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지개뱀은 호주 원주민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문화권에 따라 여러 가지 특징과 역할을 갖는다. 무지개뱀은 창조주, 물의 관리자, 치유자, 비옥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종종 수로, 계곡, 강을 만들고 홍수를 일으키는 존재로 묘사된다. 호주 원주민들은 무지개뱀을 숭배하고, 관련된 의례를 행하며, 무지개뱀 이야기는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다. 무지개뱀은 암석 예술, 현대 예술, 문학, 영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 운동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신 - 와타쓰미
와타쓰미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으로, 《고지키》와 《일본서기》등에 다양한 표기로 나타나며, 와타쓰미 삼신은 바다의 각 부분을 다스리고 아즈미 씨의 조상신으로 숭배받으며, 호오리노 미코토와 토요타마비메의 결혼 이야기에도 등장하고, 현대에는 어업 종사자들의 숭배 대상이자 해양 환경 보호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극우 세력에 의해 악용되기도 한다. - 오세아니아의 신 - 존 프롬
존 프럼은 1930년대 후반 바누아투 탄나 섬에서 시작된 화물 숭배 신앙으로, 선교사 추방과 전통 관습 회귀를 주장하며 태평양 전쟁 중 미군 주둔으로 확산되어 매년 2월 15일 '존 프럼 데이'를 기념하며 독특한 의식을 행하고, 현재까지 탄나 섬에서 이어져 오며 바누아투 문화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전설의 생물 - 드롭 베어
드롭 베어는 코알라와 유사하게 묘사되는 호주 괴담 속 가상 동물로, 나무에서 뛰어내려 사람을 공격한다는 이야기로 관광객을 속이는 데 사용되는 문화적 현상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전설의 생물 - 버닙
버닙은 호주 원주민 신화에 등장하는 수생 동물로, 악마 또는 악령으로 번역되며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무지개뱀 |
---|
2. 다양한 문화권의 명칭
무지개뱀은 호주 원주민 문화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5]
북동부 아넘랜드의 욜구족 무르긴족은 무지개뱀을 ''율룬구르''(Yurlunggur)[5] , ''율룽구르''(''Yulunggur'') , ''줄룬구르''(''Jurlungur'') , 줄룬구르(Julunggur) 또는 ''줄룽굴''(''Julunggul'')[6]이라 부르며, "위대한 아버지"로 여겼다. 욜구족 중 단구족 갈푸 부족은 ''위티''/''위티지''(''Witij''/''Wititj'')라고 부른다.[14][7]
퀸즐랜드에서는 거대한 물뱀을 ''칸마레''(''Kanmare'')라고 부른다. 불리아 지구 피타피타족은 ''쿰무라''(''Cunmurra'')라고 부르며, 거대한 카펫 뱀으로 묘사한다. 마이타카리족은 ''툴룬''(''Tulloun'')이라고 부른다. 마이쿨론(마이쿨란) 부족 신화에는 길이 40마일의 우주적 카펫 뱀 ''코레마''(''Kooremah'')가 등장하는데, 무지개뱀과 동일시될 수 있다.
다른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북부 준주 달라본족/부안족과 렘바르르가족: ''볼룽''(''Bolung'')
- 중앙 아넘랜드 렘바르르가족 등: ''무이티''(''muitj'') (또는 모이트, 무이트)
- 군윙구족: ''응갈리로드''(''Ngalyod'') (''응갈무드''(''Ngalmudj'')라고도 한다.) [8]
- ''잉가르나''(''Yingarna''): 원조 (여성) 무지개 뱀, 아들은 응갈리로드 (이름들은 서로 바꿔서 사용 가능)
- 구비 구비 (카비)족: ''다칸''(''Dhakkan'') (또는 ''타칸''(''Takkan''))
- 북부 퀸즐랜드 페네파더 강 유역 원주민: ''안드렌지니''(''Andrénjinyi'')[9]
- 잉가르다족: ''카주라''(''Kajura'')
- 라르딜족: ''고리알라''(''Goorialla'')[29]
- 아낭구족: ''와남피''(''Wanampi'')
- 무린바타족: ''쿰만구르''(''Kunmanggur'')
- 가아구두 (카카두)족: ''누메레지''(''Numereji'')
- 윅문칸족: ''타이판''(''Taipan'')
- 누웅가족: 와걸(''Wagyl'')[18]
- 탈란지족: ''와나망구라''(''Wanamangura'')
- ''갈레루''(''Galeru'')
- ''랑갈''(''Langal'')
- ''마인디''(''Myndie'')
- ''웅구르''(''Ungur'')
- 와룸군구족: ''울룬콰''(''Wollunqua'')
- ''워남비''(''Wonambi'')
- ''워눙가르''(''Wonungar'')
- ''워롬비''(''Worombi'')
- ''예로''(''Yero'')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전설에 따르면, 무지개뱀은 인간 샤먼들에 의해 죽임을 당해 체내의 동식물을 지상에 해방시켰다.[34] 원주민들은 무지개뱀을 서북부에서 노던 준주에 걸쳐 에인가나(Eingana)[36], [37], 웅구르(Ungur), 워눙구르(Wonungur), 워론비(Worombi), Wonambi, [38], 유를룽구르 (Yurlunggur), Julunggul, 랑갈(Langal), 무이트(Muit), 퀸즐랜드주에서는 예로(Yero), 타이판(Taipan)[39][40], 동남부에서는 민디(Mindi), 카리아(Kari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41]
"" 전설에 따르면 무지개뱀이 기어간 흔적은 수로, 계곡, 강이 되었고, 우기에는 하늘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건기에는 진흙 속에서 잠자며, 방해받으면 분노하여 홍수를 일으킨다.[34] 노던 준주 카카두 국립공원 동굴에서 뿔 달린 무지개뱀 벽화가 발견되어, 무지개뱀 신앙은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2]
창세의 무지개뱀인 웅구르, 에인가나, 남부 홍수 전승을 가진 유를룽구르가 유명하다.
2. 1. 호주
무지개뱀은 호주 원주민 문화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5]북동부 아넘랜드의 욜구족 무르긴족은 무지개뱀을 ''율룬구르''(Yurlunggur)[5] , ''율룽구르''(''Yulunggur'') , ''줄룬구르''(''Jurlungur'') , 줄룬구르(Julunggur) 또는 ''줄룽굴''(''Julunggul'')[6]이라 부르며, "위대한 아버지"로 여겼다. 욜구족 중 단구족 갈푸 부족은 ''위티''/''위티지''(''Witij''/''Wititj'')라고 부른다.[14][7]
퀸즐랜드에서는 거대한 물뱀을 ''칸마레''(''Kanmare'')라고 부른다. 불리아 지구 피타피타족은 ''쿰무라''(''Cunmurra'')라고 부르며, 거대한 카펫 뱀으로 묘사한다. 떨어진 무라버리 농가에서 회상하며 주어짐; 무라버리 역은 불리아에서 남쪽으로 약 떨어진 곳에 위치.}} 인용}} 마이타카리족은 ''툴룬''(''Tulloun'')이라고 부른다. 마이쿨론(마이쿨란) 부족 신화에는 길이 40마일의 우주적 카펫 뱀 ''코레마''(''Kooremah'')가 등장하는데, 무지개뱀과 동일시될 수 있다., Palmer. 인용}}
다른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북부 준주 달라본족/부안족과 렘바르르가족: ''볼룽''(''Bolung'')
- 중앙 아넘랜드 렘바르르가족 등: ''무이티''(''muitj'') (또는 모이트, 무이트)
- 군윙구족: ''응갈리로드''(''Ngalyod'') [8]
- ''잉가르나''(''Yingarna''): 원조 (여성) 무지개 뱀, 아들은 응갈리로드 (이름들은 서로 바꿔서 사용 가능) 및 1996.}}
- 구비 구비 (카비)족: ''다칸''(''Dhakkan'') (또는 ''타칸''(''Takkan''))
- 북부 퀸즐랜드 페네파더 강 유역 원주민: ''안드렌지니''(''Andrénjinyi'')[9]
- 잉가르다족: ''카주라''(''Kajura'')
- 라르딜족: ''고리알라''(''Goorialla'')[29]
- 아낭구족: ''와남피''(''Wanampi'')
- 무린바타족: ''쿰만구르''(''Kunmanggur'')
- 가아구두 (카카두)족: ''누메레지''(''Numereji'')
- 윅문칸족: ''타이판''(''Taipan'')
- 누웅가족: 와걸(''Wagyl'')[18]
- 탈란지족: ''와나망구라''(''Wanamangura'')
- ''갈레루''(''Galeru'')
- ''랑갈''(''Langal'')
- ''마인디''(''Myndie'')
- ''웅구르''(''Ungur'')
- 와룸군구족: ''울룬콰''(''Wollunqua'')
- ''워남비''(''Wonambi'')
- ''워눙가르''(''Wonungar'')
- ''워롬비''(''Worombi'')
- ''예로''(''Yero'')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전설에 따르면, 무지개뱀은 인간 샤먼들에 의해 죽임을 당해 체내의 동식물을 지상에 해방시켰다.[34] 원주민들은 무지개뱀을 서북부에서 노던 준주에 걸쳐 에인가나(Eingana)[36], (Galeru)[37], 웅구르(Ungur), 워눙구르(Wonungur), 워론비(Worombi), Wonambi, (Wollunqua)[38], 유를룽구르 (Yurlunggur), Julunggul, 랑갈(Langal), 무이트(Muit), 퀸즐랜드주에서는 예로(Yero), 타이판(Taipan)[39][40], 동남부에서는 민디(Mindi), 카리아(Karia)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41]
"" 전설에 따르면 무지개뱀이 기어간 흔적은 수로, 계곡, 강이 되었고, 우기에는 하늘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건기에는 진흙 속에서 잠자며, 방해받으면 분노하여 홍수를 일으킨다.[34] 노던 준주 카카두 국립공원 동굴에서 뿔 달린 무지개뱀 벽화가 발견되어, 무지개뱀 신앙은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2]
창세의 무지개뱀인 웅구르, 에인가나, 남부 홍수 전승을 가진 유를룽구르가 유명하다.
2. 2. 기타 지역
북아메리카의 쇼쇼니족은 큰 뱀이 하늘에 등을 문지르는 모습이 무지개라고 생각했다. 큰 뱀은 그렇게 하여 여름에는 비를, 겨울에는 눈을 지상에 내리게 한다고 여겨졌다[42].카리브해의 아이티에서 알려진 무지개 뱀 '''아이다'''(아이디-웨도영어 (Aida Wedo)라고도 한다[43])는 아프리카에서 전해진 것이다[34](Aido-Hwedo, Ayidohwedo)라는, 창조신 마우(-리사)(Mawu(-Lisa))와 함께 세계의 창조에 관여한 큰 뱀이 보인다[44][45][46]영어。
아프리카에서는 창조 여신 마우(Mawu)가 최초로 창조한 존재이다.[34] 세계 창조를 도운 후에는 대지를 지탱하기 위해 바다 밑에서 똬리를 틀고 있으며, 때때로 똬리를 풀고 자신의 몸으로 하늘에 아치를 만든다. 이 무지개뱀은 인간이나 다른 동물의 창조에 어떤 관련을 가지며, 비를 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만약 비가 오랫동안 내리지 않아 가뭄이 계속된다면, 그것은 무지개뱀이 잠든 채 깨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뱀을 깨우기 위해 특별히 시끄러운 의식(기우제)을 거행할 필요가 있다. 단, 함부로 이 뱀을 화나게 하면 무지개뱀은 분노에 휩싸여 거대한 몸을 하늘이나 대지에 내리쳐 온갖 종류의 재해를 일으킨다. 세계 창조에서 무지개뱀의 역할은 만(灣)이나 강, 호수와 샘을 만드는 것이었다. 강이 구불구불한 것은 무지개뱀이 강을 만들 때 몸을 뒤틀면서 나아갔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샘이나 호수가 둥근 것은 무지개뱀이 몸을 쉬기 위해 똬리를 틀고 휴식을 취했기 때문이다. 현재에는 무지개뱀은 건기 동안에는 샘 속에 잠복해 있다가 우기가 되면 샘에서 모습을 드러내 비를 내리는 역할을 한다고 믿어진다. 하늘에 걸린 무지개 아치는 다음 우기에 대비하여 무지개뱀이 그동안 살았던 샘이나 강에서 새로운 서식지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자의 "虹"이 벌레 '충' 변으로 쓰이는 것도, 중국의 전설에서 무지개가 뱀이나 용의 일종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또한 주홍인 "虹"을 수컷으로, 부홍인 암컷을 "蜺"(게이)라고 불렀다.[47]
이 외에도, 피지에서는 무지개 뱀 뎅게이의 전설이 알려져 있다.[34]
3. 개념의 발전
무지개뱀의 개념은 호주 원주민 문화에 오랫동안 존재해 왔지만, 인류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4] '무지개뱀' 또는 '무지개 뱀'이라는 이름은 다양한 호주 원주민 문화에서 동일한 개념이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것을 발견한 인류학자 알프레드 레드클리프-브라운이 영어로 만든 것이다. 그는 이를 "호주의 무지개 뱀 신화"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 이름은 실제로 개념이 호주 원주민 문화마다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무지개뱀이 하나만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호주의 무지개뱀 신화'들'이라고 정확하게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호주 전통에서 뱀이 가장 두드러진 창조신으로서의 지위는 비원주민 인류학자들에 의해 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있다.[24] 서구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그리스-로마 또는 북유럽 신화의 문화적 고정관념을 가지고 호주 원주민 이야기를 과거 시제로 이야기하는 방식은 오류이다. 호주 원주민에게 이야기는 에브리원—과거, 현재, 미래이다.[10]
로버트 블러스트는 전 세계 부족 사회에서 호주의 무지개뱀 신화와 매우 유사한 무지개에 대한 믿음을 기록했다.[11][12] 이러한 믿음 복합체가 한 대륙에만 고유하다는 오랜 학문적 가설을 뒷받침하기보다는, 민족지 기록은 그것이 문화 보편적임을 보여준다.
4. 특징
무지개뱀은 첫 번째로 무지개 그 자체이다. 무지개뱀은 특정 웅덩이나 샘 등에 서식하며, 이는 물이 분광색을 띌 수 있으며 회절을 통해 빛을 회절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석영 결정과 특정 조개 껍데기도 무지개뱀과 관련이 있으며 의식에 사용된다. 석영은 빛을 다양한 색상으로 회절시키는 프리즘 역할을 하고, 자개가 색상의 무지개빛을 띠기 때문이다.[13] 뱀은 비의 징조로 간주될 수 있는 달 주위의 프리즘 후광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꿈[2] 이야기는 척박한 지구를 조형한 창조 시기의 위대한 영혼과 동물 및 인간 형태의 토템에 대해 이야기한다. 무지개뱀은 땅 밑에서 나와 위로 밀어 올리면서 거대한 능선, 산, 협곡을 만들었다. 무지개뱀은 엄청난 크기로 깊고 영구적인 함몰지[15]에 서식하며 생명의 가장 소중한 천연 자원인 물을 관리한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무지개뱀이 우주의 모든 것의 궁극적인 창조자로 여겨진다.
무지개뱀은 문화권에 따라 남성, 여성, 성이 모호하거나 자웅동체이거나 양성적인 존재이다. 일부 평론가들은 무지개뱀이 남근 숭배 상징[16]이라고 제안했는데, 이는 비옥함 신화 및 의식과의 관련성에 부합한다. 뱀이 여성 또는 양성으로 묘사될 때 가끔 가슴이 묘사되기도 한다. 뱀은 특별한 성별을 가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뱀은 때때로 머리에 볏이나 갈기가 있거나 수염을 기른 것으로 묘사된다.
다른 많은 신들과 달리, 무지개뱀은 인간의 형태를 갖지 않고 동물의 형태로 남아있다. 각 문화마다 성별과 신이 어떤 동물인지에 대한 해석이 다르지만, 항상 동물이다.[1]>
때로는 예측할 수 없는 무지개뱀은 물의 저장량을 보충하고, 골짜기와 깊은 수로를 형성한다.[17] 이 신념 체계에서 뱀이 없으면 비가 내리지 않고 땅이 말라 버릴 것이다.[2] 다른 문화권에서 뱀은 강우를 멈춘다. 무지개뱀은 인간의 혈액, 특히 순환과 생리 주기와 관련이 있으며 치유자로 간주된다. 무지개뱀은 또한 비옥함을 나타낸다.[1]
천둥과 번개는 무지개뱀이 화가 났을 때 발생한다고 하며, 그녀를 화나게 한 사람들을 익사시킬 강력한 폭풍과 사이클론을 일으킨다.[2] 무지개뱀이 행하는 다른 처벌에는 인간이나 돌로 변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
5. 무지개뱀 이야기
무지개뱀에 대한 이야기는 대대로 전해져 내려왔다.[18] 뱀 이야기는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몬순 지역 사람들은 햇빛, 뱀, 바람의 상호 작용을 드림타임 이야기로 묘사하는 반면, 중앙 사막 지역 사람들은 계절 변화가 덜 심한 환경을 반영하여 이야기를 전한다.[17] 무지개뱀은 자신의 백성을 보호하고 법을 어기는 자를 벌하며, 땅, 물, 생명, 사회적 관계, 비옥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무지개뱀은 종종 젊은 남성이 성인이 되는 과정에 참여하여 그들을 삼킨 후 다시 토해낸다고 한다.
무지개뱀 이야기에서 가장 흔한 모티프는 뱀이 창조주로서, 종종 빈 공간에 생명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3]
울룬콰는 와룸군구족의 무지개뱀 버전으로, 노던 준주의 머치슨 산맥에 있는 카진나라라는 연못에서 나타난 거대한 뱀에 대한 이야기이다.[19]
노던 준주의 또 다른 이야기는 위대한 어머니가 바다에서 와서 호주를 가로질러 여행하며 다양한 원주민 부족을 낳았다는 것이다.[20] 어떤 버전에서는 위대한 어머니가 무지개뱀(또는 번개뱀)을 동반하며, 이는 우기와 홍수를 가져온다.[20]
서호주 북부의 그레이트 샌디 사막 지역에서 온 이야기는 울프 크릭 크레이터, 또는 칸디마랄이 하늘에서 떨어진 별에 의해 만들어졌고, 그 안에 무지개뱀이 자리 잡았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떤 버전에서는 뱀이 하늘에서 떨어져 크레이터를 만들었다고도 한다. 이 이야기는 때때로 늙은 사냥꾼이 딩고를 크레이터로 쫓아 뱀이 만든 터널에서 길을 잃는 내용으로 이어진다.[21]
서호주 남서부의 농가르족은 무지개뱀 또는 와질이 마틸다 산의 길을 형성하기 위해 바위를 부수고 밀어냈으며, 에이번 강과 같은 수로를 만들었다고 말한다.[18] 킴벌리 지역의 일부 원주민들은 여성이 물에 들어가 임신하게 될 때 무지개뱀이 물웅덩이 전체에 영혼의 아이를 보낸다고 믿는다.
무지개뱀 신화의 더 아이 친화적인 버전은 뱀이 땅을 통해 표면으로 올라와서 개구리를 소환하고, 그들의 배를 간지럽혀 물을 내어 연못과 강을 만들고, 이제 생명의 어머니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또 다른 이야기는 딕 러프시의 어린이 책에 실려 있는데, 무지개뱀이 몸부림치며 호주의 풍경을 만들고, 두 소년을 속여 삼킴으로써 다양한 동물, 곤충, 식물 종을 통해 호주의 인구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이야기한다.[29]
6. 도상학
무지개뱀은 다양한 형태로 암석 예술에 묘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뱀과 같지만 때로는 다양한 유대류(캥거루과)나 과일박쥐, 또는 어떤 경우에는 새와 유사한 머리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뱀과는 달리, 암석 예술에서는 동물의 다리와 발, 또는 특이한 꼬리와 같은 부속물을 가지고 묘사될 수 있다.
무지개뱀은 또한 참마와 수련을 대표한다. 많은 강우량은 이 두 가지를 땅에 풍부하게 가져왔고, 뱀을 "참마 뱀"으로 묘사하는 암석 예술이 있다. 다른 암석 예술은 무지개뱀을 과일박쥐 머리나 이와 유사한 속성으로 묘사한다. 호주 아넘랜드 고원에는 뱀을 성게 또는 "해초와 같은" 모습으로 묘사한 초기 예술 작품도 있다. 뱀의 초기 그림은 굽은 몸체, 긴 코, 굽은 꼬리와 같은 해마의 특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암석 예술에 묘사된 모든 무지개뱀은 매우 상세하며 호주 전역에서 유사하다. 뱀 암석 예술에서 발견되는 주요 지역적 차이점은 뱀의 꼬리와 뱀의 머리에 있으며, 어떤 것은 꼬리가 3개이고 다른 것은 악어의 꼬리를 가지고 있다.
7. 자연에서의 기원 가능성
Yonglu 족 사이에서 Wawilak 자매의 신화에 나오는 무지개뱀은 "바위 비단뱀"을 모델로 삼았다는 주장이 있다. 자매 신화의 일부 이야기에서, Yurlunggur 뱀과의 만남은 '바위 비단뱀의 등'으로 해석되는 미리미나 우물에서 일어난다. 줄무늬 바위 비단뱀 (''aka'' 어린이 비단뱀; ''Liasis childreni''
Oenpelli 바위 비단뱀 (''aka'' Oenpelli python)이 모델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뱀은 원주민 Kunwinjku 언어로 ''nawaran''이라고 불리며, 그 전설에 따라 Ngalyod 뱀으로 성장했다. 이 뱀 역시 어두운 반점이 있는 갈색을 띠며 무지갯빛 비늘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후보는 다채로운 뱀인 물 비단뱀 (''Liasis fuscus'')이다.[22][23]
Walmadjari 족은 카펫뱀 (''Morelia spilota variegata'')을 무지개뱀이 취할 수 있는 형태 중 하나로 간주한다.[17]
일부 지질학자들은 뱀과 해마 또는 실고기 사이의 유사점을 발견하고, 해삼이나 해초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묘사한다.
퀸즐랜드에서는 뱀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원래의 무지개뱀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는 선사 시대 대형 뱀의 한 종에서 유래했다고 믿어진다.[24] ''Wonambi''는 두 종의 매우 큰 뱀으로 구성된 속이며, 비단뱀이 아닌 멸종된 Madtsoiidae과에 분류된다.
8. 전통 문화에서의 역할
무지개뱀에 대한 이야기는 대대로 전해져 내려왔을 뿐만 아니라, 의례를 통해 숭배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예술 작품, 노래와 같은 문화적 유물에 영감을 주었다. 무지개뱀과 관련된 많은 고대 의례가 오늘날에도 행해지고 있다.
노던 준주의 아넘랜드에 사는 와왈라그 자매에 대한 신화는 여성의 월경 과정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원주민 호주인들이 춤과 판토마임을 통해 무지개뱀이 와왈라그 자매를 잡아먹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재현하는 여신 쿠나피피의 혈액 의례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다산 의례로 간주될 수 있다.
여성의 월경은 많은 호주 원주민 문화에서 신성하게 여겨지는데, 이는 여성이 세상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는 시기를 구분하며, 여성을 무지개뱀과 같은 창조 능력의 수준으로 올려놓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남성들은 팔이나 음경을 베어 자신의 몸, 서로의 몸, 심지어 여성의 자궁에 피가 흐르게 함으로써 이 신성한 과정을 모방하려 한다. 남성들은 때때로 자신의 피를 여성의 월경혈과 섞어 성별 간의 의례적인 통일을 위해 함께 흐르게 한다.
무지개뱀은 또한 치유자로 인식되며, 의례를 통해 인간에게 치유자로서의 속성을 전달할 수 있다.[25]
9. 현대 문화에 미친 영향
무지개뱀은 전통적인 신념의 지속 외에도 예술, 영화, 문학, 음악, 종교 및 사회 운동에 영감을 제공하여 현대 문화에서 자주 언급된다. 예를 들어, 호주에서 열리는 연례 음악 축제인 무지개뱀 축제[26]와, 지구상의 다양한 성지를 방문하는 영화 제작자의 여정을 기록하는 일련의 영화인 무지개뱀 프로젝트[27]는 모두 이 생물에서 영감을 얻어 이름을 따왔다.
많은 호주 원주민 예술가들이 무지개뱀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24] 벨 파커라는 예술가는 2000년에 '여행'이라는 그림을 그렸다. 이 그림은 무지개뱀과 기독교 십자가를 결합했다. 그녀는 이 작품으로 블레이크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8]
무지개뱀은 또한 문학 작품의 등장인물로 등장했다. 라르딜족의 무지개뱀의 꿈 이야기는 딕 러프시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호주 아동 도서 '무지개뱀'에서 다시 이야기되었고,[29] 무지개뱀은 헬블레이저와 같은 만화책에도 등장했다.[30] 유를룽구르라는 이름의 무지개뱀은 일본 롤플레잉 게임의 여신전생 시리즈 여러 작품에서 악마 또는 페르소나로 등장했다.[31] 무지개뱀은 또한 소설 《무지개뱀의 눈》에서 적대적인 캐릭터로 등장했다.[32]
무지개뱀은 특히 호주 원주민에게 오늘날에도 여전히 문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24] 전 세계의 일부 뉴에이지 종교 및 영성 운동에서도 무지개뱀을 아이콘으로 채택했다.[24]
마찬가지로, 무지개뱀은 사회 운동에 영감을 줄 수 있다.[25] 예술 역사가 조르주 프티쟝은 무지개뱀을 다양한 성별과 성 정체성에 동일시하는 것이 무지개 깃발이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이것은 추측에 불과하며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의 상징으로 채택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제안했다.[25] 정치적으로 예를 들어, 호주에서는 무지개뱀이 반 우라늄 채굴 운동의 상징으로 채택되었으며, 채굴이 뱀을 방해하고 복수를 초래할 것이라는 개념을 환경 파괴의 은유로 사용했다.[25]
참조
[1]
서적
The Mythology Book Big Ideas Simply Explained
DK Publishing
[2]
웹사이트
The First Australians
http://www.programs.[...]
2013-04-29
[3]
웹사이트
The Dreaming
http://australia.gov[...]
Australian Government
2008-03-06
[4]
웹사이트
About
https://rainbowserpe[...]
2021-08-09
[5]
기타
[6]
기타
[7]
웹사이트
Djalu' Gurruwiwi
https://hollowlogdid[...]
Buku-Larrnggay Mulka Centre
2015
[8]
웹사이트
ngalyod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16
[9]
기타
[10]
문서
After the Dreaming
ABC Boyer Lecture Series
1968
[11]
논문
The Origin of Dragons
2000-12
[12]
서적
The Dragon and the Rainbow: Man’s Oldest Story
https://brill.com/di[...]
Brill, Leiden
[13]
기타
[14]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World Folklore and Folklife
Greenwood Press
[15]
서적
Australian Dreaming: 40,000 Years of Aboriginal History
Lansdowne Press
[16]
기타
[17]
웹사이트
Indigenous Weather Knowledge – The Rainbow Serpent
http://www.bom.gov.a[...]
[18]
웹사이트
The Trails of the Rainbow Serpents
https://www.youtube.[...]
Daniel Habedank
1994
[19]
서적
Northern Tribes of Central Australia
http://dx.doi.org/10[...]
Macmillan
[20]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Mythology
Galahad Books
[21]
서적
Aboriginal Paintings of the Wolfe Creek Crater: Track of the Rainbow Serp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22]
기타
[23]
웹사이트
Rainbow Serpent
http://education.nat[...]
Public Television's Wild Chronicles
2013-04-05
[24]
논문
Rejecting the Rainbow Serpent: An Aboriginal Artist's Choice of the Christian God as Creator
2001-12
[25]
논문
'Casting Ahead Serpent-fashion': The Rainbow Serpent in Australia
[26]
웹사이트
Rainbow Serpent Festival
https://www.rainbows[...]
Rainbow Serpent Festival
2013-04-11
[27]
웹사이트
Rainbow Serpent Project
http://www.rainbowse[...]
2013-04-17
[28]
웹사이트
ArtAsiaPacific: Indigenous artwork marks the Sydney Opera House on Invasion Day (Australia Day),
https://artasiapacif[...]
2022-11-28
[29]
서적
The Rainbow Serpent
Collins
[30]
간행물
Hellblazer
DC/Vertigo
1995-05
[31]
웹사이트
Persona 5 Yurlungur Stats Skills List
https://samurai-game[...]
2020-03-30
[32]
웹사이트
Eyes of the Rainbow Serpent
https://www.amazon.c[...]
Amazon
2022-01-12
[33]
웹사이트
樹皮画(虹蛇)ジュヒガ(ニジヘビ)
http://htq2.minpaku.[...]
국립민족학박물관
2011-07-06
[34]
기타
[35]
웹사이트
The Trails of the Rainbow Serpents
http://www.youtube.c[...]
Daniel Habedank
1994
[36]
서적
世界の民話36 オーストラリア
小学館
1986-04
[37]
서적
2004
[38]
서적
2004
[39]
논문
2011
[40]
서적
小学館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第2版 編集委員会
小学館
1994
[41]
서적
https://books.google[...]
1967
[42]
서적
2013
[43]
서적
2004
[44]
논문
1967
[45]
서적
2004
[46]
서적
2016
[47]
서적
2000
[48]
서적
Facts On File Encyclopedia Of World Mythology And Legend
Facts On File
[49]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World Folklore and Folklife
Greenwood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