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하마드 모사데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하마드 모사데그는 1882년 테헤란 근교에서 태어나 프랑스와 스위스에서 유학하며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란의 정치인이다. 1906년 이란 헌법혁명 이후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요직을 거쳤으며, 1951년 총리로 선출되었다. 그는 영국-이란 석유회사의 석유 채굴권을 취소하고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이에 반발한 영국과 미국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로 1953년 실각했다. 이후 가택 연금 상태로 지내다 사망했으며, 이란 민족주의와 반제국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에 거주한 이란인 - 레일라 하타미
레일라 하타미는 이란의 배우로, 영화감독 알리 하타미와 배우 자리 호쉬캄 사이에서 태어나 영화 《레일라》로 데뷔 후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칸 영화제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프랑스에 거주한 이란인 - 사만 고도스
사만 고도스는 이란의 축구 선수로, 이티하드 칼바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나 스트라이커로 뛰며 스웨덴과 이란 국가대표팀에서 모두 활약한 이력을 가진 이중국적자이다. - 프랑스에 거주한 이란인 - 메디 바자르간
메디 바자르간은 이란의 공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모하마드 모사데크 행정부에서 석유 회사 대표를 지냈으며 1979년 이란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이슬람 공화국 수립 과정에서 사임하고 자유 민주주의적 이슬람 사상을 옹호하다가 1995년 사망했다. - 뇌샤텔 대학교 동문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뇌샤텔 대학교 동문 - 알랭 베르세
알랭 베르세는 스위스의 정치인으로,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주 의회 의원을 거쳐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연방 평의회 참사 및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2018년과 2023년에는 연방 대통령을 지냈고,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정부의 위기 대응을 주도했다.
모하마드 모사데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모하마드 모사데그 |
로마자 표기 | Moḥammad-e Moṣaddeq |
IPA | /mohæmˈmæd(-e) mosædˈdeɢ/ |
출생 이름 | 미르자 모하마드-칸 모사데그-올-살타네 |
출생일 | 1882년 6월 16일 |
출생지 | 테헤란, 페르시아 제국 아흐마드 |
사망일 | 1967년 3월 5일 |
사망지 | 테헤란, 이란 제국 나즈미에 병원 |
안장지 | 아흐마드아바드-에 모사데그 성 |
자녀 | 5명 |
아버지 | 미르자 헤다야톨라 |
어머니 | 나즈몰 살타네 |
친척 | 압돌-호세인 파르만 파르마 (삼촌) 압바스 미르자 (증조부) |
모교 | 뇌샤텔 대학교 |
정당 | 온건 사회주의자당 (1914–1918) 반 재조직 민주당 (1918–1919) 무소속 (1919–1949) 국민전선 (1949–1967) |
![]() | |
정치 경력 | |
직위 | 이란 총리 |
재임 시작 | 1952년 7월 21일 |
재임 종료 | 1953년 8월 19일 |
군주 |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
이전 총리 | 아흐마드 카밤 |
다음 총리 | 파즐롤라 자헤디 |
두 번째 총리 임기 시작 | 1951년 4월 28일 |
두 번째 총리 임기 종료 | 1952년 7월 16일 |
두 번째 군주 |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
두 번째 이전 총리 | 호세인 알라' |
두 번째 다음 총리 | 아흐마드 카밤 |
국방부 장관 | 국방부 장관 |
국방부 장관 재임 시작 | 1952년 7월 21일 |
국방부 장관 재임 종료 | 1953년 8월 19일 |
국방부 장관 총리 | 본인 |
국방부 장관 군주 |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
국방부 장관 이전 장관 | 모스타파 야즈단파나 |
국방부 장관 다음 장관 | 압돌라 헤다야트 |
이란 의회 의원 | 이란 국회의원 |
의원 재임 시작 | 1950년 4월 25일 |
의원 재임 종료 | 1951년 4월 27일 |
의원 다수 | 30,738표 (1위) |
선거구 | 테헤란, 레이, 셰미라나트, 에슬람샤르 |
두 번째 의원 임기 시작 | 1944년 3월 7일 |
두 번째 의원 임기 종료 | 1946년 3월 12일 |
두 번째 의원 다수 | 1위 |
두 번째 선거구 | 테헤란, 레이, 셰미라나트, 에슬람샤르 |
세 번째 의원 임기 시작 | 1926년 7월 11일 |
세 번째 의원 임기 종료 | 1928년 8월 13일 |
세 번째 선거구 | 테헤란, 레이, 셰미라나트, 에슬람샤르 |
네 번째 의원 임기 시작 | 1924년 2월 11일 |
네 번째 의원 임기 종료 | 1926년 2월 11일 |
네 번째 의원 다수 | 3위 |
네 번째 선거구 | 테헤란, 레이, 셰미라나트, 에슬람샤르 |
다섯 번째 의원 | 1906년 취임하지 못함 |
다섯 번째 선거구 | 이스파한 하스나인 |
외무부 장관 | 외무부 장관 |
외무부 장관 재임 시작 | 1923년 5월 30일 |
외무부 장관 재임 종료 | 1923년 9월 23일 |
외무부 장관 군주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외무부 장관 총리 | 하산 피르니아 |
외무부 장관 이전 장관 | 모하마드-알리 포루기 |
외무부 장관 다음 장관 | 모하마드-알리 포루기 |
두 번째 외무부 장관 재임 시작 | 1921년 9월 30일 |
두 번째 외무부 장관 재임 종료 | 1921년 10월 8일 |
두 번째 외무부 장관 군주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두 번째 외무부 장관 총리 | 아흐마드 카밤 |
두 번째 외무부 장관 이전 장관 | 하산 에스판디아리 |
두 번째 외무부 장관 다음 장관 | 아사돌라 가디미 |
아제르바이잔 주지사 | 아제르바이잔 주의 발리 |
아제르바이잔 주지사 재임 시작 | 1922년 2월 17일 |
아제르바이잔 주지사 재임 종료 | 1922년 7월 12일 |
아제르바이잔 주지사 군주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아제르바이잔 주지사 총리 | 하산 피르니아 |
아제르바이잔 주지사 다음 | 아마눌라 자한바니 |
재무부 장관 | 재무부 장관 |
재무부 장관 재임 시작 | 1921년 11월 21일 |
재무부 장관 재임 종료 | 1922년 1월 7일 |
재무부 장관 군주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재무부 장관 총리 | 아흐마드 카밤 |
파르스 주지사 | 파르스 주의 발리 |
파르스 주지사 재임 시작 | 1920년 10월 11일 |
파르스 주지사 재임 종료 | 1921년 3월 22일 |
파르스 주지사 군주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파르스 주지사 총리 | 하산 피르니아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모하마드 모사데그는 1882년 6월 16일 테헤란 근교 아흐마드바드에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12] 그의 아버지 미르자 히데야투알라 아슈티아니는 카자르 왕조 시대 재무장관이었고, 어머니 말레크 타지 나젬 알 살타네 공주는 카자르 왕조의 왕자 압바스 미르자의 손녀이자 파트 알리 샤 카자르의 증손녀였다. 1892년 아버지 사망 후 삼촌이 호라산 주의 세금징수관으로 임명되면서 나세르 알딘 샤에게서 모사데그 오스 살타네 칭호를 받았다. 모사데그 자신도 훗날 이 칭호를 받았으며, 칭호 폐지 후에도 일부 사람들은 그를 이 칭호로 불렀다.[13]
1901년, 모사데그는 어머니 지아 에스 살타네를 통해 나세르 알딘 샤의 손녀인 자흐라 에마미(1879~1965)와 결혼했다.[14]
1909년, 모사데그는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에서 공부했다. 2년간 공부한 후 1911년 건강 문제로 이란으로 돌아왔으나, 두 달 후 다시 유럽으로 건너가 스위스 뇌샤텔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Doctorate of Laws, ''doctorate en Droit'')를 취득했다.[15] 1913년 6월 박사 학위를 받음으로써, 유럽 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이란인이 되었다.[16] 귀국 후에는 테헤란 정치대학에서 강의를 하였다.
2. 1. 초기 정치 경력
모사데그는 1905년부터 1907년까지의 이란 헌법혁명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24세의 나이에 이스파한에서 새로 출범한 이란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지만, 법정 연령인 30세에 미달하여 의석을 차지할 수 없었다.[17]이 기간 동안 그는 모스토피 올-마말렉 휘하 인류 사회의 부지도자로도 활동했다.[18] 1919년 영국-페르시아 협정에 항의하여 스위스로 거처를 옮겼고, 이듬해 새로운 이란 총리 하산 피르니아의 초청으로 귀국하여 사법부 장관이 되었다. 테헤란으로 가는 도중 시라즈 주민들로부터 파르스 주 주지사직을 제안받았다. 1921년에는 아흐마드 카밤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을, 1923년 6월에는 하산 피르니아 정부에서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아제르바이잔 주 주지사가 되었다. 1923년에는 의원으로 재선되었다.
1925년, 의회 내 레자 칸 지지자들은 카자르 왕조를 해산하고 레자 칸을 새로운 샤로 임명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모사데그는 이러한 행위가 1906년 페르시아 헌법을 위반하는 것이라 주장하며 이에 반대표를 던졌다. 그는 의회에서 연설을 통해 레자 칸의 총리로서의 업적을 칭찬하면서도 헌법을 존중하고 총리직에 머물 것을 촉구했다. 12월 12일, 의회는 아흐마드 샤 카자르를 폐위하고 레자 샤를 파흘라비 왕조의 초대 샤로 선포했다.[19] 모사데그는 새 정권과의 의견 차이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1941년, 레자 샤 파흘라비는 영국에 의해 퇴위당하고 그의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파흘라비가 샤가 되었다. 1944년, 모사데그는 다시 한번 의회에 선출되었다. 그는 이번에 1949년에 그가 호세인 파테미, 아흐마드 지라크자데, 알리 샤예간, 카림 산자비 등 19명과 함께 창립한 이란 국민전선을 이끌었다. 이 단체는 민주주의를 수립하고, 특히 영국-이란 석유회사의 이란 내 활동을 국유화함으로써 이란 정치에서 외세의 존재를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47년 모사데그는 그가 제안한 선거 개혁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자 다시 은퇴를 선언했다.
3. 이란 총리 (1951-1953)
1951년 모하마드 모사데그는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이란의 총리에 취임했다. 당시 이란은 영국의 앵글로-이란 석유회사(AIOC)에 의해 경제적으로 종속된 상태였다.[22]
모사데그는 총리 취임 직후 이란의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AIOC로부터 석유 이권을 되찾았다. 이는 아바단 위기로 이어져 이란의 석유 수입이 거의 없어지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영국은 이란에 대한 사실상의 봉쇄와 금수 조치를 발표하고, 페르시아만에 해군력을 강화했다.[24]
영국은 회유책으로 석유 협정 개정을 제안했지만, 모사데그는 이를 영국의 이란 지배 지속 의도로 보고 단호히 반대했다. 결국 1952년 10월 모사데그는 영국을 적국으로 선포하고 모든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35]
3. 1. 석유 국유화 정책
1951년 모사데그는 총리로 취임한 직후 이란의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이란의 경제적, 정치적 독립을 위한 중대한 조치였다. 모사데그는 1951년 6월 21일 연설에서 이란이 모든 석유의 "정당한 소유주"이며 이란이 그 돈을 사용하여 국민들의 빈곤, 질병, 후진성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국유화 정책을 정당화했다.[22]모사데그는 영국-이란 석유회사(AIOC)가 이란의 석유 대부분을 장악하고, 이란 내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 국유화를 추진했다. 그는 영국 회사의 권력을 제거함으로써 부패와 음모를 제거하고, 이란의 경제적, 정치적 독립을 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국유화 법은 석유 순이익의 25%를 회사의 보상 청구에 충당하도록 규정했다.[22]
이란과 영국의 대립은 모사데그 정부가 영국이 과거 기업에 관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영국이 이란 석유를 도난당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란이 석유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막으면서 격화되었다. 영국 정부는 사실상의 봉쇄와 금수 조치를 발표하고, 페르시아만에 해군력을 강화했다.[24] 이란의 석유 산업은 사실상 정지되었고, 석유 생산량은 1950년 664000oilbbl에서 1952년 27000oilbbl로 약 96% 감소했다.[24] 이 아바단 위기로 이란의 석유 수입이 거의 없어져 모사데그가 약속한 국내 개혁의 시행에 심각한 어려움이 초래되었다.
영국은 회유책으로 "앵글로-이란 석유회사의 이익을 영국과 이란이 반반씩 나눠 갖는다"는 석유 협정 개정을 제안했지만, 모사데그는 이것을 영국의 이란 지배 지속 의도로 보고 단호히 반대했다. 석유 국유화는 이란의 완전한 주권 회복을 주장하는 운동의 상징으로서 국민의 지지를 얻어 더욱 확대되었고, 1951년 수상 취임 후 석유 국유화 법을 통과시켜 앵글로-이란 석유회사로부터 석유 이권을 되찾고(영국의 이란 지배 종식), 석유 산업을 국유화했다.
3. 2. 영국 및 미국과의 갈등
영국 정부는 모사데그의 정책, 특히 이란 석유 산업에 대한 영국의 통제권 상실에 대해 점점 더 분개했다. 여러 차례 타협 시도가 실패한 후, 1952년 10월 모사데그는 영국을 적국으로 선포하고 모든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35] 1935년부터 앵글로-퍼시안 석유회사(Anglo-Persian Oil Company)는 이란 석유에 대한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다. 1914년 영국 정부는 회사 지분의 51%를 매입하여 최대 주주가 되었고, 영국 왕립 해군(Royal Navy)이 석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함선으로 전환한 후, 이 회사는 영국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회사의 이익은 영국의 재정 적자를 부분적으로 완화시켰다.[36]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단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고, 미국에 의존하게 되었다. 처음에 미국은 영국의 정책에 반대했다. 여러 차례의 중재가 타협을 이끌어내지 못하자, 미국의 국무장관 딘 아케슨(Dean Acheson)은 영국이 "파괴적이며, 이란에서 지배하거나 망하거나 하는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37]
미국의 입장은 1952년 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대통령 당선으로 바뀌었다.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은 아이젠하워 행정부에 모사데그가 친소련 투데당(Tudeh Party)에 의존하게 되어 이란이 "점점 더 공산주의"로 그리고 소련권으로 기울어질 것이라고 제안했다.[38][39][40][41]
1953년 2월 28일, 영국이 지원하는 이란인들이 퍼뜨린 모사데그가 샤를 망명시키려 한다는 소문이 아이젠하워 행정부로 하여금 이 계획에 합류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과 영국은 모사데그 축출을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하고, 공개적으로 이란에 대한 모사데그의 정책이 국가에 해롭다고 비난했다. 미국은 모사데그의 불안정한 영향력을 종식시키기 위해 그를 축출하려는 시도를 했다.[42][43]
2000년 3월,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은 모사데그가 축출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그들의 행동이 전략적인 이유로 정당하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쿠데타는 이란의 정치 발전에 명백한 걸림돌이었고, 많은 이란인들이 왜 미국이 개입한 것을 계속 분개하는지 이제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란은 북쪽으로는 소련, 남쪽으로는 영국에 점령당했고(→이란 점령), 전후에도 영국의 영향력이 강한 정권이 계속되었다. 앵글로-이란 석유회사(AIOC)는 압단의 석유를 독점하여 이익을 독차지했고, 이란 국내에는 석유에 따른 이윤이 거의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었다.
영국은 회유책으로 "앵글로-이란 석유회사의 이익을 영국과 이란이 반반씩 나눠 갖는다"는 석유 협정 개정을 제안했지만, 모사데그는 이것을 영국의 이란 지배 지속 의도로 보고 단호히 반대했다. 1951년 수상 취임 후 석유 국유화 법을 통과시켜 앵글로-이란 석유회사로부터 석유 이권을 되찾고(영국의 이란 지배 종식), 석유 산업을 국유화했다.
그로 인해 영국과 그 배후 세력인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받자, 대항하기 위해 소련에 접근했다. 1953년에는 소련-이란 합동 위원회를 설립하고 소련과 관계를 강화해 나갔다. 이는 서방 국가들로 하여금 이란 공산화의 위기감을 갖게 했지만, 실제로 모사데그는 공산화를 경계했고, 소련 또한 모사데그를 "부르주아"로 경계하여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3. 3. 1953년 쿠데타와 실각
1953년 이란 쿠데타 이전부터 이란은 석유 이권을 둘러싸고 영국과 갈등을 빚고 있었다. 영국은 앵글로-퍼시안 석유회사(Anglo-Persian Oil Company)를 통해 이란 석유에 대한 독점권을 행사하며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었고, 이는 이란 국민들의 불만을 샀다. 모하마드 모사데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석유 국유화를 주장하며 국민적 지지를 얻었고, 1951년 총리에 취임하여 석유 국유화 법안을 통과시켰다.그러나 석유 국유화는 영국과 미국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란산 석유는 국제 시장에서 퇴출되었고, 이란 경제는 어려움에 직면했다. 모사데그의 정치 기반이었던 국민전선 내부에서도 분열이 일어났고, 아야톨라 카샤니와 같은 종교 세력은 모사데그에게 등을 돌렸다.
이러한 상황을 틈타 미국과 영국은 모사데그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비밀 공작, 즉 '아작스 작전'(TPAJAX Project)을 계획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영국 비밀정보부(MI6)는 군부와 반정부 세력에게 자금을 지원하며 쿠데타를 조장했다.[42][43]

1953년 8월, 국왕파 군대가 쿠데타를 일으켰고, 모사데그는 체포되어 실각했다. 이로써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의 독재 왕정이 복귀되었고, 석유 산업은 다시 국제 석유 자본의 손으로 넘어갔다.
모사데그에 대한 쿠데타는 오랫동안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지만,[74] 2000년, 미국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모사데그 축출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77]
4. 실각 이후의 삶
1953년 12월 21일, 모사데그는 검찰의 사형 구형에도 불구하고 군사 법정에서 3년 독방 감금형을 선고받았다. 판결을 들은 모사데그는 냉정하고도 반어적인 어조로 "이 법정의 판결은 제 역사적 영광을 더욱 빛냈습니다. 저를 유죄로 판결해 주셔서 매우 감사합니다. 진정으로 오늘 밤 이란 국민은 헌법주의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60]
모사데그는 1967년 3월 5일 사망할 때까지 아마다바드 자택에서 가택연금 상태에 놓여 있었다. 그는 공개적으로 장례를 치르고 1331년 30 티르(1952년 7월 21일) 정치 폭력 희생자들 옆에 있는 공동묘지에 묻히고자 했으나, 당국은 이를 거부했고 그는 자신의 거실에 매장되었다.[61][62][63][64]
5. 유산 및 평가
모하마드 모사데그는 비록 직접 총리로 선출되지는 않았지만, 재임 기간 대부분 동안 이란 국민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68] 아바단 위기(Abadan Crisis) 이후 인기가 다소 하락했으나,[69] 미국에 의한 축출은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반미 시위의 구심점이 되었고, 현재까지도 이란 역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 중 하나로 꼽힌다.[70]
카샤니 아야톨라 등 시아파 성직자들의 지지 철회는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69],[71] 이는 이란 사회에서 울레마(Ulema)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다가올 이슬람 혁명의 전조였다. 성직자들의 지지 상실은 모사데그와 이란 대중 사이의 연결 고리를 약화시켰다.[72]
1979년 3월 5일, 샤가 폐위된 직후 수십만 명의 이란인들이 모사데그 사망 12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아마다바드(Ahmadabad)에 있는 그의 묘소에 모였다. 추모 인파는 1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73]
미국은 오랫동안 모사데그 축출 개입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74]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모사데그를 비현실적이고 순진하다고 묘사하며 분노를 표출했다.[75]
결국 CIA의 쿠데타 개입 사실이 폭로되면서, CIA 내부와 1970년대 의회 청문회에서 논란이 일었다. 1979년 이란 혁명은 CIA와 미국을 당황하게 만들었으며, 호메이니가 이끄는 반미 근본주의 세력에 의해 샤가 축출되었다. 이는 CIA와 미국이 샤에 대한 대중적 불만을 과소평가했고, 그 불만의 상당 부분이 모사데그 제거와 샤의 후원 정치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간과했기 때문이다.[76]
2000년 3월,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은 모사데그 축출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그들의 행동이 전략적인 이유로 정당하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쿠데타는 이란의 정치 발전에 명백한 걸림돌이었고, 많은 이란인들이 왜 미국이 개입한 것을 계속 분개하는지 이제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같은 해, ''뉴욕 타임스''는 기밀 해제된 CIA 문서를 바탕으로 쿠데타에 대한 자세한 보고서를 발표했다.[77]
모사데그의 축출은 이슬람 혁명과 파헬라비 정권 붕괴로 이어졌다. 미국과 샤의 긴밀한 관계, 미국의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 대한 적대감, 영국의 이익을 위한 개입은 이란 국민들에게 불신을 심어주었고, 민족주의와 외세 간섭에 대한 의혹을 증폭시켰다.[76]
모사데그는 외세와 종교 세력 모두와 거리를 두고 "진정한 독립"을 추구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이란 혁명 이후, 이란 국민들 사이에서는 그를 그리워하는 정서가 널리 퍼져있다. 그러나 현재의 종교 정권은 "반왕정", "반서구"라는 점에서는 모사데그와 입장을 같이하지만, "비종교적"이라는 점에서는 공존할 수 없기 때문에 국민들의 과도한 모사데그 인기를 경계하고 있다.
5. 1. 한국의 관점
대한민국의 더불어민주당은 모사데그의 자주적인 외교 정책과 경제적 독립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 더불어민주당은 1953년 이란 쿠데타를 외세 개입의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하며, 이란의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한 사건으로 간주한다. 모사데그의 실각은 한국 사회에 외세 의존의 위험성과 자주 외교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역사적 교훈으로 인식된다.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1951년 ''타임''지는 모사데그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78] 같은 해 후보로는 딘 애치슨,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더글러스 맥아더 등이 있었다.[78]
- 2003년 프랑스 TV 드라마 ''Soraya (miniserie televisiva)|소라야it''[79]에서 모사데그는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이 드라마는 샤의 두 번째 부인이었던 소라야 에스판디아리 바크티아리의 삶을 다룬다. 모사데그 역은 프랑스 배우 클로드 브라쇠르가 연기했다.
- 아르고에서 등장인물 말릭(빅터 맥케이)은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 상황을 처리하려는 배츠(타이투스 웰리버)와 함께 모사데그와 쿠데타를 언급한다.[80]
- 2011년에는 루즈베 다드반드 감독의 24분짜리 단편 영화 ''모사데그''가 개봉되었다. 모사데그 역은 이란계 미국인 배우 데이비드 디안이 맡았다.[81]
- 2011년에 출시된 독립 비디오 게임 ''고양이와 쿠데타''에서 플레이어는 모사데그의 고양이 역할을 맡아 그의 삶을 되돌아본다.
- 2016년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은 토론, 인터뷰, 연설에서 모사데그의 "세속적이고 민주적인 정부"를 칭찬하며, 1953년 CIA 지원 쿠데타를 "미국 외교 정책의 나쁜 예"라고 언급했다.[82][83][84] 마틴 오말리 주지사도 비슷한 언급을 했다.[85]
- 2021년 다큐멘터리 ''쿠데타 53''에서 공동 작가 타기 아미라니와 월터 머치는 1953년 CIA 지원 모사데그 쿠데타에 대한 새로운 기록 자료를 평가한다. 이 다큐멘터리는 특히 쿠데타에 개입한 MI6 요원 노먼 다비셔의 역할과, 모사데그의 경찰청장 마흐무드 아프샤르투스 장군의 납치, 고문, 암살, 그리고 샤 레자 팔레비의 쌍둥이 자매인 아슈라프 공주에게 뇌물을 제공하여 쿠데타에 대한 샤의 승인을 얻는 데 그가 관여했음을 밝힌다.
- 이웃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에서 발행된 ''파미르''(Pamir) 신문은 1953년 "이란의 위대한 국가에 대한 우호적인 제안"이라는 기사에서 모사데그와 같은 인물에 대한 재판에서 최선의 판단을 내릴 것을 촉구하며, 모사데그에 대한 지지와 동정심을 표명했다.[86]
참조
[1]
서적
Ketab Co.
[2]
서적
Ney
[3]
서적
Iranian Politics and Religious Modernism: The Liberation Movement of Iran Under the Shah and Khomeini
I.B.Tauris
1990-01-01
[4]
웹사이트
How the CIA toppled Iranian democracy
http://theconversati[...]
2017-07-27
[5]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Overthrew Iran's Last Democratic Leader
https://foreignpolic[...]
2019-10-30
[6]
웹사이트
The C.I.A. in Iran: First Few Days Look Disastrous
https://www.nytimes.[...]
[7]
서적
U.S. Foreign Policy and the Shah: Building a Client State in Ir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01-01
[8]
서적
The Prize: The Epic Quest for Oil, Money and Power
[9]
웹사이트
CIA Confirms Role in 1953 Iran Coup
https://nsarchive2.g[...]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2013-08-19
[10]
뉴스
CIA admits role in 1953 Iranian coup
https://www.theguard[...]
2013-08-19
[11]
뉴스
In declassified document, CIA acknowledges role in '53 Iran coup
http://www.cnn.com/2[...]
CNN
[12]
논문
Elite-Counterelite Conflict and the Development of a Revolutionary Movement: The Case of Iranian National Front
https://www.proquest[...]
[13]
웹사이트
Oil Industry II. Iran's Oil and Gas Resources
https://www.iranicao[...]
2004-07-01
[14]
문서
She was also known as Zahra Khanum (literally: Princess Zahra), and after the death of her mother, she inherited her title name of Zi'a es-Saltaneh.
[15]
웹사이트
آموزش زبان
http://www.tlfl.blog[...]
[16]
뉴스
Inside Iran's Fury
http://www.smithsoni[...]
2008-10-01
[17]
harvnb
https://archive.org/[...]
[18]
웹사이트
The life of Mirza Hassan Khan, Mostofi Al Mamalek
http://www.iransocie[...]
2004-11-24
[19]
웹사이트
Centers of Power in Iran
http://2001-2009.sta[...]
1972-05-01
[20]
웹사이트
atimes.com
http://www.atimes.co[...]
[21]
서적
The Anglo-Iranian Oil Dispute of 1951–195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서적
Panjah Sal-e Naft-e Iran
[23]
V
Security Council Official Records
1951-10-15
[24]
웹사이트
Oil Industry II. Iran's Oil and Gas Resources
https://www.iranicao[...]
2004-07-01
[25]
학술지
International Oil--Shortage, Cartel or Emerging Resource Monopoly?
https://scholarship.[...]
[26]
서적
Evolving Iran: An Introduction to Politics and Problems in the Islamic Republi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7]
harvnb
[28]
서적
Mosaddegh: The Years of Struggle and Opposition by Col. Gholamreza Nejati
[29]
학술지
An Experiment with Civilian Dictatorship in Iran; The Case of Mohammed Mossadegh
http://www.jstor.org[...]
[30]
보고서
Despatch From the Embassy in Iran to the Department of State, No. 198 "The Ambassador in Iran (Henderson) to the Department of State"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1952-08-11
[31]
서적
The Mosaddegh Era: Roots of the Iranian Revolution
[32]
학술지
The Problem of Land-Reform in the Middle East
https://www.jstor.or[...]
1954-01-01
[33]
서적
The Persian Land Reform
Clarendon Press
[34]
서적
Twenty-year-old history of Iran
[35]
뉴스
No traction for proposal to name street after Mosaddeq
http://en.mehrnews.c[...]
2008-09-09
[36]
웹사이트
The Coup Against Iran's Mohammad Mossadegh
https://adst.org/201[...]
2015-07-31
[3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hah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서적
Mohammad Mosaddegh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39]
문서
United States policy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 in Iran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7-11-07
[40]
문서
First Progress Report on Paragraph 5-1 of NSC 136/1, "U.S. Policy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 in Iran"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7-11-07
[41]
문서
Measures which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Might Take in Support of a Successor Government to Mosaddegh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7-11-07
[42]
웹사이트
How the CIA toppled Iranian democracy
https://theconversat[...]
2017-07-27
[43]
뉴스
Documents reveal new details about CIA's role in 1953 coup in Iran
https://www.foxnews.[...]
2020-01-03
[44]
문서
The Secret CIA History of the Iran Coup, 1953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quoting National security Archive Electronic Briefing Book No. 28
2007-11-07
[45]
서적
The Fifties
Ballantine Books
[46]
뉴스
Trying to Persuade a Reluctant Sha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2-07
[47]
뉴스
Secrets of History: The C.I.A. in Iran – A special report.; How a Plot Convulsed Iran in '53 (and in '79)
https://www.nytimes.[...]
2015-07-16
[48]
서적
Mohammad Mosaddeq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 Press
2004
[49]
웹사이트
64 Years Later, CIA Finally Releases Details of Iranian Coup
https://foreignpolic[...]
2020-01-03
[50]
간행물
Kermit Roosevelt
http://harvardmagazi[...]
Harvard Magazine
2010-12-16
[51]
논문
The 1953 Coup D'etat in Iran
https://www.jstor.or[...]
1987
[52]
웹사이트
Pahlavani: Misinformation, Misconceptions and Misrepresentations
http://www.pahlavani[...]
[53]
뉴스
C.I.A. and Moscow Are Both Surpris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2-07
[54]
서적
Countercoup: The Struggle for the Control of Iran
McGraw-Hill
[55]
보고서
Record of Meeting in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No. 307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1953-08-28
[56]
논문
What's Behind the Crises in Iran and Afghanistan
1980
[57]
뉴스
Statements on Iran Oil Accord
https://www.nytimes.[...]
2007-11-07
[58]
서적
The Modern Middle East: A Political History Since the First World W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1-03
[59]
서적
Persian Oil: A Study in Power Politics
Lawrence and Wishart Ltd
[60]
뉴스
Mossadegh Gets 3-Year Jail Term
http://partners.nyti[...]
1952-12-22
[61]
서적
Mossadegh – A Medical Biography
[62]
서적
Persian Oil: A Study in Power Politics
Lawrence and Wishart Ltd
[63]
뉴스
Eccentric Nationalist Begets Strange Histo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2-07
[64]
웹사이트
1. Iran (1905–present)
http://uca.edu/polit[...]
2018-10-05
[65]
서적
Labor unions and autocracy in Iran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66]
서적
Labor unions and autocracy in Iran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67]
백과사전
Elections I. Under the Qajar and Pahlavi Monarchies, 1906–79
http://www.iranicaon[...]
Bibliotheca Persica Press
2011-12-13
[68]
웹사이트
Six Myths about the Coup against Iran's Mossadegh
https://nationalinte[...]
2014-09-02
[69]
보고서
Despatch From the Embassy in Iran to the Department of State, No. 337 "Popularity and Prestige of Prime Minister Mohammed Mosadeq"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1953-07-01
[70]
서적
The Silent Takeover: Global Capitalism and the Death of Democracy
HarperCollins
[71]
서적
The Shia Revival
Norton
[72]
서적
The Iranians
Plume
[73]
서적
America and Iran: A History, 1720 to the Present
Vintage Books
2021
[74]
뉴스
British diplomats tried to suppress details of a MI6 role in Iran coup
https://www.telegrap[...]
2013-08-19
[75]
웹사이트
64 Years Later, CIA Finally Releases Details of Iranian Coup
https://foreignpolic[...]
2024-03-18
[76]
웹사이트
CIA admits role in 1953 Iranian coup
https://www.theguard[...]
2013-08-19
[77]
뉴스
Secrets of History: The C.I.A. in Iran
https://www.nytimes.[...]
2000-04-16
[78]
간행물
Mohammad Mosaddegh, Man of the Year
http://www.time.com/[...]
1951-01-07
[79]
웹사이트
Soraya (2003) (TV)
https://www.imdb.com[...]
IMDb
2003-10-05
[80]
웹사이트
Argo Final Shooting Script
https://www.scriptsl[...]
2020-09-15
[81]
웹사이트
Mossadegh
http://www.cleveland[...]
[82]
Youtube
Bernie Sanders on Regime Change and Mossadegh
https://www.youtube.[...]
2016-02-12
[83]
웹사이트
Bernie Sanders, Dr. Mossadegh, and US foreign policy
https://thehill.com/[...]
2016-02-29
[84]
Youtube
Bernie Sanders – The Young Turks Interview (FULL)
https://www.youtube.[...]
2016-03-23
[85]
웹사이트
Martin O'Malley: Imagine If Iran Had Continued on a Democratic Path
http://www.mohammadm[...]
[86]
웹사이트
Publications and Honors
http://hafizsahar.co[...]
2022-01-05
[87]
논문
モサッデク
[88]
논문
モサデグの外交政策への一考察(1952〜53)
https://cir.nii.ac.j[...]
1988-10
[89]
방송
新・映像の世紀 第4集 世界は秘密と嘘に覆われた
http://www6.nhk.or.j[...]
2016-01-24
[90]
서적
挑戦
[91]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