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몸길이가 최대 4.8m에 달하는 대형 상어로, 뭉툭하고 넓은 주둥이와 6쌍의 아가미 구멍이 특징이다.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의 심해에 서식하며,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을 포식한다. 난태생으로 한 번에 22~108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수컷은 11~14세, 암컷은 18~35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IUCN 적색 목록에 취약근접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어업과 스포츠 낚시로 인해 남획의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락상어과 - 칠성상어
    칠성상어는 칠성상어과에 속하는 상어로, 몸길이 최대 3.3m까지 자라고, 7개의 아가미 구멍과 검은 반점을 가지며, 전 세계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을 포식하고,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하며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신락상어과 - 꼬리기름상어
    꼬리기름상어는 전 세계 온·열대 해역의 대륙붕과 대륙사면에 서식하는 심해 상어로, 굵고 원통형의 몸과 큰 머리, 7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며 어류와 두족류를 먹는 육식성 난태생 어류이고, 어업 활동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1788년 기재된 물고기 - 황다랑어
    황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노란색 지느러미가 특징적인 다랑어의 일종으로, 상업적 어획 및 스포츠 낚시 대상이지만 남획과 혼획 문제로 지속 가능한 어업 노력이 필요하다.
  • 1788년 기재된 물고기 - 병어
    맛이 좋아 인도-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귀하게 여겨지는 병어는 한국에서 구이, 중국에서 찜이나 조림으로 요리되며, 쿠웨이트에서는 어획 금지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Hexanchus griseus
Hexanchus griseus
상태준위협 (NT)
학명Hexanchus griseus
명명자(Bonnaterre, 1788)
Bluntnose sixgill shark 분포 (파란색)
카구라자메의 분포역 (파란색)
몸길이약 6.1 미터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아문척추동물아문 (Vertebrata)
연골어강 (Chondrichthyes)
아강판새아강 (Elasmobranchii)
카구라자메목 (Hexanchiformes)
카구라자메과 (Hexanchidae)
카구라자메속 (Hexanchus)
카구라자메 (H. griseus)
어류 정보
영어 이름Bluntnose sixgill shark
일본어 이름카구라자메 (カグラザメ)
관련 뉴스거대한 심해 상어가 먹이를 청소한다
참고 문헌여섯줄아가미상어 Hexanchus vitulus Springer & Waller, 1969 (Hexanchiformes, Hexanchidae)의 부활, 북서대서양에서의 분포에 대한 논평

2. 특징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전 세계의 열대와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00m까지의 심해에서 주로 서식한다. 몸길이는 최대 4.8m에 달하는 대형 상어이다. 등쪽 몸 색깔은 회색, 갈색 또는 올리브색을 띠며 배 쪽은 흰색에 가깝다. 등지느러미는 1개이며 몸 뒤쪽에 위치하고, 주둥이는 이름처럼 뭉툭하고 넓다.

가장 큰 특징은 6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상어가 5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진 것과 대조적이며, 이는 이 상어의 이름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빨 형태 또한 독특하여 아래턱 양쪽에 각각 6개의 크고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4] 이러한 형태적 특징들은 트라이아스기 시대의 고대 상어들과 유사성을 보여준다.

먹이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상어를 포함한 다른 어류, 갑각류, 두족류, 조개류, 심지어 해양 포유류까지 포식하는 잡식성 포식자이다.[12][25] 생식 방법은 난태생으로, 알은 어미의 자궁 안에서 부화하여 새끼가 태어난다. 한 번에 22마리에서 최대 108마리까지 많은 수의 새끼를 낳는다.[12]

2. 1. 형태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몸집이 크고 꼬리가 길며, 몸길이는 평균 3.1m에서 4.2m 정도이다. 성체 수컷은 보통 3.1m에서 3.3m 사이이며, 성체 암컷은 3.5m에서 4.2m 사이이다. 최대 4.8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일부 기록에서는 5.5m까지[6], 심지어 1846년 포르투갈 연안에서 잡힌 개체가 8m였다는 보고도 있으나, 원 연구에서는 해당 개체의 길이가 0.68m에 불과했다고 언급되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7] 성체의 평균 무게는 500kg이며, 큰 개체는 길이가 6m, 무게가 1000kg에 달할 수도 있다.[8]

등쪽 몸 색깔은 회색, 갈색 또는 올리브색을 띠며 배쪽은 흰색에 가깝다. 옆면과 지느러미 가장자리에는 밝은 색의 측선이 있으며, 옆면에는 어두운 색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나이가 들수록 신경 아치 부분에 얼룩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5] 주둥이는 뭉툭하고 넓으며 편평하게 굽어 있다. 눈은 작고 동공은 검은색이며, 눈 색깔은 형광성의 푸른 녹색을 띤다.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6쌍의 아가미를 가진 상어 중 하나이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6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상어가 5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진 것과 대조적으로, 6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진 상어는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 외에 큰눈여섯줄아가미상어(''H. nakamurai''), 주름상어(''Chlamydoselachus anguineus''), 대서양여섯줄아가미상어 (Atlantic sixgill shark, ''H. vitulus''), 아프리카주름상어 (African frilled shark, ''C. africana''), 무태상어(Pliotrema warreni, P. kajae, P. annae), 여섯아가미가오리(Hexatrygon bickelli) 등이 있다.[4]

이빨 형태 또한 매우 특징적인데, 아래턱 양쪽에 6개의 크고 톱니 모양의 이빨이 있으며 위턱에는 더 작은 이빨들이 있다.[4]

등지느러미는 1개이며 몸 뒤쪽, 꼬리지느러미 가까이에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넓고 가장자리가 둥글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들은 트라이아스기 시대의 많은 화석 상어들과 유사성을 보인다. 실제로 화석 기록에는 현존하는 종보다 더 많은 ''Hexanchus'' 속의 친척들이 발견된다.

2. 2. 생태

전 세계의 열대와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수심 2000m까지의 심해에서 주로 서식한다.

몸길이는 보통 3.1m에서 4.2m 정도이며, 최대 6m까지 자랄 수 있고 무게는 1000kg에 달하는 개체도 보고되었다.[8] 등쪽 몸 색깔은 회색, 갈색 또는 올리브색을 띠며 배 쪽은 흰색에 가깝다. 등지느러미는 1개로 몸 뒤쪽에 위치한다. 주둥이는 이름처럼 뭉툭하고 넓으며 눈은 작고 형광빛이 도는 푸른 녹색이다. 가장 큰 특징은 6쌍의 아가미 구멍인데, 대부분의 상어가 5쌍인 것과 비교된다. 6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진 다른 상어로는 큰눈여섯줄아가미상어(''Hexanchus nakamurai''), 주름상어(''Chlamydoselachus anguineus''), 대서양여섯줄아가미상어(''Hexanchus vitulus'') 등이 있다.[4] 아래턱에는 양쪽에 6개씩 톱 모양의 큰 이빨이 있고, 위턱에는 더 작은 이빨들이 있다.[4] 몸 옆면에는 밝은 색의 측선이 있으며, 어두운 색의 반점도 관찰된다.[5] 형태적으로 트라이아스기의 고대 상어와 유사한 점이 많다.

여섯줄상어의 섭식 행동


먹이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상어를 포함한 다른 어류, 가오리, 키메라,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새우 같은 갑각류, 조개류, 심지어 물개와 같은 해양 포유류까지 포식하는 잡식성이다.[12][25] 이는 특정 먹이 자원의 부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생존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먹이를 먹을 때는 턱을 앞으로 내밀 수 있으며, 톱니 모양의 이빨을 이용해 먹이를 자르거나 찢는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먹이에 접근할 때는 가슴지느러미를 조절하여 조용히 다가가기도 한다.[24] 또한, 몸이 물보다 약간 가벼운 양성 부력을 가지고 있어, 위쪽으로 활공하며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먹이에 은밀하게 접근하거나[28] 깊은 곳과 얕은 곳을 오가는 수직 이동에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8]

생식 방법은 난태생으로, 알은 어미의 자궁 안에서 난황의 영양분으로 부화하여 새끼가 태어난다. 한 번에 22마리에서 최대 108마리까지 많은 수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약 60cm에서 75cm 정도이다.[12] 새끼는 성체보다 배 쪽 색깔이 더 밝은데, 이는 위장 효과를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임신 기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른 유사 상어들을 기준으로 2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암컷은 몸길이 약 4.5m, 나이 18~35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는 것으로 보이며, 수컷은 몸길이 약 3.15m, 나이 11~14세로 더 일찍 성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번식기에는 수컷이 이빨로 암컷의 아가미 부근을 무는 독특한 구애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암컷의 몸에 남는 상처를 통해 추측된다. 짝짓기는 주로 5월에서 11월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3. 분류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의 1877년 그림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기술은 1788년 피에르 조제프 보나테르가 저술했다. 여섯아가미상어과(Hexanchidae)에 속하는 이 상어는 현존하는 근연종보다 화석 기록에서 더 많은 근연종을 가지고 있다. 관련된 현존하는 종으로는 가시상어, 그린란드상어, 그리고 다른 여섯 아가미와 일곱 아가미 상어가 있다. 이 상어의 일부 친척은 2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상어는 원시적이고 현재의 신체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주목할 만한 종이다.

4. 분포 및 서식지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전 세계의 열대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북위 65°와 남위 48° 사이의 위도 범위에서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에서 발견된다.[11]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연안에서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아르헨티나까지, 그리고 알래스카에서 칠레까지 발견되었다. 동대서양에서는 아이슬란드에서 나미비아까지, 인도-태평양에서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북쪽 일본과 동쪽 하와이까지[12], 지중해에서는 그리스몰타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13] 특이하게도, 이 종의 미오세 시대 화석 유해가 대한민국에서도 발견되었다.[14]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종종 해저 근처에서 발견된다.


이 상어는 일반적으로 빛이 잘 들지 않는 해역의 대륙붕 위나 해저 근처 또는 수괴에서 헤엄치는 모습이 관찰된다.[4] 주로 수면 아래 180m에서 1100m 깊이의 외해 대륙붕에 서식하지만, 활동 범위는 수면 근처(0m)부터 최대 2500m 깊이까지 확장될 수 있다.[12][15][16] 어린 개체는 먹이를 찾기 위해 해안선 가까이 헤엄치기도 하며, 때로는 12m 깊이의 얕은 물에서도 발견된다. 반면, 성체는 보통 100m보다 깊은 곳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밤에는 먹이를 찾아 해수면 가까이 올라오기도 한다.[4]

최근의 발견 사례로는 2017년 12월 필리핀 오르모크 만의 제2차 세계 대전 난파선 주변 259m 깊이에서 원격 조종 무인 잠수정(ROV) 카메라에 성체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가 촬영된 것이 있으며, 이는 필리핀 해역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영상이다.[17] 2018년에는 브라질과 아프리카 사이의 상페드루와 상파울루 암초 근처 약 약 121.92m 깊이에서 촬영되었고,[18] 2019년에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섬 해변에서 임신한 개체의 사체가 발견되기도 했다.[19] 같은 해 10월에는 터키 서부 해안에서 3m가 넘고 무게 900kg에 달하는 거대한 개체가 죽은 채 발견되었다.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깊은 바다에 서식하기 때문에 먹이에 더 쉽게 접근하기 위해 일주기 수직 이동(Diel Vertical Migration, DVM) 행동을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이 상어들은 밤에 먹이를 찾아 얕은 수심으로 올라왔다가 다시 깊은 서식지로 내려가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이는 이들이 부력을 조절하여 쉽게 떠오를 수 있도록 돕는 적응 기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0] 오아후 해안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4마리의 상어가 자정에서 오전 3시 사이에 최소 300m 깊이까지 상승했다가, 정오 무렵에는 600m에서 700m 사이의 최대 깊이까지 내려가는 패턴을 보였다.[21] 이러한 행동은 밤 동안 얕은 곳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낮에는 빛과 높은 온도를 피해 깊은 곳으로 돌아가 신진대사율을 낮추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다른 연구에서도 먹이 섭취가 DVM의 주된 동기임이 밝혀졌으며, 상어들이 크기, 성별에 관계없이 일관된 수직 이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또한, 이 상어들은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겨울과 봄에는 북쪽으로, 여름과 가을에는 남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계절적 이동 역시 먹이의 분포 변화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23]

5. 성장

일반적으로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의 크기(길이 및 무게)는 성숙함에 따라 증가한다. 특히 수컷 상어의 경우, 생식기의 길이를 통해 성적 성숙을 판단한다. 어린 개체는 짧고 유연한 생식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성숙한 수컷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단단하고 석회화된 더 긴 생식기를 가지고 있다.[9] 수컷은 크기가 3.15m이고 나이가 11~14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 반면에 암컷의 길이-무게 관계는 성적 성숙이 시작되면서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10] 암컷은 길이가 4.5m이고 나이가 18~35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

번식은 난태생이며, 배아는 어미 내부에 있는 동안 난황에서 영양을 섭취한다. 한 배에 많은 수가 태어나며 일반적으로 태어날 때 60cm~75cm 크기의 새끼 22~108마리가 있으며,[12] 가장 큰 새끼는 82cm로 기록되었다. 또한 새로운 새끼는 성체보다 배가 더 밝은 색으로 태어나는데, 이는 은폐색 또는 위장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큰 배 크기로 인해 어린 새끼의 높은 사망률이 예상된다. 임신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까치상어와 같은 다른 신락상어목 상어의 임신 기간을 기준으로 2년 이상일 가능성이 있다.

많은 생물학자들은 수컷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의 이빨이 구애를 위해 특별히 적응되었다고 믿는다. 수컷은 더 긴 이빨 끝(cusp)을 사용하여 암컷의 아가미 틈새를 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행동은 암컷이 교미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가설에 대한 증거는 암컷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가 아가미 틈새 주변에 계절적인 흉터를 보이는 것으로, 이는 수컷과의 교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수컷과 암컷은 5월에서 11월 사이에 계절적으로 만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섭식 행동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먹이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다른 상어를 포함한 모든 어류, 갑각류, 두족류, 조개류, 해양 포유류 등을 포식한다.

이 상어는 먹이를 섭취하는 방식이 다양하며, 이는 이들의 진화적 성공과 넓은 분포 범위에 기여했을 수 있다. 턱을 앞으로 내밀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먹이를 먹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먹이를 다룰 때는 톱질하듯이 물거나 옆으로 찢는 기술을 사용한다. 또한, 사냥할 때는 먹이를 덮치기 직전에 가슴지느러미를 낮추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멈추기도 하는데, 이는 사냥을 더 쉽게 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24]

7. 번식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의 생식 방법은 난태생으로, 어미 몸 안에서 알을 부화시킨다. 배아는 어미 몸 안에 있는 동안 난황에서 영양을 얻는다. 한 배에 22~108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이는 상어 중 많은 편에 속한다.[12] 출산 직후 새끼의 크기는 보통 60cm~75cm 정도이며,[12] 가장 크게 기록된 새끼는 82cm였다. 갓 태어난 새끼는 성체보다 배 쪽 색깔이 더 밝은데, 이러한 위장색은 새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 배에 낳는 새끼 수가 많기 때문에, 어린 새끼의 사망률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신 기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융단상어와 같은 다른 육선어목 상어의 사례를 볼 때 2년 이상일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성숙함에 따라 몸 크기(길이와 무게)가 증가한다. 수컷의 경우, 생식기의 길이와 경화 정도로 성적 성숙을 판단할 수 있다. 어린 개체는 생식기가 짧고 유연하지만, 성숙한 수컷은 더 길고 단단하며 석회화된 생식기를 가진다.[9] 암컷은 성적 성숙이 시작되면서 길이와 무게가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10] 암컷은 몸길이가 4.5m 정도이고 나이가 18~35세가 되면 성적 성숙에 이르며, 수컷은 몸길이 3.15m 정도, 나이 11~14세에 성적으로 성숙하여 암컷보다 빠르다.[1]

많은 생물학자들은 수컷의 이빨이 구애 행위에 적응된 것으로 본다. 수컷이 더 긴 이빨(cusp)을 이용해 암컷의 아가미 틈새를 무는 행동이 관찰되는데, 이는 암컷의 교미를 유도하기 위한 행동으로 추정된다. 암컷의 아가미 주변에서 계절적으로 발견되는 흉터는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수컷과 암컷은 주로 5월에서 11월 사이에 만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8. 인간과의 관계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어업낚시의 대상이 된다. 수산물로는 고기와 간유(상어기름)가 이용된다.[4] 평소에는 심해에 서식하기 때문에 사람과 마주칠 확률은 낮다. 그러나 강한 턱과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으므로, 낚시 등으로 잡았을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8. 1. 보존 상태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근접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함에도 불구하고 수명이 길고, 스포츠 낚시 대상으로 인기가 있어 남획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적 어업을 장기간 유지할 수 없다. 많은 지역에서 이 종의 개체 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심각하게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다른 물고기를 잡을 때 함께 잡히는 혼획으로 포획되지만, 식용이나 스포츠 낚시를 목적으로 잡히기도 한다.[1]

2018년 6월, 뉴질랜드 자연보존부는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를 "위협받지 않음"으로 분류했다. 다만, "데이터 부족" 및 "해외 안전"이라는 단서를 달았다.[29]

이 상어는 사람이 먼저 도발하지 않는 한 비교적 해를 끼치지 않는다.[4]

8. 2. 사육

2013년 1월 10일에 인양된 개체가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 있는 누마즈항 심해 수족관에서 1월 19일까지 사육된 기록이 있다. 이후 2015년 1월 8일 아오모리현에서 인양된 개체는 1월 11일과 12일 양일간 아오모리시의 아사무시 수족관에서 특별 공개되었다[33]. 같은 해 이바라키현 오아라이정의 아쿠아 월드 오아라이에서는 이바라키현 수산시험장의 조사선이 포획한 개체를 1월 23일부터 2월 9일까지 전시했다[34].

9. 최근 연구

BBC가 제작한 해양 생물 다큐멘터리인 블루 플래닛 IIBlue Planet IIeng에는 심해 생물과 환경에 초점을 맞춘 에피소드가 포함되었다. 이 에피소드에서는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가 고래 시체를 먹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비하인드 스토리 영상에서는 상어들이 촬영팀이 비디오 영상을 수집하려 하자 심해 잠수정을 공격하는 모습이 담겼다. 경쟁자로 인식한 상어들은 잠수함을 몰아내기 위해 몸을 사용했으며, 잠수함이 먹이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나서야 물러났다.[30][31] 촬영팀은 이후 해당 에피소드에 포함될 여섯줄아가미상어의 유용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 다큐멘터리는 해당 상어 종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2005년부터 과학자들은 여섯줄아가미상어의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꼬리표를 부착하는 시도를 성공적으로 이어왔다. 그러나 2019년 이전까지는 자연적인 심해 서식지에서 꼬리표가 부착된 여섯줄아가미상어가 발견된 적이 없었다. 이에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플로리다 자연사 박물관, 케이프 엘류테라 연구소, 그리고 오션XOceanXeng 소속 연구원들은 협력하여 잠수함을 이용해 심해 상어에게 꼬리표를 부착하는 데 성공했다.[32] 연구진은 여섯줄아가미상어에 부착된 꼬리표가 3개월 후 수면으로 떠오르면, 이를 회수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기술 발전이 해양 생물 연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연구진은 장기간의 탐사 대신, 꼬리표를 부착하고 특정 시점에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여섯줄아가미상어의 행동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꼬리표를 통해 여섯줄아가미상어의 행동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Hexanchus griseus''" 2021-11-19
[2] 뉴스 Huge deep sea shark scavenges food https://www.newsweek[...] 2019-07-23
[3] 논문 Resurrection of the sixgill shark ''Hexanchus vitulus'' Springer & Waller, 1969 (Hexanchiformes, Hexanchidae), with comments on its distribution in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https://doi.org/10.1[...] 2019-04-01
[4] 서적 The Nature Company Guides: Sharks & Rays https://archive.org/[...] Time-Life Books
[5] 문서 "Preliminary study on the use of neural arches in the age determination of bluntnose sixgill sharks (Hexanchus griseus)." http://fishbull.noaa[...] 2002
[6]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01-13
[7]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sharks" Lyons & Burford, New York 1969
[8] 논문 On the occurrence of the bluntnose sixgill shark, Hexanchus griseus (Chondrichthyes: Hexanchidae), in the Sea of Marmara https://www.cambridg[...] 2009-05
[9]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the Bluntnose sixgill shark ''Hexanchus griseus'' (Bonnaterre, 1788)(Chondrichthyes: Hexanchidae) from the Mediterranean Sea: a review" https://www.research[...] Research Gate 2004-06
[10] 웹사이트 "Biological Aspects of the Sixgill Shark (''Hexanchus griseus'')" https://www.research[...] 1986
[11] 논문 Vertical habitat and behaviour of the bluntnose sixgill shark in Hawaii https://linkinghub.e[...] 2015-05
[12] FishBase
[13] 웹사이트 "Φωτογραφίες: Έπιασαν καρχαρία τεσσάρων μέτρων στον Αστακό Αιτωλοακαρνανίας" https://www.protothe[...] 2017-10-07
[14] 논문 Miocene Elasmobranchii from the Duho Formation, South Korea
[15] 논문 "Preliminary study on the use of neural arches in the age determination of bluntnose sixgill sharks (''Hexanchus griseus'')" http://aquaticcommon[...]
[16] 웹사이트 "''Hexanchus griseus'' (Bluntnose Sixgill Shark)" https://animaldivers[...] 2020-10-31
[17] 웹사이트 "Rarely seen shark sighted in Ormoc Bay {{!}} MindaNews" http://www.mindanews[...] 2017-12-22
[18] 웹사이트 "'Look at the shark': Shark swims over oblivious divers in underwater video" https://www.usatoday[...]
[19] 뉴스 Scientists studying remains of pregnant sixgill shark found on Vancouver Island https://www.theglobe[...] 2019-02-07
[20] 논문 "Diel patterns in swimming behavior of a vertically migrating deepwater shark, the bluntnose sixgill (''Hexanchus griseus'')" 2020-01-24
[21] 논문 Vertical habitat and behaviour of the bluntnose sixgill shark in Hawaii http://www.sciencedi[...] 2015-05-01
[22] 논문 "Diel activity patterns of sixgill sharks, ''Hexanchus griseus'': the ups and downs of an apex predator" http://www.sciencedi[...] 2009-08-01
[23] 논문 Seasonal and Ontogenetic Changes in Movement Patterns of Sixgill Sharks 2010-09-08
[24] 논문 "Feeding Behavior of Subadult Sixgill Sharks (''Hexanchus griseus'') at a Bait Station" 2016-05-31
[25] 논문 Trophic ecology of a large-bodied marine predator, bluntnose sixgill shark Hexanchus griseus, inferred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http://link.springer[...] 2020-02
[26] 웹사이트 "Biological Aspects of the Sixgill Shark (''Hexanchus griseus'')" https://www.research[...] 1986
[27] 논문 Diet of the sixgill shark ''Hexanchus griseus'' off southern Africa 1994-06
[28] 논문 Unexpected Positive Buoyancy in Deep Sea Sharks, ''Hexanchus griseus'', and a ''Echinorhinus cookei'' 2015-06-10
[29]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30] Youtube Blue Planet II behind the scenes: The moment giant sharks attack crew submarine - BBC News https://www.youtube.[...]
[31] Youtube Blue Planet II behind the scenes: The moment giant sharks attack crew submarine - BBC News https://www.youtube.[...] 2017-11-11
[32] 웹사이트 Scientists Tag Deep-Sea Shark Hundreds of Feet Underwater—a First. https://www.national[...] 2019
[33] 뉴스 “深海のサメ”青森で初めて生きたまま捕獲 https://news.ntv.co.[...]
[34] 웹사이트 カグラザメ展示中止のお知らせ http://www.aquaworld[...] アクアワールド茨城県大洗水族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