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왕후는 고려 성종의 왕비로, 본관은 선산이며 시호는 문화이다. 연흥궁주, 현덕궁주로 불렸으며, 딸은 고려 현종의 왕비 원정왕후이다. 성종의 여동생들의 소생인 목종과 현종을 돌보았으며, 1029년 대비에 봉해졌다. 사망 후 시호가 문화왕후로 정해졌으나, 생몰년과 능의 위치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2009년 KBS2 드라마 《천추태후》에서 배우 문정희와 김민지가 문화왕후를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대비 - 국대비 왕씨
    국대비 왕씨는 고려 공양왕의 생모로, 아들의 즉위 후 복녕궁주에 봉해지고 숭녕부가 설치되었으며, 자예정명익성사제혜덕삼한국대비의 존호를 받았으나 생몰년과 묘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11세기 사망 - 이즈미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는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이자 여러 남성과의 열애로 유명하며, 연애시와 애상가, 찬불가 등으로 후대 여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11세기 사망 - 원질귀비
    고려 현종의 비인 원질귀비는 청주 출신으로 중서령 왕가도의 딸이며 덕종의 비인 경목현비와 자매 관계이나, 자세한 생애와 현종과의 자녀 여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 10세기 출생 - 다키키
    다키키는 10세기 사만 왕조 궁정 시인으로, 이란 역사 서사시 《샤나메》 집필을 시작했으나 미완성으로 사망했고, 그의 작품 일부는 페르도시의 《샤나메》에 보존되었다.
  • 10세기 출생 - 바츨라프 1세 (보헤미아 공작)
    바츨라프 1세는 10세기 보헤미아 공작으로, 기독교를 장려하고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동생 볼레슬라프 1세에게 암살당한 후 성인으로 추앙받아 체코 민족의 영웅으로 숭배받는다.
문화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위대비
재위 시작1029년
배우자성종
자녀원정왕후
가문선산 김씨
존호
존호대비(大妃)
생애
출생960년
출생지선주, 고려
사망1029년 이후
아버지김원숭
어머니화의군대부인 왕씨
칭호
즉위 전연흥궁주 (延興宮主)
현덕궁주 (玄德宮主)
사후 칭호문화 (文和; "Civil and Harmonious")

2. 생애

문화왕후는 성종과의 사이에서 딸 한 명을 낳았으며, 이 딸은 훗날 현종의 왕비(원정왕후 김씨)가 되었다. 성종의 여동생들의 소생인 목종과 현종을 돌보았으며, 특히 부모를 일찍 여읜 이들을 양육하여 훗날 어머니와 같은 이미지가 각인되었다고 전해진다.[5]

1029년(현종 20년)에 왕대비(王大妃) 칭호 대신 대비(大妃)로 봉해졌으며, 이때 아버지 김원숭을 비롯한 조부모와 부모에게 여러 관직 및 토지가 내려졌다.[5]

사망 후 시호는 '''문화왕후'''(文和王后)이다. 생몰년도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적어도 대비에 봉해진 1029년 이후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인다. 능 또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위치를 알 수 없다.[5]

2. 1. 출신 및 가계

경상북도 구미시 선주(현 선산) 출신으로, 훗날 시중에 추증된 김원숭(金元崇)과 화의군대부인 왕씨(和義郡大夫人 王氏)의 딸이다. 성종의 왕비로 책봉되어 그 호를 연흥궁주(延興宮主) 또는 현덕궁주(玄德宮主)라고 하였다. 현대 학자 중 일부는 그녀의 어머니가 왕씨인 것을 두고, 그녀가 왕실의 외손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하기도 한다.[5]

그녀는 남편 성종과의 사이에서 딸 1명을 낳았으며, 그 딸은 훗날 현종의 왕비(원정왕후 김씨)가 되었다. 또한 성종의 여동생들의 소생인 목종과 현종을 돌보며 훗날 어머니라는 이미지가 각인되었다고 전해진다.[5]

1029년(현종 20년)에 대비(大妃)에 봉해졌으며, 이때 그녀의 아버지 김원숭을 비롯한 조부모와 부모에게 여러 관작 및 토지가 내려졌다.[5]

가계


2. 2. 왕비 시절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출신으로, 훗날 시중에 추증된 김원숭(金元崇)과 화의군대부인 왕씨(和義郡大夫人 王氏)의 딸이다. 성종의 왕비로 책봉되어 연흥궁주(延興宮主) 또는 현덕궁주(玄德宮主)로 불렸다. 현대 학자들은 그녀의 어머니가 왕씨인 점을 들어 왕실의 외손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5]

결혼 후, "연흥궁"(연흥궁|延興宮한국어)에 거주하며 '''연흥궁주'''(연흥궁주|延興宮主한국어)로, "현덕궁"(현덕궁|玄德宮한국어)에 거주하며 '''현덕궁주'''(현덕궁주|玄德宮主한국어)로 불렸다.[3]

성종과의 사이에서 딸 한 명을 낳았으며, 이 딸은 훗날 현종의 왕비(원정왕후 김씨)가 되었다. 성종의 여동생들의 소생인 목종과 현종을 돌보았으며, 특히 부모를 일찍 여읜 목종과 현종을 양육하였다.[3]

2. 3. 대비 시절과 사망

1029년(현종 20년)에 고려의 왕족과 신하들은 왕대비(王大妃) 칭호를 쓰지 않고 대비(大妃)로 봉했다. 이때 그녀의 아버지 김원숭을 비롯한 조부모와 부모에게 여러 관직 및 토지가 내려졌다.[5]

현종 재위 기간 동안, 그녀는 왕대비와 동등한 권한을 가졌으며[3] 그녀의 친척들에게는 다양한 관직, 토지, 명예가 주어졌다.

사망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029년에 대비가 되었으므로, 그 이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녀의 장례 절차는 원목왕후원순숙비에게 난처한 문제가 되었는데, 문종이 선산 김씨의 예를 바탕으로 계획을 세우면서 원목왕후의 의례를 어떻게 할지 논의했기 때문이다.

사망 후 그 시호를 '''문화왕후'''(文和王后)라고 하였다. 그녀의 능 또한 기록이 되어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다.[5]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김광의(金光義)상서좌복야 상주국 회의국개국백
조모김씨(金氏)화의군대부인
아버지김원숭특진 수태위 겸 시중 화의군개국후, 생몰년 미상
어머니왕씨(王氏)화의군대부인, 생몰년 미상
남편성종(成宗)문의대왕, 960년 ~ 997년
원정왕후 김씨(元貞王后 金氏)? ~ 1018년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7-25
[2] 웹사이트 문화왕후 http://gumi.grandcul[...] 2021-10-20
[3]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7-25
[4] 웹사이트 '문화왕후' 문정희, 왕후의 춤사위란 이런것! https://www.chosun.c[...] 2021-07-25
[5] 간행물 문화왕후(文和王后)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