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멜빌섬 (오스트레일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빌 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티위 제도에 위치한 섬이다. 1644년 아벨 타스만이 처음 발견한 유럽인이며, 탐험가 필립 파커 킹은 초대 해군 장관 로버트 던다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영국은 멜빌 섬에 포트 던다스라는 정착촌을 건설했으나 1824년부터 1828년까지만 유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상륙을 막기 위해 현지 티위족이 배치된 스네이크 베이 순찰대가 설립되었다. 멜빌 섬은 노던 준주 관할 하에 있으며, 티위 토지 위원회가 지역 당국이다. 면적은 5,786km²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며, 열대 기후를 보인다. 주요 정착지는 밀리카피티와 필랑김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던 준주 - 배서스트섬 (오스트레일리아)
    배서스트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티위 제도의 일부로, 헨리 배서스트 백작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티위족을 포함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오랫동안 거주해 온 열대 사바나 기후의 섬이고 우룸미양가가 주요 취락지이다.
  • 노던 준주 - 캐서린강
    캐서린강은 1862년 존 맥두얼 스튜어트가 명명한 호주 북부 준주의 강으로, 대규모 홍수 피해를 입었으며 바다악어와 민물악어를 포함한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섬 - 배서스트섬 (오스트레일리아)
    배서스트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티위 제도의 일부로, 헨리 배서스트 백작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티위족을 포함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오랫동안 거주해 온 열대 사바나 기후의 섬이고 우룸미양가가 주요 취락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섬 - 노스킬링섬
    인도양 코코스 제도에 위치한 노스킬링섬은 윌리엄 킬링의 이름을 딴 열대 기후의 환초로, 코코스 해전의 역사적 장소이자 다양한 조류의 번식지로서 생태적 가치가 높은 람사르 협약 습지이지만 환경 변화와 생태계 위협에 직면해 있다.
멜빌섬 (오스트레일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원어 이름(티위어) Yermalner
위치티모르해
군도티위 제도
주요 섬멜빌, 이르리티투
면적5,786 km2
행정 구역
국가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최대 도시밀리카피티
최대 도시 인구559명
인구 통계
인구약 1,030명
민족티위
추가 정보
[[바서스트섬 (노던 준주)|바서스트섬]]에서 바라본 멜빌섬
바서스트섬에서 바라본 멜빌섬
멜빌섬 (오른쪽 상단)과 [[바서스트섬 (노던 준주)|바서스트섬]] (왼쪽),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오른쪽 하단)의 위성 사진
멜빌섬 (오른쪽 상단)과 바서스트섬 (왼쪽),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오른쪽 하단)의 위성 사진

2. 역사

멜빌 섬의 역사는 크게 원주민 시대, 유럽인 접촉 및 식민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현대로 구분할 수 있다. 티위족 원주민들은 최소 4만 년 전부터 이 지역에 거주해왔다.[1] 1644년 아벨 타스만이 이 섬을 처음 발견한 유럽인으로 알려져 있다.

탐험가 필립 파커 킹(뉴사우스웨일스주 주지사 필립 기들리 킹의 아들)은 초대 해군 장관인 로버트 던다스, 2대 멜빌 자작의 이름을 따서 섬을 명명했다. 멜빌 자작은 캐나다 북극 제도의 멜빌 섬에도 이름이 붙여졌다. 이후 영국은 멜빌 섬에 포트 던다스라는 정착촌을 세워 호주 북부 해안 정착을 시도했으나, 1824년부터 1828년까지 유지되다 실패했다.

섬에는 가톨릭 선교소가 있었고, 노바 페리스의 어머니가 이곳에서 자랐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네이크 베이 순찰대가 설립되어 티위족이 배치되었다.

2. 1. 원주민 시대

원주민은 최소 4만 년 전부터 티위 제도가 된 지역을 점유해 왔다.[1] 1644년 아벨 타스만이 이 섬을 처음 발견한 유럽인이라고 전해진다.

탐험가 필립 파커 킹(뉴사우스웨일스주 주지사 필립 기들리 킹의 아들)은 초대 해군 장관인 로버트 던다스, 2대 멜빌 자작의 이름을 따서 섬을 명명했으며, 그는 캐나다 북극 제도의 훨씬 더 큰 멜빌 섬에서도 기념되고 있다. 이 직후 영국은 멜빌 섬의 단명했던 포트 던다스에서 호주 북부 해안에 정착하려는 최초의 시도를 했다. 이 정착촌은 1824년부터 1828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섬에는 가톨릭 선교소가 있었으며, 이곳에서 노바 페리스의 어머니는 어머니에게서 데려온 후 자랐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상륙을 막기 위해 파견된 군대의 일환으로 현지 티위족이 배치된 작은 스네이크 베이 순찰대가 설립되었다.

2. 2. 유럽인 접촉 및 식민지 시대

원주민은 티위 제도가 된 지역을 최소 4만 년 동안 점유해 왔다.[1] 1644년 아벨 타스만이 이 섬을 처음 발견한 유럽인이라고 전해진다.

탐험가 필립 파커 킹(뉴사우스웨일스주 주지사 필립 기들리 킹의 아들)은 초대 해군 장관인 로버트 던다스, 2대 멜빌 자작의 이름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었다. 그는 캐나다 북극 제도의 훨씬 더 큰 멜빌 섬에서도 기념되고 있다. 이 직후 영국은 멜빌 섬에 포트 던다스라는 정착촌을 건설하여 호주 북부 해안에 정착하려는 최초의 시도를 했다. 이 정착촌은 1824년부터 1828년까지 존속했으나, 결국 실패로 끝났다.

이 섬에는 가톨릭 선교소가 있었으며, 이곳에서 노바 페리스의 어머니는 어머니에게서 격리된 후 자랐다.[2] 이는 호주 원주민 사회에 큰 상처를 남긴 '도둑맞은 세대'와 관련된 논란의 일부이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상륙을 막기 위해 스네이크 베이 순찰대가 멜빌 섬에 주둔했다. 이 부대에는 티위족 원주민들도 배치되었다.

2. 4. 현대

티위 제도의 일부인 멜빌 섬은 노던 준주의 관할 하에 있으며, 티위 토지 위원회가 지역 당국이다.

3. 지리 및 기후

멜빌 섬은 동티모르 해에 위치하며, 노던 준주다윈에서 북쪽으로 약 60km 떨어져 있고, 아넘랜드의 코버그 반도 서쪽에 있다. 면적은 5786km2로, 태즈메이니아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다. 이리투 섬(Irrititu Island)은 1.6km2이며, 멜빌 섬 남쪽 끝에서 55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3] 이 섬들은 열대 기후를 보인다.

4. 인구

멜빌섬에서 가장 큰 정착지는 인구 559명의 밀리카피티이다. 두 번째로 큰 정착지는 멜빌섬 서해안의 밀리카피티에서 서쪽으로 27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인구 440명의 필랑김피(풀라룸피, 이전 가든 포인트)이다. 약 30명의 추가 인구가 5개의 가족 아웃스테이션에 거주한다.

5. 행정

티위 제도의 일부인 멜빌 섬은 노던 준주 관할 하에 있으며, 티위 토지 위원회가 지역 자치 기구 역할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imeline: Dreamtime to 1978 http://www.tiwilandc[...] Tiwi Land Council 2020-01-07
[2] 웹사이트 Across generations https://www.chicagot[...] 2000-09-22
[3] 웹사이트 The natural occurrence of northern quolls Dasyurus hallucatus on islands of the Northern Territory: assessment of refuges from the threat posed by cane toads Bufo marinus. https://web.archive.[...] Australian Government and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199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