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대한제국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근대 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건축물들을 포함하는 문화 공간으로,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제718호로 지정되었다. 114,038m² 규모의 이 공간은 602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등 다양한 개별 문화재를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포시의 문화유산 - 목포 갓바위
목포 갓바위는 영산강 하구의 풍화혈 지형으로, 삿갓을 쓴 사람 모습을 닮았으며 해수와 담수의 작용으로 형성된 정바위, 삿갓바위 두 바위와 전설, 희귀성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전라남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율촌역
율촌역은 1930년 영업을 시작한 전라선의 역으로, 소화물 및 컨테이너 화물 취급 변화와 여객·화물 취급 중단 및 재개를 거쳐 2006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선로 이설로 이전,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의 지상역으로 운영 중이다. - 전라남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나주 노안성당
1906년 두뇌 신부에 의해 건립이 시작된 나주 노안성당은 초가집에서 벽돌 기와 성당으로 확장된 후 서구식으로 변경되었으며, 화재를 극복한 이야기와 함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
지정 종류 | 국가등록문화재 |
지정 번호 | 718 |
지정일 | 2018년 8월 6일 |
위치 | 전라남도 목포시 |
면적 | 114,038m2 |
필지 수 | 602필지 |
2. 역사적 배경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대한제국 개항기에 목포 해관 설치로 시작된 근대 통상 항만의 역사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까지 이어지는 생활사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는 장소이다. 이를 통해 근현대를 관통하는 목포의 역사 문화와 생활의 변천사를 알 수 있으며,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2. 1. 대한제국 개항과 목포 해관 설치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대한제국 개항기에 목포 해관이 설치되면서 시작된 근대 통상 항만으로서의 역사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까지의 생활 모습을 함께 보여주는 곳이다. 이곳은 근현대를 아우르는 목포의 역사 문화와 생활 변천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보존과 활용의 필요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는다.2. 2. 일제강점기 목포의 변화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대한제국 개항기에 '목포 해관' 설치로 시작된 근대 통상 항만의 역사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까지 이어지는 생활사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소이다. 이 지역은 목포의 근현대 역사와 문화, 그리고 생활상의 변천 과정을 담고 있어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다. 특히 일제강점기 시기의 생활 모습 또한 이곳에 남아 있어, 당시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 3. 해방 이후와 현재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대한제국 개항기에 목포 해관이 설치되면서 시작된 근대 통상 항만의 역사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까지 이어지는 생활사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는 장소이다. 이를 통해 근현대를 관통하는 목포의 역사 문화와 생활의 변천사를 알 수 있으며,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는다.3. 세부 목록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국가등록문화재 제718호로 지정되었으며, 총 면적은 114038m2 (602필지)에 달한다. 이 공간 내에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에 이르는 시기의 역사적 건축물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15개의 건물이 개별 등록문화재(제718-1호 ~ 제718-15호)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개별 등록문화재는 주로 192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에 건립된 일본식 가옥, 상가주택, 공공건물, 창고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당시 목포의 도시 경관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각 문화재의 상세한 목록과 정보는 아래 하위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개별 문화재 목록
(602필지)
건축면적 90.24m2
연면적 122.63m2

건축면적 41.32m2
연면적 41.32m2

건축면적 94.88m2
연면적 107.11m2

건축면적 77.69m2
연면적 100.83m2

건축면적 199.33m2
연면적 244.94m2

건축면적 142.23m2
연면적 142.23m2

건축면적 61.15m2
연면적 99.16m2

건축면적 121.55m2
연면적 210.79m2

건축면적 158.68m2
연면적 290.91m2

건축면적 62.15m2
연면적 106.45m2

건축면적 120.66m2
연면적 241.32m2

건축면적 86.28m2
연면적 122.97m2

건축면적 59.4m2
연면적 97.42m2

(1964년
소유자 등록)
건축면적 105.79m2
연면적 105.79m2

건축면적 210.74m2
연면적 411.3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