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817/818년 ~ 875년)는 아바스 왕조 시대의 학자이자 하디스 수집가로, 오늘날 수니 이슬람에서 코란 다음으로 권위 있는 책으로 여겨지는 《사히흐 무슬림》을 편찬했다. 그는 호라산 지방 니샤푸르에서 태어나 히자즈, 이집트, 시리아 등을 여행하며 하디스를 수집했으며, 9세기 중반에 자신이 진실하다고 여긴 하디스를 모아 《사히흐 무슬림》을 완성했다. 그의 저작은 이슬람 학자들의 평가를 거쳐 수니파에서 부하리의 정통집 다음으로 신뢰받는 하디스집으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의 학자 - 아부 하니파
    아부 하니파는 7~8세기 활동한 이슬람 학자이자 하나피 법학 학파의 창시자이며, 상업 활동과 학문 연구를 병행하며 이슬람 율법을 정립하고 법적 재량과 관습을 중시했으며, 하나피 학파를 통해 이슬람 법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875년 사망 -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는 로타르 1세의 아들로 이탈리아를 수호하려 노력했으나 동생과의 갈등, 포로로 잡히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서프랑크의 카를 2세가 황제관을 차지했다.
  • 875년 사망 - 에위스테인 올라프손
    에위스테인 올라프손은 9세기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활동한 인물로, 875년 알반에게 살해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를 붉은 토르스테인과 동일 인물로 추정하기도 한다.
  • 호라산에라자비주 출신 - 알리 샤리아티
    알리 샤리아티는 이란의 사회학자이자 이슬람 사상가, 정치 활동가로서, 시아 이슬람의 혁명적 재해석을 통해 사회 정의와 인간 해방을 추구하며 이란 이슬람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호라산에라자비주 출신 - 피르다우시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활동한 이란의 대표적인 시인 피르다우시는 페르시아 서사시 《샤흐나메》의 저자로, 이 작품은 페르시아 제국의 역사와 전설을 담아 페르시아 문학의 백미로 평가받으며 페르시아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슬림 이븐 알-핫자즈
이름무슬림 이븐 알-핫자즈
아랍어 이름مسلم بن الحجاج
존칭이맘 무슬림
출생820년경
출생지니샤푸르, 아바스 왕조 (현재의 이란)
사망875년 5월경
사망지나사라바드, 아바스 왕조 (현재의 이란)
안장지나사라바드
시대이슬람 황금 시대 (아바스 왕조 시대)
지역아바스 왕조
직업이슬람 학자, 무핫디스
종교이슬람
종파수니파
학파샤피이 학파/무즈타히드
관심 분야하디스, 아키다
저서『사히흐 무슬림』
영향, 부하리
학문적 배경
법학이즈티하드
스승, 부하리
추가 정보
다른 이름أبو الحسين عساكر الدين مسلم بن الحجاج بن مسلم بن وَرْد القشيري النيسابوري (아부 알-후세인 아사키르 앗딘 무슬림 이븐 알-핫자즈 이븐 무슬림 이븐 와르드 알-쿠샤이리 안-니샤푸리)

2. 생애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는 아바스 왕조 시대 이란 북동부 호라산 지방의 니샤푸르[3] 출신의 저명한 이슬람 하디스 학자이다. 그의 정확한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히즈라력(AH) 202년(서기 817/818년)[11][5], 204년(서기 819/820년)[6], 206년(서기 821/822년)[11][5][9] 등 여러 설이 존재한다.

그의 가계는 니스바 '알-쿠샤이리'에서 알 수 있듯이 아랍의 바누 쿠샤이르 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나[8][10], 그가 아랍인인지 아니면 이슬람으로 개종한 비아랍인인 마왈리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의견이 갈린다.

젊은 시절 하디스 연구를 위해 아라비아 반도, 이집트, 이라크, 시리아(샴 지방) 등 이슬람 세계의 주요 학문 중심지를 두루 여행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당대의 여러 중요한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학문 여행을 마친 후 고향인 니샤푸르에 정착했으며, 이곳에서 동시대 하디스 학자인 알-부카리를 만나 깊은 학문적 교류를 나누며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그는 알-티르미디, 이븐 후자이마 등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제자들을 길러내기도 했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는 히즈라력 261년 라자브 월 25일(서기 875년 5월)[9] 니샤푸르에서 사망했으며, 교외의 나사라바드에 묻혔다.

2. 1. 출생과 가계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의 전체 이름은 아불 후세인 아사키르 앗딘 무슬림 빈 알하자지 빈 무슬림 빈 와르드 빈 카우샤즈 알쿠샤이리 안 니샤부리(أبو الحسين عساكر الدين مسلم بن الحجاج بن مسلم بن وَرْد بن كوشاذ القشيري النيسابوري|아부 알후사인 아사키르 앗딘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 이븐 무슬림 이븐 와르드 이븐 카우샤드 알쿠샤이리 안나이사부리ar)이다.

그는 현재 이란 북동부에 위치한 아바스 왕조 시대의 호라산 지방 도시 니샤푸르[3]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히즈라력(AH) 기준으로 202년(서기 817/818년)[11][5], 204년(서기 819/820년)[6], 또는 206년(서기 821/822년)[11][5][9] 등이 거론된다.

알-다하비는 "그가 204 AH에 태어났다고 전해진다"고 언급하면서도, "하지만 나는 그가 그 전에 태어났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븐 할리칸은 유명한 하디스 전승 학자(ḥuffāẓ)들의 기록에서 무슬림의 정확한 출생 연도나 사망 당시 나이를 찾을 수 없었으나, 그들이 200 AH(서기 815/816년) 이후에 태어났다는 점에는 동의했다고 전한다. 이븐 할리칸은 하킴 알-니샤부리의 저서 ''키타브 울라마 알-암사르''를 인용하며, 무슬림이 261 AH 라자브 월 25일(서기 875년 5월)에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기록을 근거로 그의 출생 연도가 206 AH(서기 821/822년)임이 틀림없다고 주장했다.[9] 이븐 알-바이에에 따르면, 그는 니샤푸르 교외의 나사라바드에 묻혔다. 13세기 다마스쿠스의 학자 이븐 알-살라 역시 이 기록을 바탕으로 무슬림의 출생 연도를 206 AH로 계산했다.

그의 이름에 포함된 니스바 '알-쿠샤이리'는 그가 아랍의 바누 쿠샤이르 부족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8][10] 일부 학자들은 그의 조상이 라시둔 칼리파조 시대에 페르시아로 이주한 아랍 부족의 일원이었을 것으로 본다. 이븐 알-아시르와 이븐 알-살라 등이 이러한 견해를 지지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그가 아랍인이 아닌 마왈리(이슬람으로 개종한 비아랍인) 출신이라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 따르면, 그의 조상은 쿠샤이르 부족의 유력자에게 고용된 노예였으며, 해방되면서 이슬람을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있다. 삼아니는 무슬림이 쿠샤이르 부족과 왈라(협력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쿠샤이리로 불렸다는 설을 제시하기도 했다.

무슬림은 젊은 시절 하디스 연구를 위해 아라비아 반도, 이집트, 이라크, 시리아(샴 지방) 등지를 여행했으며, 이후 고향인 니샤푸르에 정착했다. 니샤푸르에서 그는 알-부카리를 만나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그는 여러 스승에게서 직접 하디스를 전수받았으며, 제자들 역시 하디스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스승 및 제자
구분인물
스승하르말라 이븐 야흐야
사'이드 이븐 만수르
압드-알라 이븐 마슬라마 알-카나비
알-두할리
알-부카리
이븐 마'인
야흐야 이븐 야흐야 알-니샤부리 알-타미미
제자알-티르미디
이븐 아비 하팀 알-라지
이븐 후자이마


2. 2. 학문 여정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는 학문을 위해 히자즈 지방, 이집트, 이라크, 샴 지방 등 여러 지역을 여행했다. 그는 이슬람 하디스 연구에 전념하며 당대의 저명한 학자들로부터 지식을 습득했다.

그의 주요 스승으로는 하르말라 이븐 야흐야, 사'이드 이븐 만수르, 압드-알라 이븐 마슬라마 알-카나비, 알-두할리, 알-부카리, 이븐 마'인, 야흐야 이븐 야흐야 알-니샤부리 알-타미미 등이 있다.

광범위한 학문 여행을 마친 후, 그는 고향인 니샤푸르에 정착했다. 니샤푸르에서 그는 동시대의 위대한 하디스 학자인 알-부카리를 만나 깊은 학문적 교류를 나누며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무슬림은 많은 제자를 길러냈으며, 그의 가르침을 받은 학자 중에는 알-티르미디, 이븐 아비 하팀 알-라지, 이븐 후자이마 등이 유명하다. 이들 역시 하디스 분야에서 중요한 저서를 남겼다.

2. 3. 사망

11세기 니샤푸르의 학자 이븐 알-바이이는 그의 저서 ''키타브 울라마 알-암사르'' (Kitab `Ulama al-Amsar)에서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가 히즈라력 261년 라자브 25일(서기 875년 5월)에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기록했다.[9] 그는 니샤푸르 교외의 나사라바드에 묻혔다. 13세기 학자 이븐 할리칸과 이븐 알-살라는 이 기록을 인용하여 그의 사망 사실과 사망 당시 나이를 언급했다.

3. 《사히흐 무슬림》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가 편찬한 하디스(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 모음집인 『사히 무슬림』은 9세기 중반에 완성되었다. 이 책은 무슬림 자신이 완전히 사히(정통)하다고 판단한 하디스만을 수집한 것으로, 오늘날 수니 이슬람에서 코란 다음가는 권위를 가지는 중요한 문헌으로 인정받는다. 『사히 무슬림』은 쿠투브 알 시타(6대 하디스 정경) 중 하나이며, 특히 부하리가 편찬한 『사히 알 부하리』와 함께 가장 중요하고 신뢰성 높은 두 개의 하디스 모음집으로 꼽혀 함께 사히하인(두 개의 사히)이라고 불린다.

『사히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수는 계산 방식(중복 포함 여부, 본문 기준 등)에 따라 3,000개에서 12,000개 사이로 다양하다. 이 책은 『사히 알 부하리』와 내용 및 전승 경로(이스나드)에서 상당 부분을 공유하는데, 알 자우자키에 따르면 두 책 사이에는 2,326개의 하디스가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약 2,400명의 전달자를 공유한다.

편찬 초기에는 동시대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아부 주르아 알 라지 등은 무슬림이 정통 하디스를 일부 제외하고 오히려 신뢰도가 낮은 전달자의 하디스를 포함시켰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븐 아비 하팀 라지와 같은 후대 학자들에 의해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고, 점차 수니파 공동체 내에서 권위 있는 하디스집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전화 과정을 거쳐 『사히 무슬림』은 오늘날 『사히 알 부하리』 다음으로 중요한 하디스 정경으로 자리 잡았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는 『사히 무슬림』 외에도 하디스학과 전승 경로에 관한 여러 저작을 남겼으나, 『알 쿠나 왈 아스마』, 『타바카트 앗 타비인』, 『알 문파리다트 왈 위즈단』 등 일부만이 현존하고 대부분은 소실되었다.[14]

3. 1. 편찬 과정

9세기 중반에 무슬림은 자신이 완전히 사히(정통)라고 판단한 하디스를 수집했으며, 이는 현재 『사히 무슬림』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이 책은 수니 이슬람의 6대 하디스 정경 중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사히 알 부하리』와 함께 이 정경에서 가장 중요한 두 수집본으로 인정받으며, 두 책을 합쳐 사히하인(두 개의 사히)이라고 부른다. 『사히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수는 계산 방식(중복 포함 여부, 본문 기준 등)에 따라 3,000개에서 12,000개까지 다양하다. 무슬림의 수집본은 『사히 알 부하리』와 상당 부분 내용이 겹치는데, 알 자우자키에 따르면 두 책 사이에는 2,326개의 전승이 공유된다. 또한, 약 2,400명의 전달자를 공유하며, 『사히 알 부하리』의 전달자 중 430명만이 『사히 무슬림』에서 발견되지 않고, 『사히 무슬림』의 전달자 중 620명만이 『사히 알 부하리』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1910년경 간행된 『사히 무슬림』 표지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가 세상에 널리 퍼진 하디스(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를 정선하고 진위를 가려 편찬한 『사히 무슬림』은 특히 수니파에서 『코란』 다음가는 권위를 가진 2대 정통 하디스집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를 받기까지의 과정, 즉 정전화(canonization) 과정에 대해서는 비교적 연구가 부족했는데, Brown (2007)은 다음과 같은 과정이 있었음을 밝혔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의 작업 가치를 처음으로 알아본 사람은 수니파 학자 이스하크 이븐 라와이였다.[15][16] 그러나 이스하크의 동시대인이었던 아부 주르아 알 라지 등은 처음에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들은 무슬림이 스스로 정통(사히)이라고 인정한 하디스를 많이 제외하고, 오히려 신뢰도가 낮은(다이프) 전승자가 전하는 하디스를 포함시켰다고 비판했다.

후에 이븐 아비 하팀 알라지는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를 신뢰할 만하며 하디스학 분야의 중요한 학자 중 한 명이라고 칭찬했다. 그러나 이븐 아비 하팀은 아부 주르아와 자신의 아버지 아부 하팀 알라지에게도 비슷한 수준의 높은 평가를 내렸다. 이븐 알 나딤이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에 대해 내린 평가 역시 이븐 아비 하팀의 견해에 기반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무슬림의 정통집에 대한 평가는 수니파 무슬림들 사이에서 점차 높아졌고, 마침내 부하리의 정통집 다음으로 권위 있는 하디스집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히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총수는 집계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3,033개에서 12,000개 사이이며, 그중 약 2,000개(알 자우자키에 따르면 2,326개)는 『사히 알 부하리』에도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다.

3. 2. 특징

9세기 중반에 무슬림은 자신이 완전히 사히 하디스라고 여긴 것을 수집했으며, 이는 현재 『사히 무슬림』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이 책은 수니 이슬람의 6대 하디스 정경 중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사히 알 부하리』와 함께 이 정경에서 가장 뛰어난 두 개의 수집본으로 간주되며, 두 책을 합쳐 사히하인이라고 부른다. 『사히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수는 중복 포함 여부나 본문만 포함하는지에 따라 3,000개에서 12,000개 사이로 다양하다. 무슬림의 수집본은 『사히 알 부하리』와 상당 부분 내용이 겹치는데, 알 자우자키에 따르면 두 책 사이에는 2,326개의 전통이 공유된다. 또한, 이 컬렉션은 약 2,400명의 전달자를 공유한다. 『사히 알 부하리』의 전달자 중 430명만이 『사히 무슬림』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사히 무슬림』의 전달자 중 620명만이 『사히 알 부하리』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가 세상에 널리 퍼진 하디스(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를 정선하고 진위를 가려 편찬한 『사히 무슬림』은 특히 수니파에서 『코란』 다음가는 권위를 가진 2대 정통집의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러한 지위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Brown (2007)은 다음과 같은 정전화(canonization) 과정이 있었음을 밝혔다.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의 작업 가치를 처음으로 알아본 사람은 수니파 학자 이스하크 이븐 라흐와이이다.[15][16] 그러나 이스하크의 동시대인이었던 아부 주르아 알 라지 등은 처음에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들은 무슬림이 스스로 정통(사히)이라고 인정한 하디스를 많이 제거하고, 신뢰도가 낮은(다이프) 전승자가 전하는 하디스를 포함시켰다고 비판했다.

이후 이븐 아비 하팀 라지는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가 신뢰할 만하며 하디스에 관한 위대한 학자 중 한 명이라고 칭찬했다. 그러나 이븐 아비 하팀은 아부 주르아와 자신의 아버지 아부 하팀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 라지에게도 비슷한 수준의 높은 평가를 내렸다. 이븐 알 나딤의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에 대한 평가는 이븐 아비 하팀의 평가에 기반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무슬림의 정통집에 대한 평가는 수니파 무슬림들 사이에서 점차 높아져, 부하리의 정통집 다음으로 권위 있는 하디스집으로 간주되었다. 『사히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총수는 세는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3,033개에서 12,000개의 하디스가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약 2,000개 정도는 『사히 알 부하리』에도 수록되어 있다.

다음은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에 귀속된 저작물들이다. 『사히 무슬림』을 포함한 아래 목록의 첫 4권 외에는 현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은 하디스학과 전승 경로(이스나드)에 관한 저작물이다.[14]

저작명비고
알 쿠나 왈 아스마현존
타바카트 앗 타비인현존
알 문파리다트 왈 위즈단현존
사히 무슬림현존
아울라드 아스 사하바 (사하바의 자손들)산실(소실)
알 이크와 와 알 아크와트 (형제와 자매)산실(소실)
알 아크란 (동배)산실(소실)
아와함 알 무하디신 (무하디스의 오류)산실(소실)
디크르 아울라드 알 후세인 (후세인의 자손에 관하여)산실(소실)
마샤이흐 마리크 (마리크의 스승에 관하여)산실(소실)
마샤이흐 아스 사우리 (사우리의 스승에 관하여)산실(소실)
마샤이흐 슈아바 (슈아바의 스승에 관하여)산실(소실)


3. 3. 평가



9세기 중반,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는 자신이 완전히 사히(진정한) 하디스라고 판단한 것들을 모아 『사히 무슬림』을 편찬했다. 오늘날 이 책은 수니파 이슬람의 쿠투브 알 시타(6대 하디스 정경)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 특히 『사히 알 부하리』와 함께 가장 중요한 두 개의 수집본으로 여겨지며, 이 둘을 합쳐 사히하인이라고 부른다. 『사히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수는 세는 방식에 따라 3,000개에서 12,000개에 이른다. 이 책은 『사히 알 부하리』와 상당 부분 내용이 겹치는데, 알 자우자키에 따르면 두 책 사이에는 2,326개의 하디스가 공유된다. 또한 약 2,400명의 전달자를 공유하며, 『사히 알 부하리』 전달자 중 430명만이 『사히 무슬림』에 없고, 『사히 무슬림』 전달자 중 620명만이 『사히 알 부하리』에 없다.

무슬림의 작업을 처음으로 높이 평가한 인물은 수니파 학자 이스하크 이븐 라하와이였다.[15][16] 그러나 이스하크의 동시대 학자들은 처음에는 이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아부 주르아 알-라지는 무슬림이 스스로 진실하다고 인정한 자료를 너무 많이 생략했고, 신뢰도가 약한 전달자가 전한 하디스를 포함시켰다고 비판했다.

시간이 흘러 이븐 아비 하팀(938년 사망)과 같은 후대 학자들은 무슬림을 "신뢰할 수 있으며, 하디스 지식을 갖춘 거장 중 한 명"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븐 아비 하팀은 아부 주르아와 자신의 아버지 아부 하팀에게는 더 높은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이븐 알 나딤 역시 이븐 아비 하팀의 평가에 기반하여 무슬림을 평가했다.

결과적으로 무슬림의 책은 점차 그 위상이 높아져, 오늘날 수니파 무슬림 사이에서는 『사히 알 부하리』 다음으로 두 번째로 신뢰할 수 있는 하디스 모음집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사히 무슬림』이 코란 다음가는 권위를 가진 정통 하디스집으로 인정받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Brown (2007)은 이러한 정전화 과정이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4. 저작 목록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의 저작물로 알려진 것들은 다음과 같다. 이 중 『사히흐 무슬림』을 포함한 네 권만이 현재 전해진다. 대부분 하디스학과 전승 경로(이스나드)에 관한 저작물이다.[14]


  • ''알 쿠나 왈 아스마''
  • ''타바카트 앗 타비인''
  • ''알 문파리다트 왈 위즈단''
  • ''사히흐 무슬림'': 그의 진실한 하디스 모음집
  • ''아울라드 아스 사하바'': 사하바(교우)의 자손들 (산실)
  • ''알 이크와 와 알 아크와트'': 형제와 자매 (산실)
  • ''알 아크란'': 동배 (산실)
  • ''아와함 알 무하디신'': 무하디스의 빛 (산실)
  • ''디크르 아울라드 알 후세인'': 후세인의 자손에 관하여 (산실)
  • ''마샤이흐 마리크'': 마리크의 스승에 관하여 (산실)
  • ''마샤이흐 아스 사우리'': 사우리의 스승에 관하여 (산실)
  • ''마샤이흐 슈아바'': 슈아바의 스승에 관하여 (산실)


특히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가 널리 퍼진 하디스(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를 정선하고 진위를 가려 편찬한 『사히흐 무슬림』은 수니파에서 『코란』 다음가는 권위를 가진 2대 정통 하디스집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이 책이 정전(正典)으로 인정받는 과정에 대해서는 연구가 깊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Brown (2007)은 다음과 같은 정전화 과정을 제시했다.

무슬림의 작업을 처음으로 인정한 사람은 수니파 학자 이스하크 이븐 라흐와이였다.[15][16] 그러나 동시대 학자인 아부 주르아 알 라지 등은 초기에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들은 무슬림이 스스로 정통(사히흐)이라고 판단한 하디스를 많이 제외하고, 신뢰도가 낮은(다이프) 전승자가 전한 하디스를 포함시켰다고 비판했다.

이후 이븐 아비 하팀 라지는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를 신뢰할 만한 하디스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아부 주르아와 자신의 아버지 아부 하팀에게도 비슷한 수준의 높은 평가를 내렸다. 이븐 알 나딤이 무슬림 이븐 알하자지에 대해 내린 평가 역시 이븐 아비 하팀의 견해에 기반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히흐 무슬림』은 수니파 무슬림 사이에서 점차 그 위상이 높아져, 알 부카리의 『사히흐 알 부카리』 다음가는 권위를 가진 하디스집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히흐 무슬림』에 수록된 하디스의 총수는 집계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약 3,033개에서 12,000개 사이로 추정된다. 이 중 약 2,000개 정도는 『사히흐 알 부카리』에도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منهج الإمام مسلم بن الحجاج http://www.ibnamin.c[...] 2006-09-23
[2] 서적 "'Awālī Muslim: arba'ūna ḥadīthan muntaqātun min Ṣaḥīḥ Muslim (عوالي مسلم: أربعون حديثا منتقاتا من صحيح مسلم)" https://books.google[...] Mu’assasat al-kutub ath-Thaqāfīyah (مؤسسة الكتب الثقافية) 2016-01-07
[3] 서적 Encyclopaedia Dictionary Islam Muslim World, etc, Gibb, Kramer volume 7. 1960-2004.1875.2009. https://archive.org/[...]
[4] 서적 The Biography of Imam Muslim bin al-Hajjaj Darussalam
[5] 서적 Hundred Great Muslims Library of Islam
[6] 서적 Scholars of Hadith https://books.google[...] IQRAʼ International Educational Foundation 2016-01-07
[7] 서적 Musnad Isḥāq ibn Rāhwayh Tawzīʻ Maktabat al-Īmān 1990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9] 서적 Ibn Khallikan's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016-01-07
[10] 서적 صحيح مسلم https://books.google[...] Islamic Book Service 2004-01-01
[11] 웹사이트 Imam Muslim http://www.sunnah.or[...] 2012-10-29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P. 1975
[13] 서적 ‘Awālī Muslim: arba‘ūna ḥadīthan muntaqātun min Ṣaḥīḥ Muslim (عوالي مسلم: أربعون حديثا منتقاتا من صحيح مسلم) https://books.google[...] Mu’assasat al-kutub ath-Thaqāfīyah (مؤسسة الكتب الثقافية)
[14] 웹사이트 Великий хадисовед имам Муслим http://www.muslimpre[...] РДУМ Удмуртии 2018-02-28
[15] 간행물 Ma`rifat `ulum al-hadith
[16] Citation Musnad Isḥāq ibn Rāhwayh Tawzīʻ Maktabat al-Īmā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