7월 8일 메클렌부르크 공작으로 인정받았다. 1658년 2월 27일, 공작 가문은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령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공작령 두 분파로 나뉘었다.

두 메클렌부르크 공작령의 깃발은 전통적으로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지난 300년 동안 그 순서가 여러 번 변경되었다. 1813년에는 노란색-빨간색-파란색을 사용했다. 1863년 12월 23일 슈베린, 1864년 1월 4일 슈트렐리츠는 파란색-노란색-빨간색을 사용하도록 명령했다.[1] 그러나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은 1855년 3월 24일 법에 따라 바다에서는 노란색 대신 흰색을 사용했다.[2]

지프마허의 문장집은 따라서 슈베린의 경우 파란색-흰색-빨간색, 슈트렐리츠의 경우 파란색-노란색-빨간색을 제공한다.[3] 이 자료에 따르면, 슈베린의 대공 가문은 흰색 분할선(1.75M)에 가운데 문장이 있는 3.75~5.625M 크기의 깃발을 사용했다.

가운데 문장은 17세기에 배열된 메클렌부르크의 방패를 보여준다. 가운데는 슈베린 백작령, 분할선에는 메클렌부르크(황소 머리와 가죽), 로스토크 (그리핀), 슈베린 공국(녹색 사각형을 넘는 그리핀), 라체부르크 (왕관이 올려진 십자가), 슈타르가르트 (고리를 들고 있는 손이 있는 팔), 벤덴(황소 머리)이 있다. 방패는 황소와 그리핀이 지지하며 왕관이 올려져 있다.

슈트렐리츠의 공작들은 지프마허에 따르면 노란색 띠에 메클렌부르크의 (타원형) 방패만 있는 파란색-노란색-빨간색 깃발을 사용했다.

1897년의 스트뢰흘과 불가리아[4]는 다른 배열을 보여준다.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은 문장의 인물에서 나온 문장이 있는 깃발(4:5)을 휘날렸다.

흰색 분할선이 있는 이전의 슈베린 표준은 현재 슈트렐리츠의 대공에게 귀속된다.

스트뢰흘은 1863년 12월 23일 법에 따라 노란색 띠에 가운데 문장이 있는 대공 가문의 깃발을 언급한다. 그리고 그는 특별한 해상 깃발, 즉 동일하지만 흰색 중간 띠가 있는 깃발을 언급한다.

'Berühmte Fahnen'은 또한 하노버의 공주인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비 알렉산드라(1882–1963)를 위한 표준을 보여주는데, 그녀의 방패와 메클렌부르크의 방패가 벤덴 왕관 기사단의 훈장으로 흰색 타원에 합쳐져 있다. 바다에서는 그녀의 깃발의 노란색 띠가 물론 흰색이었다.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공자(공작)는 이 자료에 따르면 로스토크의 그리핀을 보여주는 자신만의 표준을 가지고 있었다.

참조

[1] 서적 Deutsche Wappenrolle Stuttgart 1897
[2] 서적
[3] 서적 Siebmachers Wappenbuch Nuremberg 1878
[4] 서적 Berühmte Fahnen Deutscher Geschichte Dresden 1922
[5] 웹사이트 Asian Hornet Invading Europe, German Specimen Shows Species is Spreading North https://www.ibtimes.[...] 2020-02-06
[6] 웹사이트 Mecklenburg http://www.duden.de/[...]
[7] 서적 Deutsche Wappenrolle Stuttgart 1897
[8] 서적
[9] 서적 Siebmachers Wappenbuch Nurenberg 1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