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묘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묘포는 식물을 재배하고 판매하는 시설로, 판매 방식, 재배 방법,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 묘목은 씨앗, 삽수, 조직 배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생산되며, 관개, 지형, 토양 조건과 같은 요소가 묘목 생산에 중요하다. 묘목은 내한성, 크기, 생산 시스템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근삽, 용기, 구근 포장 등의 방식으로 판매된다.

2. 묘목의 종류

묘목은 생산 목적과 재배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2. 1. 판매 방식에 따른 분류

묘포는 일반적으로 도매 묘포와 소매 묘포로 분류되며, 운영 방식에 따라 일부 중복될 수 있다. 도매 묘포는 소매 묘포에 판매할 식물을 대량으로 생산한다.[5][6]

도매 묘포는 소규모 사업체일 수도 있고, 수백 에이커에 달하는 대규모 사업체일 수도 있다. 식물 재료를 번식시키거나 다른 묘포에서 구매하는데, 뿌리내린 또는 뿌리내리지 않은 삽수, 플러그라고 하는 작은 뿌리 식물, 또는 원하는 크기까지 심고 재배하는 노지 재배 나출근 식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도매 묘목장은 특정 수량과 크기의 식물을 주문하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계약에 따라 식물을 생산하는 반면, 다른 묘목장은 다른 묘목장 및 조경업자에게 판매할 광범위한 식물을 생산하며 선착순으로 판매한다. 소매 묘목장은 조경에 배치하거나 가정 및 사업에 사용할 준비가 된 식물을 판매한다.

2. 2. 재배 방법에 따른 분류

번식 묘포는 씨앗, 삽수, 조직 배양, 접목, 또는 분근을 통해 새로운 식물을 생산한다.[7] 그 후 식물을 판매 가능한 크기로 키워 다른 묘포에 판매하여 더 큰 용기에서 계속 키우거나 원하는 크기로 밭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

묘포는 노지, 컨테이너 밭, 터널 또는 온실에서 식물을 재배한다. 노지에서는 묘포에서 관상용 나무, 관목, 그리고 초본성 다년생 식물을 재배한다. 컨테이너 밭에서는 묘포에서 작은 나무, 관목, 그리고 초본 식물을 재배하며, 일반적으로 가든 센터에서 판매할 예정이다.

3. 묘목 생산 방법

묘목 생산은 크게 번식과 육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3. 1. 번식

번식 묘포는 씨앗, 삽수, 조직 배양, 접목, 또는 분근을 통해 새로운 식물을 생산한다. 그 후 식물을 판매 가능한 크기로 키워 다른 묘포에 판매하여 더 큰 용기에서 계속 키우거나 원하는 크기로 밭에서 재배할 수 있다.[7] 번식 묘포는 소매 판매에 충분한 식물 재료를 판매할 수도 있으며, 소매 묘포나 가든 센터에 직접 판매하기도 한다(자체 식물을 번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7]

꽃이 핀 난초 식물로 가득 찬 작은 묘포


재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도랑을 사용하는 나무 묘포

3. 2. 육묘

묘포는 번식된 어린 묘목을 판매 가능한 크기까지 키우는 과정을 말한다. 크게 노지 육묘와 시설 육묘로 나눌 수 있다.
노지 육묘: 밭에서 묘목을 키우는 방식으로, 나무, 관목, 초본성 다년생 식물 등을 재배한다. 묘목의 생육 환경 조절이 어렵지만,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8]
시설 육묘: 온실이나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 내에서 묘목을 키우는 방식이다. 주로 작은 나무, 관목, 초본 식물을 재배하며, 가든 센터에서 판매할 목적으로 생산한다. 시설 내에서는 환기, 햇빛 등을 조절하여 묘목의 생육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묘목을 생산하는 데 유리하다.[7]

묘목은 씨앗으로 재배할 수도 있지만, 싹 끝이나 뿌리에서 채취한 삽수를 심는 방법이 일반적이다.[7]

3. 3. 컨디셔닝

묘포는 식재 후 스트레스에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묘목을 적합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여러 묘포 처리 방법들이 시도, 개발 및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Buse와 Day (1989)는[9] 흰가문비나무와 검은가문비나무 이식묘의 컨디셔닝이 형태, 생리, 그리고 식재 후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적용된 처리 방법은 뿌리 자르기, 묘목 흔들기, 375kg/ha의 비료 시비(칼륨)였다. 뿌리 자르기와 묘목 흔들기는 묘포에서 묘목의 키, 근원경, 지상부:뿌리 비율, 맹아 크기를 감소시켰지만, 식재 후 생존율이나 생장을 개선시키지는 못했다. 비료 시비는 검은가문비나무의 뿌리 생장을 감소시켰지만, 흰가문비나무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4. 묘목 생산의 중요 요소

묘목 종류는 생존 기록, 성장률, 생존한 나무의 총 비용을 기준으로 선택한다.[72] Kittredge[73]는 레이크 스테이츠(Lake States)에서 2+1 흰가문비나무 묘목이 성공 가능성이 가장 낮은 크기이지만, 더 크고 비싼 묘목보다 생존 나무의 최종 비용 면에서 더 낫다고 결론지었다. 묘포에서 묘목 나이는 숫자로 표시하는데, 첫 번째 숫자는 씨앗 침대에서 보낸 기간, 두 번째 숫자는 이식 라인에서 보낸 햇수를 나타내며, 이식하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표시한다. 세 번째 숫자가 있다면, 두 번째 묘목 옮겨심기 이후 보낸 햇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2+0은 이식되지 않은 2년생 묘목을, 흰가문비나무 2+2+3 묘목은 씨앗 침대에서 2년, 이식 라인에서 2년, 두 번째 이식 후 이식 라인에서 3년을 보냈음을 의미한다.[71]

4. 1. 관개

식물은 성장하기 위해 물이 필요하다. 물의 필요량은 식물 종, 날씨, 토양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온타리오에서는 식물이 물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늦봄과 여름에 관개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온타리오의 기후 패턴을 보면 이 시기는 강수량이 가장 적은 시기이기도 하다.[11] 일부 묘포에서는 댐을 건설하거나 수로를 변경하거나[12] 인공 연못을 만들어 수원을 조성하기도 한다. 수원과 펌프는 밭과 가까워야 한다.[13] 이 경우 적절한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 물의 pH와 화학 물질을 검사해야 한다. 두 가지 일반적인 관개 시스템은 점적 관개와 살수 관개이다.

4. 2. 지형

식물 묘포의 적절한 경사는 1~2도이다. 5도를 초과하면 묘포가 토양 침식에 취약해진다.[14] 묘포 재배는 경사면을 가로질러 열을 지어 심어야 한다.[15] 묘포의 지형에 침식이 발생할 수 있는 구역이 있는 경우, 립랩과 같은 침식 방지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16] 지형은 묘포의 설계 및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치며, 열을 심는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17] 또한 방풍림을 심을 위치에도 영향을 미친다. 평평한 경사면에 개방된 지역에는 방풍림이 필요하다.[18]

4. 3. 토양 조건

묘포에서 건강한 작물을 생산하려면 건강한 토양이 필요하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고 양분 보유 능력이 좋아야 한다. 묘포는 토양 검사를 통해 pH 수준과 토양 내 영양소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19] 토양 배수를 테스트하는 한 가지 방법은 직경 약 10.16cm, 깊이 약 45.72cm의 구멍을 파는 것이다. 구멍에 물을 채우고 한 시간 동안 놔두어 토양을 포화시킨다. 다음으로 구멍에 다시 물을 채우되, 상단 약 5.08cm는 물이 없도록 한다. 한 시간 후 자 등으로 구멍에서 빠져나간 물의 양을 측정하여 토양의 배수 능력을 판단한다. 수위가 약 1.27cm 이하로 떨어지면 배수가 불량한 것이고, 약 1.27cm에서 약 2.54cm 사이로 떨어지면 중간 속도로 배수되는 것이다. 약 2.54cm 이상이면 토양 배수가 빠른 것이다.

5. 묘목의 내한성

묘목은 서리 피해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다. "경화되지 않은" 묘목이 서리에 노출되면 피해가 치명적일 수 있다. 내한성은 무작위 묘목 개체군 중 특정 비율이 생존하거나 주어진 수준의 피해를 입는 최소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20][21] LT50 (개체군의 50%에 대한 치사 온도)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온타리오에서 내한성 결정은 주간 샘플링에서 2cm에서 3cm 길이의 주간 터미널 팁의 전해질 누출을 기반으로 한다.[22] 팁을 얼린 다음 해동하고 증류수에 담근 후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는데, 이는 세포막이 얼어서 파열되어 전해질이 방출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15°C의 내한성 수준은 온실에서 용기 묘목을 외부로 옮길 준비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40°C는 냉동 보관 준비 상태를 결정하는 수준이었다.[23]

이전 기술에서는 화분 묘목을 냉동고에 넣고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수준으로 냉각시켰다. 제거 후 며칠 뒤, 묘목의 냄새, 전반적인 시각적 외관, 형성층 조직 검사 등 다양한 기준으로 피해를 평가했다.[24]

가을 식재를 위한 묘목은 적절하게 경화되어야 한다. 구과식물 묘목은 정단 싹이 형성되고 줄기와 뿌리 조직의 성장이 멈추면 경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종에서 휴면을 나타내는 다른 특징으로는 잎의 색깔과 강성이 있지만, 흰 가문비나무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6. 산림 묘목

산림 묘목은 숲 조성 및 산림 복원 등에 사용되는 묘목을 말한다. 묘포 토양은 숲 토양보다 비옥도 개선이 용이하여, 비료 주기 등을 통해 묘목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질소, , 칼륨은 비료로 정기적으로 공급되며, 칼슘마그네슘은 가끔 공급된다. 비료 질소 시용은 토양에 축적되지 않지만, 인과 칼륨은 장기간 사용 가능한 저장고로 축적될 수 있다.[25] 시비는 묘목의 성장을 촉진하며, 비료를 준 흰가문비나무는 비료를 주지 않은 묘목보다 키가 두 배에 달했다.[26] 그러나 과도한 영양분 공급은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다른 영양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며,[27][28][29] 겨울 날씨를 견딜 수 있는 휴면 상태 발달을 방해할 수 있다.[30]

6. 1. 묘목의 크기와 생장

묘목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며, 식재를 위해 굴취할 때 가장 작은 크기의 발육 부진 개체는 제거되지만, 특히 뿌리가 노출된 묘목의 경우 크기 범위가 상당히 크다.[31][32]

Dobbs (1976)[31]와 McMinn (1985a)[32]의 연구에 따르면, 2+0 뿌리 노출 백가문비나무의 생육은 식재 묘목의 초기 크기와 관련이 있었다. 묘목을 신선한 무게에 따라 크고, 중간, 작음으로 분류했을 때, 작은 묘목(원래 묘목의 20%)은 식재 시 큰 묘목 건조 물질량의 4분의 1에 불과했다. 10년 후, 칼날로 긁어 놓은 지역에서 큰 묘목은 작은 묘목보다 줄기 부피가 거의 50% 더 컸으며, 부지 정비를 하지 않았을 때는 두 배 이상 컸다.

뿌리 생장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표본 추출된 2+1 이식묘를 재분류한 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33][34] 큰 묘목은 작은 묘목보다 더 높은 RGC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질량을 가졌다.

식재 시 큰 크기의 가치는 다른 식생과의 경쟁이 치열할 때 특히 두드러지지만, 초기 질량이 높다고 해서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32] 식재 묘목의 생장 잠재력은 크기보다 훨씬 더 많은 요인에 달려 있다.

Paterson과 Hutchison (1989)은 온타리오 농장에서 다양한 백가문비나무 묘목 유형(2+0, 1.5+0.5, 1.5+1.5, 3+0) 간의 현장 성능을 조사했다.[35] 그 결과, 7년 후 전체 생존율은 97%로 묘목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높이가 234cm인 1.5+1.5 묘목은 다른 묘목 유형보다 18%에서 25% 더 컸으며, 흉고 직경(dbh) 또한 30-43% 더 컸다. 가장 좋은 묘목 유형은 가장 못한 묘목보다 57cm 더 키가 크고 흉고 직경이 1cm 더 컸다. 굴취 날짜는 생장이나 생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Lajzerowicz 등(2006)은 브리티시컬럼비아 남부 산맥의 고지대 지역에서 다양한 크기의 개간지에 식재된 엥겔만 가문비나무와 아고산 전나무의 생존과 생장을 비교했다.[36] 5년 또는 6년 후 생존율은 작은 개간지에서 감소했으며, 높이와 직경 또한 개간지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감소했다. 큰 개간지(≥1.0 ha)에서 6년까지의 높이 증가는 10cm에서 20cm 사이였다. Lajzerrowicz 등은 침엽수를 브리티시컬럼비아 남부 산맥의 고지대 벌채지에 심는 것은 산림 한계선에 가까워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으며, 0.1 ha 이상의 개간지를 기반으로 하는 집단 선택 조림 시스템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0.1 ha 미만의 개간지는 적절한 생존율을 얻거나 식재된 침엽수의 생장을 위한 적절한 조건을 제공하지 못한다.

묘포 내 특정 묘목의 씨앗 침대에서 보낸 기간은 일련의 숫자 중 첫 번째 숫자로 표시된다. 두 번째 숫자는 이식 라인에서 보낸 햇수를 나타내며, 이식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표시한다. 세 번째 숫자가 있다면, 두 번째 묘목 옮겨심기 이후에 보낸 햇수를 나타낸다. 숫자는 때때로 대시로 구분되지만, 각 숫자의 합이 묘목의 나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더하기 기호로 구분하는 것이 더 논리적이다.

특정 장소에 사용할 묘목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생존 기록, 성장률, 생존 나무의 총 비용을 기준으로 선택된다.[72]

7. 묘목의 종류(생산 시스템)

묘목은 근삽(bare root), 용기 재배,[75] 구근 포장(ball & burlap)[76]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해 생산, 판매된다. 북미 지역에서는 미국 묘목 표준(ANSI Z.60.1)[79] 및 캐나다 묘목 표준에 따라 묘목 크기, 구경과 높이 비율, 뿌리 덩어리 크기 등의 범주를 결정한다.[75]

각 생산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근삽(Bare root) 묘목

근삽(Bare root) 묘목은 뿌리에 흙이 붙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다.[80] 주로 겨울철에 굴취하여 봄철에 판매하거나 식재한다.[80] 근삽 식물에는 초본 및 목본 다년생 식물이 포함된다.[75] 이들은 수확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밭에서 재배된다.[80] 휴면 기간 동안에는 파내어 묶은 후, 촉촉한 배지에 뿌리를 보관한 채 시원한 창고에 보관했다가 판매하거나,[83] 봄에 다시 밭에 심는다. 밭에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폐기한다. 근삽 묘목은 뿌리가 돌 수 있는 용기가 없어 뿌리 묶임 문제가 없으며, 뿌리 변형과 해충이 없어야 한다.[75]

7. 2. 용기(Container) 묘목

크기나 재료에 관계없이 용기에 담겨 자란 식물은 용기 재배 식물 재료로 간주된다.[75] 용기 재배는 식물 재료를 유지하고 운송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기 재배 식물은 뿌리가 용기 측면에 닿아 돌기 시작하면 부실한 뿌리 구조가 발달한다. 뿌리가 용기 주위를 돌면 식물이 뿌리 묶임으로 간주된다.[75]

용기 재배 식물은 야외에서 일정 크기까지 키운 후 용기에 이식하거나, 시장에 판매 가능한 크기까지 용기에서 키울 수 있다.[80] 밭이 아닌 용기에서 키울 경우, 식물이 뿌리 묶임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용기 크기를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75]

작물이 뿌리 묶임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공기 전정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공기 전정 용기에는 배양토와 뿌리가 공기에 노출되는 공간이 있다.[81] 공기는 뿌리 끝이 자라서 용기 주위를 도는 것을 막는다.[81] 묘포에서는 트랙터에 연결된 "U"자형 또는 선형 칼날로 뿌리를 기계적으로 전정하기도 한다.[82] 용기 재배는 모든 식물 종에 사용할 수 있다.[75]

7. 3. 구근 포장(Ball & Burlap) 묘목

묘포에서 식물을 밭에서 파낼 때, 흙과 함께 굴취하여 삼베로 감싸고 밧줄로 묶어 판매하는 방식을 구근 포장(ball & burlap)이라고 한다. 필요에 따라 철망 바구니를 사용하여 지지하기도 한다.[75] 이 방식은 굴취 과정에서 뿌리 시스템의 90% 가까이를 잃게 된다.[84] 뿌리 덩어리의 크기는 나무의 굵기(구경)와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75] 뿌리 덩어리는 대부분의 뿌리 시스템을 유지하고, 옮기거나 심는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를 확보해야 한다.

7. 4. 묘목의 단계별 명칭

라이너는 1~2년생 어린 묘목을 말하며, 뿌리가 드러난 상태(근삽, bare root) 또는 용기(container)에 담긴 상태로 판매될 수 있다.[75] 채찍(Whip)은 줄기만 있고 가지가 거의 없는 나무 묘목이다. 채찍은 경목 삽목, 묘목에서 키우거나, 원하는 품종의 단일 눈을 접목할 접목 번식 방법인 아접법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75] 접목의 경우, 대목이 접수보다 더 오래된 것이 된다.[75]

참조

[1] 웹사이트 Silver Leaf Nursery & Garden Centre, Landscaping https://www.silverle[...] 2024-03-27
[2] 웹사이트 NVK Nurseries https://www.nvknurse[...] 2024-03-27
[3] 서적 Paperback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5-10
[4] 서적 Ornamental Horticulture https://books.google[...] Reston Publishing Company 1982
[5] 웹사이트 Nursery https://www.britanni[...] 2024-01-31
[6] 서적 APPLIED BOTANY https://books.google[...] American Academic Press 2017-08-14
[7] 서적 The Manual of Australian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8] 웹사이트 The Reforestation Pipeline https://www.american[...] 2022-03-16
[9] 간행물 Conditioning three boreal conifers by root pruning and wrenching USDA, For. Serv. 1989
[10] 웹사이트 Starting a commercial nursery in Ontario. https://www.ontario.[...] 2022-07-18
[11] 간행물 OMAF Publication 841, Guide to Nursery and Landscape Plant Production and IPM https://files.ontari[...]
[12] 웹사이트 Starting a commercial nursery in Ontario. https://www.ontario.[...] 2022-07-18
[13] 간행물 Guide To Nursery And Landscape Plant Production And IPM. https://nurserycrop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7
[14] 웹사이트 Starting a commercial nursery in Ontario. https://www.ontario.[...] 2022-07-18
[15] 간행물 Guide To Nursery And Landscape Plant Production And IPM. https://nurserycrop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7
[16] 간행물 Guide To Nursery And Landscape Plant Production And IPM. https://nurserycrop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7
[17] 간행물 Guide To Nursery And Landscape Plant Production And IPM. https://nurserycrop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7
[18] 웹사이트 Starting a commercial nursery in Ontario. https://www.ontario.[...] 2022-07-18
[19] 웹사이트 Starting a commercial nursery in Ontario. https://www.ontario.[...] 2022-07-18
[20] 간행물 Evidence from increase in ribonucleic acid and protein synthesis in autumn for increase in proto plasm during frost hardening of black locust bark cells 1963
[21] 간행물 Environmental control of cold acclimation in douglas-fir during germination, active growth, and rest 1975
[22] 간행물 A one-day test for determining frost hardiness u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echnique Ont. Min. Nat. Resour. 1987
[23] 간행물 The role of operational frost hardiness testing in the development of container stock hardening regimes in Ontario 1997
[24] 간행물 Carbohydrate reserves and root growth potential in Douglas-fir seedlings before and after cold storage 1982
[25] 간행물 Forest tree nursery soil management Ont. Dep. Lands & Forests, Timber Branch 1961
[26] 간행물 The growth and absorption of nutrients by fertilized and unfertilized white spruce seedlings 1966
[27] 간행물 White spruce: artificial regeneration in Canada Dep. Environ., Can. For. Serv. 1976
[28] 간행물 Altering seedling physiology to improve reforestation success Martinus Nijhoff/Dr. W. Junk 1984
[29] 간행물 Forest tree nursery soil management and related practices – metric edition Ont. Min. Nat. Resour., Div. For. For. Manage. Branch 1979
[30] 간행물 (E.P. 640.66), Growth of Douglas-fir and white spruce seedlings treated with slow release fertilizers in the nursery B.C. Min. For. 1980
[31] 간행물 Effect of initial mass of white spruce and lodgepole pine planting stock on field performance in the British Columbia Interior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1976
[32] 간행물 Effect of initial mass on the field performance of white spruce planting stock Can. For. Serv. 1985
[33] 간행물 Root growth capacity and field performance of various types and sizes of white spruce stock following outplanting in the central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Waldbau-Institut, Univ. Freiburg 1980
[34] 간행물 Field performance of various sizes of white spruce stock in recently cut and backlog sites Can. For. Serv. 1984
[35] 간행물 Red pine, white pine, white spruce stock type comparisons Ont. Min. Nat. Resour. 1989
[36] 논문 Performance of planted Engelmann spruce and subalpine fir seedlings in British Columbia's southern mountains 2006
[37] 간행물 Preliminary height expectations of Engelmann spruce plantations for three elevations in the Nelson Forest Region B.C. Min. For. Nelson For. Region 1995
[38] 서적 Terminology of Forest Science, Technology, Practice and Products Soc. Amer. For., Washington DC 1971
[39] 논문 Evaluation of planting stock quality: Evaluation of stock after planting 1980
[40] 간행물 Plantation establishment in the boreal forest: planting season extension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Sault Ste. Marie ON 1982
[41] 간행물 Plantation establishment in boreal Ontario: a study of spring planting and mechanization Gov't Can., Can. For. Serv., Sault Ste. Marie ON 1987
[42] 간행물 Planting the southern pines USDA For. Serv. 1954
[43] 간행물 Early survival and growth of white spruce plantations, Riding Mountain National Park, Manitoba Can. Dep. For. Rural Devel., For. Branch, Ottawa ON 1968
[44] 간행물 Plantation establishment in the boreal forest: nutrient redistribution during mechanized planting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Sault Ste. Marie ON 1979
[45] 논문 Morphological grading of white spruce nursery stock 1981
[46] 간행물 Characterization of plant material 1980
[47] 간행물 How far do seedling standards reflect seedling quality? 1976
[48] 간행물 Planting stock quality monitoring Canadian Forestry Service, Northern Forestry Centre, Edmonton, Alberta 1986
[49] 논문 The rhizometer – a new device for measuring roots of tree seedlings 1968
[50] 논문 New methods for measuring root growth capacity: their value in assessing lodgepole pine stock quality 1979
[51] 논문 Heat damage in tree seedlings and its prevention 1990
[52] 논문 Diurnal variation in heat tolerance and heat shock protein expression in black spruce (''Picea mariana'') 1995
[53] 논문 Heat shock proteins of higher plants 1981
[54] 논문 Heat chock in plants 1985
[55] 논문 Presence of heat shock mRNAs in field grown soybeans 1985
[56] 학위논문 The induction of thermotolerance and heat shock protein synthesis in ''Picea mariana'' seedlings by heat conditioning 1991
[57] 논문 Clonal variation in heat tolerance and heat shock protein expression in black spruce 1992
[58] 간행물 Storaging of bare-root planting stock 1982
[59] 논문 Root growth capacity in coniferous forest trees 1990
[60] 학위논문 The periodicity of root regeneration potential of black and white spruce and jack pine nursery seedlings 1973
[61] 논문 Root regeneration of fall-lifted white spruce nursery stock in relation to soil moisture content 1975
[62] 학위논문 Root generation of 3+0 white spruce varies with root system size, post-planting moisture and climate 1997
[63] 논문 Poor survival and the physiological condition of planting stock 1955
[64] 논문 Does RGP predict field performance? A debate 1997
[65] 논문 Modification of root IAA concentrations, tree growth, and survival by application of plant growth regulating substances to container-grown conifers 2001
[66] 논문 Plantation establishment in the boreal forest: glyphosate, hexazinone, and manual weed control 1984
[67] 논문 Planting stress in newly planted jack pine and white spruce. I. Factors influencing water uptake 1988
[68] 논문 Environmental and physiological control of needle conductance for bare-root black spruce, white spruce, and jack pine seedlings on boreal cutover sites 1986
[69] 논문 Water relation patterns of bare-root and container jack pine and black spruce seedlings planted on boreal cut-over sites 1987
[70] 논문 The effect of humidity on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s of white spruce seedlings during the early establishment phase 1996
[71] 간행물 Seedlings versus transplants at Petawawa Forest Experiment Station 1929
[72] 간행물 Forest planting in the Intermountain region USDA, For. Serv., Washington DC 1925
[73] 논문 Forest planting in the Lake States 1929
[74] 서적 Regenerating Oregon's Forests Oregon State Univ. Exten. Serv., Corvallis OR 1978
[75] 서적 Canadian Nursery Stock Standard Ninth Edition Canadian Nursery Landscape Association 2017
[76] 간행물 Wire Baskets: A Further Look 1990
[77] 서적 Forest Nursery Manual: Production of Bareroot Seedlings Nijhoff/Junk, Boston MA 1984
[78] 간행물 How to grow tree seedlings in containers in greenhouses USDA, For. Serv., Rocky Mountain For. Range Exp. Sta., Fort Collins CO 1979
[79] 서적 American Standard for Nursery Stock AmericanHort 2014
[80] 웹사이트 Starting a commercial nursery in Ontario https://www.ontario.[...]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2-07-18
[81] 간행물 A common-sense approach to root pruning 2019
[82] 간행물 Pruning Roots during Plant Production Horticultural Sciences Division University of Idaho 2009
[83] 웹사이트 The bare necessitie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bare-root plants https://www.swansons[...] 2021-02-01
[84] 서적 Trees In The Urban Landscape John Wiley & Sons, Inc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