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성 LI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성 LI는 2010년 9월 7일 로버트 제이콥슨 등이 팔로마 천문대의 헤일 망원경을 사용하여 발견한 목성의 위성이다. 목성에서 약 2300만 km 떨어진 곳을 역행하며 공전하며, 공전 주기는 약 2년이고 카르메 군에 속한다. 겉보기 등급을 통해 추정된 지름은 약 2 km이며, 규질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밀도는 약 2.6 g/cm3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르메군 - 칼데네
    칼데네는 주요 주제이다.
  • 카르메군 - 카르메 (위성)
    카르메는 1938년 발견된 목성의 위성으로, 카르메군에서 가장 크며 붉은색 표면을 띠고 D형 소행성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 2010년 발견한 천체 - 2010 SO16
    2010 SO16은 지구와 1:1 공명 상태로 태양을 공전하며 안정적인 말굽 궤도를 유지하는 소행성으로, 지름 약 200m, 기하 알베도 0.16, 절대 등급 19.6을 가진다.
  • 2010년 발견한 천체 - S/2010 J 2
    S/2010 J 2는 1km 미만의 크기를 가진 목성의 작은 위성으로, 약 20,307,150km 거리에서 공전하며 150.4°의 궤도 경사각과 0.307의 궤도 이심률, 약 8823.00 km/h의 평균 궤도 속도를 갖는다.
  • 목성의 위성 - 가니메데 (위성)
    가니메데는 갈릴레이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가장 크고 태양계에서도 가장 큰 위성으로, 암석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바다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독자적인 자기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오 및 유로파와 라플라스 공명 관계를 이루고, 특이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JUICE 탐사선이 탐사 예정이다.
  • 목성의 위성 - 카르포 (위성)
목성 LI
식별 정보
명칭목성 LI
임시 명칭S/2010 J 1
발견
발견자로버트 A. 제이콥슨
마리나 브로조비치
브렛 글래드먼
마이크 알렉산더슨
발견일2010년 9월 7일
발견 장소팔로마 천문대
궤도 정보
궤도 참조https://sites.google.com/carnegiescience.edu/sheppard/moons/jupitermoons
궤도 종류카르메 군
모행성목성
긴반지름23314335 km
궤도 경사163.2°
이심률0.320
공전 주기-723.2일
물리적 특성
지름2 km
겉보기 등급23.3

2. 발견

2010년 9월 7일 로버트 제이콥슨, 마리나 브로조비치, 브레트 글래드맨, 마이크 알렉산더슨이 캘리포니아의 팔로마 천문대의 5.1 m 헤일 망원경을 사용해 목성 LI를 발견하였다.[10] 발견 당시 임시 명칭은 S/2010 J 1이었으며,[11] 5년 후 목성 LI로 명명되었다.[9]

3. 궤도

목성 LI는 목성에서 약 2300만 km 떨어진 곳을 역행하며 공전하는 불규칙 위성이다. 공전 주기는 약 2년이며, 카르메 군에 속한다.

4. 물리적 성질

반사율을 0.04로 가정했을 때, 겉보기등급으로 추정한 지름은 약 2 km이다. 주요 구성 성분은 규질 암석으로 추정되며, 밀도는 약 2.6 g/cm3로 예상된다. 그 외에 밝혀진 사실은 제한적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oons of Jupiter https://sites.google[...]
[2] 간행물 MPEC 2011-L06: S/2010 J 1 and S/2010 J 2 http://www.minorplan[...] 2011-06-01
[3] 간행물 IAUC 9222 http://www.cbat.eps.[...]
[4] 웹사이트 Jupiter's Known Satellites http://www.dtm.ciw.e[...]
[5] 간행물 CBET 4075: 20150307 : SATELLITES OF JUPITER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2015-03-07
[6] 웹사이트 Jupiter's Smallest Moon https://www.astrobio[...] 2012-06-08
[7] 간행물 IAUC 9222 http://www.cbat.eps.[...]
[8] 웹사이트 Jupiter's Known Satellites http://www.dtm.ciw.e[...]
[9] 간행물 CBET 4075: 20150307 : SATELLITES OF JUPITER 2015-03-07
[10] 웹인용 Jupiter's Smallest Moon https://www.astrobio[...] 2012-06-08
[11] 간행물 MPEC 2011-L06: S/2010 J 1 and S/2010 J 2 http://www.minorplan[...] 201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