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멧박쥐는 1911년 올드필드 토마스에 의해 처음 기재된 박쥐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7.1-9.5cm이며, 털은 황갈색을 띤다. 곤충과 조류를 먹으며, 야행성으로 나무 구멍을 보금자리로 삼는다. 중국, 일본, 한국 등지에 분포하며, 산림 벌채와 야간 조명 증가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IUCN은 멧박쥐를 위협 근접종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서식지 보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일본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 러시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러시아의 포유류 - 노루
노루는 긴 목과 큰 귀를 가진 사슴과 동물로, 붉은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며,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잡초를 먹고 살지만, 서식지 감소와 개체 수 변동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1911년 기재된 포유류 - 퍼시벌가시쥐
퍼시벌가시쥐는 1911년 돌만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아프리카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 저지대의 용암 지대에 서식하는 식충성 동물로, 몸길이 82~111mm에 꼬리 길이는 39~92mm이다. - 1911년 기재된 포유류 - 쓰촨들쥐
쓰촨들쥐는 현재 페이지 개요가 없어 해당 정보에 대한 내용을 요약할 수 없다.
멧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yctalus aviator |
명명자 | Thomas, 1911년 |
이명 | Nyctalus lasiopterus aviator Thomas, 1911 |
멸종위기등급 | NT |
멸종위기등급 기준 | IUCN 3.1 |
분포 | 아시아 (일본, 한국 등)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익수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애기박쥐아과 |
속 | 멧박쥐속 (Nyctalus) |
한국어 이름 | |
한국어 | 멧박쥐 |
기타 이름 | 니혼야마코우모리 (일본산악박쥐), 야마코우모리 (산악박쥐) |
영어 이름 | |
영어 | Birdlike noctule (새와 같은 밤의 방랑자) |
영어 (다른 이름) | Japanese giant noctule (일본 거대 밤의 방랑자) |
2. 분류
멧박쥐는 1911년 영국의 포유류학자인 올드필드 토마스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다. 토마스는 새와 같은 모습을 한 이 박쥐에 ''Nyctalus aviator''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이 종의 모식표본은 1904년 H. 오가와가 도쿄에서 채집한 것이다.[2] 1951년의 한 간행물에서는 멧박쥐를 큰멧박쥐의 아종으로 분류하여 ''Nyctalus lasiopterus aviator''라는 삼명법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1983년 이후부터는 일반적으로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4]
성체 멧박쥐의 몸길이는 7.1cm에서 9.5cm 사이이며,[3] 머리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두동장)는 89mm에서 113mm에 달한다. 몸무게는 26g에서 61g 정도이다.
멧박쥐는 주로 곤충을 먹지만,[1] 새를 잡아먹기도 한다. 큰멧박쥐나 아시아 큰저녁박쥐와 마찬가지로, 밤에 이동하는 작은 새를 탁 트인 공간에서 추적하여 사냥하는 세 종류의 박쥐 중 하나이다.[4] 일본에서 발견된 멧박쥐 배설물의 DNA 분석 결과, 중간섬개개비( Locustella ochotensisla )가 식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5]
서식지는 중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등이다. 러시아에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다.[1] 구체적으로는 일본 열도의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쓰시마, 오키나와를 비롯하여 한반도 전역, 대만, 중국 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구릉지나 산지의 삼림에 서식하며, 깊은 산속에서는 보기 드물다.
서식지인 나무 구멍이 산림 벌채와 같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줄어들면서 개체 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또한, 밤에도 환한 조명이 늘어나는 것도 멧박쥐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일본에서도 멧박쥐 발견 보고가 줄어드는 추세이다. 멧박쥐 개체 수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원시림을 보전하고, 나이가 많은 큰 나무들을 보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019년 기준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위협 근접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식지 파괴와 인간에 의한 쉼터 교란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의심된다.[1]
[1]
간행물
"''Nyctalus aviator''"
2019
3. 형태
앞팔 길이는 58mm이고,[3] 일본에서는 이 길이가 58mm에서 65mm 정도로 측정된다. 꼬리 길이는 51mm에서 67mm 정도이며,[3] 꼬리 끝은 비막 가장자리에서 약간 튀어나와 있다.[3] 날개 자체의 길이는 5.8cm에서 6cm이지만,[3] 날개를 펼쳤을 때의 너비는 40cm를 넘기도 한다. 날개의 형태는 가늘고 길어 장거리 비행에 적합하며, 비막은 암갈색이다.
털은 황갈색[3] 또는 윤기 있는 적갈색을 띠며, 벨벳처럼 부드럽고 빽빽하다.[3] 엄지손가락은 짧고 발톱이 뚜렷하며, 발가락 중에서는 세 번째가 가장 길고 다섯 번째가 가장 짧다.[3] 시각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눈은 작은 편이다.
일본에 서식하는 애기박쥐과 중에서는 가장 큰 종류에 속한다.
4. 생태
야행성 동물로, 저녁부터 밤까지 활동한다. 낮에는 느릅나무, 물참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 같은 큰 나무의 구멍(수목 공동)이나 갈라진 틈새를 보금자리로 삼는다. 특히 신사 등 오래된 큰 나무가 있는 곳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박쥐들처럼 초음파를 내지만, 그 주파수가 다른 박쥐보다 낮아 사람의 가청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낑낑" 또는 "깡깡"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해가 지면 보금자리를 나와 먹이를 찾는다. 주로 날아다니는 나방이나 하루살이 같은 곤충류를 사냥하며, 하루에 자기 체중의 절반 정도 되는 양을 먹는다. 곤충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수목 공동에서 큰 무리를 이루어 동면한다.
박쥐로서는 드물게 한 번에 새끼 두 마리를 낳는 경우가 많다. 가을에 교미하지만, 동면 후 봄에 배란과 수정이 이루어져 초여름에 출산하는 것으로 보인다. 출산과 육아는 암컷들이 모인 집단에서 이루어지며, 수컷은 작은 무리로 흩어져 육아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5. 분포
6. 인간과의 관계
7. 보전 상태
서식지인 나무 구멍이 산림 벌채 등으로 감소하여 개체 수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야간 조명 증가의 영향도 우려되며, 일본에서의 발견 보고도 줄어들고 있다. 멧박쥐의 감소를 막기 위해, 원시림 보전이나 수령이 높은 큰 나무의 보호 등이 요구되고 있다.
참조
[2]
논문
Two new Eastern bats
https://biodiversity[...]
[3]
서적
Mammal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논문
Bird predation by the birdlike noctule in Japan
[5]
논문
Molecular evidence of bird-eating behavior in Nyctalus aviator
2019-06-22
[6]
간행물
Nyctalus aviator
http://www.iucnredli[...]
IUCN
2008
[7]
서적
한국의 포유동물 (Hangugui poyudongmul,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