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은 페트로비치-녜고시 가문이 지배한 세르비아 정교회의 체티네 주교가 통치하는 국가였다. 1516년 시작되어 1852년 몬테네그로 공국으로 세속화될 때까지 존재했으며, 다닐로 1세 대교구가 세속적 통치권을 갖는 블라디카(공작-주교)로서 지배했다. 이 시기 동안 주교후국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독립을 유지하려 노력했으며,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았다. 1852년 다닐로 2세가 공국을 선포하면서 주교후국은 종말을 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슬라브 국가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옛 슬라브 국가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 몬테네그로의 역사 - 몬테네그로 왕국
    1910년 몬테네그로 공국이 니콜라 1세에 의해 왕국으로 선포되었으나, 발칸 전쟁으로 영토를 확장한 후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어 1918년 세르비아와 통합,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니콜라 1세는 통합에 반대하며 망명 중 사망했다.
  • 몬테네그로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 (세르비아어)
}}
통칭몬테네그로 주교공국
정부 형태신정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 공국 (1516–1767, 1773–1852)
존속 기간1516년 ~ 1852년
지위독립 국가 (1516–1696)
수도체티네
공용어세르비아어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공식)
통화몬테네그로 페룬 (제안됨)
현재 국가몬테네그로
데모님몬테네그로인
몬테네그로 주교공국 깃발
깃발
몬테네그로 문장
몬테네그로 문장
정치
대표구베르나두르 (1756–1832)
초대 대표이반 부코티치
재임 기간1831–1834
마지막 대표페로 페트로비치
재임 기간1834–1852
통치자 직함주교
초대 주교바빌라 (법률상)
재임 기간1516–1520
초대 주교다닐로 (사실상)
재임 기간1697–1735
마지막 주교다닐로 2세
재임 기간1851–1852
입법부몬테네그로 고원 의회
역사
건국 사건설립
멸망 사건세속화
멸망 날짜3월 13일
이전 국가크르노예비치 치하의 제타
제타 국기
제타 국기
이전 국가몬테네그로 산자크
오스만 제국 국기
오스만 제국 국기
이전 국가몬테네그로 빌라예트
오스만 제국 국기
오스만 제국 국기
이후 국가몬테네그로 공국
몬테네그로 공국 국기
몬테네그로 공국 국기
기타
1796년 몬테네그로와 언덕 지역의 통합
(구) 몬테네그로와 언덕 지역의 통합 (1796년)

2. 명칭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은 역사적으로 "체티네 대교구" 또는 "체티네 수도 대교구"(Цетињска митрополијаcnr)로 불렸다.[2] 최고 직책은 대주교(vladikacnr, "공작-주교"라고도 번역됨)였다.[3] 다닐로 1세 (1697–1735)는 자신을 "다닐, 체티네 대교구장, 녜고시, 세르비아 땅의 공작"(„Данил, владика цетињски, Његош, војеводич српској земљи..."sr)이라고 칭했다.[4][5]

페타르 1세 통치 기간 동안 비옐로파블리치 평원과 '언덕'의 나머지가 국가에 통합되면서 공식적으로 "검은 산(몬테네그로)과 언덕"(Црна Гора и Брдаcnr)이라고 불렸다.[6] 트래버스 트위스는 1861년에 처음으로 영어 용어 "몬테네그로 공작-주교국"(Prince-Bishopric of Montenegro)을 사용했다.[7]

3. 역사

세르비아 정교회의 체티네 주교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체티네의 교구를 ''사실상의'' 러시아 보호령으로 전환하여 주교후(*vladika*)로서 몬테네그로를 지배했다.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의 역사는 발칸 반도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서 몬테네그로의 여러 씨족을 연계시킨 체티네의 주교 다닐로 1세로부터 시작된다. 다닐로는 주교이면서 세속적 통치권을 가진 세습제의 지위를 확립했고, 이후 페트로비치-네고쉬 가문이 몬테네그로를 통치했다.[2]

1767년부터 1773년까지는 스테판 말리가 러시아 황제 표트르 3세라고 칭하며 통치했다. 1764년부터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요반 라도니치가 몬테네그로의 명목적인 지배자가 되었지만, 페트로비치-네고쉬 가문의 지배를 무너뜨릴 수는 없었다.

1852년, 다닐로 2세는 크냐즈 (공)가 될 것을 선언하고 몬테네그로는 세속적인 공국이 되었다.

3. 1. 선출직 블라디카 시대 (1516년 ~ 1697년)

1516년, 바빌라가 몬테네그로 씨족들에 의해 통치자로 선출되면서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이 시작되었다.[8] 바빌라는 1520년에 사망했다.[8] 블라디카는 씨족 수장들과 몬테네그로의 즈보르(Zbor)라고 불리는 회의에서 선출되었는데, 이 방식은 결국 세습제로 바뀌면서 폐지되었다.

초대 블라디카인 바빌라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이 많지 않은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에 통치하며, 오보드에 인쇄소를 유지하는 데 힘썼다. 그의 후계자인 게르만 2세는 크르노예비치 가문의 이슬람 개종자 스켄데르베그 크르노예비치가 몬테네그로를 점령하려 했으나, 몬테네그로의 민간 총독 부코티치에게 격퇴되었다. 몬테네그린들은 보스니아로 진군하여 헝가리 주둔군이 있는 야이체 공성전을 해제하기도 했다.[10]

1570년, 오스만 제국의 대규모 침략이 재개되었다. 슈코더의 알리 파샤가 이끄는 두 번의 침략 중 첫 번째는 격퇴되었으나, 두 번째 침략은 몬테네그로에 큰 피해를 입혔다. 당시 주교였던 파호미예는 권위가 약해졌고, 이슬람 개종자들은 파샤의 군대를 환영하며 오보드 성을 점령하고 인쇄소를 파괴하도록 허용했다.[10] 파호미예 통치 기간 동안 몬테네그린들은 키프로스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을 위해 싸웠다.[11]

다음 블라디카인 루핌 네구스는 1594년부터 1631년까지 통치하며 바나트 봉기를 지원했다. 1604년, 1612년, 1613년에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모두 격퇴했다.[10]

  • 1604년 레슈코폴레 전투에서 루핌은 소규모 부대를 활용하여 알리-베이 미미베고비치의 군대를 격파하고 큰 피해를 입혔다.[11][12]
  • 1612년, 25,000명의 오스만 군대가 공격해 왔으나, 몬테네그로의 험준한 지형을 활용한 수비군에 의해 격퇴되었다.[10]
  • 1613년, 아르슬란-베이 발리체비치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는 두 갈래로 공격해 왔으나, 루핌이 이끄는 몬테네그로 군대에 의해 모두 패배했다. 몬테네그린들은 아르슬란-베이의 부관을 포함한 100명의 터키 장교들의 머리를 잘라 체티네 성벽에 꽂았다.[10][11]


1623년, 슈코더의 파샤 솔리만은 80,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몬테네그로를 침략하여 체티네를 점령하고 이반 크르노예비치의 수도원을 약탈했다. 그러나 몬테네그린들은 로브첸 산으로 후퇴하여 게릴라전을 펼쳤고, 결국 오스만 군대는 철수했다.[10]

마르다리예 1세, 비사리온 1세, 마르다리예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몬테네그린들은 칸디아 전쟁 (1645–1669)에서 베네치아인 편에서 싸웠고, 이후 모레아 전쟁 (1684–1699)에도 참여했다.[11] 1687년 헤르체그 노비 전투에서 몬테네그린들은 베네치아와 협력하여 오스만 군대를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카메노 들판에서 300명의 몬테네그린 군대가 토팔 파샤의 군대를 매복하여 격파했다.[15][16]

3. 2.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 통치 시대 (1697년 ~ 1852년)

세르비아 정교회의 체티네 주교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체티네의 교구를 러시아의 보호령으로 전환하여 주교후(*vladika*)로서 몬테네그로를 지배했다.

이 시기는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서 몬테네그로의 여러 씨족을 연계시킨 체티네의 주교인 다닐로 1세로부터 시작된다. 다닐로는 주교이면서 세속적 통치권을 가진 세습제의 지위를 확립했다. 이후 페트로비치-네고쉬 가문이 몬테네그로를 통치했다.[2]

1767년부터 1773년까지는 스테판 말리가 러시아 황제 표트르 3세라고 칭하며 통치한 기간이었다. 1764년부터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요반 라도니치가 구베르나두르를 칭하며 몬테네그로의 명목적인 지배자가 되었지만, 페트로비치-네고쉬 가문의 지배를 무너뜨릴 수는 없었다.

1852년, 다닐로 2세는 크냐즈 (공)가 될 것을 선언하고 몬테네그로는 세속적인 공국이 되었다.

3. 2. 1. 다닐로 1세 (1697년 ~ 1735년)

몬테네그로의 다닐로 1세


다닐로의 통치 기간 동안 몬테네그로의 더 넓은 유럽 정세에서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오스만 제국의 팽창이 점차 역전되었고, 몬테네그로는 쇠퇴하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대체할 강력한 새로운 후원자로서 러시아 제국을 찾았다. 베네치아를 러시아가 대체한 것은 특히 중요했는데, 이는 1715년 다닐로가 표트르 대제를 방문한 후 재정적 지원, 적은 영토적 이득, 그리고 1789년 오스만 제국의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 네고스 치하의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국가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결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세르비아 정교회의 체티네 주교였던 다닐로는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서 몬테네그로의 여러 씨족을 연계시켰다. 다닐로는 주교이면서 세속적 통치권을 가진 세습제의 지위를 확립했다. 다닐로의 가문인 페트로비치-네고쉬 가문은 몬테네그로를 지배했다.[2]

3. 2. 2. 사바 2세와 바실리예 3세 (1735년 ~ 1781년)

사바 대주교와 바실리예 대주교는 다닐로 대주교의 뒤를 이어 몬테네그로를 공동 통치했다. 사바는 주로 성직에 전념했으며, 그의 전임자만큼 부족장들 사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는 러시아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고, 표트르 대제의 후계자인 엘리자베타 여제로부터 상당한 도움을 받았다.[1] 그가 러시아를 방문하는 동안 그의 대리인이자 후계자인 바실리예 페트로비치는 오스만 제국에 공격받은 사람들을 지원하면서 부족들 사이에서 상당한 존경을 받았다. 그는 오스만 제국뿐만 아니라 베네치아인들에게도 미움을 받았다.[1] 바실리예는 몬테네그로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활동했으며, 이를 위해 세 번이나 러시아를 방문했고, 1766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1] 그는 또한 몬테네그로에 관한 초기 역사서 중 하나인 《몬테네그로 역사》를 저술했다.[1]

3. 2. 3. 셰판 말리 (1767년 ~ 1773년)

Šćepan Mali는 1766년 몬테네그로에 나타난 인물로, 1762년에 암살된 러시아 황제 표트르 3세를 사칭했다.[17] 몬테네그로인들은 러시아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를 황제로 받아들였다(1768년). 메트로폴리탄 사바는 셰판이 사기꾼이라고 말했지만, 사람들은 셰판을 믿고 그를 따랐다. 셰판은 사바를 스타니예비치 수도원에 가택 연금했다. 그는 매우 잔혹한 통치를 펼쳤지만, 동시에 존경과 두려움을 받았다. 러시아 외교관 돌고루키는 셰판이 몬테네그로인들을 단결시킬 수 있는 유일한 인물임을 깨닫고 그를 불신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재정적 지원까지 제공했다.[17] 1771년 셰판은 가장 존경받는 씨족 지도자들로 구성된 상설 법원을 설립하고 법원의 결정을 존중하도록 했다.[17]

셰판이 암살된 직후, 몬테네그로 부족들은 다시 혈투를 벌였다. 이 사건을 통해 셰판의 존재가 몬테네그로 통합에 매우 중요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스쿠타리 파샤인 카라 마흐무드 부샤티는 이 기회를 틈타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쿠치를 공격했지만, 피페리 씨족과 별로파블리치 씨족의 도움을 받은 쿠치는 2년 동안 두 번이나 알바니아인들을 물리쳤다.[17]

3. 2. 4. 아르세니예 플라메나츠 (1781년 ~ 1784년)

아르세니예 플라메나츠 (1781년 ~ 1784년)는 체티네 대주교였으나,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 출신은 아니었다.

3. 2. 5. 페타르 1세 (1784년 ~ 1830년)

페타르 1세는 1782년부터 1830년까지 몬테네그로를 통치한 주교후였다. 그는 매우 어린 나이에 지도자가 되었지만, 어려운 시기를 잘 헤쳐나갔다. 특히 1796년 마르티니치 전투와 크루시 전투에서 알바니아인을 상대로 승리하여 브르다 지역을 해방시키고 몬테네그로의 영토를 확장했다.[1]

1806년,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코토르만으로 진격해오자, 페타르 1세는 러시아와 연합하여 프랑스군에 맞서 싸웠다. 몬테네그로는 드미트리 세냐빈 함대의 지원을 받아 카브타트와 헤르체그노비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했다. 그러나 1807년 러시아-프랑스 조약으로 코토르만은 프랑스에 양도되었다.[1]

1813년, 몬테네그로는 러시아와 영국의 지원을 받아 코토르만을 다시 점령하고 도브로타에서 열린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와의 통합을 결의했다. 하지만 빈 회의에서 코토르만은 오스트리아에 귀속되었다. 1820년에는 몬테네그로 북부의 모라차 부족이 보스니아에서 온 오스만군을 상대로 승리했다.[1]

페타르 1세는 오랜 통치 기간 동안 부족 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몬테네그로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 또한 몬테네그로 최초의 법률을 도입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군사적 성공과 더불어 도덕적 권위를 통해 몬테네그로에 세금, 학교, 상업 기업 등 근대적인 제도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페타르 1세는 몬테네그로 국민들에게 성인으로 추앙받았다.[1]

3. 2. 6. 페타르 2세 (1830년 ~ 1851년)

페타르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17세 조카 라데 페트로비치가 대주교 페타르 2세가 되었다. 역사적, 문학적 합의에 따라 일반적으로 "녜고시"라고 불리는 페타르 2세는 현대 몬테네그로 국가와 그 후의 몬테네그로 왕국의 기초를 놓은 가장 인상적인 군주이자 주교였다. 그는 또한 명망 있는 몬테네그로 시인이었다.[18]

페타르 II 페트로비치녜고시, 몬테네그로의 영주, 시인이자 철학자


페트로비치 가문 출신의 몬테네그로 대주교와 라도니치 가문 사이에는 오랜 라이벌 관계가 존재했는데, 라도니치 가문은 오랫동안 페트로비치의 권위에 대항하여 권력을 다투었다. 이 경쟁은 페타르 2세 시대에 절정에 달했지만, 그는 이 도전을 극복하고 몬테네그로에서 라도니치 가문의 많은 구성원을 추방하여 권력을 강화했다.[18]

국내 문제에서 페타르 2세는 개혁가였다. 그는 1833년에 처음으로 세금을 도입했는데, 개인과 부족의 자유에 대한 강한 감각이 중앙 권위에 대한 의무적인 지불이라는 개념과 근본적으로 충돌하는 많은 몬테네그로 인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다. 그는 원로원, 경비대 및 페르야니크로 구성된 공식적인 중앙 정부를 창설했다. 원로원은 가장 영향력 있는 몬테네그로 가문 출신의 12명의 대표로 구성되었으며, 정부의 행정, 사법 및 입법 기능을 수행했다. 32명의 경비대는 원로원의 대리인으로서 전국을 다니며 분쟁을 중재하고 법과 질서를 관리했다. 페르야니크는 경찰력으로, 원로원과 대주교에게 직접 보고했다.[18]

1851년 사망하기 전에 페타르 2세는 조카 다닐로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그는 그에게 가정교사를 배정하고 빈으로 보냈으며, 그곳에서 그는 러시아에서 교육을 계속 받았다. 일부 역사가에 따르면 페타르 2세는 다닐로를 세속 지도자로 준비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페타르 2세가 사망했을 때, 당시 가장 부유한 몬테네그로 인물인 조르지예 페트로비치의 영향으로 원로원은 페타르 2세의 형 페로를 대주교가 아닌 공으로 선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력을 잡기 위한 짧은 싸움에서 원로원의 지지를 받은 페로는 국민들 사이에서 더 많은 지지를 받은 훨씬 젊은 다닐로에게 패배했다. 1852년, 다닐로는 자신을 공으로 하는 세속적인 몬테네그로 공국을 선포하고 교회의 통치를 공식적으로 폐지했다.[18]

3. 2. 7. 다닐로 2세 (1851년 ~ 1852년)

다닐로 2세는 1852년 크냐즈 (공)가 될 것을 선언하였고, 몬테네그로는 세속적인 공국이 되었다.

4. 통치 기구

몬테네그로 주교후국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체티네 주교주교후(블라디카)로서 다스리는 신정 정치 체제였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체티네의 교구를 ''사실상'' 러시아 제국의 보호령으로 전환했다.[1]

일반 평의회(즈보르)는 몬테네그로 부족들의 대표 회의로, 체티네 대주교의 영적 지도력을 인정하며 중요한 의사 결정을 담당했다.[1]

귀족 칭호는 다음과 같았다.[1]


  • 세르다르: (터키어 세르다르에서 유래) 부족장이자 장군[1]
  • 구베르나두르: (이탈리아어 'governatore'에서 유래) 라돈지치 형제단(1718–1831)에서 임명된 세습 칭호[1]

참조

[1] 문서 Guvernadur
[2] 서적 Дубоки слојеви тринаестојулског устанка у Црној Гори Istorijski institut Crne Gore
[3] 서적 Balkan Anschluss: The Annexation of Montenegro and the Creation of the Common South Slavic State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Matica srpska
[5] 서적 Православље у Црној Гори https://books.google[...] Svetigora
[6] 서적 Посебна издања Naučno delo
[7] 서적 The law of nations considered as independent political Communiti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Zetska episkopija i Crnogorska mitropolija do Petrovićkog perioda http://www.rastko.rs[...]
[9] 서적 Историја Југославије http://sr.wikisource[...] Narodno Delo 2011-04-27
[10] 서적 The Story of the Nations: The Balkans https://depts.washin[...] G.P. Putnam's Sons 1896
[11] 웹사이트 Momir M. Marković: Crnogorski rat https://forum.cdm.me[...] 2018-06-27
[12] 웹사이트 Владимир Ћоровић: Историја српског народа http://www.rastko.rs[...] 2018-06-27
[13] 간행물 Bitka za Herceg Novi 1687. http://montenegrina.[...] 2006-01-26
[14] 서적 Istorija Crne Gore, treće ispravljeno i dopunjeno izdanje 1998
[15] 간행물 Bitka za Herceg Novi 1687. http://montenegrina.[...] 2006-01-26
[16] 서적 Gorski Vijenac http://www.njegos.or[...] 1847
[17] 서적 Stvaranje Crnogorske drzave i razvoj Crnogorske nacionalnosti Obod 1947
[18] 문서 Jovanovic 1947, p. 233
[19] 서적 Stvaranje, 7–12 https://books.google[...] Obod
[20] 웹사이트 Montenegro http://rulers.org/ru[...] Rulers.org 2023-01-04
[21] 문서 Victoria Clark, ''Why angels fall: a journey through Orthodox Europe from Byzantium to Kosovo'' (Perché gli angeli cadono: un viaggio attraverso l'Europa ortodossa da Bisanzio al Kosovo), p. 93
[22] 문서 Robert Bideleux, Ian Jeffries,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Storia dell'Europa orientale: crisi e cambiamento), pag. 86
[23] 문서 Anthony Trollope, Saint Pauls, tomo 5, p. 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