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성길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1982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아마추어 시절 219승 22패의 뛰어난 전적을 기록했다.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 밴텀급 금메달, 1986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7년 프로로 전향하여 WBA 밴텀급, WBC 슈퍼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을 지냈으며, 프로 통산 20승(15KO) 2패의 기록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포덕인고등학교 동문 - 국창근
국창근은 전라남도의회 의원과 의장을 거쳐 제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활동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했으나, 학력 허위 기재 및 국회 내 폭언과 폭력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목포덕인고등학교 동문 - 전칠성 (권투 선수)
전칠성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아마추어 시절 100승 6패의 전적을 기록하고 1983년 권투 월드컵 은메달, 1984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프로 전향 후 WBC 슈퍼페더급 챔피언을 꺾었으나 WBA 라이트급 타이틀전 패배 후 은퇴했다.
문성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63년 7월 20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
신장 | 166cm |
체급 | 슈퍼플라이급 밴텀급 |
스탠스 | 오소독스 |
국적 | 대한민국 |
선수 경력 | |
총 경기 수 | 22 |
승리 | 20 |
KO승 | 15 |
패배 | 2 |
프로 데뷔 | 1987년 3월 8일 |
은퇴 | 1993년 |
아마추어 경력 | |
대회 정보 | |
1986 리노 | 금메달 (-54kg) |
대회 정보 | |
1982 뉴델리 | 금메달 (-54kg) |
1986 서울 | 금메달 (-54kg) |
대회 정보 | |
1985 서울 | 금메달 (밴텀급) |
2. 생애
문성길은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5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목포 덕인고에서 복싱을 시작해 3년 만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82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으나, 의무 복무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프로로 전향하여 현역으로 입대했다. 제대 후 WBA 밴텀급과 WBC 슈퍼플라이급 챔피언을 지냈다.[1]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복싱 밴텀급에 출전하여 8강에 진출했다.
1987년 프로 데뷔 후, 1988년 카오코 갤럭시를 꺾고 WBA 세계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다. 2차 방어에 성공했으나, 1989년 카오코 갤럭시와의 재대결에서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1990년 WBC 슈퍼플라이급 챔피언 나나 코나두를 꺾고 2체급 석권에 성공했다. 이후 9차 방어까지 성공했으나, 1993년 호세 루이스 부에노에게 판정패하며 은퇴했다.
2. 1. 어린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문성길은 아마추어 시절 219승 22패(164 KO)의 전적을 기록했으며, 경량급에서 뛰어난 KO 펀처로 명성을 떨쳤다.[1] 1982년 뉴델리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에서 밴텀급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결승에서 태국의 완차이 퐁스리를 한 방에 KO로 꺾었다.[1]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문성길은 페드로 놀라스코와의 8강전에서 우발적인 머리 부딪힘으로 인한 머리 부위의 출혈로 1라운드 RSC(레퍼리 스톱 컨테스트) 패를 당하며 탈락했다.[1]
1985년 3월, 문성길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미국-한국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에서 미래의 WBC 슈퍼 밴텀급 챔피언 폴 뱅크를 3라운드 RSC로 제압했다.[1]
1985년 11월, 문성길은 복싱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모든 상대를 KO로 제압했다.[1]
1986년, 문성길은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대한민국 아마추어 복서가 되었으며,[1] 이 대회에서 미래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알렉산다르 흐리스토프와 아르날도 메사를 꺾었다.[1]
아마추어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2. 2. 프로 경력
1987년 3월 8일, 프로로 전향하여 16번의 프로 경기를 치른 리크 바젤롯을 1라운드 KO로 꺾으며 데뷔했다. 이후 첫 6경기에서 모두 KO승을 거두었다.1988년 8월 14일, 카오코르 갤럭시를 상대로 세계복싱협회(WBA) 밴텀급 타이틀에 도전, 6라운드 기술 판정승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경기는 문성길의 컷으로 이어진 우연한 머리 부딪힘으로 인해 조기에 중단되었다.[1] 이후 에드가 오마르 몬세라트를 7라운드 KO, 치아키 코바야시를 5라운드 KO로 꺾으며 2차 방어에 성공했다. 전 일본 밴텀급 챔피언이었던 코바야시는 이 패배를 계기로 은퇴했다.
1989년 7월 9일, 카오코르 갤럭시와 재대결을 펼쳤으나, 11라운드에 두 번 다운되는 등 열세를 보이며 12라운드 만장일치 판정패(120–109, 120–109, 120–112)를 당하며 WBA 밴텀급 타이틀을 내주었다.
이후 체급을 낮춘 문성길은 1990년 1월 20일, 나나 코나두를 상대로 세계복싱평의회(WBC) 슈퍼플라이급 및 선수권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다.[1] 두 선수 모두 여러 번 다운되는 난타전 끝에, 우연한 머리 부딪힘으로 인한 9라운드 기술 판정승(86–84, 86–82, 87–84)을 거두며 두 번째 체급에서 두 번째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후 길베르토 로만(9라운드 KO), 코나두와의 재대결(4라운드 KO), 일라리오 사파타(1라운드 KO) 등 이전 또는 미래의 세계 챔피언들을 상대로 5번의 승리를 포함하여 9차례의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1993년 7월 3일, 9번째이자 마지막 타이틀 방어전에서 카를로스 가브리엘 살라자르를 상대로 12라운드 다수 판정승을 거두었다.
1993년 11월 13일, 호세 루이스 부에노에게 1-2 (115–114, 112–117, 110–118)로 판정패하며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을 잃었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으며, 프로 전적은 20승 2패(15KO)를 기록했다.
3. 주요 경기
문성길은 아마추어 시절 219승 22패(164 KO)의 전적을 기록했으며, 프로 선수로 데뷔한 이후에도 뛰어난 경기를 펼쳤다. 다음은 문성길의 주요 경기 기록이다.
1984년 하계 올림픽 | ||||
---|---|---|---|---|
종목 | 라운드 | 결과 | 상대 | 점수 |
밴텀급 | 1회전 | 부전승 | ||
2회전 | 승 | 존 하일랜드 | KO 3 | |
3회전 | 승 | 로버트 섀넌 | RSC 3 | |
8강 | 패 | 페드로 놀라스코 | RSC 1 |
1985년 복싱 월드컵 | ||||
---|---|---|---|---|
종목 | 라운드 | 결과 | 상대 | 점수 |
밴텀급 | 8강 | 승 | 버나드 프라이스 | KO 1 |
준결승 | 승 | 류비사 시미치 | RSC 2 | |
결승 | 승 | 호세 로드리게스 | KO 2 |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
---|---|---|---|---|
종목 | 라운드 | 결과 | 상대 | 점수 |
밴텀급 | 1회전 | 승 | 파브리지오 카파이 | KO 1 |
2회전 | 승 | 조니 바스케스 | 5–0 | |
8강 | 승 | 알렉산다르 흐리스토프 | RSC 2 | |
준결승 | 승 | 아르날도 메사 | 3–2 | |
결승 | 승 | 르네 브라이트바르트 | 3–2 |
- 1987년 3월 8일, 프로 데뷔전에서 리크 바젤롯을 1라운드 KO로 꺾었다.
- 1988년 8월 14일, 카오코 갤럭시를 상대로 WBA 밴텀급 타이틀에 도전, 6라운드 기술 판정승으로 챔피언이 되었다.
- 이후 타이틀 2차 방어에 성공:
- 에드가 오마르 몬세라트를 7라운드 KO로 꺾었다.
- 치아키 코바야시를 5라운드 KO로 꺾었다.
- 1989년 7월 9일, 카오코 갤럭시와의 재대결에서 12라운드 만장일치 판정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 1990년 1월 20일, 나나 코나두를 상대로 WBC 및 선수권 슈퍼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 9라운드 기술 판정승으로 두 번째 체급에서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1]
- 이후 9차례 타이틀 방어에 성공:
- 길베르토 로만을 9라운드 KO로 꺾었다.
- 나나 코나두와의 재대결에서 4라운드 KO로 승리했다.
- 일라리오 사파타를 1라운드 KO로 꺾었다.
- 카를로스 가브리엘 살라자르를 상대로 12라운드 다수 판정승을 거두었다.
- 1993년 11월 13일, 호세 루이스 부에노에게 1-2 판정패하며 WBC 슈퍼플라이급 타이틀을 잃고 은퇴했다.
4. 기록 및 업적
- 1982년 복싱 국가대표.
- 1982년 킹스컵 대회 은메달.
- 1982년 11월 뉴델리 아시안게임 밴텀급 금메달.
-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8강 탈락.
- 1985년 월드컵대회 금메달.
-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금메달.
- 1986년 11월 미국 리노 제4회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금메달.
- 1986년 체육훈장 백마장.
- 1987년 프로 전향.
- 1988년 세계복싱협회(WBA) 밴텀급 세계챔피언(2차 방어).
- 1990년 ~ 1993년 세계복싱평의회(WBC) 슈퍼플라이급 세계챔피언(9차 방어).
- 1993년 WBC 슈퍼플라이급 10차 방어전에서 호세 루이스 부에노에 판정패.
- 1993년 12월 권투선수 은퇴.
- 2000년 문성길 복싱클럽 대표.
문성길은 아마추어 시절 219승 22패(164 KO)의 전적을 기록했으며, 경량급에서 뛰어난 KO 펀처로 명성을 떨쳤다.[1]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결승에서 태국의 완차이 퐁스리를 KO로 꺾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8강전에서 페드로 놀라스코와의 경기 중 우발적인 머리 부딪힘으로 인한 출혈로 1라운드 RSC 패를 당했다.
1985년 3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미국-한국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에서 폴 뱅크를 3라운드 RSC로 제압했다.
1985년 11월, 복싱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모든 상대를 KO로 제압했다.
1986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대한민국 아마추어 복서가 되었으며, 이 대회에서 알렉산다르 흐리스토프와 아르날도 메사를 꺾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 ||||
---|---|---|---|---|
종목 | 라운드 | 결과 | 상대 | 점수 |
밴텀급 | 1회전 | 부전승 | ||
2회전 | 승 | 존 하일랜드 | KO 3 | |
3회전 | 승 | 로버트 섀넌 | RSC 3 | |
8강 | 패 | 페드로 놀라스코 | RSC 1 | |
1985년 복싱 월드컵 | ||||
---|---|---|---|---|
종목 | 라운드 | 결과 | 상대 | 점수 |
밴텀급 | 8강 | 승 | 버나드 프라이스 | KO 1 |
준결승 | 승 | 류비사 시미치 | RSC 2 | |
결승 | 승 | 호세 로드리게스 | KO 2 | |
198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
---|---|---|---|---|
종목 | 라운드 | 결과 | 상대 | 점수 |
밴텀급 | 1회전 | 승 | 파브리지오 카파이 | KO 1 |
2회전 | 승 | 조니 바스케스 | 5–0 | |
8강 | 승 | 알렉산다르 흐리스토프 | RSC 2 | |
준결승 | 승 | 아르날도 메사 | 3–2 | |
결승 | 승 | 르네 브라이트바르트 | 3–2 | |
1987년 프로 데뷔 후 첫 6경기에서 모두 KO승을 거두었다. 1988년 8월 14일 카오코르 갤럭시를 상대로 WBA 밴텀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6라운드 기술 판정승)
이후 2차 방어에 성공했다. 1989년 7월 9일, 카오코르 갤럭시와의 재대결에서 12라운드 만장일치 판정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체급을 낮춘 문성길은 1990년 1월 20일 나나 코나두를 상대로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했다.(9라운드 기술 판정승)
이후 9차례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으며, 길베르토 로만, 나나 코나두(재대결), 일라리오 사파타 등을 꺾었다.
1993년 7월 3일, 카를로스 가브리엘 살라자르를 상대로 12라운드 다수 판정승을 거두며 9번째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1993년 11월 13일, 호세 루이스 부에노에게 판정패하며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을 잃고 은퇴했다. 프로 통산 전적은 20승 2패(15KO)이다.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22 | 패 | 20–2 | 호세 루이스 부에노 | 판정 | 12 | 1993년 11월 13일 | 대한민국 포항 포항체육관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실패 |
21 | 승 | 20–1 | 카를로스 살라사르 | 판정 | 12 | 1993년 7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교육문화회관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20 | 승 | 19–1 | 일라리오 사파타 | TKO | 1 (12) | 1993년 2월 27일 |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 펜싱경기장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9 | 승 | 18–1 | 그렉 리차드슨 | 판정 | 12 | 1992년 10월 31일 |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 펜싱경기장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8 | 승 | 17–1 | 아르만도 살라사르 | TKO | 8 (12) | 1992년 7월 4일 | 대한민국 인천 인천 시민회관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7 | 승 | 16–1 | 토르삭 퐁수파 | TKO | 6 (12) | 1991년 12월 22일 | 대한민국 인천 인천실내체육관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6 | 승 | 15–1 | 에르네스토 포드 | KO | 5 (12) | 1991년 7월 20일 | 대한민국 서울 르네상스 호텔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5 | 승 | 14–1 | 나나 코나두 | TKO | 4 (12) | 1991년 3월 16일 | 스페인 사라고사 프린시페 펠리페 경기장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4 | 승 | 13–1 | 마쓰무라 겐지 | 판정 | 5 (12) | 1990년 10월 20일 | 대한민국 서울 한양대학교 체육관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심판 전원 일치 판정: 문성길, 우발적인 머리 충돌로 인한 컷 |
13 | 승 | 12–1 | 길베르토 로만 | 기권 | 8 (12) | 1990년 6월 9일 | 대한민국 서울 팔팔체육관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2 | 승 | 11–1 | 나나 코나두 | 판정 | 9 (12) | 1990년 1월 20일 | 대한민국 서울 세계무역센터 | WBC 슈퍼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심판 전원 일치 판정: 문성길, 우발적인 머리 충돌로 인한 컷 |
11 | 승 | 10–1 | 로미오 오프리아사 | KO | 5 (10) | 1989년 11월 19일 | 대한민국 군산 | |
10 | 패 | 9–1 | 카오코르 갤럭시 | 판정 | 12 | 1989년 7월 9일 | 태국 방콕 라자담넌 경기장 | WBA 밴텀급 타이틀 획득 실패 |
9 | 승 | 9–0 | 치아키 코바야시 | TKO | 5 (12) | 1989년 2월 19일 | 대한민국 대전 충무체육관 | WBA 밴텀급 타이틀 방어 |
8 | 승 | 8–0 | 에드가 몬세라트 | TKO | 7 (12) | 1988년 11월 17일 | 대한민국 서울 잠실체육관 | WBA 밴텀급 타이틀 방어 |
7 | 승 | 7–0 | 카오코르 갤럭시 | 판정 | 6 (12) | 1988년 8월 14일 | 대한민국 서울 르네상스 호텔 | WBA 밴텀급 타이틀 획득; 심판 전원 일치 판정: 문성길, 우발적인 머리 충돌로 인한 컷 |
6 | 승 | 6–0 | 오키 프레투스 | KO | 4 (10) | 1988년 6월 5일 | 대한민국 울산 KBS 울산홀 | |
5 | 승 | 5–0 | 토니 프루잇 | KO | 3 (10) | 1988년 2월 21일 | 대한민국 서울 88체육관 | |
4 | 승 | 4–0 | 테프라툼 에크차칭차이 | KO | 2 (10) | 1987년 12월 11일 | 대한민국 광주 광주 종합체육관 | |
3 | 승 | 3–0 | 콘스탄시오 당글라 | KO | 3 (10) | 1987년 8월 16일 | 대한민국 목포 | |
2 | 승 | 2–0 | 싱노이 싱크룽톤 | KO | 3 (10) | 1987년 5월 17일 | 대한민국 부산 구덕체육관 | |
1 | 승 | 1–0 | 리크 바젤롯 | KO | 4 (8) | 1987년 3월 8일 | 대한민국 서울 잠실체육관 |
5. 트리비아
문성길은 태릉선수촌에 입촌해 훈련하는 국가대표 선수들이 매주 금요일 오후 3시면 불암산 헬기장까지 편도 4.5km를 달리는 '불암산 달리기'에서 역대 최고인 21분대 기록을 세웠다.[1]
희대의 라이벌이었던 허영모와의 경기는 전 국민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