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르겐슈테른 (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르겐슈테른은 자루에 뾰족한 머리가 달린 중세 시대 무기로, 14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독일에서 'Morgenstern'으로 알려졌다. 철퇴와 유사하게 머리 부분에 뾰족한 부분이 있으며, 보병과 기병 모두 사용했다. 모르겐슈테른은 숙련된 대장장이의 기술을 요하는 플랜지 철퇴와 달리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작 방식과 사용 주체에 따라 군사용, 농민용, 장식용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비슷한 무기로는 플랑드르의 고덴다흐와 동양의 낭아봉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봉 - 십수
    십수는 봉건 시대 일본에서 쇼군 호위병과 경찰관들이 휴대했던 칼날 없는 무기이자 신분증명서로, 손잡이, 자루, 갈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지인의 지위와 용도에 따라 형태와 장식이 달랐고 짓테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 곤봉 - 경봉
    경봉은 경찰이나 경비원이 휴대하는 곤봉 형태의 무기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국가 및 지역별로 소지 및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가 있고, 사용 방식 또한 변화되었다.
  • 장병무기 -
    창은 긴 자루에 날카로운 촉을 붙인 무기이자 도구로,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까지 사냥, 전쟁, 의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신화 속 상징으로도 등장한다.
  • 장병무기 - 사리사
    사리사는 고대 마케도니아 팔랑크스 보병이 사용한 4m에서 6m에 이르는 긴 자루 창으로, 적 접근을 막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기병용으로 변형되어 헬레니즘 시대 군대의 주력 무기가 되었다.
  • 타격무기 - 톤파
    톤파는 오키나와 무술에서 유래된 막대기 형태의 무기로, 막기와 치기에 사용되며, 경찰봉으로도 활용되었으나 신축식 경찰봉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 타격무기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모르겐슈테른 (무기)

2. 역사

모르겐슈테른은 14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독일에서 'Morgenstern'으로 알려졌다.[3] 이 명칭은 종종 군용 플레일과 혼동되기도 한다.[1] 영어 명칭인 'morning star'는 "샛별"을 의미하는 독일어 'Morgenstern'에서 유래되었으며, 무기의 머리 모양을 별에 비유한 것이다.

이후 모르겐슈테른과 유사한 형태의 무기들을 넓은 의미에서 'morning star'라고 부르기도 하며, 여기에는 별 모양 머리를 가진 플레일도 포함된다.

2. 1. 기원과 발전

모르겐슈테른은 14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독일에서 'Morgenstern'으로 알려졌다.[3] 이 용어는 종종 군용 플레일(프랑스어로는 'fléau d'armes', 독일어로는 'Kriegsflegel')과 혼동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나무 자루와 하나 이상의 쇠붙이 나무 막대기가 쇠사슬로 연결된 형태이다. (무거운 검의 손잡이도 추로 사용되었다.)[1] 그러나 이 시기의 볼-앤-체인 플레일에 대한 묘사는 거의 없으므로, 이 유형의 무기는 흔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3]

영어명 morning star영어는 "'''샛별'''"을 의미함과 동시에 이 무기의 이름이기도 한 독일어 Morgensternde에서 유래된 의역어로, 자루 머리의 모양을 빛나는 의 형태로 비유한 것이다. 거기에서 동일한 형태의 머리를 가진 무기를 널리 morning star라고 부르며, 별 모양의 자루 머리를 갖춘 플레일 등을 마찬가지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 '''홀리 워터 스프링클러''' (holy water sprinkler영어)


기본적으로 메이스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 이름은 일종의 블랙 유머인데, 머리 위에 메이스의 일격을 가하면 마치 스프링클러가 물을 뿜는 것처럼 혈액이 흩날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무기는 특히 성직자들 사이에서 애용되었다. 당시 성직자들은 기사 계급 출신도 많았으며, 그들은 승려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전장에 서는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예로는 『롤랑의 노래』의 대주교 튀르팽, 윌리엄 정복왕의 이복 동생이자 바유 주교인 오도가 있다. 그들이 이러한 무기를 선호한 이유는 칼과 달리 상대를 때려도 "피를 흘릴 기회가 적기" 때문이었다.

  • '''고덴다그''' (goedendag영어, 별칭: godendac영어, godendard영어, godendart영어)


1302년에 발발한 금박차 전투의 한 국면인 코르트레이크 전투의 모습을 전하는 부조에서, 플랑드르 도시 연합군의 병사들이 사용하는 고덴다그가 보인다 (중앙의 대열)


고덴다그 또는 헤덴다하 등으로 불리는 이 전곤은 플랑드르의 보병이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오른쪽 부조에서 볼 수 있듯이, 나무 손잡이에 금속 스파이크(보통은 하나)를 부착한 것으로, 손잡이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거의 원뿔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다. 길이도 1m 전후이므로, 보병은 물론, 말 위에 탄 기사에게도 공격할 수 있다. 코르트레이크 전투에서 플랑드르군이 사용한 이후, 이 무기는 플랑드르 병사의 대명사적인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고덴다그에는 또 다른 후보가 있는데, 피렌체 상인의 기록에서는 "창과 같은 손잡이에 가시가 달린 껍질 장대와 같은" 무기라고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플레일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디자인

morning star영어라는 영어 명칭은 "샛별"을 의미하는 동시에 이 무기의 이름이기도 한 독일어 Morgensternde에서 유래된 의역어이다. 이는 자루 머리의 모양을 빛나는 의 형태로 비유한 것이다. 여기서 파생되어 동일한 형태의 머리를 가진 무기를 널리 morning star라고 부르며, 별 모양의 자루 머리를 갖춘 플레일 등도 이와 같이 부르는 경우가 있다.

역사 속의 모닝스타는 메이스의 일종이지만, 판타지 작품에서는 자루와 가시 달린 철구 사이를 사슬로 연결한 플레일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플레일 형태만을 모닝스타라고 칭하고, 원래의 모닝스타는 가시 달린 메이스, 또는 단순히 메이스라고만 부르는 작품도 있다.

3. 1. 구조와 제작

모르겐슈테른은 자루에 뾰족한 머리가 장착된 중세 시대 무기로, 철퇴와 유사하다. 머리 꼭대기에는 곧게 뻗은 긴 뾰족한 부분이 있고, 머리 부분 주변에는 여러 개의 작은 뾰족한 부분이 있다.[2][3] 비교적 간단하고 즉흥적인 구조는 숙련된 대장장이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플랜지 철퇴와 구별된다. 이 무기의 다양한 버전은 보병기병 모두 사용했으며, 기병용은 한 손으로 사용하기 쉽도록 자루가 짧거나 더 가늘게 디자인되는 경향이 있었다.[2]

철퇴는 다소 독립적으로 개발된 전통적인 기사의 무기였지만, 완전히 금속으로 제작되는 방향으로 전환된 반면, 모르겐슈테른은 특징적인 나무 자루를 유지했다. 현존하는 많은 모르겐슈테른은 길이가 약 약 1.83m인 더 긴 양손 형태이며, 이보다 더 긴 예도 있다.

모르겐슈테른은 숙련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첫 번째는 전문 군인이 사용하는 잘 만들어진 군사용으로, 마을 무기고에 비축하기 위해 숙련된 무기 제작자가 대량 생산했다.
  • 두 번째는 농민 민병대가 사용하는 단순한 유형이다. 농민들이 직접 모은 나무를 선반으로 깎지 않고 손으로 잘라낸 후, 지역 대장장이가 못과 뾰족한 부분을 장착했다. 자루와 머리는 대개 일체형이지만, 때로는 상단에 쇠 띠로 보강되었다.
  • 세 번째 유형은 장식적인 성격을 띠며, 일반적으로 자루가 짧고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16세기 예시 중 하나는 강철로 만들어졌고 다마스쿠스 세공으로 금과 은을 상감했으며, 런던의 월리스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4]

3. 2. 유형

모르겐슈테른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유형설명
잘 만들어진 군사용전문 군인이 사용하며, 숙련된 무기 제작자가 대량 생산하여 마을 무기고에 비축했다.
농민 민병대용농민들이 직접 나무를 잘라 만들고, 지역 대장장이가 못과 뾰족한 부분을 장착했다. 자루와 머리는 대개 일체형이지만, 때로는 상단에 쇠 띠로 보강하기도 했다.
장식용주로 짧은 자루에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16세기 예시 중에는 강철로 만들어 다마스쿠스 세공으로 금과 은을 상감한 것도 있다. 이 유물은 런던의 월리스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4]



; 홀리 워터 스프링클러 (holy water sprinkler영어)

: 기본적으로 철퇴(메이스)의 다른 이름으로, 머리에 철퇴의 일격을 가하면 마치 스프링클러가 물을 뿜듯 피가 흩날리는 모습을 빗댄 블랙 유머이다. 성직자들은 칼과 달리 상대를 때려도 "피를 흘릴 기회가 적다"는 이유로 이 무기를 선호했다. 대표적인 사용 예로는 『롤랑의 노래』의 대주교 튀르팽, 윌리엄 정복왕의 이복 동생이자 바유 주교인 오도가 있다.

; 고덴다그 (goedendag영어, godendac영어, godendard영어, godendart영어 등으로도 불림)

: 플랑드르 보병이 주로 사용한 무기로, 나무 손잡이에 금속 스파이크(주로 하나)를 부착한 형태이다. 손잡이는 끝으로 갈수록 넓어져 원뿔형에 가깝다. 길이는 1m 정도로, 보병은 물론 기사에게도 효과적이었다. 코르트레이크 전투에서 플랑드르군이 사용한 이후 플랑드르 병사의 상징이 되었다.

: 하지만, 피렌체 상인의 기록에는 고덴다그가 "창과 같은 손잡이에 가시가 달린 껍질 장대와 같은" 무기, 즉 플레일과 유사한 형태로 묘사되어 있어 또 다른 후보가 존재한다.

판타지 작품에서는 자루와 가시 달린 철구 사이를 사슬로 연결한 플레일 형태의 모닝스타가 등장하기도 한다.

4. 성수 살포기 (Holy Water Sprinkler)

holy water sprinkler영어는 기본적으로 메이스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 이름은 일종의 블랙 유머인데, 머리 위에 메이스의 일격을 가하면 마치 스프링클러가 물을 뿜는 것처럼 혈액이 흩날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무기는 특히 성직자들 사이에서 애용되었다. 당시 성직자들은 기사 계급 출신도 많았으며, 그들은 승려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전장에 서는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예로는 『롤랑의 노래』의 대주교 튀르팽, 윌리엄 정복왕의 이복 동생이자 바유 주교인 오도가 있다. 그들이 이러한 무기를 선호한 이유는, 칼과 달리 상대를 때려도 "피를 흘릴 기회가 적기" 때문이었다.[5]

성수 살포기는 가톨릭 미사에서 사용되는 아스페르길룸과의 유사성에서 유래되었으며, 16세기에 영국 군대가 사용한 모닝스타를 지칭한다. 전문 대장장이들이 대량으로 제작했다. 왕립 무기 박물관에서 찾을 수 있는 이 무기는 6개의 플랜지가 각각 3개의 스파이크를 형성하여 메이스와 유사하지만, 상단에서 사각형 단면의 짧고 두꺼운 스파이크가 뻗어 있는 완전 강철 헤드를 가지고 있다. 나무 자루는 4개의 랭겟으로 보강되었으며, 무기의 전체 길이는 약 189.23cm이다.[5]

성수 살포기라는 용어는 군용 플레일의 한 종류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는 프랑스어(''goupillon'')로 이 무기를 지칭하는 이름이다.[6]

5. 고덴다흐 (Goedendag)

'''고덴다흐'''(Goedendag)는 플랑드르의 무기로, 두꺼운 나무 자루에 쇠못이 박힌 형태이다. 1.2m에서 1.8m 길이의 이 무기는 1302년 황금 박차 전투에서 플랑드르 도시 길드원들이 프랑스 기사단에 맞서 싸울 때 사용되었다. 15세기부터는 더 우수한 무기들에 밀려 사용이 제한되었고, 플랑드르의 부르주아 계층만이 사용했다.

고덴다흐는 말이나 기사를 찌르는 데 사용되었으나, 정확한 사용 방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나무 손잡이에 금속 스파이크(보통 하나)를 부착한 형태로, 손잡이 끝부분은 폭이 넓어져 원뿔형에 가깝다. 길이는 1m 정도로, 보병은 물론 기사에게도 공격할 수 있었다. 코르트레이크 전투 이후 플랑드르 병사의 상징이 되었다.

피렌체 상인의 기록에는 "창과 같은 손잡이에 가시가 달린 껍질 장대와 같은" 무기로 묘사되어 플레일과 유사한 형태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6. 유사 무기

영어명 'morning star영어'는 "샛별"을 의미하는 동시에 이 무기의 이름이기도 한 독일어 'Morgensternde'에서 유래된 의역어이다. 자루 머리의 모양을 빛나는 의 형태로 비유한 것이다. 여기서 동일한 형태의 머리를 가진 무기를 널리 'morning star'라고 부르며, 별 모양의 자루 머리를 갖춘 플레일 등도 마찬가지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1]

; 홀리 워터 스프링클러 (holy water sprinkler영어)

: 기본적으로 메이스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 이름은 일종의 블랙 유머인데, 머리 위에 메이스의 일격을 가하면 마치 스프링클러가 물을 뿜는 것처럼 혈액이 흩날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무기는 특히 성직자들 사이에서 애용되었다. 당시 성직자들은 기사 계급 출신도 많았으며, 승려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전장에 서는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예로는 『롤랑의 노래』의 대주교 튀르팽, 윌리엄 정복왕의 이복 동생이자 바유 주교인 오도가 있다. 그들이 이러한 무기를 선호한 이유는 칼과 달리 상대를 때려도 "피를 흘릴 기회가 적기" 때문이었다.[1]

; 고덴다그 (goedendag영어, 별칭: godendac영어, godendard영어, godendart영어)

: 플랑드르의 보병이 사용한 것으로 유명한 전곤으로, 고덴다그 또는 헤덴다하 등으로 불린다. 오른쪽 부조에서 볼 수 있듯이, 나무 손잡이에 금속 스파이크(보통은 하나)를 부착한 것으로, 손잡이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거의 원뿔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다. 길이도 1m 전후이므로, 보병은 물론, 말 위에 탄 기사에게도 공격할 수 있었다. 코르트레이크 전투에서 플랑드르군이 사용한 이후, 이 무기는 플랑드르 병사의 대명사적인 존재가 되었다.[1]

: 그러나 궤덴다크에는 또 다른 후보가 있는데, 피렌체 상인의 기록에서는 "창과 같은 손잡이에 가시가 달린 껍질 장대와 같은" 무기라고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플레일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

6. 1. 동양의 무기

중국에서는 나라 후기에 무기화된 추가 있었고, 전국 시대 초기에는 낭아봉, 저, 질려골타가 개발되었다. 낭아봉은 고대 중국에서 을 발전시킨 것으로, 1m 정도의 끝에 지름 10cm, 길이 50cm 정도의 방추형 가시가 달린 머리 부분을 갖춘 무기이다. 전장에서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자루머리를 비워 두었다.[1]

일본에서는 남북조 시대에 금쇄봉이 나타났으며, 귀신의 무기로 잘 알려져 있다.[1]

6. 2. 현대의 무기

모르겐슈테른과 유사한 흉기로는 야구의 배트에 못을 박은 못 박힌 배트가 있다.

7. 예술 작품 속 모르겐슈테른

베른 역사박물관의 카이사르 태피스트리에는 갑옷을 입은 기사 또는 병사가 모르겐슈테른을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게르만 지도자 아리오비스투스와 벌인 전투를 묘사한 것이다. 이 태피스트리는 1465년에서 1470년 사이에 투르네에서 제작되었으며, 부르고뉴 전쟁에서 스위스군에게 패한 용담공 샤를로부터 노획되었다. 올리비에 드 라 마르셰가 쓰고 1486년에 처음 출판된 시 "르 슈발리에 데리베레(Le Chevalier Délibéré)"에는 목판화가 실려 있는데, 여기에는 비대칭 패턴으로 스파이크가 장착된 다소 단순한 형태의 모르겐슈테른과, 독일어로 "케텐모르겐슈테른(Kettenmorgenstern)"(직역하면 "사슬-모닝스타")으로 알려진, 스파이크 달린 공 하나가 달린 플레일이 묘사되어 있다. 이는 엄밀히 말해 군용 플레일이다.

영어명 morning star영어는 "'''샛별'''"을 의미함과 동시에 이 무기의 이름이기도 한 독일어 Morgensternde에서 유래된 의역어로, 자루 머리의 모양을 빛나는 의 형태로 비유한 것이다.[1] 거기에서 동일한 형태의 머리를 가진 무기를 널리 morning star라고 부르며, 별 모양의 자루 머리를 갖춘 플레일 등을 마찬가지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1]

역사상의 모닝스타는 메이스의 일종이지만, 판타지 작품에서는 자루와 가시 달린 철구 사이를 사슬로 연결한 형태의 것(''cf.'' 무기#사슬류·밧줄류), 즉, 플레일형이 존재한다.[2] 이 플레일형만을 모닝스타라고 부르고, 원래의 모닝스타는 가시 달린 메이스, 또는 단순히 메이스라고만 부르는 작품도 있다.[2]

참조

[1] 서적 The art of attack: Being a study in the development of weapons and appliances of offe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age of gunpowder https://archive.org/[...] W. Holmes, ltd., Printers
[2] 서적 An illustrated history of arms and armour: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https://archive.org/[...] George Bell
[3] 서적 Daily life in the Middle Ages McFarland
[4] 웹사이트 The Collection https://www.wallacec[...]
[5] 서적 Treasures from the Tower of London https://archive.org/[...] Lund Humphries
[6] 서적 Armour and Weapons Herbert Jenkins
[7] 서적 Medieval Military Technology Broadview Press
[8] 서적 https://archive.org/[...]
[9] 서적 https://archive.org/[...]
[10] 서적
[11] 박물관자료 Collection reference A986 http://wallaceliv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