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르가르텐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르가르텐 전투는 1315년 11월 15일에 일어난 스위스 연방과 합스부르크 가문 간의 전투이다. 스위스 연방은 고트하르트 고개 주변 지역을 장악하려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항하여 승리했다. 이 전투는 스위스 연방의 자치권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할버드와 같은 새로운 전술의 등장을 보여주었다. 전투 이후 스위스 연방은 확장되었으며, 모르가르텐 전투는 스위스 애국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르가르텐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1470년의 [[차플란 연대기]] 삽화
1470년의 차플란 연대기 삽화
관련 분쟁원초 동맹의 발전
날짜1315년 11월 15일
장소자텔 근처
결과스위스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숲 속 주:
우리 주
슈비츠 주
운터발덴 주
교전국 2오스트리아 공국
지휘관 및 병력
지휘관 1베르너 슈타우파허
지휘관 2레오폴트 1세
병력 1~1,000 (슈비츠)
병력 2~2,000–3,000
사상자
사상자 1최소
사상자 2수백 명

2. 배경

13세기 말, 합스부르크 왕가는 이탈리아로 가는 가장 짧은 길인 고트하르트 고개 주변 지역을 다스리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 주, 슈비츠 주, 옵발덴 주는 1291년에 영구 동맹을 맺고, 이전 합스부르크 황제로부터 제국 직속령을 인가받아 신성 로마 제국 내부에서 지방 자치권을 누리고 있었다.[14] 1314년, 루트비히 4세와 프리드리히 3세가 서로 황제 즉위를 주장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과 영구 동맹 사이의 긴장이 높아졌다. 스위스 연방(Eidgenossenschaft)은 합스부르크가가 자국 영토를 병합할 것을 두려워하여 루트비히 4세를 지지했다. 이후 슈비츠 연방이 합스부르크가 방어하는 아인지델른 수도원을 습격하면서 전면전이 시작되었다.[14]

2. 1. 합스부르크 가문의 팽창 정책

1273년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등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싸움을 준비했다. 합스부르크 왕가는 이탈리아로 가는 가장 짧은 길을 제공하는 고트하르트 고개 주변 지역을 탐냈다.[2]

1314년, 바이에른의 루이 4세(훗날 신성 로마 황제 루이 4세)와 미남 프리드리히 합스부르크 왕자가 각각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왕위를 주장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과 스위스 연방군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스위스 연방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자신들의 영토를 합병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루이 4세를 지지했다.

슈비츠 연방군이 합스부르크가 보호하는 아이젠델른 수도원을 습격한 후 전쟁이 발발했다.[2] 아이젠델른과의 갈등은 정착민들이 아이젠델른이 주장하는 영토의 사용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착민들은 원시림을 개간하고 농장이나 목초지를 건설했다. 아이젠델른의 수도원장은 콘스탄츠 주교에게 불만을 제기했고, 주교는 슈비츠를 파문하기 위해 움직였다. 보복으로, 베르너 슈타우파허의 지휘하에 슈비츠의 사람들이 1314년 1월 6일 밤에 아이젠델른 수도원을 습격했다. 그들은 수도원을 약탈하고 교회를 모독했으며, 여러 명의 수도승을 인질로 잡았다. 수도원장은 Pfäffikon으로 탈출하여 주교에게 알렸다. 주교는 우리와 운터발덴을 파문에 포함시킴으로써 대응했다.[2]

2. 2. 스위스 삼림 주의 저항

1273년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싸움을 준비했다.[2] 합스부르크 왕가는 이탈리아로 가는 가장 짧은 길인 고트하르트 고개 주변 지역을 원했고, 1291년 스위스 연방을 공식화한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은 이전 합스부르크 황제로부터 제국 직속령을 부여받아 지역적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다.[2]

1314년, 바이에른의 루이 4세 (훗날 신성 로마 황제 루이 4세)와 프리드리히 1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두고 다투면서 합스부르크 가문과 연방군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스위스 연방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영토를 합병할 것을 우려하여 루이 4세를 지지했다. 슈비츠 연방군이 합스부르크가 보호하는 아이젠델른 수도원을 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14]

아이젠델른과의 갈등은 정착민들이 아이젠델른 수도원이 주장하는 미사용 토지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착민들은 숲을 개간하고 농장과 목초지를 건설했다. 아이젠델른 수도원장은 콘스탄츠 주교에게 불만을 제기했고, 주교는 슈비츠를 파문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베르너 슈타우파허의 지휘 아래 슈비츠 주민들이 1314년 1월 6일 밤 아이젠델른 수도원을 습격했다. 이들은 수도원을 약탈하고 교회를 모독했으며, 여러 수도승을 인질로 잡았다. 수도원장은 페피콘으로 탈출하여 주교에게 알렸고, 주교는 우리와 운터발덴을 파문에 포함시켜 대응했다.[2]

2. 3. 갈등의 심화

1273년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싸움을 준비했다. 이에 레오폴트 1세가 군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침공했다. 스트라스부르크의 오토 경이 좌측을 공격하고, 루체른 성주가 호수를 넘어 스위스를 공격했으며, 레오폴트 1세의 대군이 주력 부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공격했다.

13세기 말 합스부르크 왕가는 이탈리아로 가는 가장 짧은 길인 고트하르트 고개 주변 지역을 탐냈다. 그러나 1291년 우리 주, 슈비츠 주, 운터발덴 주는 스위스 연방을 공식화하고, 이전 합스부르크 황제로부터 제국 직속령을 부여받아 제국 내에서 지역적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다.[2]

2. 3. 1. 아인지델른 수도원 습격 사건

1314년, 바이에른의 루이 4세와 미남 프리드리히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왕위를 주장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과 스위스 연방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스위스 연방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자신들의 영토를 합병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루이 4세를 지지했다. 13세기 말, 합스부르크 가문은 이탈리아로 가는 가장 짧은 길인 고트하르트 고개 주변 지역을 탐냈다. 그러나 1291년 우리 주, 슈비츠 주, 운터발덴 주는 스위스 연방을 공식화하고, 이전 합스부르크 황제로부터 제국 직속령을 부여받아 제국 내에서 지역적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다.[2]

이러한 상황에서 슈비츠 연방군이 합스부르크가 보호하는 아인지델른 수도원을 습격하면서 전쟁이 발발했다.[2] 아인지델른 수도원과의 갈등은 정착민들이 수도원이 주장하는 미사용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착민들은 원시림을 개간하고 농장이나 목초지를 건설했고, 이에 수도원장은 콘스탄츠 주교에게 불만을 제기했다. 주교는 슈비츠를 파문하려 했다.[2]

이에 대한 보복으로 1314년 1월 6일 밤, 베르너 슈타우파허의 지휘 아래 슈비츠 사람들이 아인지델른 수도원을 습격했다. 그들은 수도원을 약탈하고 교회를 모독했으며, 여러 명의 수도승을 인질로 잡았다. 수도원장은 페피콘으로 탈출하여 주교에게 알렸고, 주교는 우리와 운터발덴을 파문에 포함시킴으로써 대응했다.[2]

3. 전투

1273년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에 맞서 싸울 준비를 했다. 이에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왕 레오폴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침공했다. 스트라스부르크의 오토 경이 좌측을 공격하고, 루체른 성주가 호수를 넘어 스위스를 공격했으며, 레오폴트 1세의 대군이 주력 부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공격했다.

공격 시작 후 며칠 동안 적이 나타나지 않자 레오폴트 1세는 방심했고, 애게리 호수 서북쪽의 모르가르텐 계곡에 이르렀다. 오스트리아군이 한쪽은 절벽, 한쪽은 호수인 모르가르텐 계곡을 건널 때, 갑자기 스위스 동맹군이 나타나 기습 공격했다. 그들은 절벽에서 돌을 굴려 레오폴트 1세의 군대를 무너뜨렸고, 수많은 군사가 돌에 깔리거나 호수에 빠져 죽었다.[6] 이 전투로 레오폴트 1세는 후퇴했고, 스위스는 독립을 지켰다. 이후 1315년 12월 9일 양측은 브루넨 협정을 맺었고, 이때 슈비츠가 유럽에 알려졌다.

콘라드 유스팅거의 연대기(c. 1430년)에 따르면, 슈비츠 사람들은 이웃인 휘넨베르크 영주로부터 "모르가르텐 근처에서 조심하라"는 메시지가 적힌 화살을 받아 경고를 받았다고 한다. 이 경고를 받은 슈비츠군은 우리와 운터발덴에서 온 600명의 지원군과 함께 애게리 호수와 사텔 사이의 가파른 경사면과 늪이 있는 작은 길에 매복했다. 이들은 진군하는 오스트리아군에게 돌을 던져 말을 놀라게 하고 할버드로 기사들과 교전했다.

이 공격으로 약 1,5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요하네스 폰 빈터투어 (1340년경 작성)에 따르면 이 숫자는 호수에 익사한 사람들을 포함하지 않는다.[6] 카를 폰 엘거에 따르면, 기사 간의 전투 관습에 익숙하지 않은 동맹군은 퇴각하는 병력과 도망칠 수 없는 모든 사람들을 잔인하게 도살했다. 그는 일부 보병들이 스위스군의 잔혹함을 마주하는 것보다 호수에 몸을 던지는 것을 선호했다고 기록했다.[6]

14세기의 연대기에서 전투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이를 슈비츠 또는 슈비츠와 우리의 땅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식별한다. 모르가르텐(''Morgarten'')이라는 이름은 화살에 부착된 서면 경고와 관련하여 콘라드 유스팅거에 의해 기록되었다.

3. 1. 레오폴트 1세의 침공

1273년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기 위해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전투를 준비했다. 이에 오스트리아 왕 레오폴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침공했다.

요하네스 폰 빈터투어의 전투 연대기에 따르면, 레오폴트 1세는 에게리에 도착하여 귀족들과 슈비츠 침공 방법에 대해 논의했고, 북쪽에서 사텔로 진군하는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광대였던 쿠오니 폰 슈토켄에게 의견을 물었는데, 광대는 "여러분은 모두 그 땅에 도달하는 방법에 대해 숙고했지만, 여러분 중 누구도 다시 나가는 방법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습니다."라고 재치 있게 답하며 우려를 표했다.

레오폴트는 북쪽 공격 의도를 숨기기 위해 여러 개의 소규모 부대를 보내 기만책을 만들었다. 아르트로 보내진 부대는 북서쪽에서, 엔틀부흐에서 온 부대는 북쪽에서 운터발덴을, 루체른 호수를 가로질러 서쪽에서 슈비츠를 공격하는 부대는 루체른에서, 그리고 오토 폰 슈트라스베르크 백작의 지휘 하에 브뤼니히 고개를 넘어 옵발덴으로 보내졌다. 폰 슈트라스베르크는 모르가르텐에서 합스부르크 군의 패배 소식을 듣고 퇴각을 결정했으며, 퇴각 중 부상을 입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콘라드 유스팅거의 연대기(c. 1430년)에 따르면, 슈비츠 사람들은 이웃인 휘넨베르크 영주들로부터 "모르가르텐 근처에서 조심하라"(''hütend üch am morgarten'')라는 메시지가 적힌 양피지 깃털 화살을 통해 경고를 받았다. 이 경고는 레오폴트가 슈비츠로 진입하기 위해 선택한 경로를 나타냈다.

경고를 받은 슈비츠의 남자들은 우리와 운터발덴에서 온 600명의 지원을 받아 사텔로 급히 가서 적을 요격했다. 그들은 에게리 호수와 사텔 사이의 가파른 경사면과 늪 사이로 이어진 작은 길에서 매복을 준비했다.

오스트리아군은 한쪽은 절벽, 한쪽은 호수인 모르가르텐 계곡을 건널 때, 스위스 동맹군이 기습 공격하여 절벽에서 돌을 굴렸다. 이 공격으로 레오폴트의 군대는 무너지고 많은 군사가 돌에 깔리거나 호수에 빠져 죽었다.[6] 카를 폰 엘거에 따르면, 기사 간의 전투 관습에 익숙하지 않은 동맹군은 퇴각하는 병력과 도망칠 수 없는 사람들을 잔인하게 도살했으며, 일부 보병들은 스위스군의 잔혹함을 마주하는 것보다 호수에 몸을 던지는 것을 선호했다고 한다.[6]

이 전투로 레오폴트 1세는 후퇴했고 스위스는 독립을 지켰다. 이후 1315년 12월 9일 양측은 브루넨 협정을 맺었고, 이때 슈비츠가 유럽에 알려졌다.

3. 1. 1. 오스트리아 군의 규모 논란

요하네스 폰 빈터투어는 합스부르크 군이 20,000명이었다고 기록했지만, 이 숫자는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 루돌프 한하르트는 19세기에 쓴 기록에서 합스부르크 군대가 9,000명이었다고 주장했다.[4] 한스 델브뤼크는 1907년에 합스부르크 군대가 2,000~3,000명에 불과했지만, 이들은 주로 잘 훈련되고 장비를 잘 갖춘 기사였다고 추정했으며,[5] 켈리 드브리스도 델브뤼크의 견해에 동의한다.

반면 동맹군의 규모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1,500명에서 3,000~4,000명 사이로 추정된다.[5] 수와 관계없이, 두 군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잘 훈련되고 장비가 잘 갖춰진 중세 군대와 농부, 목동으로 구성된 즉석 민병대의 대결이었다는 점이다.

3. 2. 스위스 연방군의 방어 전략

1273년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 맞설 준비를 했다. 레오폴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침공했는데, 스트라스부르크의 오토 경이 좌측을, 루체른 성주가 호수를 넘어 공격하고, 레오폴트 1세의 주력 부대가 스위스를 공격했다.[3][4][5]

슈비츠 동맹군은 우리와 운터발덴의 지원을 받았다. 병력은 1,500~4,000명 정도로 추정되는데,[5] 수적으로는 열세였지만, 농부와 목동으로 구성된 민병대는 잘 훈련된 중세 군대인 오스트리아군에 맞서 지형적 이점을 활용했다.

콘라드 유스팅거의 연대기에 따르면, 슈비츠 사람들은 이웃 휘넨베르크 영주로부터 "모르가르텐 근처에서 조심하라"는 메시지가 적힌 화살을 받았다고 한다. 이는 레오폴트 1세가 선택한 경로를 암시했다.

슈비츠군은 우리와 운터발덴에서 온 600명의 지원군과 함께 애게리 호수와 사텔 사이, 가파른 경사면과 늪 사이의 작은 길에 매복했다. 이들은 진군하는 오스트리아군에게 돌을 던져 말을 놀라게 하고 할버드로 기사들과 교전했다.[6]

3. 2. 1. 모르가르텐의 지형적 이점

1273년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등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 맞서 싸울 준비를 했다. 레오폴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침공했으나, 오스트리아군이 방심한 틈을 타 스위스 동맹군은 모르가르텐 계곡에서 기습 공격을 했다.

모르가르텐 계곡은 한쪽은 절벽, 한쪽은 애게리 호수인 지형으로, 스위스 동맹군은 절벽에서 돌을 굴리는 전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이 공격으로 레오폴트 1세의 군대는 크게 무너졌고, 많은 군사가 돌에 깔리거나 호수에 빠져 죽었다.[6]

콘라드 유스팅거의 연대기에 따르면, 슈비츠 사람들은 이웃 휘넨베르크 영주로부터 "모르가르텐 근처에서 조심하라"(''hütend üch am morgarten'')는 메시지가 적힌 화살을 받아 경고를 받았다고 한다. 이 경고는 레오폴트 1세가 슈비츠로 진입하기 위해 선택한 경로를 암시했다.

이러한 지형적 이점과 기습 공격은 스위스 동맹군이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승리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3. 3. 전투의 경과

1273년 스위스의 우리, 옵발덴, 슈비츠, 니드발덴 등 4개 주는 스위스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싸움을 준비했다. 이에 합스부르크의 오스트리아 왕 레오폴트 1세가 군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침공했다. 스트라스부르크의 오토 경이 좌측을 공격하고 뒤이어 루체른 성주가 호수를 넘어 스위스를 공격했으며, 레오폴드 1세의 대군이 주력 부대를 이끌고 스위스를 공격했다.[3]

공격을 시작한 지 며칠 동안 적이 나타나지 않아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1세는 방심했고 애게리 호수 서북쪽의 모르가르텐 계곡에 이르렀다. 오스트리아군이 한쪽은 절벽, 한쪽은 호수인 모르가르텐 계곡을 건널 때 갑자기 스위스 동맹군이 나타나 오스트리아군을 기습 공격해 절벽에서 돌을 굴려 레오폴트의 군대는 무너지고 수많은 군사가 돌에 깔리거나 호수에 빠져 죽었다.[6] 이 전투로 레오폴트 1세는 후퇴했고 스위스는 독립을 지켰다. 그 뒤 1315년 12월 9일에 두 나라는 브루넨 협정을 맺었고 이때 슈비츠 주가 유럽에 알려졌다.

요하네스 폰 빈터투어의 전투 연대기에 따르면 합스부르크군은 20,000명이었지만, 이 숫자는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 19세기의 루돌프 한하르트의 기록에 따르면 합스부르크 군대에는 9,000명이 있었다고 한다.[4] 역사학자 한스 델브뤼크는 1907년에 합스부르크 군대가 2,000~3,000명에 불과했지만 이들은 주로 잘 훈련되고 장비를 잘 갖춘 기사였다고 추정했다.[5]

슈비츠 동맹군은 우리와 운터발덴의 동맹군의 지원을 받았다. 동맹군의 규모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추정치는 1,500명에서 약 3,000~4,000명에 이른다.[5] 수적 고려 사항과 관계없이, 두 군대의 주요 차이점은 잘 갖춰지고 훈련된 중세 군대가 농부와 목동으로 구성된 즉석 민병대를 만났다는 것이다.

15세기 스위스 연대기에 따르면 레오폴트는 에게리에 도착하여 여러 가지 가능한 경로를 고려하여 슈비츠를 침공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해 귀족들과 논의했다.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기로 결정한 후, 북쪽에서 사텔로 진군하기로 결정한 후, 레오폴트는 그의 광대였던 쿠오니 폰 슈토켄에게 의견을 물었다고 한다. 광대는 우려를 표명하며 "여러분은 모두 그 땅에 도달하는 방법에 대해 숙고했지만, 여러분 중 누구도 다시 나가는 방법에 대해 숙고하지 않았습니다."라고 재치 있게 말했다.

북쪽에서 공격하려는 의도를 숨기기 위해 레오폴트는 기만책을 만들기 위해 여러 개의 소규모 부대를 보냈다. 그러한 공격 중 하나는 북서쪽에서 공격하는 아르트로 보내졌고, 하나는 북쪽에서 운터발덴을 공격하는 엔틀부흐에서, 하나는 루체른 호수를 가로질러 서쪽에서 슈비츠를 공격하는 루체른에서, 그리고 오토 폰 슈트라스베르크 백작의 지휘하에 있는 부대는 브뤼니히 고개를 넘어 옵발덴으로 보내졌다. 모르가르텐에서 합스부르크의 패배 소식이 폰 슈트라스베르크에게 전달되었을 때, 그는 돌아서기로 결정했다. 그는 퇴각 중에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부상으로 사망했다.

c. 1430년에 쓰여진 콘라드 유스팅거의 연대기에 따르면, 슈비츠 사람들은 이웃인 휘넨베르크 영주들의 경고를 받았다. 이 경고는 양피지로 깃털을 장식한 화살을 통해 전달되었다고 하며, 깃털에는 "모르가르텐 근처에서 조심하라"(''hütend üch am morgarten'')라는 메시지가 적혀 있어 레오폴트가 슈비츠로 진입하기 위해 선택한 경로를 나타냈다.

이 경고를 받은 후 슈비츠의 남자들은 우리와 운터발덴에서 온 600명의 지원을 받아 적을 요격하기 위해 사텔로 급히 갔다. 에게리 호수와 사텔 사이, 가파른 경사면과 늪 사이로 이어진 작은 길에서 그들은 매복을 준비했다. 진군하는 군대는 전위대가 샤프슈테텐 근처에서 바리케이드를 만났을 때, 길을 따라 약 2km 길이의 열을 이루었을 것이다. 동맹군은 열을 공격하여 위에서 돌을 던져 말을 놀라게 하고 할버드로 기마 기사들과 교전했다.

이 공격으로 약 1,5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요하네스 폰 빈터투어 (1340년경 작성)에 따르면 이 숫자는 호수에 익사한 사람들을 포함하지 않는다.[6] 카를 폰 엘거에 따르면, 기사 간의 전투 관습에 익숙하지 않은 동맹군은 퇴각하는 병력과 도망칠 수 없는 모든 사람들을 잔인하게 도살했다. 그는 일부 보병들이 스위스의 잔혹함을 마주하는 것보다 호수에 몸을 던지는 것을 선호했다고 기록했다.[6]

4. 전술 혁명

모르가르텐 전투는 보병이 기병을 상대로 어떻게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스위스군은 할버드와 파이크를 활용하여 기사들을 무력화시켰으며, 이는 이후 보병 전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4. 1. 할버드의 효과적인 사용

모르가르텐 전투는 할버드가 기사들을 상대로 효과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이 무기는 이후 구 스위스 연방의 상징이 되었다.

마티아스 폰 노이엔부르크는 1350년경 라틴어로 연방군이 사용한 창의 일종을 "jesa"라는 용어로 묘사했는데, 이는 초기 형태의 할버드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콘라트 유스팅거는 1430년경 독일어로 할버드의 사용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스위스인들은 손에 'helnbarten'으로 알려진 매우 끔찍한 살상 무기를 들고 있었는데, 이를 사용하여 가장 잘 무장한 적들조차 면도날로 자르듯이 조각내었다. 이는 '전투'가 아니라, 언급한 이유로, 마치 도살장에 끌려가는 무리처럼 산악 거주민들에 의해 레오폴트 공의 병사들이 학살당한 것이었다."[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군사 기술 - 보병 혁명 1200–1500년" 기사에서 존 길마틴(John Guilmartin)은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스위스인들은 [이 전투에서] 중요하고 지속적인 발견을 했다. 그들은 약 2.13m 할버드를 가진 비무장한 사람이 무장한 기사를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놀라운 적응력을 보여주며, 그들은 일부 할버드를 약 5.49m 창끝에 작은 관통형 머리가 달린 창인 파이크로 대체했다. 더 이상 기사의 창에 닿지 않고, 어떤 기사단보다 훨씬 더 강력한 응집력을 보여주면서, 스위스인들은 거의 동등한 수만 주어지면 기마 혹은 하마한 기사를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을 곧 보여주었다. 파이크 스퀘어 전술 대형의 창조와 함께, 스위스인들은 현대 보병 연대의 모델을 제공했다.[9]

4. 2. 보병 전술의 중요성 부각

모르가르텐 전투는 기사를 상대로 할버드를 사용한 최초의 기록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전투이며, 할버드는 구 스위스 연방의 상징이 되었다.

마티아스 폰 노이엔부르크는 1350년경 라틴어로 연방군이 사용한 창의 일종을 묘사하기 위해 "jesa"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초기 형태의 할버드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콘라트 유스팅거는 1430년경 독일어로 할버드의 사용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스위스인들은 손에 'helnbarten'으로 알려진 매우 끔찍한 살상 무기를 들고 있었는데, 이를 사용하여 가장 잘 무장한 적들조차 면도날로 자르듯이 조각내었다. 이는 '전투'가 아니라, 언급한 이유로, 마치 도살장에 끌려가는 무리처럼 산악 거주민들에 의해 레오폴트 공의 병사들이 학살당한 것이었다."[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군사 기술 - 보병 혁명 1200–1500년" 기사에서 존 길마틴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9] "중요하고 영속적인 발견은 스위스에서의 전투에서 이루어졌다. 갑옷을 착용하지 않은 병사가 가진 약 2.13m의 할버드가 갑옷을 착용한 중기병을 격파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날카로운 약 5.49m의 파이크가 할버드를 대체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기사의 창은 더 이상 닿지 않았고, 어떤 기사 부대보다 강력한 결속력을 발휘하여 스위스군은 갑옷의 유무에 관계없이 숫적으로 압도하여 갑옷을 착용한 중기병을 쉽게 격파할 수 있게 되었다. 파이크를 이용한 집단 전술 대형의 발명으로 스위스는 근대 보병 부대의 모델이 되었다."[20]

5. 결과

모르가르텐 전투는 오스트리아군에 대한 스위스 동맹군의 승리로 끝났다. 이 전투로 레오폴트 1세는 후퇴했고, 스위스는 독립을 지켜냈다.[2]

요하네스 슈툼프의 1547년 ''스위스 연대기'' 삽화

5. 1. 브루넨 조약 체결

1315년 12월 9일, 모르가르텐 전투에서 승리한 스위스는 오스트리아와 브루넨 협정을 맺었고, 이때 슈비츠 주가 유럽에 알려졌다.[2] 전투 후 한 달도 채 안된 시점에 동맹국들은 1291년에 맺었던 동맹 맹세를 갱신하여 연방 내에서의 성장을 시작했다.[2] 1316년 3월, 황제 루이 4세는 삼림 칸톤의 권리와 특권을 확인했다. 그러나 레오폴트는 연방에 대한 또 다른 공격을 준비했다. 이에 대응하여 슈비츠는 합스부르크 영토 일부를 공격했고, 운터발덴은 베른 고지로 진격했다. 어느 쪽도 상대방을 이길 수 없었고, 1318년 고립된 삼림 칸톤은 합스부르크와 10개월 휴전을 협상했으며, 이 휴전은 여러 번 연장되었다. 1323년까지 삼림 칸톤은 베른과 동맹을 맺었고, 슈비츠는 합스부르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글라루스와 동맹을 맺었다.[2] 40년 이내에 루체른, 추크, 취리히를 포함한 도시들도 연방에 가입했다. 동맹국의 승리는 그들에게 사실상의 자율권을 부여했으며, 잠시 동안 1386년 젬파흐 전투까지 지속된 합스부르크와의 평화를 가져왔다.[10]

5. 2. 스위스 연방의 확장

1315년 12월 9일 브루넨 협정을 맺고, 동맹국들은 1291년에 맺었던 동맹 맹세를 갱신하여 연방 내에서의 성장을 시작했다.[2] 1316년 3월, 황제 루이 4세는 삼림 칸톤의 권리와 특권을 확인했다. 그러나 레오폴트 1세는 연방에 대한 또 다른 공격을 준비했다. 이에 대응하여 슈비츠는 합스부르크 영토 일부를 공격했고, 운터발덴은 베른 고지로 진격했다. 어느 쪽도 상대방을 이길 수 없었고, 1318년 고립된 삼림 칸톤은 합스부르크와 10개월 휴전을 협상했으며, 이 휴전은 여러 번 연장되었다. 1323년까지 삼림 칸톤은 베른과 동맹을 맺었고, 슈비츠는 합스부르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글라루스와 동맹을 맺었다.[2] 40년 이내에 루체른, 추크, 취리히를 포함한 도시들도 연방에 가입했다. 동맹국의 승리는 그들에게 사실상의 자율권을 부여했으며, 잠시 동안 1386년 젬파흐 전투까지 지속된 합스부르크와의 평화를 가져왔다.[10]

5. 3. 장기적인 영향

모르가르텐 전투가 끝난 뒤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1315년 12월, 동맹국들은 1291년에 맺었던 동맹 맹세를 갱신하여 연방 성장을 시작했다.[2] 1316년 3월, 황제 루이 4세는 삼림 칸톤의 권리와 특권을 확인했다. 그러나 레오폴트는 연방에 대한 또 다른 공격을 준비했다. 이에 대응하여 슈비츠는 합스부르크 영토 일부를 공격했고, 운터발덴은 베른 고지로 진격했다. 어느 쪽도 상대방을 이길 수 없었고, 1318년 고립된 삼림 칸톤은 합스부르크와 10개월 휴전을 협상했으며, 이 휴전은 여러 번 연장되었다. 1323년까지 삼림 칸톤은 베른과 동맹을 맺었고, 슈비츠는 합스부르크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글라루스와 동맹을 맺었다.[2] 40년 이내에 루체른, 추크, 취리히를 포함한 도시들도 연방에 가입했다. 동맹국의 승리는 그들에게 사실상의 자율권을 부여했으며, 1386년 젬파흐 전투까지 잠시 동안 합스부르크와의 평화가 지속되었다.[10]

6. 역사적 의의

모르가르텐 전투는 스위스 연방이 거둔 첫 번째 군사적 성공으로, 근대 초기 스위스 애국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1]

전투 기념 행사에 대한 기록은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340년대에 요하네스 폰 빈터투어는 슈비츠가 매년 기념 행사를 열기로 결정한 것을 기록했다. 1501년에는 전투 장소에 예배당이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다.[11]

1530년에 요아힘 바디안은 첫 번째 예배당이 전리품으로 얻은 수익금으로 전투 직후에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현대의 예배당은 1604년에 세워졌다.[11]

1891년, 연방 결성 600주년을 기념하여 전투 장소에 새로운 기념비를 세울 계획이 세워졌다.[11]

적절한 위치를 두고 논쟁이 있었는데, 특히 "전투"가 약 2km에 걸쳐 늘어선 행군 대열에 대한 공격이었기 때문에 슈비츠와 추크 두 칸톤 모두 전투 장소를 주장했다. 결국 1908년에 추크 칸톤의 ''하우프트제'' 마을(오베레게리 자치구의 일부)에 있는 아게리 호수 남쪽 기슭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회를 통해 마을은 "모르가르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슈비츠 당국은 자치구 밖의 전투 장소를 인정하지 않았고 기념비 제막식에 공식 대표를 파견하지 않았다.[11]

1912년부터 매년 전투 당일에 기념비 근처에서 300m 거리의 사격 대회인 ''모르가르텐사격''이 열리고 있다.[12] 1957년에는 전투 예배당 근처, 슈비츠 지역에서 50m 거리의 권총 경기가 도입되었다.

전투 60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행사가 1915년에 예배당과 기념비 두 곳에서 개최되었다.

1965년 650주년을 기념하여 전투 장소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슈비츠 칸톤이 해당 지역의 사유지를 매입할 수 있도록 자금이 모금되었다.

펠리시아 헤만스의 시 "모르가르텐 전투의 노래"는 1822년 에든버러 매거진에 게재되었다.

참조

[1] encyclopedia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 HDS Morgarten War
[3] 서적 Die Anfänge der Schweizerischen Eidgenossenschaft: zur sechsten Säkularfeirer des ersten ewigen Bundes vom 1. August 1291, verfasst im Auftrag des schweizerischen Bundesrates https://books.google[...]
[4] 서적 Erzählungen aus der Schweizer-Geschichte nach den Chroniken, Volume 2 https://books.google[...]
[5] 서적 Geschichte der Kriegskunst im Rahmen der politischen Geschichte, Volume 3 http://www.zeno.org/[...]
[6] 서적 Die Kämpfe am Morgarten in den Jahren 1315 und 1798: Festschrift für die Jahresversammlung der schweiz. Officiersgesellschaft in Zug im August 1868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ortsnamen.ch https://search.ortsn[...]
[8] 인용
[9] citation Military technology § The infantry revolution, c. 1200–1500 https://www.britanni[...]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1-19
[14] HDS Battle of Morgarten
[15] 서적 Die Anfänge der Schweizerischen Eidgenossenschaft: zur sechsten Säkularfeirer des ersten ewigen Bundes vom 1. August 1291, verfasst im Auftrag des schweizerischen Bundesrates https://books.google[...]
[16] 서적 Erzählungen aus der Schweizer-Geschichte nach den Chroniken, Volume 2 https://books.google[...]
[17] 서적 Geschichte der Kriegskunst im Rahmen der politischen Geschichte, Volume 3 http://www.zeno.org/[...]
[18] 서적 Tait's Edinburgh Magazine, Vol 19 https://books.google[...]
[19] 서적 Die Kämpfe am Morgarten in den Jahren 1315 und 1798: Festschrift für die Jahresversammlung der schweiz. Officiersgesellschaft in Zug im August 1868 https://books.google[...]
[20] citation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