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의 총리직은 1948년 미얀마 독립 이후 헌법에 의해 규정되었으며, 여러 차례 변동을 겪었다. 1948년부터 1962년까지는 우 누를 비롯한 총리들이 존재했고, 1962년 쿠데타 이후 혁명 정부 의장으로 대체되었다. 1974년에는 총리직이 부활했으나 실권은 군부에 있었으며, 1988년 이후에는 군부가 총리직을 유지하며 통치했다. 2008년 헌법에 따라 2011년 총리직이 폐지되었으나, 2021년 쿠데타 이후 군부와 반 쿠데타 세력 간의 대립으로 인해 총리직이 다시 등장했다. 현재는 민 아웅 흘라잉이 임시 총리직을, 만 윈 카인 탄이 국민통합정부의 총리직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얀마의 총리 | |
---|---|
미얀마의 총리 | |
역대 총리 | |
국가 | 미얀마 |
직책 | 미얀마의 총리 |
임명권자 | 미얀마의 대통령 |
최초 | 우 누 |
마지막 | 테인 세인 |
임명일 | 1948년 1월 4일 |
폐지일 | 2011년 3월 30일 (논쟁 중) |
부총리 | 미얀마의 부총리 |
현재 총리 (국가행정평의회) | 민 아웅 흘라잉 |
현재 총리 (국민통합정부) | 만 윈 카잉 탄 |
국가행정평의회 임명일 | 2021년 8월 1일 |
국민통합정부 임명일 | 2021년 4월 16일 |
2. 미얀마 총리직의 역사
1948년 독립 이후 미얀마의 총리직은 Constitution of Myanmar|미얀마 헌법영어에 의해 존재가 규정되어 왔다.
1947년 제정된 초대 헌법에서는 총리는 대통령의 보조 기관인 연방 정부(내각)의 일원이었으며, Chamber of Deputies (Burma)|지역 대표원영어(하원)의 지명에 기초하여 대통령이 임명하였고, 내각 각료인 국무 대신을 지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6]。 1974년 제정된 제2대 헌법에서는 장관 17명으로 구성되는 각료 조직(내각) 간에 선출되었으며, နိုင်ငံတော်ကောင်စီ|국가 평의회my[7]의 구성원 중 한 사람이었다. 1988년 이후 헌법이 효력을 상실했던 시대에도 총리는 행정부의 장으로서 존재했으며, 군사 정권의 최고 결정 기관인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SPDC) 의장이 임면권을 가지고 있었다.
2008년 제정된 제3대 헌법에 따라 총리 직책은 폐지되었다. 2011년 3월 30일 테인 세인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총리직은 소멸되었다. 다만, 2016년 3월 30일 국민 민주 연맹(NLD) 출신 틴 초 대통령 취임 이후, 여당이 된 NLD는 2016년 4월 6일 연방 의회에서 총리직과 유사한 국가 고문직[8]을 신설하는 법 개정을 했다[9]。
2021년 쿠데타 이후, 총리직은 쿠데타 세력과 반 쿠데타 세력 간에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쿠데타 세력인 미얀마군은 쿠데타 직후 국가행정평의회(국가통치평의회)를 설치했지만, 헌법에 근거한 행위라고 주장하며 반 년 정도 총리직을 부활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8월 1일 평의회 의장인 민 아웅 흘라잉 국군 최고 사령관을 임시 총리로 하는 임시 정권 발족을 발표했다[10]。
반 쿠데타 세력은 연방 의회 대표 위원회 (CRPH)가 2021년 3월 2일 사실상 임시 정부인 임시 내각을 수립했을 때는 총리직을 부활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3월 31일 CRPH가 제정한 "연방 민주 헌장" (Federal Democracy Charter영어, ဖက်ဒရယ်ဒီမိုကရေစီ ပဋိညာဉ်my)[11]에서 총리직 설치가 명기되었고, 2021년 4월 16일 발족한 국민통합정부(NUG)는 쿠데타 전까지 House of Nationalities|민족 대표원영어(상원) 의장을 맡았던 만 윈 카인 탄을 총리로 지명했다. "연방 민주 헌장"에는 국가 고문 직도 명시되어, 아웅 산 수 치가 이 직책에 지명되었다[12][13][14][15][16]。
1948년 독립 이후 1962년까지 미얀마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여 총리가 실질적인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했다. 초대 총리 우 누는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노력했지만, 잦은 정국 혼란과 군부 개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62년 네 윈 장군의 쿠데타로 군사 정부가 들어서면서 총리직은 혁명 정부 의장으로 대체되었다. 네 윈은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을 창당하고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26년간 미얀마를 통치했다.
1974년 새 헌법에 따라 총리직이 부활했으나, 실권은 여전히 군부 출신 인사들이 장악한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에 있었다. 1988년 민주화 운동 이후 군부는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SPDC)를 설치하고 총리를 임명했지만, 이는 군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2011년 테인 세인 정부 출범과 함께 총리직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나, 2016년 아웅 산 수 치를 중심으로 국가 고문직이 신설되어 실질적인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2021년 쿠데타로 다시 군부가 집권하면서 미얀마 정치 상황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2. 1. 1948년 ~ 1962년: 독립 초기
1948년 독립 이후 미얀마의 총리직은 헌법에 의해 존재가 규정되어 왔다.[6]1947년 제정된 초대 헌법에서는, 총리는 대통령의 보조 기관인 연방 정부(내각)의 일원이었으며, (하원)의 지명에 기초하여 대통령이 임명하였고, 내각 각료인 국무 대신을 지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6] 초대 총리 우 누는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노력했지만, 잦은 정국 혼란과 군부의 개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순번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재임 기간 | 정당 |
---|---|---|---|---|---|---|
1 | ![]() | 우 누 ဦးနု|우 누my | 1948년 1월 4일 | 1956년 6월 12일 | 반파시스트 인민 자유 연맹 | |
2 | ![]() | 바 스웨 ဘဆွေ|바 스웨my | 1956년 6월 12일 | 1957년 3월 1일 | 반파시스트 인민 자유 연맹 | |
1 | -- | 우 누 ဦးနု|우 누my | 1957년 3월 1일 | 1958년 10월 29일 | 반파시스트 인민 자유 연맹 | |
3 | ![]() | 네 윈 နေဝင်း|네 윈my | 1958년 10월 29일 | 1960년 4월 4일 | 군부 | |
1 | -- | 우 누 ဦးနု|우 누my | 1960년 4월 4일 | 1962년 3월 2일 | 연합당 |
2. 2. 1962년 ~ 1974년: 군부 통치와 혁명 정부
1962년 네 윈 장군의 쿠데타로 군사 정부가 들어섰고, 총리직은 혁명 정부 의장으로 대체되었다. 네 윈은 미얀마 사회주의 계획당을 창당하고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26년간 미얀마를 통치했다.2. 3. 1974년 ~ 1988년: 사회주의 공화국
1974년 새 헌법에 따라 총리직이 부활했으나, 실권은 여전히 군부 출신 인사들이 장악한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에 있었다.[1]2. 4. 1988년 ~ 2011년: 군부 통치와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
1988년 이후 헌법이 효력을 상실했던 시대에도 총리는 행정부의 장으로서 존재했으며, 군사 정권의 최고 결정 기관인 국가 평화 발전 평의회(SPDC) 의장이 임면권을 가지고 있었다.[6]2. 5. 2011년 ~ 2021년: 총리직 폐지와 국가 고문직 신설
2008년 제정된 제3대 헌법에 따라 총리 직책이 폐지되었다. 2011년 3월 30일 테인 세인이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총리직은 사라졌다.그러나 2016년 3월 30일 국민 민주 연맹(NLD) 소속 틴 초가 대통령에 취임하자, 여당이 된 NLD는 2016년 4월 6일 연방 의회에서 총리직과 비슷한 국가 고문직[8]을 신설하는 법 개정을 했다.[9]
2. 6. 2021년 ~ 현재: 쿠데타 이후의 혼란
2021년 쿠데타 이후, 총리직을 두고 쿠데타 세력과 반 쿠데타 세력 간 대립이 발생했다.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은 국가행정평의회를 설치하고, 2021년 8월 1일 민 아웅 흘라잉 국군 최고 사령관을 임시 총리로 하는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10]
한편, 반 쿠데타 세력은 연방 의회 대표 위원회(CRPH)를 통해 2021년 3월 31일 "연방 민주 헌장"을 제정하여 총리직 설치를 명시했다.[11] 이에 따라, 4월 16일 발족한 국민통합정부(NUG)는 쿠데타 이전 민족 대표원(상원) 의장이었던 만 윈 카인 탄을 총리로 지명했다. "연방 민주 헌장"에는 국가 고문 직도 명시되어, 아웅 산 수 치가 이 직책에 지명되었다.[12][13][14][15][16]
3. 역대 총리 목록
# | 이름 | 사진 | 출생일-사망일 | 취임일 | 퇴임일 | 정당 |
---|---|---|---|---|---|---|
버마 연방(1948-1974) | ||||||
1 | 우 누 (1기) | 1907년-1995년 | 1948년 1월 4일 | 1956년 6월 12일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AFPFL) | |
2 | 바 스웨 | 1915년-1987년 | 1956년 6월 12일 | 1957년 3월 1일 | ||
(1) | 우 누 (2기) | 1907년-1995년 | 1957년 3월 1일 | 1958년 10월 29일 | ||
3 | 네 윈 (1기) | ![]() | 1911년-2002년 | 1958년 10월 29일 | 1960년 4월 4일 | 군인 |
(1) | 우 누 (3기) | 1907년-1995년 | 1960년 4월 4일 | 1962년 3월 2일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AFPFL) | |
(3) | 네 윈 (2기) | -- | 1911년-2002년 | 1962년 3월 2일 | 1962년 7월 4일 | 군인 |
(3) | 1962년 7월 4일 | 1974년 3월 4일 | 군인 / 버마사회주의계획당(BSPP) | |||
버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1974-1988) | ||||||
4 | 세인 윈 | 1919년-1993년 | 1974년 3월 4일 | 1977년 3월 29일 | 군인 / 버마사회주의계획당(BSPP) | |
5 | 마웅 마웅 카 | -- | 1920년-1995년 | 1977년 3월 29일 | 1988년 7월 26일 | |
6 | 툰틴 | -- | 1920년-2020년 | 1988년 7월 26일 | 1988년 9월 18일 | |
7 | 소 마웅 | -- | 1928년-1997년 | 1988년 9월 21일 | 1992년 4월 23일 | 군인 |
버마 연방/미얀마 연방(1988-2011) | ||||||
(7) | 소 마웅 | -- | 1928년-1997년 | 1988년 9월 23일 | 1992년 4월 23일 | 군인 |
8 | 탄 슈웨 | ![]() | 1933년- | 1992년 4월 23일 | 2003년 8월 25일 | |
9 | 킨 뉸 | ![]() | 1939년- | 2003년 8월 25일 | 2004년 10월 18일 | |
10 | 소 윈 | ![]() | 1949년-2007년 | 2004년 10월 19일 | 2007년 10월 12일[4] | |
11 | 테인 세인 | ![]() | 1945년- | 2007년 10월 12일 | 2010년 4월 29일 | |
(11) | 2010년 4월 29일 | 2010년 6월 2일 | 무소속 | |||
미얀마 연방 공화국(2010- ) | ||||||
(11) | 테인 세인 | 1945년- | 2010년 6월 2일 | 2011년 3월 30일 | 통합단결발전당 | |
총리직 폐지(2011년 3월 30일 ~ 2021년 8월 2일) | ||||||
12 | 민 아웅 흘라잉 | ![]() | 1956년- | 2021년 8월 2일 | 현재 | 군인 |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국가행정평의회와 연방 의회 대표 위원회(CRPH), 국민통합정부(NUG)는 각각 다른 총리를 내세우고 있다.
rowspan="2" | | 초상화 | 이름 | 재임 기간 | 정당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미얀마 연방 공화국(국가행정평의회 및 임시 정부) | ||||||
총리 직책 폐지(2021년 2월 1일 - 2021년 8월 1일) | ||||||
잠정 | 민 아웅 흘라잉 | 2021년 8월 1일 | (현직) | 군인 | ||
미얀마 연방 공화국(연방 의회 대표 위원회 및 국민통합정부) | ||||||
총리 직책 폐지(2021년 2월 1일 - 2021년 4월 16일) | ||||||
1 | 만 윈 카잉 탄 | 2021년 4월 16일 | (현직) | 국민민주연맹(NLD) |
3. 1. 버마 연방 (1948–1974)
1948년 1월 4일 버마 연방이 독립하면서 총리직이 신설되었다. 초대 총리는 우 누였으며, 1956년 6월 12일까지 재임했다. 우 누의 뒤를 이어 바 스웨가 총리직에 올랐으나, 1957년 3월 1일 우 누에게 다시 자리를 내주었다. 우 누는 1958년 10월 29일까지 두 번째 임기를 수행했다.1958년 10월 29일, 네 윈이 총리로 취임하여 1960년 4월 4일까지 재임했다. 네 윈은 군인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군부의 영향력이 강했다. 1960년 4월 4일, 우 누가 세 번째 임기를 시작했으나, 1962년 3월 2일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이후 네 윈이 다시 총리직에 올라 1974년 3월 4일까지 재임했다. 네 윈은 군인이자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의 지도자로서, 버마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했다.
대 |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1 | 우 누 | 1948년 1월 4일 | 1956년 6월 12일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AFPFL) |
2 | 바 스웨 | 1956년 6월 12일 | 1957년 3월 1일 | AFPFL |
3 | 우 누 (2기) | 1957년 3월 1일 | 1958년 10월 29일 | AFPFL |
4 | 네 윈 | 1958년 10월 29일 | 1960년 4월 4일 | 군인 |
5 | 우 누 (3기) | 1960년 4월 4일 | 1962년 3월 2일 | 연합당 |
6 | 네 윈 (2기) | 1962년 3월 2일 | 1974년 3월 4일 | 군인 /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 |
3. 2. 버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1974–1988)
စိန်ဝင်းmy 세인 윈은 1974년 3월 4일부터 1977년 3월 29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1] 그는 군인 출신으로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소속이었다.[1]မောင်မောင်ခmy 마웅 마웅 카는 1977년 3월 29일부터 1988년 7월 26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1] 세인 윈과 마찬가지로 군인 출신이며,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 소속이었다.[1] 그는 8888 항쟁으로 인해 사임했다.[1]
ထွန်းတင်my 툰 틴은 1988년 7월 26일부터 1988년 9월 18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총리직을 맡았다.[1] 마웅 마웅 카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으나, 8888 항쟁의 여파로 축출되었다.[1]
3. 3. 버마 연방 / 미얀마 연방 (1988–2011)
소 마웅(စောမောင်my)은 1988년 9월 21일부터 1992년 4월 23일까지 미얀마의 총리직을 역임했다. 그는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했지만, 실제로는 경쟁 군부 장성에 의해 축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탄 슈웨(သန်းရွှေmy)는 1992년 4월 23일부터 2003년 8월 25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
킨 뉸(ခင်ညွန့်my)은 2003년 8월 25일부터 2004년 10월 18일까지 총리직을 맡았으나, 이후 축출되었다.[3]
소 윈(စိုးဝင်းmy)은 2004년 10월 19일부터 2007년 10월 12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다가 재임 중 사망했다.[4]
테인 세인(သိန်းစိန်my)은 2007년 10월 12일부터 2011년 3월 30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 그는 2010년 4월 29일까지 군부 소속이었으며,[5] 이후 통합단결발전당 소속으로 총리직을 이어갔다.[5]
3. 4. 미얀마 연방 공화국 (2011–2021)
2011년 3월 30일부터 2021년 8월 1일까지 미얀마의 총리직은 폐지되었다.3. 5. 2021년 쿠데타 이후
2021년 쿠데타 이후, 총리직은 쿠데타 세력과 반(反) 쿠데타 세력 간에 서로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쿠데타 세력인 미얀마군은 쿠데타 직후 국가행정평의회를 설치했지만, 일련의 행위가 헌법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며 약 반 년 동안 총리직을 부활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8월 1일, 국가행정평의회 의장인 민 아웅 흘라잉 국군 최고 사령관을 임시 총리로 하는 임시 정권을 발족했다.[10]
반면 반 쿠데타 세력은 연방 의회 대표 위원회(CRPH)가 2021년 3월 2일 사실상의 임시 정부인 임시 내각을 수립했을 때는 총리직을 부활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2021년 3월 31일 CRPH가 제정한 "연방 민주 헌장"(Federal Democracy Charter|한국어=연방 민주주의 헌장|my|ဖက်ဒရယ်ဒီမိုကရေစီ ပဋိညာဉ်영어)[11]에서 총리직 설치를 명시했기 때문에, 4월 16일 발족한 국민통합정부(NUG)는 쿠데타 전까지 (상원) 의장이었던 만 윈 카인 탄을 총리로 지명했다. 또한 "연방 민주 헌장"은 정부 구성원 중 하나로 국가 고문 직도 명시하여, 쿠데타 이전과 마찬가지로 아웅 산 수 치를 지명했다.[12][13][14][15][16]
미얀마 연방 공화국(국가행정평의회 및 임시 정부) | ||||
---|---|---|---|---|
총리 직책 폐지(2021년 2월 1일 - 2021년 8월 1일) | ||||
잠정 | 민 아웅 흘라잉 | 2021년 8월 1일 | (현직) | 군인 |
미얀마 연방 공화국(연방 의회 대표 위원회 및 국민통합정부) | ||||
총리 직책 폐지(2021년 2월 1일 - 2021년 4월 16일) | ||||
1 | 만 윈 카잉 탄 | 2021년 4월 16일 | (현직) | 국민민주연맹(NLD) |
참조
[1]
뉴스
Obituary: General Saw Maung
https://www.independ[...]
1997-07-28
[2]
뉴스
Saw Maung Is Dead at 68; Led a Brutal Burmese Coup
https://www.nytimes.[...]
1997-07-27
[3]
뉴스
Burma's prime minister 'arrested'
http://news.bbc.co.u[...]
2004-10-19
[4]
뉴스
Burma prime minister Soe Win dies
http://news.bbc.co.u[...]
2007-10-12
[5]
뉴스
Tight Censorship on Reporting USDP
http://www.irrawaddy[...]
2011-08-22
[6]
문서
상원의원과 장관은 모두 지역 대표원의 의원이어야 하며, 연방 정부는 하원에 대해 연대 책임을 져야 한다 (의원 내각제).
[7]
문서
국가 평의회: 인민 의회 (미얀마) (의회의 이름) 폐회 중에 법적 구속력을 가진 명령을 내릴 권한이 주어진 조직. 지역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선출된 국회의원 28명과 총리에 의해 구성되며, 의장은 대통령이 된다. 긴급 사태 선언과 조약의 체결·비준·탈퇴 등 높은 수준의 정치적 권한이 부여되었다.
[8]
문서
아웅산 수치 취임
[9]
뉴스
수치 씨 "국가 고문"으로 = 대통령이 법안 서명 - 미얀마
http://www.afpbb.com[...]
프랑스 통신사
2016-04-06
[10]
뉴스
미얀마 국군 최고위 인사, "임시 총리" 취임 23년 8월까지 총선
https://www.sankei.c[...]
2021-08-01
[11]
웹사이트
미얀마 연방 민주주의 헌장의 가역 (2)
https://note.com/kke[...]
note
2021-04-12
[12]
뉴스
수치 씨가 이끄는 정당 의원 등의 조직이 독자적인 정부를 발족
https://www3.nhk.or.[...]
NHKNEWSWEB
2021-04-16
[13]
웹사이트
Opponents of Myanmar's junta set up national unity government
https://www.reuters.[...]
2021-04-16
[14]
뉴스
အမျိုးသားညီညွတ်ရေးအစိုးရသစ်ဖွဲ့စည်းကြောင်း CRPH ကြေညာ
http://burmese.dvb.n[...]
2021-04-16
[15]
뉴스
အမျိုးသားညီညွတ်ရေးအစိုးရ NUG ဖွဲ့စည်းကြောင်း CRPH ကြေညာ
https://www.rfa.org/[...]
[16]
뉴스
အမျိုးသားညီညွတ်ရေးအစိုးရ ဖွဲ့စည်းခြင်း
https://www.facebook[...]
Committee Representing Pyidaungsu Hluttaw
2021-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