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영아리오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영아리오름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에 위치한 오름으로, 2000년에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보호받고 있다. 오름 정상에는 함지박 형태의 화구가 있으며, 그 안에 물이 고여 습지를 형성한다. 영화 '늑대소년' 촬영지로, 푸른 초지와 삼나무 숲이 인상적인 곳이며, 람사르 습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생태 보전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습지보호지역 - 우포늪
    우포늪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의 자연 늪으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이자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철새 도래지 역할과 더불어 홍수 조절, 수질 정화, 식량 공급 등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의 습지보호지역 - 문경 굴봉산 돌리네습지
    문경 굴봉산 돌리네습지는 굴봉산 정상부 돌리네 지형에 형성된 494,434m2 면적의 습지로, 석회암 카르스트 지대에 위치하여 독특한 지질학적 특징을 지니고 육지, 초원, 습지 생태계가 공존하며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생물의 서식지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 측화산 - 송악산 (제주)
    송악산은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응회암 기생화산으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일제강점기 군사기지 및 섯알오름 학살 사건과 같은 역사적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 측화산 - 산굼부리
    산굼부리는 제주도에 있는 한라산의 기생화산으로, 폭발 또는 함몰로 인해 형성된 평지의 거대한 화구이며, 다양한 식물군락과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여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서귀포시의 지리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서귀포시의 지리 - 가파도
    가파도는 제주도 남쪽의 평탄한 섬으로, 청보리밭과 관광 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과거 마라도의 본섬이었고 해산물과 고구마가 특산물이며, 섬 이름은 가오리 모양이나 파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물영아리오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정보 없음)
높이508
위치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산맥(정보 없음)

2. 위치 및 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에 있는 물영아리오름의 습지는 2000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예로부터 이 오름의 산신이 노하면 분화구 일대가 안개에 휩싸이고 천둥번개와 폭우가 쏟아진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물영아리오름 북쪽에는 염은영아리오름, 쳇망오름, 검은오름, 붉은오름 등이 있고, 동북쪽에는 두 개의 사슴이오름(큰사슴이오름과 족은사슴이오름)이 있다.[1]

3. 형성 배경

제주도는 약 160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으로, 화산 분출과 함께 약 370여 개의 기생 화산구가 한라산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를 오름이라고 하는데, 자연 생태학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다. 특히 남원읍에 위치한 물영아리오름은 수령산 또는 수령악이라고도 불리며, 오름 정상에는 둘레 약 1km, 깊이 40여 m에 달하는 함지박 형태의 화구가 있다. 이 화구 안에는 강수가 고여 습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제주도에 산재하는 분화구 습지의 대표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1]

4. 습지 보호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에 있는 물영아리오름의 습지는 2000년에 전국 최초로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1] 예로부터 이 오름의 산신이 노하면 분화구 일대가 안개에 휩싸이고 천둥번개와 폭우가 쏟아진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1]

5. 전해오는 이야기

물영아리오름은 비가 많이 오면 오름 정상 화구에 물이 고이기 때문에 ‘물이 있는 영아리’라는 데서 유래했다. 영아리의 의미는 확실하지 않으나 ‘신령(靈)’과 관계된다는 것은 민간 어원적인 해석으로 보인다. 탐라지에는 ‘수영악(水盈嶽)’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수령산(水靈山)이라고도 하고 “정의현 북쪽 삼십 리에 있다. 그 꼭대기에는 못이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탐라순력도에는 ‘물영아리악(勿永我里嶽)’이라 되어 있고, 오름의 정상부는 ‘유수(有水)’라고 기록되어 있다.[2]

6. 영화 촬영지

영화에는 초원과 삼나무 숲만 나왔지만, 시선을 조금만 위로 올리면 전혀 색다른 풍경을 만나게 된다.[1] 삼나무 숲에 둘러싸인 물영아리오름이 초지 뒤편으로 봉긋이 솟아오른 모습은 영화 밖에서 만나는 이곳의 또 다른 매력이다. 물영아리오름의 진가는 오름을 올라야만 맛볼 수 있는데, 정상부에 형성된 분화구에 물이 고여 습지를 이루고 있는 '특별한' 오름이기 때문이다.[1] 물영아리오름은 한국에서 다섯 번째로 람사르 습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생태 보전 지역이다.[1]

6. 1. 늑대소년 촬영

영화 ‘늑대소년’에서 순자와 동네 꼬마 친구들이 철수와 함께 야구를 하며 놀던 장면은 제주도 남원읍에 있는 물영아리오름에서 촬영되었다.[1] 푸른 초지 뒤로 빽빽하게 둘러선 삼나무 숲이 무척 인상적인 곳이다.[1] 영화에서 철수가 던진 공이 숲 속 너머로 사라져 버리는데, 사실 그가 ‘늑대소년’이기에 가능했지, 일반인이라면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을 만큼 초원 부지가 넓다.[1] 실제 초원 지대는 철조망이 쳐져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1] 초원의 주인은 사람이 아닌 소들이다.[1] 날씨가 좋을 때는 100여 마리의 소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으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광경을 감상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물영아리오름 한국관광공사 2013
[2] 서적 물영아리오름 국토지리정보원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