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테귀 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테귀 대학은 1314년 루앙 대주교 질 I 아셀랭 드 몽테귀에 의해 에슬랭 대학으로 설립되었다. 1388년 피에르 아셀랭 드 몽테귀가 재정비하며 이름을 변경했으며, 1483년 얀 스탕동크가 학장으로 부임하면서 파리의 주요 신학 대학으로 성장했다.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장 칼뱅, 이냐시오 데 로욜라, 존 녹스 등 저명한 인물들이 이 대학에서 공부했다. 1792년에는 건물 일부가 병원 및 군사 감옥으로 개조되었고, 1844년부터 1850년까지는 생트-주느비에브 도서관이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대학교 - 그랑제콜
그랑제콜은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이 설립한 엘리트 양성 기관으로,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쳐 공학, 경영, 정치 등 특정 분야의 소수 정예 교육을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사회 지도층을 형성한다. - 프랑스의 대학교 - 콜레주 드 프랑스
콜레주 드 프랑스는 프랑수아 1세가 1530년에 설립한 연구 중심 교육기관으로, 학위 수여 없이 무료 공개 강좌를 제공하며, 저명한 석학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에 전념하고 프랑스 교육 및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지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몽테귀 대학 | |
---|---|
대학 정보 | |
대학 종류 | 칼리지 |
폐교 | 1792년 |
설립 연도 | 1314년 |
설립자 | 질 1 르 마에르 |
별칭 | M |
종교 | 갈리아주의 |
위치 | 파리 |
역사적 맥락 | |
전신 | 가난한 학생들의 집 |
교수진 | 에라스뮈스, 장 칼뱅, 이냐시오 데 로욜라, 프랑수아 라블레 |
영향 | 얀센주의 |
유명 동문 | 장 칼뱅 이냐시오 데 로욜라 에라스뮈스 프랑수아 라블레 에티엔 도레 장 뒤 베이에 다르동 장 드 라 포르트 피에르 가상디 장 라신 |
관련 정보 | |
소속 | 파리 대학교 |
학부 | 예술 학부 |
2. 역사
몽테귀 대학은 1314년 루앙 대주교였던 질 I 아셀랭 드 몽테귀( Gilles I Aycelin de Montaigufra )가 '''에슬랭 대학'''( Collège des Aicelinsfra )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웠다.[1][5] 이후 1388년, 그의 친척인 피에르 아셀랭 드 몽테귀( Pierre Aycelin de Montaigufra ) 네베르 및 라온 주교가 대학을 재정비하면서 현재의 이름인 '''몽테귀 대학'''( Collège de Montaigufra )으로 바꾸었다.[2][6]
1483년 얀 스탕동크가 학장으로 부임하면서 대학은 크게 발전하여 파리의 주요 신학 대학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3] 이 시기 에라스무스, 장 칼뱅, 이냐시오 데 로욜라, 존 메이어, 존 녹스 등 여러 저명한 인물들이 이 대학에서 수학했다.[1][3]
1792년, 대학 건물의 일부는 병원과 군사 감옥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감옥은 1836년에 폐쇄되었고, 건물은 1842년에 철거되었다. 이후 1844년부터 1850년에 걸쳐 원래 대학 부지에 생트-주느비에브 도서관이 건설되었다.[4]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314년 루앙 대주교이던 질 I 아셀랭 드 몽테귀( Gilles I Aycelin de Montaigufra )에 의해 '''에슬랭 대학'''( Collège des Aicelinsfra )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워졌다.[1][5] 이후 1388년, 그의 친척인 피에르 아셀랭 드 몽테귀( Pierre Aycelin de Montaigufra ) 네베르 및 라온 주교가 대학을 재정비하면서 현재의 이름인 '''몽테귀 대학'''( Collège de Montaigufra )으로 바꾸었다.[2][6]1483년, 얀 스탕동크( Jan Standonckfra )가 학장으로 부임하면서 대학은 크게 발전하였다. 스탕동크의 지도력과 그의 제자 노엘 베다( Noël Bédafra )의 지휘 아래, 몽테귀 대학은 파리의 주요 신학 대학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3]
이 시기 대학에는 저명한 인물들이 많이 거쳐갔다. 대표적으로 에라스무스, 장 칼뱅, 이냐시오 데 로욜라(이후 생트-바르브 대학으로 옮김) 등이 이곳에서 공부했다.[3] 또한 포르투갈의 영향력 있는 교사이자 외교관인 디에고 데 고베이아( Diogo de Gouveiapor )도 학생이었다.[3] 스코틀랜드 출신으로는 철학자 존 메이어(이후 이 대학에서 신학 교수가 됨), 역사가 헥토르 보에세( Hector Boeceeng ), 왕실 변호사 패트릭 패니터( Patrick Panitereng ), 그리고 종교 개혁가 존 녹스 등이 수학했다.[3] 건축가이자 교육자인 장-니콜라-루이 뒤랑( Jean-Nicolas-Louis Durandfra ) 역시 건축으로 전향하기 전에 이 대학에 다녔다.[3]
에라스무스는 그의 저서 ''격언집''(Adagialat)에서 스탕동크 시절의 대학 생활에 대해 썩 좋지 않은 기억을 남기기도 했다.[3]
2. 2. 얀 스탕동크와 전성기
1483년, 얀 스탕동크가 대학의 학장이 되면서 몽테귀 대학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2] 스탕동크와 그의 제자 노엘 베다의 지도 아래, 대학은 파리의 주요 신학 대학 중 하나로 크게 발전했다. 이 시기 몽테귀 대학은 유럽 전역에서 온 많은 인재들을 배출했으며, 이는 대학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당시 몽테귀 대학에서 수학했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3]
이름 | 주요 활동 분야 | 비고 |
---|---|---|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 인문주의자, 신학자 | |
존 칼빈 | 신학자, 종교 개혁가 | |
로욜라의 이냐시오 | 예수회 설립자 | 생트-바르브 대학으로 옮기기 전 재학 |
디에고 데 고베이아 | 교육자, 외교관 | 포르투갈 출신 |
존 메이저 | 철학자, 신학자 | 스코틀랜드 출신, 이후 대학에서 신학 강의 |
헥토르 보에세 | 역사가 | 스코틀랜드 출신 |
패트릭 패니터 | 왕실 변호사 | 스코틀랜드 출신 |
존 녹스 | 종교 개혁가 | 스코틀랜드 출신 |
조지 던다스 | 스코틀랜드 출신, 재학 추정 | |
장-니콜라-루이 뒤랑 | 건축가, 교육자 | 건축으로 전향하기 전 재학 |
특히 에라스무스는 그의 저서 ''격언집''에서 스탕동크 시절의 대학 생활에 대한 회고를 남겼다. 그는 유료 학생으로 비교적 특권을 누렸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엄격하고 힘든 생활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은 기억을 기록했다.
2. 3. 저명한 동문
몽테귀 대학은 여러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다. 대표적인 학생으로는 인문주의자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종교 개혁가 장 칼뱅, 그리고 예수회 설립자인 이냐시오 데 로욜라가 있다. 다만 로욜라는 이후 생트-바르브 대학으로 옮겼다.[1][5][3]스코틀랜드 출신 학자들도 다수 수학했으며, 철학자 존 메어는 이후 모교에서 신학 교수가 되기도 했다.[1][3] 역사가 헥토르 보에세, 왕실 변호사 패트릭 패니터(Patrick Paniter), 종교 개혁가 존 녹스 역시 이 대학 동문이다.[1][3] 조지 던다스(George Dundas)도 이곳에서 공부했을 가능성이 있다.[3] 포르투갈 출신의 영향력 있는 교사이자 외교관인 디에고 데 고베이아(Diogo de Gouveia)와[3] 프랑스의 건축가이자 교육자인 장-니콜라-루이 뒤랑(Jean-Nicolas-Louis Durand) 역시 건축 분야로 전향하기 전에 이 대학에 다녔다.[3]
에라스무스는 그의 저서 ''격언집''에서 얀 스탕동크가 학장으로 있던 시절의 대학 생활을 회고했는데, 특권을 가진 유료 학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경험을 긍정적으로 기억하지는 않았다.[3]
2. 4. 에라스무스의 회고
에라스무스는 그의 저서 ''격언집''에서 스탕동크가 학장으로 있던 시절의 대학 생활에 대한 회고를 남겼다. 에라스무스는 특권을 가진 유료 학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대학 생활에 대해 그다지 유쾌하지 않은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2. 5. 18세기 이후
1792년, 대학 건물의 일부는 병원과 군사 감옥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이후 감옥은 1836년에 폐쇄되었고, 건물은 1842년에 철거되었다. 1844년부터 1850년에 걸쳐 원래 대학이 있던 자리에 생트-주느비에브 도서관이 건설되었다.[4]참조
[1]
웹사이트
John Maior
http://www.gap-syste[...]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11-12-03
[2]
서적
Colloquies: Collected Works of Erasmus 39-4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
서적
Précis of the lectures on architecture : with, Graphic portion of the lectures on architecture
https://www.worldcat[...]
Getty Research Institute
2000
[4]
웹사이트
Montaigu, ancien collège transformé en pénitencier militaire
https://prisons-cher[...]
2010-03-14
[5]
웹인용
John Maior
http://www.gap-syste[...]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11-12-03
[6]
서적
Colloquies: Collected Works of Erasmus 39-4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