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오츠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오츠쿠시는 일본 오사카와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지닌 문양으로, 오사카시의 시 문장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단체와 기관의 심볼 마크로 활용된다. 특히 오사카시는 물론 오사카시 소방국, 오사카시 교통국, 오사카 시립 대학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인근 도시인 다카츠키시, 이즈미사노시, 게이한 전기 철도, 한큐 전철 등에서도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오사카 전기 궤도, 구 호소에정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사카시 - 제3고사사단
제3고사사단은 1945년 4월 28일 창설되어 가와이 기요시 소장이 지휘한 일본군 부대로, 한신 지역과 교토 등지에 전개되었으며 히로시마 원폭 투하 당시 피해를 입고 1945년 9월 11일 해체되었다. - 해상 안전 - 위험물
위험물은 안전한 운송을 위해 국제적으로 규제되며, 각 기구 및 국내 법률에 따라 분류, 포장, 표시 및 운송 관련 규제를 적용한다. - 해상 안전 -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은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을 계기로 제정되어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한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하며, 구명정 수, 비상 장비, 무선 감시 등 안전 절차를 규정하고 선박의 구조, 방화, 구명 설비, 무선 통신, 항해 안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미오츠쿠시 | |
---|---|
일반 정보 | |
종류 | 항로표지 |
용도 | 항만, 선박의 안전 확보 |
형태 | 나무, 돌, 철근 등으로 제작 |
설치 위치 | 항만의 입구, 항로의 굴곡 지점, 암초 지대 |
어원 | |
유래 | 썰물 때 갯벌 위에 드러나는 장대. 배가 항로를 따라 안전하게 운행하도록 표지 역할을 함. |
명칭 | 미오쓰쿠시 (일본어: 澪標 (みおつくし)) |
상징 | |
오사카 시의 시정 상징 | 오사카 시청에서 "미오쓰쿠시" 문양을 1894년에 처음 사용. 시 문장으로 공식 제정 (1900년).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미오쓰쿠시 오사카 시 문장 |
2. 역사
미오츠쿠시는 강 하구나 항만이 열린 곳에서 토사 퇴적으로 얕아져 배(선박)가 다니기 어려워 좌초될 위험이 있을 때, 비교적 수심이 깊은 '''미오'''와의 경계에 설치되어 항로를 나타내는 표지였다. 미오기(澪木)・미오보기(水尾坊木) 등으로도 불렸으며, 옛말로는 "혼기"라고 했다.
미오츠쿠시는 예로부터 "물의 도시"로 불리던 오사카(난바궁, 난바・나니와・오사카)와 관련이 깊으며, 1891년 오사카시 시 문장 등에 채택되었다. 과거 관동에서는 가미가타의 난바를 본받아 1591년 스자키에 수로 표지가 설치되기도 했다. 와카에서는 수사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 1. 일본
미오츠쿠시는 강 하구나 항만이 열린 곳에서 토사 퇴적으로 얕아져 배(선박)가 다니기 어려워 좌초될 위험이 있을 때, 비교적 수심이 깊은 '''미오'''와의 경계에 설치되어 항로를 나타내는 표지였다. 미오기(澪木), 미오보기(水尾坊木) 등으로도 불렸으며, 옛말로는 "혼기"라고 했다.
오사카(난바궁, 난바・나니와・오사카)와 관련이 깊으며, 1891년 오사카시 시 문장 등에 채택되었다. 에도 시대 초기 미우라 조신의 『견문집』에 따르면, 1591년 스자키에 설치된 수로 표지는 스미다 하구를 운행하는 어부들이 기뻐하여 설치한 사람의 이름을 따 "노지 혼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와카에서 "미오츠쿠시"는 수사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헤이안 시대 모토요시 친왕의 "''괴로워하니 이제는 마찬가지, 난바의 미오츠쿠시를 다해도 만나고자 생각하네''(오구라 백인일수 20번)" 등이 대표적이다.
2. 1. 1. 기원
미오츠쿠시는 강의 하구나 항만이 열린 곳에서 토사 퇴적으로 얕아져 배(선박)가 다니기 어려워 좌초될 위험이 있을 때, 비교적 수심이 깊어 항행이 가능한 곳인 '''미오'''와의 경계에 설치되어 항로를 나타내는 표지이다. 미오기, 미오보기 등으로도 불렸으며, 옛말로는 "혼기"라고 했다. 혼기는 토사가 쌓이는 삼각주 하구 부근에 설치되어 만조 때 배의 운행 지표가 되었다.
미오츠쿠시는 예로부터 "물의 도시"로 불리던 오사카(난바궁, 난바・나니와・오사카)와 관련이 깊으며, 그 모양은 1891년 오사카시의 시 문장 등으로 채택되었다.
과거 관동에서는 가미가타의 난바를 본받아, 코마츠마치(小間物町)의 노지 부젠이 스자키에 수로 표지를 설치하여 만조 시의 가항 수로를 어부들에게 알렸다. 에도 시대 초기 미우라 조신의 『견문집』에 따르면, 1591년에 설치된 이 미오츠쿠시는 스미다 하구를 운행하는 어부들이 기뻐하여 노지의 이름을 따 "노지 혼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한, 와카에서 "미오츠쿠시"는 수사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헤이안 시대 모토요시 친왕의 "''괴로워하니 이제는 마찬가지, 난바의 미오츠쿠시를 다해도 만나고자 생각하네''(오구라 백인일수 20번)" 등이 대표적이다.
2. 1. 2. 오사카의 상징
미오츠쿠시는 예로부터 "물의 도시"로 불리던 오사카(난바궁, 난바・나니와・오사카)와의 관련성이 강하며, 그 의장은 1891년에 오사카시의 시의 문장 등으로 채용되었다.2. 1. 3. 에도 시대
에도 시대 초기 미우라 조신의 『견문집』에 따르면, 덴쇼 19년(1591년) 스자키에 수로 표지가 설치되었는데, 스미다 하구를 운행하는 어부들이 기뻐하여 설치한 사람의 이름을 따 "노지 혼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2. 1. 4. 와카
와카에서는 "미오츠쿠시"가 수사법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헤이안 시대에 모토요시 친왕이 읊은 "''괴로워하니 이제는 마찬가지, 난바의 미오츠쿠시를 다해도 만나고자 생각하네''(오구라 백인일수 20번)" 등이 대표적이다.3. 상징적 의미
미오츠쿠시는 강 하구 등에 항만이 발달하면서 토사가 퇴적되어 얕아진 곳에 설치된 항로 표지이다. 선박이 좌초되지 않도록 수심이 깊은 곳(미오)과의 경계를 표시했다. 미오기(澪木)・미오보기(水尾坊木) 등으로도 불렸으며, 고어로는 "혼기"라고 했다. 만조 시 배의 운행 지표가 되었다.
미오츠쿠시는 "물의 도시" 오사카(난바궁, 난바・나니와・오사카)와 관련이 깊으며, 1891년 오사카시의 시의 문장 등으로 채용되었다.
가미가타의 난바를 본받아 관동의 코마츠마치(小間物町) 노지 부젠이 스자키에 수로 표지를 설치하기도 했다. 에도 시대 초기 미우라 조신의 『견문집』에 따르면, 1591년 설치된 이 미오츠쿠시는 스미다 하구를 운행하는 어부들이 반겼으며, "노지 혼기"라고 불렸다.
와카에서는 "미오츠쿠시"가 수사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헤이안 시대 모토요시 친왕의 "괴로워하니 이제는 마찬가지, 난바의 미오츠쿠시를 다해도 만나고자 생각하네"(오구라 백인일수 20번) 등이 대표적이다.
4. 심볼 마크
미오츠쿠시는 오사카시를 상징하는 표식으로, 1894년(메이지 27년)에 제정된 오사카시 문장을 비롯하여 여러 단체 및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사카시 외에도 다카츠키시, 이즈미사노시, 게이한 전기 철도, 한큐 전철 등 다양한 곳에서 미오츠쿠시를 변형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오사카 전기 궤도(긴키 일본 철도)와 구 호소에정에서도 사용된 바 있다.
각 단체별 심볼 마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오사카시
오사카시의 시 문장은 1894년(메이지 27년)에 제정되었다.[3] 1948년(쇼와 23년)에 제정된 오사카시 소방국의 국장은 방패 안에 미오쓰쿠시가 그려져 있다. 2018년에 폐지된 오사카시 교통국의 국장은 상단에 미오쓰쿠시를 배치하여 "오사카시"를 나타내고, 하단에 "전"자를 변형한 글자를 배치하여 "전기국"(구 오사카시 전기국)을 나타냈다. 직원 제모의 모표와 제복 넥타이에도 미오쓰쿠시가 그려져 있었다.
오사카 시영 지하철(현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은 국장과는 별도로 심볼 마크(--)가 있었지만, 차량 측면에는 국장 플레이트도 부착되어 있었다. 오사카 시영 버스(현 오사카 시티 버스)는 시 문장을 그대로 사용했다.
오사카 시립 대학의 교장(학장)은 상업의 신 머큐리의 날개와 미오쓰쿠시, "대학" 두 글자를 조합한 것이다. 오사카 시의회의 시 의장은 원 안에 미오쓰쿠시를 세 개 조합한 것을 도안화한 것으로, 세잎의 클로버처럼 그려져 있다.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Osaka Metro)의 사장은 오사카시 교통국장을 계승했다.[3]
다음은 오사카시의 문장 또는 미오쓰쿠시를 활용하는 단체 및 시설들이다.
종류 | 단체/시설명 | 설명 |
---|---|---|
시 문장 및 시 기 | 오사카시 | 1894년(메이지 27년) 제정. |
국장 | 오사카시 소방국 | 방패 안에 미오쓰쿠시가 그려져 있다. 1948년(쇼와 23년) 제정. |
국장 | 오사카시 교통국 (2018년 폐지) | 상단에 미오쓰쿠시를 배치, "오사카시"를 표현. 하단에 "전"자를 변형한 글자를 배치, "전기국"을 표현. |
국장 (별도 심볼 마크 존재) | 오사카 시영 지하철 (현·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 | 차량 측면에 국장 플레이트 부착. |
시 문장 | 오사카 시영 버스 (현·오사카 시티 버스) | 시 문장을 그대로 사용. |
교장(학장) | 오사카 시립 대학 | 상업의 신 머큐리의 날개와 미오쓰쿠시, "대학" 두 글자를 조합. |
시 의장 | 오사카 시의회 | 원 안에 미오쓰쿠시를 세 개 조합. 세잎 클로버 모양. |
사장 |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 (Osaka Metro) | 오사카시 교통국장을 계승.[3] |
4. 2.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 (Osaka Metro)
오사카시 고속 전기 궤도(Osaka Metro)는 회사 마크로 오사카시 교통국장을 계승했다.[3]4. 3. 다카츠키시
다카쓰키시는 오사카시와 교토시의 중간에 위치함을 나타내기 위해 양 시의 시 문장을 조합한 디자인으로 시 문장 및 시 기를 사용하고 있다.[3]4. 4. 이즈미사노시
이즈미사노시는 시 문장 및 시 기에 미오쓰쿠시를 부채꼴로 디자인하여 사용하고 있다.4. 5.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전기 철도는 사표로 오사카시 문장의 미오츠쿠시를 6개 원형으로 배치하여 "京"자 모양을 표현하고, "게이한"을 상징하는 문양을 사용했다. 계열 회사인 신케이한 철도(현 한큐 교토 본선의 원형)도 오사카시 문장의 미오츠쿠시와 교토시 문장을 조합하여 "게이한"을 상징하는 사표를 사용했다.[3]4. 6. 한큐 전철
한큐 전철의 구 사표는 오사카시 문장의 미오쓰쿠시와 고베시 문장을 조합하여 "한신"을 심볼라이즈 한 한신 급행 전철의 사표를 둥글게 감싼 것이었다. 게이한 전기 철도와 합병하여 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발족했을 때, 6개의 각을 가진 원형("京"의 모양을 표현)을 조합하여 "게이한신"을 나타낸 것을 사용했다. 이는 한큐 전철로 개칭된 후에도 1992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3]
4. 6. 1. 한큐 버스
오사카 시영 버스(현 오사카 시티 버스)는 시 문장을 그대로 사용했다.[3] 한큐 버스는 한큐 전철의 구 사표와 유사한 사표를 현재도 사용하고 있지만, 버스 차체에는 "''H''" 이니셜에 "''HANKYU''" 문자가 들어간 마크를 사용하며, 원형의 각이 6개가 아닌 5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6. 2. 한큐 백화점
한큐 한신 백화점의 발족으로 현재는 변경되었지만, 한큐 백화점은 구 사표 및 상표로 구·한신 급행 전철의 사표를 감싸는 원 안쪽에 더 얇은 원을 더하여 2중으로 한 것을 사용했다.4. 7. 오사카 전기 궤도 (긴키 일본 철도)
오사카 전기 궤도(긴키 일본 철도)는 회사 마크에 미오츠쿠시와 도안화한 "奈"를 조합하여 한나(오사카-나라) 간을 잇는 철도임을 나타냈다.[4] 자회사인 간사이 급행 전철의 사표에도 미오쓰쿠시가 사용되었다.4. 8. 구 호소에정
구 호소에정은 1956년에 정 문장 및 정기를 제정하였다.[4]참조
[1]
웹사이트
大阪市:市名 市章 市歌 市の花 市政 (…>大阪市の紹介>プロフィール、歴史、市政年表)
https://www.city.osa[...]
大阪市
2018-04-21
[2]
문서
[3]
웹사이트
報道発表資料 地下鉄新会社の愛称・ロゴが決まりました
http://www.city.osak[...]
大阪市
2018-01-25
[4]
간행물
近畿日本鉄道の社章およびシンボルマークについて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16-05
[5]
웹인용
大阪市:市名 市章 市歌 市の花 市政 (…>大阪市の紹介>プロフィール、歴史、市政年表)
http://www.city.osak[...]
大阪市
2018-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