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송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송속(Pseudotsuga)은 중간 크기에서 매우 큰 상록수 나무로,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미송(Pseudotsuga menziesii)을 포함하여 4종이 알려져 있다. 미송은 '아름다운 소나무'라는 뜻으로, 잎은 평평하고 부드러우며, 암컷 구과는 아래로 처지고 비늘 위로 삼지창 모양의 포엽이 돌출된 특징을 갖는다. 미송 목재는 강도가 높아 건축, 항공기, 선박 건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미국에서는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7년 기재된 식물 -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에 분포하는 높이 7~10m의 상록 활엽 소교목으로, 봄에 새 잎이 돋을 때 묵은 잎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상서로운 나무로 여겨지고 잎과 줄기 껍질은 한방 약재로 쓰인다. - 1867년 기재된 식물 - 다래
다래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덩굴성 나무로, 키위와 비슷한 달콤한 열매를 맺어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생태계 교란 우려가 있다. - 소나무과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 소나무과 -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가을에 단풍이 들며 방풍림, 목재 등으로 이용되고, 1960~70년대 한국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미송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학명 | Pseudotsuga |
명명자 | Carrière |
이명 | Abietia Kent |
모식종 | Pseudotsuga douglasii (Lindl.) Carrière |
모식종 명명자 | Carrière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강 | 소나무강 |
목 | 소나무목 |
과 | 소나무과 |
아과 | 잎갈나무아과 |
속 | 미송속 |
하위 종 | |
종 | Pseudotsuga menziesii Pseudotsuga japonica Pseudotsuga sinensis Pseudotsuga macrocarpa |
2. 명칭
미송(''Pseudotsuga menziesii'')은 1827년 스코틀랜드의 식물학자 데이비드 더글러스가 스코운 궁전에서 처음 재배하면서 그의 이름을 따 영어 이름(Douglas-fir)이 붙여졌다.[4] 더글러스는 북미 원산의 여러 나무 종을 유럽에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글러스-퍼'라는 명칭은 이 종이 전나무속(''Abies'')의 진정한 전나무가 아님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5]
미송은 중간 크기에서 매우 큰 상록수 나무로, 키가 20~120m에 달한다(단, 해안 미송만 그렇게 큰 키에 이른다).[6] 잎은 평평하고 부드러우며 선형이고, 길이가 2~4cm이며, 일반적으로 전나무의 잎과 비슷하며, 속이 아닌 단독으로 발생한다. 잎은 가지를 완전히 감싸는데, 이는 종을 식별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암컷 구과는 아래로 처져 있고, 비늘이 지속적이며(진정한 전나무와 달리), 각 비늘 위로 뚜렷하게 돌출된 긴 삼지창(세 갈래) 포가 있어 독특하다(두 개의 발과 꼬리가 달린 쥐의 뒷부분과 비슷하다).
미송속(''Pseudotsuga'')에는 4종이 알려져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3]
3. 특징
상록성 침엽수이며, 특히 북아메리카의 미국 토가사와라는 높이 100m, 직경 5m에 달하며, 세계 최고 높이의 나무 중 하나로 꼽힌다. 잎은 가늘고 길지만 편평하며, 표면은 주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고, 뒷면은 주맥 양쪽에 흰 기공대가 있다. 잎은 줄기에 나선형으로 붙지만, 약간 두 줄로 배열되며, 또한 줄기에 엽침이 발달하지 않는다.
암수한그루이며, 구과는 성숙하면 아래를 향한다. 또한 둥근 종자 인편의 끝까지 포린편이 뻗어 나오고, 그 끝이 세 갈래로 갈라져 뾰족해진다. 종자 산포는 인편 사이가 벌어져 이루어지며, 구과의 인편은 탈락하지 않는다.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
소나무과의 식물 꽃가루에는 기낭(공기를 받는 주머니)이 있는 것이 보통이나, 미송속에는 그것이 없다.
4. 하위 종
5. 분포
미송속은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과거 제3기에는 유럽에서도 화석이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멸종되었다.
6. 이용
미송 목재는 강도가 높고 가벼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건설 산업에서 널리 쓰이며, RJ.03 IBIS 카나드와 같은 자작 항공기 제작에도 사용된다. 항공기 제작에는 가문비나무가 주로 사용되지만,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미송이 대체재로 쓰이기도 한다.[25]
매듭이 적고 긴 미송은 보트 건조에도 적합하다. 특히 부러지지 않고 굽힘 하중에 잘 견디는 특성 때문에 마스트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특성을 가진 오래된 자연산 미송은 구하기 어려워 재활용 목재를 사용하기도 한다.[25]
미송은 미국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종 중 하나이다. 노블 전나무, 그랜드 전나무와 함께 판매되며, 완벽한 원뿔 모양으로 다듬어 사용한다.[25]
7. 문화
미국솔송은 오리건주의 주 나무이다.[1] 캘리포니아 원주민 신화에 따르면, 산불 속에서 쥐를 보호해 준 나무로 묘사된다.[2]
참조
[1]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Pseudotsuga
http://www.efloras.o[...]
2012-01-17
[3]
웹사이트
The Gymnosperm Database: Pseudotsuga
http://www.conifers.[...]
2012-01-17
[4]
Youtube
Trust Walks: "Dunkeld and The Hermitage
https://itunes.apple[...]
2009-06-27
[5]
서적
Check List of native and naturalized trees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Alask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6]
서적
Forest Giants of the World Past and Present
[7]
서적
Forest Giants of the World Past and Present
[8]
웹사이트
Richard McArdle Bio, USFS History, Forest History Society
http://www.foresthis[...]
Foresthistory.org
2011-03-09
[9]
웹사이트
Gymnosperm Database: Pseudotsuga menziesii var. menziesii (2006)
http://www.conifers.[...]
[10]
웹사이트
Sequoia sempervirens
http://www.conifers.[...]
2009-02-01
[11]
서적
Forest Giants of the Pacific Coa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
논문
Gene duplications and phylogenomic conflict underlie major pulses of phenotypic evolution in gymnosperms
https://www.nature.c[...]
[13]
논문
main.dated.supermatrix.tree.T9.tre
https://figshare.com[...]
Figshare
[14]
논문
Rangewide patterns of allozyme variation in Douglas-fir
[15]
논문
The genus Pseudotsuga (Douglas-fir) in North America
[16]
논문
Deux espèces nouvelles de Pseudotsuga Américains
[17]
논문
Diagnoses d'espèces et variétés nouvelles de Pseudotsuga Américains
[18]
논문
Las Pseudotsugas de México
[19]
웹사이트
The Gymnosperm Database: Pseudotsuga lindleyana
http://www.conifers.[...]
2012-01-12
[20]
논문
Phenotypic similarity among Mexican populations of Pseudotsuga Carr
http://www.colpos.mx[...]
2012-01-17
[21]
논문
Southward Pleistocene migration of Douglas-fir into Mexico: phylogeography, ecological niche modeling, and conservation of 'rear edge' populations
[22]
논문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evolution in Larix and Pseudotsuga (Pinaceae)
[23]
서적
Pinacea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genera Abies, Cedrus, Pseudolarix, Keteleeria, Nothotsuga, Tsuga, Cathaya, Pseudotsuga, Larix and Picea
Koeltz Scientific Books
[24]
웹사이트
GRIN Species Records of Pseudotsuga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12-02
[25]
웹사이트
National Christmas Tree Association
http://www.christmas[...]
Christmastree.org
2011-03-09
[26]
간행물
トガサワラ 『朝日百科 植物の世界 第11巻』
朝日新聞社
[27]
웹사이트
米倉浩司・梶田忠 (2003-)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yl[...]
[28]
웹인용
Flora of China: Pseudotsuga
http://www.efloras.o[...]
2012-01-17
[29]
웹인용
The Gymnosperm Database: Pseudotsuga
http://www.conifers.[...]
2012-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