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체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체부르크는 11세기에 형성된 독일의 도시로, 폴라비안족의 왕자 라티보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044년 기독교가 전파되었으나, 1066년 이교도 반란으로 파괴되었고, 1143년 하인리히 사자공에 의해 재건되었다. 1154년 주교구 설치와 함께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성당이 건립되었고, 1180년 주교후가 관할하는 감독 관구가 설치되었다. 종교 개혁으로 루터교로 개종했으며, 나폴레옹 전쟁 시기 프랑스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864년 덴마크의 패배로 프로이센에 편입되었고, 1937년 대(大) 함부르크 법에 따라 메클렌부르크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부터 1989년까지 동독과의 경계를 이루었으며, 조정 클럽으로 올림픽 챔피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체부르크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도시 |
위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군 | 헤르조그툼라우엔부르크군 |
면적 | 30.29km² |
해발 고도 | 36m |
우편 번호 | 23909 |
지역 번호 | 04541 |
차량 번호판 | RZ |
지방 자치체 코드 | 01 0 53 100 |
웹사이트 | 라체부르크 공식 웹사이트 |
시장 | 에크하르트 그라프 |
언어별 이름 | |
독일어 | Ratzeburg |
지리 | |
좌표 | 북위 53° 42′ 동경 10° 45′ |
![]() | |
상징 | |
![]() | |
![]() |
2. 역사
11세기에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1044년에는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1066년에는 이교 신자들이 일으킨 반란으로 인해 파괴되었고, 1143년에는 작센 공국의 하인리히 사자공이 도시의 지배자가 되면서 점차 재건되었다. 1154년에 주교구가 설치되면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을 띤 성당이 건립되었다.
1180년에는 주교후가 관할하는 감독 관구가 설치되었으며, 1296년에는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이 작센 공국에서 독립했다. 1554년에는 종교 개혁의 일환에 따라 루터교로 개종했다. 1693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5세가 하노버 왕가에 대항하여 공작위를 승계하려는 시도가 실패하면서, 폭격으로 라체부르크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후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나, 성은 재건되지 않았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지만, 1815년에 열린 빈 회의에 따라 덴마크와의 동군연합 관계를 수립하게 되었다.[1]
1864년 덴마크가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패전하면서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은 프로이센과의 동군연합 관계를 수립했고, 1876년 7월 1일에는 프로이센 왕국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 편입되었다.[1]
2. 1. 초기 역사와 기독교 전파
11세기경, 이 도시는 라치스부르크(Racisburg)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 이름은 지역 벤드 통치자이자 폴라비안족의 왕자인 라티보르(라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044년, 안스베루스 수도사의 지도 아래 기독교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와서 수도원을 건립했다. 1066년 이교도 반란으로 수도원이 파괴되었고, 수도사들은 돌에 맞아 죽었다. 오늘날 이 사건을 기리는 선교사 기념비가 도시의 두 교회에 세워져 있다. 12세기에 안스베루스는 성인으로 추대되었고, 그의 유해는 라체부르크 대성당에 안치되었다.2. 2. 중세 시대
1143년, 하인리히 사자공이 도시의 통치자가 되었다. 1154년, 하인리히 사자공에 의해 라체부르크 주교구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북부 독일의 전형적인 '적벽돌' 양식으로 지어진 후기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대성당(Dom)이 건립되기 시작했다. 하인리히 사자공은 뤼베크 대성당과 브라운슈바이크 대성당 건설도 추진했다.1180년, 라체부르크 교구 지역의 일부에 주교후가 관할하는 감독 관구(제후 주교령)가 설치되어 신성 로마 제국 제국 의회에서 투표권을 행사했다. 라체부르크 제후 주교령은 북부 독일에서 가톨릭을 마지막까지 유지한 국가였다.
2. 3. 종교 개혁과 근세
1550년, 통치자 게오르크 폰 블루멘탈 제후 주교가 사망한 후, 1554년 라체부르크 제후 주교령은 루터교로 개종했다. 라체부르크는 라체부르크 주교령의 일부가 아니었지만, 옛 작센 공국의 일부였으며, 1296년경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왕조 분할로 작센-라우엔부르크에 속하게 되었다. 1619년,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수도가 엘베강변 라우엔부르크에서 라체부르크로 이전되었다. 1693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5세가 하노버 왕가에 대항하여 공작위를 승계하려는 시도가 실패하면서, 폭격으로 라체부르크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후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나, 성은 재건되지 않았다.2. 4. 덴마크와 프로이센 통치 시기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지만, 1815년에 열린 빈 회의에 따라 덴마크와 동군연합 관계를 수립하게 되었다.[1]1864년 덴마크가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패전하면서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은 프로이센과의 동군연합 관계를 수립했고, 1876년 7월 1일에는 프로이센 왕국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 편입되었다.[1]
2. 5. 현대
1937년, 대(大) 함부르크 법에 따라 전 대성당 면제 지구가 메클렌부르크의 일부에서 라체부르크 시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부터 1989년까지 철의 장막이 도시 바로 동쪽에 위치하여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과의 경계를 이루었다.3. 스포츠
라체부르크 조정 클럽은 1956년 멜버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를 포함한 많은 올림픽 챔피언을 배출하여 유명하다.
- 카를 아담 (1912–1976): 조정 코치
- 클라우스 베렌스 (1941–2022): 1964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독일 조정 선수)
- 플로리안 메니겐 (1982년 출생): 2012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독일 조정 선수)
4. 자매 도시
라체부르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
5. 주요 인물
라체부르크 출신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귀족 및 왕족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마그누스 1세(1470–1543): 라체부르크에 묻혔다.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카타리나(1513–1535): 스웨덴의 구스타브 1세의 첫 번째 부인이자 스웨덴의 왕비였다.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아우구스투스 (1577–1656): 1619년부터 1656년까지 작센-라우엔부르크의 공작이었다.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시빌레 공작부인 (1675–1733): 바덴바덴의 섭정이었다.
- 학자, 예술가 및 기타
- 카를 프리드리히 빌헬름 루스부름 (1812–1893): 독일계 에스토니아 교육학자, 민족학자 및 역사학자였다.
- 요하네스 팔케 (1823–1876): 독일의 역사학자.[2]
- 오토 하인리히 에노흐 베커 (1828–1890): 독일의 안과의였다.
- 에른스트 카텐후센 (1841–1918): 독일의 지휘자이자 작곡가로 미국에서도 활동했다.[3]
- 에른스트 바를라흐 (1870–1938): 조각가였다.
- 위르겐 힌츠페터 (1937–2016): 광주 민주화 운동 보도로 잘 알려진 독일 기자였다.
- 귄터 하르더 (1938년 출생): 수론 및 대수기하학을 전공한 독일 수학자이다.
5. 1. 귀족 및 왕족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마그누스 1세(1470–1543): 귀족, 라체부르크에 묻힘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카타리나(1513–1535): 스웨덴의 구스타브 1세의 첫 번째 부인이자 스웨덴의 왕비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아우구스투스 (1577–1656): 1619년부터 1656년까지 작센-라우엔부르크의 공작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시빌레 공작부인 (1675–1733): 바덴바덴의 섭정
5. 2. 학자 및 예술가
- 카를 프리드리히 빌헬름 루스부름 (1812–1893): 독일계 에스토니아 교육학자, 민족학자 및 역사학자[2]
- 요하네스 팔케 (1823–1876): 독일의 역사학자[2]
- 오토 하인리히 에노흐 베커 (1828–1890): 독일의 안과의
- 에른스트 카텐후센 (1841–1918): 독일의 지휘자이자 작곡가로 미국에서도 활동[3]
- 에른스트 바를라흐 (1870–1938): 조각가
5. 3. 언론인
- 위르겐 힌츠페터 (1937–2016): 광주 민주화 운동을 세계에 알린 독일 기자이다.[2]
5. 4. 수학자
참조
[1]
웹사이트
Partnerstädte in Europa
https://www.ratzebur[...]
Ratzeburg
2021-03-14
[2]
간행물
Falke, Johann Friedrich Gottlieb
[3]
서적
Catenhusen, Ern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