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교'는 라틴어 'Alma Mater'를 번역한 용어로, '영양을 주는 어머니'라는 뜻이다. 고대 로마에서는 대지의 여신을, 중세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160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 1710년 리처드 워드가 학문적 어머니상을 언급하면서 대학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다. 현대에는 출신 학교, 특히 고등교육기관을 지칭하며, 졸업한 대학, 교가, 학가를 가리키기도 한다. 많은 유럽 대학들이 공식 명칭에 사용하며,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와 같은 곳에서는 기념 조각상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 관련 용어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교 관련 용어 - 학교 폭력
학교 폭력은 학생이 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행위로, 신체적, 심리적, 성적 폭력과 사이버 폭력을 포함하며, 가정, 사회, 학교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다각적인 예방 및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모교 | |
---|---|
모교 | |
정의 | 개인이 다녔거나 졸업한 학교, 대학 또는 대학교 |
어원 | 라틴어 "alma mater"(자양을 주는 어머니)에서 유래 |
로마자 표기 | alma mater (알마 마테르) |
설명 | |
의미 | 학교나 대학을 모성적인 존재로 비유하는 표현 |
사용 | 졸업생이 자신의 출신 학교를 지칭할 때 사용 |
비유 | 학생들에게 지식과 양분을 제공하는 기관 '어머니'처럼 길러주는 존재 |
역사 | |
유래 | 서구 대학의 전통 중세 대학에서 발전 |
초기 | 로마 시대부터 사용된 'alma mater' 표현 대학들이 설립되면서 현재 의미로 굳어짐 |
문화적 의미 | |
상징 | 졸업생에게 학교의 중요성과 영원한 연결고리를 상징 |
행사 | 졸업식 등 학교 관련 행사에서 자주 사용 졸업생들의 자부심과 소속감을 높이는 역할 |
기타 | |
변형 | 'mater alma' 와 같은 반대 표현도 존재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표현 존재 |
참고 | '모교'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다른 단어들 존재 |
2. 어원
'알마 마테르(Alma Mater)'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알마(alma)'는 '영양을 주는'이라는 뜻으로, 세레스, 키벨레, 비너스와 같은 어머니 여신들에게 붙여진 칭호였다.[6] '마테르(mater)'는 '어머니'를 뜻한다. 옥스퍼드 라틴 사전에 따르면, '알마 마테르'라는 완전한 구절은 루크레티우스의 '''자연의 본질에 대하여'''에서 이름 없는 대지 여신을 칭하는 말로 처음 사용되었다.[7]
대학을 가리키는 용어로 처음 사용된 것은 160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인쇄업자 존 레게이트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의 상징을 만들면서부터이다.[8][9] 이 상징은 윌리엄 퍼킨스의 책 '''황금 사슬''' 표제지에 처음 등장했는데, 성벽관을 쓴 여인이 "Alma Mater Cantabrigia"(영양을 주는 어머니 케임브리지)라는 라틴어 구절이 새겨진 받침대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0][11] 영어 어원학 참고 문헌에서는 1710년 리처드 워드가 헨리 무어를 추모하며 학문적 어머니상을 언급한 것을 최초의 용례로 종종 인용한다.[12][13]
2. 1. 고대 로마
‘알마(alma, 영양을 주는)’는 세레스, 키벨레, 비너스 등 어머니 여신들에게 흔히 쓰이던 칭호였지만, 고전 라틴어에서 ‘마테르(mater)’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6] '''옥스퍼드 라틴 사전'''에 따르면, 이 완전한 구절의 기원은 루크레티우스가 이름 없는 대지 여신을 칭하는 말로 사용한 '''자연의 본질에 대하여'''에서 찾을 수 있다.
omnibus ille idem pater est, unde alma liquentis
umoris guttas mater cum terra recepit (2.991–993)[7]
우리 모두는 같은 아버지를 가지고 있고, 그로부터 대지,
영양을 주는 어머니가 액체의 물방울을 받는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대지의 여신, 특히 세레스 또는 키벨레를 가리키는 말이었다.[18]
2. 2. 중세 기독교
서기 5세기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알마'라는 용어는 기독교 예배 의식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알마 레뎀프토리스 마테르"는 마리아에게 바쳐진 잘 알려진 11세기 반송가이다.[6] 중세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가리켰으며, 유명한 성가 중 하나에 "알마 레뎀프토리스 마테르"(Alma redemptoris mater, 구세주를 낳은 어머니)가 있다.2. 3. 대학 관련 용례
‘알마(alma, 영양을 주는)’는 세레스, 키벨레, 비너스 등 어머니 여신들에게 흔히 쓰이던 칭호였다. 옥스퍼드 라틴 사전에 따르면, 이 구절의 기원은 루크레티우스가 이름 없는 대지 여신을 칭하는 말로 사용한 '''자연의 본질에 대하여'''에서 찾을 수 있다.[6]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이 용어는 기독교 예배 의식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알마 레뎀프토리스 마테르"는 마리아에게 바쳐진 잘 알려진 11세기 반송가이다.[6]
대학을 가리키는 이 용어의 초기 사용은 160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인쇄업자인 존 레게이트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를 위한 상징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이다.[8][9] 이 상징은 윌리엄 퍼킨스(신학자)의 책 '''황금 사슬''' 표제지에 처음 등장하며, 여기에는 라틴어 구절 "Alma Mater Cantabrigia"(영양을 주는 어머니 케임브리지)가 성벽관을 쓰고 있는 여인의 모습이 새겨진 받침대에 새겨져 있다.[10][11]
영어 어원학 참고 문헌에서는 1710년 리처드 워드가 헨리 무어를 추모하며 학문적 어머니상을 언급한 것을 최초의 용례로 인용한다.[12][13]
현대에는 "키워준 어머니"에 비유하여, 자기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출신 학교, 특히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18] 학사 학위를 취득한 대학을 가리켜 사용된다.[19] 또한 그러한 모교의 교가를 가리켜서도 사용된다.[19]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우 기념 도서관 앞에는 대니얼 체스터 프렌치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알마 마테르 상이 있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에도 상이 있다.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교는 2000년에 대학의 표어를 "Alma Mater Studiorum(지식을 길러주는 어머니)"로 제정했다.[20]
3. 역사
현대에는 "키워준 어머니"에 비유하여, 자기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출신 학교, 특히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18] 학사 학위를 취득, 즉 졸업한 대학을 가리켜 사용된다.[19] 또한 그러한 모교의 교가·학가를 가리켜서도 사용된다.[19]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우 기념 도서관(Low Memorial Library) 앞에는 대니얼 체스터 프렌치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알마 마테르 상이 있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에도 해당 상이 있다.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교는 2000년에 대학의 모토를 "Alma Mater Studiorum(지식을 길러주는 어머니)"로 제정했다.[20]
4. 특별한 사용
많은 유럽의 역사적인 대학교들이 공식 명칭의 라틴어 번역에 '알마 마테르(Alma Mater)'를 사용하고 있다. 볼로냐 대학교의 라틴어 명칭인 알마 마테르 스투디오룸(Alma Mater Studiorum, 연구의 어머니)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 운영되고 있는 대학교라는 지위를 나타낸다.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교(Alma Mater Lipsiensis)나 폴란드의 야기엘로 대학교(Alma Mater Jagiellonica)와 같은 다른 유럽 대학교들에서는 이 명칭이 도시 또는 왕조의 창립과의 역사적 유대를 강조한다.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있는 알마 마테르 유럽 대학교(Alma Mater Europaea)는 2010년 유럽 과학 예술 아카데미가 설립한 국제 대학교로, 이 용어를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에 있는 윌리엄 앤드 메리 대학교가 국가 건국과의 유대 관계 때문에 "국가의 알마 마테르(Alma Mater of the Nation)"라고 불린다.[14]
캐나다 온타리오주 킹스턴의 퀸스 대학교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의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서는 주요 학생 자치회를 알마 마테르 학회(Alma Mater Society)라고 한다.
5. 기념물
현대에는 "키워준 어머니"라는 비유를 통해, 자기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출신 학교, 특히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킨다.[18] 학사 학위를 취득, 즉 졸업한 대학을 의미하기도 하며,[19] 그러한 모교의 교가·학가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19]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교는 2000년에 대학의 모토를 "Alma Mater Studiorum(지식을 길러주는 어머니)"로 정했다.[20]
5. 1. 대표적인 알마 마테르 상
현대 조각 작품인 '알마 마테르'(알마 마테르)는 북미 여러 대학교 캠퍼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01년, 다니엘 체스터 프렌치(Daniel Chester French)가 제작한 청동 조각상 '알마 마테르'가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우 도서관(Low Library) 계단에 설치되었다. 마리오 코르벨(Mario Korbel)이 1919년 제작한 비슷한 조각상은 하바나 대학교 정문 계단에 위치해 있다.[15] 이후 미국의 '알마 마테르'를 기리는 작품으로는 로라도 태프트(Lorado Taft)의 1929년 작품(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과 사이러스 에드윈 달린(Cyrus Edwin Dallin)의 1925년 작품(메리 인스티튜트 앤 세인트 루이스 컨트리 데이 스쿨, 1925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지지자들에 의해 의뢰됨)이 있다.예일 대학교 스털링 기념 도서관의 제단화 벽화는 유진 세이비지(Eugene Savage)가 1932년에 그린 것으로, '알마 마테르'를 빛과 진리를 지닌 존재로 묘사하고 있으며, 예술과 과학을 대표하는 인물들 사이에 서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alma
https://web.archive.[...]
2018-10-11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Alma mater'
https://www.merriam-[...]
2022-04-03
[3]
서적
Word Origins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5-05-18
[4]
서적
Oxford Dictionary of Word Origi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5-18
[5]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6]
서적
Beyond Ethnicity: Consent and Descent in American Cul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5-18
[7]
위키소스
De rerum natura
[8]
서적
Cambridge stationers, printers, bookbinders, &c.
https://archive.org/[...]
Bowes & Bowes
2015-05-18
[9]
서적
A History of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21–1921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5-18
[10]
서적
Bedders, Bulldogs and Bedells: A Cambridge Glossary
[11]
서적
A Golden Chaine: Or, the Description of Theologie, containing the order and causes of salvation and damnation, according to God's wor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mbridge
2015-05-18
[12]
웹사이트
Alma mater
http://www.etymonlin[...]
2015-05-18
[13]
서적
The Life of the Learned and Pious Dr. Henry More, Late Fellow of Christ's College in Cambridge
https://archive.org/[...]
Joseph Downing
2015-05-18
[14]
웹사이트
William & Mary – History & Traditions
http://www.wm.edu/ab[...]
[15]
웹사이트
Dos rostros, dos estatuas habaneras
http://www.opushaban[...]
2015-01-21
[16]
웹사이트
Definition of ALMA MATER
https://www.merriam-[...]
2022-07-06
[17]
웹사이트
Duden Alma Mater Rechtschreibung, Bedeutung, Definition, Herkunft
https://www.duden.de[...]
2022-07-06
[18]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英語辞典
[19]
웹사이트
alma mater
http://www.m-w.com/c[...]
[20]
웹사이트
http://www.eng.unibo[...]
[21]
웹사이트
alma
https://en.oxforddic[...]
2018-10-11
[22]
웹인용
alma mater
https://www.merriam-[...]
2019-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