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라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역명은 역이 위치한 모라동의 지명에서 유래했으며, 모라동은 삼한시대부터 마을을 이루고 살던 곳으로 '마을'의 고대어인 '모라'에서 유래되었다. 1999년 6월 3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모라초등학교, 북구청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사상구의 전철역 - 사상역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인 사상역은 1999년 2호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 2011년 경전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6년에는 5호선이 개통될 예정이다. - 부산 사상구의 전철역 - 덕포역
덕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99년 6월 30일 개통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덕포시장, 신라대학교 등이 주변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서면역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1호선 개통 후 1999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현재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 중 하나이고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등과 연결되어 부산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모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모라 |
한자 표기 | 毛 |
로마자 표기 | Mora yeok |
주소 | 모라동, 사상구, 부산 |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구조 | 지하 |
승강장 | 2개 |
선로 | 2개 |
개업일 | 1999년 6월 30일 |
역 번호 | 230 |
운영사 | 부산교통공사 |
![]() | |
노선 정보 | |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영업 거리 | 장산역 기점 26.8 km |
이전 역 | 229 모덕 |
이전 역 간 거리 | 1.0 km |
다음 역 | 231 구남 |
다음 역 간 거리 | 1.1 km |
2. 역명의 유래
역 건물이 위치한 모라동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모라 지역은 삼한시대부터 마을을 이루고 살던 곳인데, 주로 '''마을'''의 고대어인 '''모라'''라는 말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모라는 마을이라는 의미와 함께 마을의 중대사를 논하는 집회소라는 의미를 함께 가진다. 또한 모라 지역은 산 아래 낙동강 퇴적물이 쌓이는 곳이므로, 모래개, 몰개라는 말에서 유래하여 넓은 땅이라는 의미의 라(羅)와 함께 모라가 되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중국 양나라 역사서인 양서에 신라의 수도를 '''건모라(健牟羅)'''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큰마을'''의 이두 표기로 모라는 마을의 고대어임을 보여준다.
3. 역사
4. 역 구조
모라역은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장 구조상 반대 방향으로의 횡단은 불가능하다.
4. 1. 승강장
↑ 모덕
↓ 구남
5. 역 주변
모라역 교차로에 역이 있으며, 출구는 4개로 모두 시내 방향에만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강서대교와 중앙고속도로의 기점이 있고, 경부선 철로가 통과한다. 구남역에서 주택가를 통과하여 오른쪽으로 꺾은 곳에 역이 있다. 역 인근에 백양터널과 백양산 등산로 입구가 있다.
6.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