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 츠베레프는 독일 국적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주니어 시절에는 2004년 US 오픈 준결승, 프랑스 오픈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4강에 진출했다. 2006년 ATP 투어 준결승에 진출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2007년 ATP 챌린저 투어에서 우승하며 세계 랭킹 100위 안에 진입했다. 2008년 할레 오픈 복식 우승을 차지했고, 2009년 이탈리아 오픈 준결승에 진출했다. 2016년 상하이 마스터스에서 4강에 올랐으며, 2017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4강에 진출했다. 2018년 이스트본 인터내셔널에서 생애 첫 ATP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의 동생 알렉산더 츠베레프도 테니스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독일의 남자 테니스 선수 - 알렉산더 츠베레프 알렉산더 츠베레프는 러시아계 독일 프로 테니스 선수로, 2021년 도쿄 올림픽 금메달, US 오픈 및 프랑스 오픈 준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아직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은 없다.
독일의 남자 테니스 선수 - 보리스 베커 보리스 베커는 윔블던 3회 우승을 포함해 총 6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한 독일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로, 은퇴 후 코치 및 해설가로 활동했으나 탈세 및 파산 관련 법적 문제로 논란이 되었다.
모나코에 거주한 독일인 - 알렉산더 츠베레프 알렉산더 츠베레프는 러시아계 독일 프로 테니스 선수로, 2021년 도쿄 올림픽 금메달, US 오픈 및 프랑스 오픈 준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아직 그랜드 슬램 단식 우승은 없다.
모나코에 거주한 독일인 - 베냐민 헨릭스 독일 축구 선수 베냐민 헨릭스는 주로 오른쪽 풀백으로 활약하며, 바이어 레버쿠젠 유소년 아카데미를 거쳐 분데스리가 데뷔 후 AS 모나코를 거쳐 RB 라이프치히에서 뛰었고, 독일 국가대표로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RB 라이프치히에서 DFB-포칼 준우승 및 DFL-슈퍼컵 우승을 했다.
러시아에서 독일로 이민간 사람 - 일리야 드라구노프 러시아 태생의 독일 프로레슬러 일리야 드라구노프는 2012년 데뷔 후 유럽 단체에서 활동하다 2019년 WWE와 계약하여 NXT UK 챔피언십을 획득했으며, 강렬한 스타일과 다양한 기술로 WWE RAW에서 활동하고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주니어 시절에는 '''미하일 츠베레프'''(Mihail Zverevde)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통산 주니어 단식 전적은 123승 50패, 복식 전적은 79승 33패를 기록했다.[2]
3. 프로 경력
미샤 츠베레프는 2006년 ATP 투어방콕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ATP 챌린저 투어 우승과 함께 세계 랭킹 100위 안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8년에는 독일 할레에서 열린 게리 베버 오픈 복식에서 미하일 유즈니와 조를 이루어 생애 첫 ATP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으며,[1] 윔블던 3라운드에 진출했다.[1]
2009년에는 로마 마스터스 준결승 진출과 독일 대표팀의 월드 팀 컵 준우승에 기여했으며, 2010년에는 프랑스메스에서 열린 모젤 오픈에서 생애 첫 ATP 투어 단식 결승에 올랐다. 그러나 이후 오른손목 골절 부상 등으로 인해 한동안 부진을 겪었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주로 ATP 챌린저 투어와 ITF 남자 월드 테니스 투어에서 활동했다.
2016년부터 다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여 새러소타 오픈 챌린저 대회에서 우승했고, 2016년 상하이 마스터스와 2016년 스위스 인도어스에서 연달아 준결승에 진출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2017년은 그의 경력에서 중요한 해로, 2017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4라운드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앤디 머리를 꺾고 8강에 오르는 이변을 일으켰다.[3][4] 또한 제네바 오픈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7월에는 개인 최고 랭킹인 세계 25위를 기록했다.
2018년에는 영국이스트본에서 열린 이스트본 인터내셔널에서 생애 첫 ATP 투어 단식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다.[8] 다만, 같은 해 2018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1회전에서 대한민국의 정현과의 경기 도중 기권하여 '프로답지 않은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4.5만달러의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7]
3. 1. 2006년
2006년 10월 태국방콕에서 열린 ATP 투어 대회에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과거 세계 랭킹 1위였던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와 세계 랭킹 5위까지 올랐던 라이너 쉬틀러를 연달아 꺾으며 프로 선수 경력 처음으로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준결승전에서는 역시 과거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던 마라트 사핀에게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3. 2. 2007년
2007년 초반에는 세계 랭킹 200위권 안에서 머물렀다. 이후 미국로드아일랜드주에서 열린 대회에서 두 번째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2007년 8월에는 튀르키예이스탄불에서 열린 ATP 챌린저 투어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GHI 브롱크스 테니스 클래식에서도 준결승에 오르며 프로 경력 처음으로 세계 랭킹 100위 안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3. 3. 2008년
2008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1라운드에서 11번 시드를 받은 토미 로브레도를 상대로 첫 두 세트를 따냈으나, 이후 세 세트를 내주며 패배했다.[1] 2008년 6월 독일 할레에서 열린 게리 베버 오픈에서는 미하일 유즈니와 복식조를 이루어 생애 첫 ATP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1]
2008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알렉산더 파이아와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를 연달아 꺾고 3라운드에 진출했다. 하지만 3라운드 상대인 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와의 경기 도중 왼쪽 허벅지 통증으로 기권했다.[1]
3. 4. 2009년
2009년 5월, 미샤 츠베레프는 2009년 이탈리아 오픈에서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당시 세계 랭킹 2위였던 로저 페더러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 이후 니콜라스 키퍼, 라이너 쉬틀러, 필리프 콜슈라이버와 함께 독일 대표팀으로 ARAG 월드 팀 컵에 참가하여 팀의 결승 진출 및 준우승에 기여했다.
2009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1회전에서 25번 시드를 받은 드미트리 투르수노프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이겼다. 그러나 2회전에서는 필리프 페치너에게 5세트 접전 끝에 패배했다. 또한, 스페인마르베야에서 열린 2009년 데이비스컵 준결승 스페인과의 경기에 독일 대표팀 주장 파트리크 퀴넨의 지명을 받아 출전했다. 니콜라스 키퍼와 조를 이뤄 복식 경기에 나섰지만, 펠레시아노 로페스와 페르난도 베르다스코 조에게 4세트 만에 패했다.
3. 5. 2010년
오른손목 골절 부상에서 회복한 미샤 츠베레프는 2010년 1월 브리즈번 인터내셔널을 통해 복귀했으나, 1회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와일드카드 선수 카스텐 불에게 패했다. 시드니 인터내셔널에서는 예선 1회전에서 탈락했으며, 2010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본선 1회전에서는 폴란드의 우카시 쿠보트에게 패배했다.
이후 유럽 실내 대회 시즌에서 성적을 끌어올렸다. 프랑스마르세유에서 열린 오픈 13에서는 당시 세계 랭킹 17위였던 토미 로브레도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대회 우승자인 미카엘 요드라에게 패했다. 미국 델레이비치 오픈에서는 1회전에서 마이클 러셀을 상대로 매치 포인트를 극복하고 승리했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마디 피시에게 패했다. 인디언웰스 오픈에서는 첫 경기에서 패했고, 마이애미 오픈에서는 예선 1회전에서 탈락하며 이후 7주 동안 투어 대회 본선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잔디 코트 시즌을 앞두고 할레 오픈에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플로랑 세라와 위르겐 멜처를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벤야민 베커에게 패했다. 2010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1회전에서 안드레 베게만에게 패배했다. 윔블던 이후에는 ATP 챌린저 투어에 주로 참가하여 오베르슈타우펜 컵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슈투트가르트와 함부르크에서 열린 대회에는 와일드카드로 출전했지만, 두 대회 모두 1승 이상을 거두지 못했다.
2010년 US 오픈 예선 1회전 탈락 후 유럽으로 돌아와 이탈리아 제노아에서 열린 클레이 코트 챌린저 대회에 참가하여 준결승까지 올랐으나, 대회 우승자인 파비오 포니니에게 패했다. 2주 뒤 프랑스메스에서 열린 모젤 오픈에서는 예선을 통과한 뒤 오라시오 세바요스, 니콜라 마위, 야르코 니에미넨, 그리고 준결승에서 리샤르 가스케를 차례로 꺾으며 생애 첫 ATP 투어 단식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질 시몽에게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시즌 막바지에는 중화인민공화국상하이에서 열린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대회 본선에 진출하여 세르히 스타호우스키와 니콜라이 다비덴코를 이기고 3회전까지 올랐으나 후안 모나코에게 패했다. 10월 말 프랑스몽펠리에에서 열린 오픈 쉬드 드 프랑스에서도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 1회전에서 로빈 하서에게 승리했지만, 2회전에서 다시 만난 다비덴코에게 패했다.
2010년 시즌 동안 단식에서 13승 18패를 기록했으며, 연말 세계 랭킹 82위를 차지했다. 시즌 상금은 318805USD를 기록했다.
3. 6. 2011년
2011년 시즌 초반 4개 경기에서 연속으로 패배한 후, 인디언 웰스 오픈에서 매슈 엡든을 꺾고 2회전에 진출하며 2011년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 다시 4연속 패배를 기록했고, 세르비아 오픈 1회전에서 두비 셀라에게 승리하며 연패를 끊었다.
2016년 4월, 미샤는 새러소타 오픈 남자 단식에서 우승하며 ATP 챌린저 투어 참가 8년 만에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2016년 상하이 마스터스에 참가하여 2회전에서 당시 세계 랭킹 14위였던 닉 키리오스를, 3회전에서는 마르셀 그라놀례르스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노바크 조코비치에게 패배했다. 이어서 2016년 스위스 인도어스 남자 단식에서는 3회전에서 당시 세계 랭킹 3위였던 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에게 승리하며 준결승에 올랐으나, 마린 칠리치에게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3. 9. 2017년
미샤는 2017년 브리즈번 인터내셔널 2회전에서 라파엘 나달에게 패배했다. 이후 2017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는 4라운드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앤디 머리에게 승리하며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4] 8강전에서는 대회 우승자인 17번 시드 로저 페더러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배했다.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에서는 처음으로 마스터스 대회 시드(29번)를 받아 2회전에 자동 진출했고, 주앙 소자를 꺾었으나 3회전에서 8번 시드 도미니크 팀에게 패배했다. 2017년 마이애미 오픈에서도 28번 시드를 받았으나 2회전에서 예선 통과자 재러드 도널드슨에게 패했다.
클레이 코트 시즌에는 제네바 오픈에서 개인 통산 두 번째 ATP 투어 결승에 진출했지만, 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32번 시드를 받았음에도 1회전에서 스테파노 나폴리타노에게 패배하며 일찍 탈락했다.
잔디 코트 시즌에는 독일에서 열린 2017년 메르세데스컵에서 준결승까지 올랐으나 펠리시아노 로페스에게 패했고, 2017년 게리 베버 오픈 단식에서는 2회전에서 로저 페더러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같은 대회 남자 복식에서는 동생 알렉산더 츠베레프와 조를 이뤄 결승까지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5]
2017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27번 시드를 받고 버나드 토믹과 미하일 쿠쿠시킨을 연달아 꺾으며 3회전에 진출했다.[6] 윔블던에서의 성과로 ATP 세계 랭킹 개인 최고 순위인 25위를 기록했다. 이어진 US 오픈에서는 23번 시드를 받아 4회전(16강)까지 진출했다. 그는 2017년 시즌을 세계 랭킹 33위로 마감했다.
3. 10. 2018년
2018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1회전에서 대한민국의 정현에게 6-2, 4-1로 뒤지던 중 기권하였다. 이 기권으로 인해 '프로답지 않은 1회전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4.5만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이는 개정된 테니스 대회 지침을 위반하여 벌금을 받은 첫 사례였으며, 벌금 액수는 츠베레프가 1라운드에서 기권하지 않고 패배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상금과 비슷한 금액이었다.[7]
이후 2018년 이스트본 인터내셔널에서는 니콜라스 하리, 7번 시드 스티브 존슨, 3번 시드 데니스 샤포발로프, 미하일 쿠쿠시킨, 루카시 라츠코를 차례로 꺾고 생애 첫 ATP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8]
미샤는 소련 출신의 전직 테니스 선수인 아버지 알렉산드르 즈베레프와 어머니 이리나 즈베레바 사이에서 태어났다. 소련에서 생활하다가 1991년 가족과 함께 러시아를 떠나 독일로 이주했다. 그에게는 동생 알렉산더 츠베레프가 있으며, 동생 역시 프로 테니스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