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주 (미얀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 주는 미얀마 남부에 위치한 주로, 몬족의 역사적 중심지이다. 몬족은 기원전 3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인도 동부에서 이주해 상좌부 불교를 받아들이고 팔리 문자를 사용하는 등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몬 주는 19세기 영국 식민 지배를 거쳐 미얀마 독립 후 자치를 요구했으나 미얀마 정부와 갈등을 겪으며 내전을 겪기도 했다. 현재는 농업, 어업, 임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마울라먀잉을 중심으로 한 관광 산업도 발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주 - 라카인주
    라카인주는 미얀마 서부에 위치하며 벵골만과 접하고, 역사적으로 아라칸 왕국으로 알려졌으나 현재 로힝야족 문제, 빈곤, 쿠데타 이후 정치적 불안정, 무력 충돌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쌀농사와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차우피유 항을 중심으로 경제적 변화를 겪고 있다.
  • 미얀마의 주 - 샨주
    샨 주는 미얀마 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버마 왕국의 통제를 받다가 미얀마 독립 이후 정치적 격변을 겪었으며, 현재는 11개의 군, 4개의 자치구, 1개의 자치관구로 구성되어 샨 주 정부가 행정을 담당하고, 광물 채굴, 농업, 마약 거래가 주요 산업이며, 불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 안다만해 - 프를리스주
    프를리스주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작은 주로, 다양한 어원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며, 시암의 지배와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말레이시아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 농업 경제를 기반으로 관광, 제조업 등 경제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안다만해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는 벵골 만에 위치한 인도의 연방 직할지로,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고 식민 지배를 거쳐 인도 연방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 발전과 원주민 보호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몬주 (미얀마)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몬 주의 깃발 (2018)
몬 주의 깃발 (2018)
미얀마 내 몬 주의 위치
미얀마 내 몬 주의 위치
별칭없음
표어없음
지리
지역남부
면적12296.6 km2
최고 고도1294 m (세다웅 타웅)
행정
주도몰라먀인
수반 직함주수상
수반아웅 찌 테인
내각몬 주 정부
입법부몬 주 의회
사법부몬 주 고등 법원
역사
이전 명칭테나세림 구 No (1)
상태 변경1974년 1월 3일
인구
총 인구 (2014년)2,054,393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민족 구성몬족, 버마족, 앵글로-버마인, 친족, 징포족 (카친족), 카렌족 (카인족), 라카인족, 샨족, 버마-태국인, 파오족
종교불교, 이슬람교
HDI (2021)0.610
경제
실업률정보 없음
기타 정보
시간대MMT
UTC 오프셋+06:30
우편 번호정보 없음
지역 번호정보 없음
ISO 코드정보 없음
웹사이트www.monstate.gov.mm

2. 역사

현재의 미얀마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11,000년 전이지만, 처음으로 확인되는 문명은 몬족이다. 몬족은 기원전 3000년부터 기원전 1500년 사이에 인도 동부에서 동쪽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이며, 6세기에는 태국 남부의 짜오프라야강 분지에 정착하였다. 다음 세기 때 몬족은 서쪽의 미얀마 남부 이라와디강 삼각주로 이동했다. 아소카 왕의 비문에는 몬족의 최초 왕국인 디파완사가 기원전 300년에 타톤의 항구 주변에 세워졌다고 쓰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몬족은 일찍이 항해를 통해 불교와 접촉하였고 아소카 왕이 보낸 승려 사절단이 도착해 상좌부 불교로 개종하였으며 인도 문자인 팔리어를 채택하였다. 몬족의 기록의 대부분은 전쟁으로 파괴되었다. 몬족과 인도인간의 혼혈이 이루어졌고 두 문명이 합쳐져 몬 문화가 형성되었다. 825년까지 그들은 남부와 남동부 미얀마에 지배권을 확립했고 바고(페구)와 타톤과 같은 도시를 세웠으며, 9세기 중반에는 미얀마 남부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2. 1. 몬족의 기원과 초기 왕국 (6~11세기)

몬족은 현재의 미얀마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초기 정착민 중 하나로, 기원전 3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인도 동부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3] 6세기경 몬족은 짜오프라야강 분지에 정착하였고, 이후 미얀마 남부 이라와디강 삼각주로 이동했다. 몬족은 인도와의 교류를 통해 상좌부 불교를 받아들이고, 팔리어를 채택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3]

아소카 왕의 비문에는 몬족의 최초의 왕국인 디파완사가 기원전 300년에 타톤 항구 주변에 세워졌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학자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몬족의 구전에 의하면, 몬족은 해상을 통해 불교와 접촉하였고, 아소카 왕이 보낸 승려 사절단이 도착하면서 상좌부 불교로 개종하고 팔리 문자를 채택하였다고 한다.[3] 몬족의 기록 대부분은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몬족과 인도 문화가 융합되어 몬 문화가 형성되었다. 825년까지 몬족은 남부와 남동부 미얀마에 바고와 타톤과 같은 도시를 세우며 지배권을 확립했고, 9세기 중반에는 미얀마 남부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몬족의 첫 번째 왕국은 드바라바티 왕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1024년 크메르 제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번성하였다. 드바라바티 왕국의 멸망 이후, 몬족 주민들은 서쪽의 미얀마로 이동하여 새로운 왕국을 세웠으나, 이후 북쪽에서 온 미얀마족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2. 2. 몬족의 부흥과 쇠퇴 (13~18세기)

크메르 제국이 멸망한 후, 몬족은 서쪽의 미얀마로 이주하여 새로운 왕국을 건설하였다.[3] 그러나 이 왕국은 북쪽에서 온 미얀마족과 샨족의 침략으로 압박을 받았다.[3] 몬족은 아마도 기원전 3000년부터 기원전 1500년 사이에 인도 동부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되며, 6세기에는 짜오프라야강 분지에 정착하였다. 이후 몬족은 서쪽의 미얀마 남부 이라와디강 삼각주로 이동했다. 몬족의 구전에 따르면, 기원전 3세기부터 해상을 통해 불교와 접촉했으며, 기원전 2세기에는 아소카 왕이 보낸 승려 사절단을 통해 상좌부 불교로 개종하고 인도 팔리어를 채택했다. 825년경 몬족은 미얀마 남부 및 동남부에 확고히 자리를 잡고 바고와 다톤 도시를 건설했으며, 9세기 중반에는 미얀마 남부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다. 몬족의 첫 번째 왕국은 드바라바티 왕국으로, 1024년 수도가 크메르 제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번영하였다.

2. 3. 영국의 식민 지배 (19세기~20세기 초)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1824~1826) 이후 현재의 몬 주를 포함하는 저지 미얀마는 영국에 정복되었다.[3] 몬족은 전쟁 때 버마를 물리쳐주면 독립시켜 준다는 전제하에 영국을 도왔다. 시암으로 이주해있던 수많은 몬족이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영국은 몬 왕국을 복원시켜주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3] 식민지 시대에 마울라먀잉은 '작은 영국'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영국계 미얀마인이 살았지만 현재 이들은 영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로 떠나 점차 감소하고 있다.

2. 4. 미얀마 독립과 몬족의 자치 요구 (20세기 중반~현재)

1947년, 몬족은 미얀마 연방으로부터의 민족 자결을 추구했다. 그러나 미얀마 총리 우 누는 몬족의 독립적인 국가 주권은 인정될 수 없다며 이를 거부했다. 미얀마군은 몬족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지역으로 진출하여 무력 지배를 가했고, 이로 인해 미얀마 내전이 발발했다. 몬족은 몬 인민 전선을 결성했고,[3] 이 조직은 1962년에 신 몬 주당(NMSP)으로 대체되었다. 1949년 이래 몬 주의 동부 언덕은 NMSP와 그 민병 조직인 몬 국가 해방 전선 (MNLF)의 지배하에 놓였다. MNLF는 중앙 정부에 대한 투쟁뿐만 아니라 태국으로 도망칠 수 있는 유리한 국경 지역을 지배하고 있는 카렌족과도 전투를 벌였다.

1974년, 몬족 분리주의자들의 요구를 부분적으로 충족시키고 회유할 목적으로, 테나세림 (타닌타리 구) 북부, 바고 구의 페구 (바고 현)와 에야와디 강을 합한 몬족의 이론적 지배지 몬랜드(Monland) (이것이 후에 타닌타리 구 북부와 바고 구의 타웅구 현/Taungoo District영어 영역을 합한 현재의 몬 주가 되었다)가 만들어졌지만, 저항은 1995년의 NMSP와 정부 측의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 (SLORC)의 휴전 합의까지 계속되었다. 1996년, 몬 통일 연맹이 결성되었다. SLORC는 휴전 협정을 무시하고 전투를 계속했다. 몬 주에서의 인권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국제 기구는 몬 주에서의 대규모 인권 침해, 즉 강제 노동, 강제 연행, 감금, 강제 이주, 재산 몰수, 강간 등의 죄목으로 반복적으로 미얀마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3. 지리

모울메인 남쪽의 무돈 주변의 석회암 풍경


몬 주는 미얀마 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시탕 강을 사이에 두고 바고 구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카인 주와 접한다. 남쪽으로는 태국과 타닌타리 구와 접하며, 서쪽으로는 안다만해와 마르타반 만에 접한다. 몬 주는 시탕 강 하구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카렌주, 북쪽으로는 바고 관구, 남쪽으로는 따닌따리 관구와 접한다. 남동부 일부는 태국의 칸차나부리 주와 접한다. 살윈강이 마르타반만(모타마만)으로 흘러드는 하류 지역에 위치하며, 살윈강 양쪽 강변에는 마울라먀잉, 모타마 마을이 있다.

몬 주는 열대 기후로, 저위도의 바다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온난하고 습한 날씨를 보인다. 모울메인의 평균 기온은 1월에 25.6°C, 4월에 29.4°C이다. 모울메인의 연 강수량은 4800mm이고 탄톤은 5500mm이다. 특히 7월과 8월에 비가 집중된다.

3. 1. 기후

몬 주는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한다. 저위도에 위치하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온난한 기후를 보인다. 기온 변화도 미미하다. 마울라먀잉의 평균 기온은 1월 25.6℃, 4월 29.4℃이다. 연간 강수량은 마울라먀잉이 4,826mm, 타톤이 5,512mm이다. 7월과 8월에 특히 비가 많이 온다.

4. 행정 구역

몬 주의 주도는 미얀마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인 모울메인이다. 몬 주는 마울라먀잉 구역(မော်လမြိုင်ခရိုင်)과 타톤 구역(သထုံခရိုင်)의 두 개 군으로 구성된다.

몬 주의 2개 구역


몬 주 정부 청사

  • 마울라먀잉 구역
  • 몰라먀잉 군구 - (몰라먀잉)
  • 짜이마로우 군구 - (짜이마로우)
  • 짜웅존 군구 - (짜웅존)
  • 딴뵤자야 군구 - (딴뵤자야)
  • 무동 군구 - (무동)
  • 예 군구 - (예)
  • 타톤 구역
  • 따톤 군구 - (따톤)
  • 파웅 군구 - (파웅)
  • 짜이토 군구 - (짜이토)
  • 빌린 군구 - (빌린)

4. 1. 주요 도시 및 마을

마울라먀잉은 몬 주의 주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타톤은 몬족의 역사적인 도시이다. 는 몬 주 남부의 주요 도시이며, 무돈은 마울라먀잉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짜익카미는 해안 도시이며, 빌린은 몬 주 북부의 도시이다.

구가 있는 도시마을
마울라먀잉무돈Kawt-bane
타톤파웅카마왁
탄뷰자얏빌린Pha-auk
모타마Pa-nga
짜익마라짜익카미Jain-gyike
짜익토Sit-taungThein-sake
바크와이Lamine모카닌
차웅존KamarwattYwar Lut



Belu-kyun
Kalar-goke island



몬주 마울라먀잉 대학교

5. 인구

몬 주의 인구는 2014년 미얀마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54,393명이었다.[1] 몬족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버마족, 카렌족, 파오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1][4] 짜익카미에는 타이족 사회가 존재한다.[4] 주민 대다수는 불교도이며,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불교도가 몬 주 인구의 92.6%를 차지한다.[5] 이슬람교(5.8%), 기독교(0.5%), 힌두교(1%) 등 소수 종교도 존재한다.[5]

국가 승가 마하 나야카 위원회의 2016년 통계에 따르면, 몬 주에는 32,769명의 불교 승려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미얀마 전체 승가 구성원의 6.1%를 차지한다.[6] 대다수의 승려는 투담마 니카야에 속하며(79.8%), 그 다음으로 쉐귄 니카야가 있으며(14.9%), 나머지 승려는 다른 소규모 니카야에 속한다.[6] 몬 주에는 3,550명의 틸라신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미얀마 전체 틸라신 공동체의 5.9%를 차지한다.[6]

6. 경제

몬 주는 농업, 어업, 임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몬족의 경작지는 약 18,000km²이고 대부분 을 재배한다.[7] 주요 제2차 작물은 고무이다.[7] 산지에는 과수원과 고무 플랜테이션이 있는 반면에 남부의 예에서는 연안 어업과 건어물, 액젓, 한천 생산과 같은 관련 산업이 이루어진다.[7] 빈랑 생산 또한 몬 주의 지속 가능한 사업이다.[7]

thumb

다른 산업으로는 종이, 설탕, 고무 타이어 등이 있다. 따톤에는 산업부(1)에서 운영하는 고무 제품 주요 공장(버마어, Ka-Sa-La)이 있다. 숲이 면적의 약 절반을 덮고 있으며, 목재 생산은 경제의 주요 기여 요인 중 하나이다. 이 지역에서 채취되는 광물에는 소금, 안티몬, 화강암 등이 있다.[7] 천연 자원은 미얀마 최고 군 지도자들과 외국 기업에 의해서만 착취되고 있다. 현재 미얀마에 대한 가장 큰 외국인 직접 투자 중 하나는 몬 주의 천연 가스 매장량 개발을 위한 것이다. 몬 주 마을을 따라 파이프라인을 연결한 야다나 가스 프로젝트는 몬 지역과 몬족에게 위험을 초래했다.

마울라먀잉 근처의 작은 마을인 무돈에는 고무 농장과 다른 몇몇 종의 비료를 기반으로 하는 실험실을 갖춘 농업 과학 응용 연구 센터가 있다.

관광과 관련된 미래 계획은 수도 양곤과의 우수한 교통망을 통해 몬 주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 줄 것이다. 교통 노선에는 기차, 버스, 해상 노선 및 항공사가 포함된다. 새로 개통된 마울라먀잉 다리는 남부 예에서 북부 바고와 양곤까지 당일 여행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세 개의 탑 패스는 몬 주와 이웃 칸차나부리 주를 연결하는 대체 경로이다.

몬 주 투자 및 기업 이사회에 따르면, 1994년부터 2016년까지 몬 주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54억 3,300만 달러 이상이었다.[7]

6. 1. 농업

몬족의 경작지는 약 18,000km²이고 대부분 을 재배한다.[7] 주요 제2차 작물은 고무이다.[7] 산지에는 과수원과 고무 플랜테이션이 있는 반면에 남부의 예에서는 연안 어업과 건어물, 액젓, 한천 생산과 같은 관련 산업이 이루어진다.[7] 빈랑 생산 또한 몬 주의 지속 가능한 사업이다.[7]

thumb

다른 산업으로는 종이, 설탕, 고무 타이어 등이 있다. 따톤에는 산업부(1)에서 운영하는 고무 제품 주요 공장(버마어, Ka-Sa-La)이 있다. 숲이 면적의 약 절반을 덮고 있으며, 목재 생산은 경제의 주요 기여 요인 중 하나이다. 이 지역에서 채취되는 광물에는 소금, 안티몬, 화강암 등이 있다.[7] 천연 자원은 미얀마 최고 군 지도자들과 외국 기업에 의해서만 착취되고 있다. 현재 미얀마에 대한 가장 큰 외국인 직접 투자 중 하나는 몬 주의 천연 가스 매장량 개발을 위한 것이다. 몬 주 마을을 따라 파이프라인을 연결한 야다나 가스 프로젝트는 몬 지역과 몬족에게 위험을 초래했다.

마울라먀잉 근처의 작은 마을인 무돈에는 고무 농장과 다른 몇몇 종의 비료를 기반으로 하는 실험실을 갖춘 농업 과학 응용 연구 센터가 있다.

관광과 관련된 미래 계획은 수도 양곤과의 우수한 교통망을 통해 몬 주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 줄 것이다. 교통 노선에는 기차, 버스, 해상 노선 및 항공사가 포함된다. 새로 개통된 마울라먀잉 다리는 남부 예에서 북부 바고와 양곤까지 당일 여행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세 개의 탑 패스는 몬 주와 이웃 칸차나부리 주를 연결하는 대체 경로이다.

몬 주 투자 및 기업 이사회에 따르면, 1994년부터 2016년까지 몬 주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54억 3,300만 달러 이상이었다.[7]

6. 2. 어업 및 관련 산업

남부 예에서는 연안 어업과 건어물, 어장, 한천 생산과 같은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다.[7] 빈랑 생산 또한 몬 주의 지속 가능한 사업이다.[7]

6. 3. 임업

숲이 몬주 전체 면적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며, 목재 생산은 몬 주의 주요 경제 요소 중 하나이다.[7] 따톤에는 산업부에서 운영하는 고무 제품 주요 공장이 있다.[7] 이 지역에서 채취되는 광물에는 소금, 안티몬, 화강암 등이 있다.[7] 삼림 제품, 육상 및 해상 광물 자원과 같은 천연 자원은 미얀마 최고 군 지도자들과 외국 기업에 의해서만 착취되고 있다.[7]

6. 4. 광업 및 에너지

몬 주에서는 소금, 안티몬, 화강암과 같은 광물이 채취된다.[7] 천연가스 개발은 현재 미얀마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처 중 하나로, 몬 주 해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7] 야다나 가스 프로젝트는 몬 주 마을을 따라 파이프라인을 연결하여 몬 지역과 몬족에게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7] 상품의 수출입은 모울메인의 항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1994년부터 2016년까지 몬 주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54억 3,300만 달러 이상이었다.[7]

6. 5. 관광 산업

몬 주는 짜익티요 파고다 등 유명한 불교 유적지와 아름다운 해변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최근 양곤과의 교통망 개선으로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7. 교육

몬 주의 주요 교육 기관은 모울메인 대학교이다.[8] 2002-2003학년도 몬 주의 공립 학교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8]

2002-2003 학년도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교12108756
교사62003200900
학생222,00081,00026,000



마울라먀잉 대학교는 몬 주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다.[8]

8. 교통

몬 주의 주요 교통 시설로는 모울메인 공항과 예 공항이 있다. 양곤(양곤 구역)과 몬 주를 연결하는 철도와 도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해상 교통도 발달하였다. 못타마 - 몰라먀잉 사이는 살윈 강을 건너는 페리가 연결한다. 몰라먀잉에서는 다웨이(타닌다리 구역)로 가는 철도 노선 또한 운행되고 있다.

9. 주요 명소



짜익티요 파고다는 벼랑 끝에 위태롭게 놓인 금박 바위 위에 세워진 불탑으로 유명한 종교 유적지이다.[10] 짜익티사웅 파고다는 고타마 붓다의 머리카락이 있다고 전해지는 유명한 파고다이다. 깰라따 파고다는 부처가 상륙했다고 전해지는 깰라따 산에 있는 유명한 파고다이다. 따톤은 9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현재의 하부 미얀마를 통치했던 따톤 왕국의 수도였다. 무돈 캉지 파고다는 무돈 동쪽의 거대한 호수 서쪽 언덕에 있다. 윈 세인 와불상은 무돈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와불상이다. 탄뵤자얏 전쟁 묘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해 건설된 죽음의 철도(태국-미얀마 철도) 희생자들을 기리는 묘지이다. 세세 해변과 짜익카미는 아름다운 해변과 해안 사원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짜익마라 파야는 미얀마 역사상 유일한 여성 통치자인 신 소부 여왕이 서기 1455년에 지은 거대한 부처상이다. 마울라먀잉 맞은편에 위치한 벨루-쿙(빌루 섬)은 전통 수공예품으로 유명하다. 징자익 파고다는 징자익 산 정상에 있는 고대 파고다이자 은둔자 티사 및 티하의 이전 거주지이다.

참조

[1] 서적 Census Report https://drive.google[...] Ministry of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5-05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문서 Hinduism and Buddhism, An Historical Sketch http://www.gutenberg[...] Sir Charles Eliot
[4] 서적 The 2014 Myanmar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ensus Report Volume 2-C https://drive.google[...] Department of Population Ministry of Labour, Immigration and Population MYANMAR 2016-07
[5] 서적 The 2014 Myanmar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ensus Report Volume 2-C https://www.dop.gov.[...] Department of Population Ministry of Labour, Immigration and Population 2016-07
[6] 웹사이트 The Account of Wazo Monks and Nuns in 1377 (2016 year) http://www.mahana.or[...] 2021-01-19
[7] 뉴스 China Eyes Mon State Investment https://www.irrawadd[...] 2017-10-23
[8] 웹사이트 Education statistics by level and by State and Division http://www.etrademya[...] Myanmar Central Statistical Organization 2009-04-10
[9] 웹사이트 Hospitals and Dispensaries by State and Division http://www.etrademya[...] Myanmar Central Statistical Organization 2009-04-11
[10] 웹사이트 Sane Let Tin http://sanelettinres[...] 2017-09-01
[11] 문서 http://www.gutenbe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