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루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루번은 센고쿠 시대에 다무라 씨의 본거지였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평정 이후 가모 씨, 우에스기 씨를 거쳐 1627년 가토 아키토시가 3만 석으로 다스리는 번이 되었다. 이후 마쓰시타 씨를 거쳐 1645년 아키타 씨가 5만 5천 석으로 들어와 메이지 유신까지 통치했다. 보신 전쟁 때는 신정부군에 가담했으나,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참여했다가 항복하여 영지를 보전했다. 폐번치현 이후 미하루현이 되었다가 후쿠시마현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시타씨 - 고바리번
고바리 번은 에도 시대 히타치국에 존재했던 번으로, 센고쿠 시대 격전지였던 이곳에 1603년 마쓰시타 시게쓰나가 입봉하며 처음 성립되었다가 1623년 폐지, 1679년 마쓰다이라 노리마사가 들어오며 재건되었으나 1682년 고모로번으로 이봉되며 완전히 폐지되었다. - 마쓰시타씨 - 마쓰시타 시게쓰나
마쓰시타 시게쓰나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고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서 공을 세웠으며, 여러 번의 이봉을 거쳐 무쓰 니혼마쓰 번의 번주가 되었으나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미하루정 - 나카사토촌 (후쿠시마현)
나카사토촌은 1889년 후쿠시마현 다무라군에 설치되어 1955년 미하루정에 편입되어 소멸된 촌으로, 현재 미하루정 남부에 위치하며 아부쿠마 고지에 속해 산악 지형을 이루었다. - 미하루정 - 나카쓰마촌 (후쿠시마현)
나카쓰마촌은 1889년에 후쿠시마현 다무라군에서 다카노스 촌 등 6개 촌이 합병하여 생성되었고 아부쿠마 고지대에 위치했으나, 1955년에 미하루정 등과 합병되어 소멸되었으며 일부는 고리야마시로 편입되었다.
미하루번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일본 |
시대 | 에도 시대 |
번 | 한 |
위치 | 후쿠시마현 미하루마치 |
역사 | |
시작 | 1627년 (분할 아이즈번) |
폐지 | 1871년 |
가문 변천 | 가토 씨 (1627년) 마쓰시타 씨 (1628년) 아키타 씨 (1644년) |
통치 가문 | |
가토 씨 (加藤氏) | 1627년 |
마쓰시타 씨 (松下氏) | 1628년 |
아키타 씨 (秋田氏) | 1644년 ~ 1871년 |
역대 번주 | |
가토 요시아키 (加藤嘉明) | 1627년 |
마쓰시타 시게쓰나 (松下重綱) | 1628년 ~ 1644년 |
아키타 도시스에 (秋田俊季) | 1645년 ~ 1676년 |
아키타 사다스에 (秋田定季) | 1676년 ~ 1720년 |
아키타 요시치카 (秋田頼季) | 1720년 ~ 1735년 |
아키타 아키스에 (秋田明季) | 1735년 ~ 1745년 |
아키타 요시마사 (秋田倩季) | 1745년 ~ 1778년 |
아키타 야스타카 (秋田安季) | 1778년 ~ 1783년 |
아키타 사다타카 (秋田定韶) | 1783년 ~ 1812년 |
아키타 도시마사 (秋田季理) | 1812년 ~ 1823년 |
아키타 히로스에 (秋田弘季) | 1823년 ~ 1833년 |
아키타 도모스에 (秋田知季) | 1833년 ~ 1868년 |
아키타 도시토모 (秋田映季) | 1868년 ~ 1871년 |
2. 역사
센고쿠 시대에 다무라 씨의 본거지였던 미하루는 오다와라 전투 불참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영지를 몰수당하고 가모 우지사토의 지배를 받았다. 1595년 도요토미 정권의 성할로 미하루 성은 폐성되었으나, 우에스기 씨의 지배를 거쳐 가모 씨의 지배가 부활한 1609년 이후 다시 사용되었다.[5]
1627년 가모 씨 대신 이요 마쓰야마 번에서 가토 요시아키가 아이즈 번으로 이봉되었고, 그의 차남 가토 아키토시가 3만 석으로 미하루에 들어왔으나, 같은 해 새 영주에 반대하는 잇키가 일어났다. 1628년 니혼마쓰 번주 마쓰시타 나가쓰나가 아키토시와 영지를 교환, 미하루에 왔으나 1644년 영지가 몰수되었다.
1645년 히타치 국 시시도 번에서 아키타 도시스에가 5만 5천 석으로 미하루 번에 들어왔다. 2대 번주 아키타 모리스케 때 동생 아키타 스케히사에게 5천 석을 분여, 미하루 번은 5만 석이 되었고, 폐번치현까지 아키타 씨 지배가 이어졌다.
보신 전쟁 때 다른 도호쿠 여러 번과 마찬가지로 신정부 측이었지만, 오우 진무 총독부 참모 세라 슈조 암살과 아이즈・구 막부군에 의한 시라카와 성 공략으로 인한 시라이시 회의가 오우에쓰 열번 동맹으로 변모했기 때문에 이에 가담한다. 관군 진충대에 의한 다나쿠라 성 함락, 센다이 번의 다나쿠라 성 방위 포기, 히라가타(平潟일본어)에 관군 상륙으로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 고노 히로나카 등의 알선으로 무혈 항복했다. 이로 인해 미하루 번은 적군이 되는 것을 피하고, 번 내를 병화에서 지켜내고 많은 인명을 구출했으며, 소령도 안도되어 메이지 유신을 맞이할 수 있었다.[5]
미하루 번이 "배신했다"라고 하는 아사카와 전투에 대해서는, 사료에 따라 내용이 모순되는 부분이 있어, "배신"이라는 통설은 증명하기 어렵다.[8]
186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미하루 번은 총 7252가구에 남성 17,034명, 여성 16,156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904가구가 사무라이로 분류되었다.
2. 1. 에도 시대 이전
센고쿠 시대 동안 미하루 주변 지역은 다무라 씨족의 통치를 받았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다무라 씨족이 영지를 잃자, 이 지역은 아이즈의 가모 우지사토의 영토가 되었다. 도쿠가와 막부가 수립된 후, 가모 씨는 시코쿠의 이요 국으로 이주되었고, 아이즈는 가토 요시아키에게 주어졌다. 1627년, 가토 요시아키는 미하루 지역을 그의 차남 가토 아키토키를 위한 3만 코쿠의 별도 영지로 분할했다.2. 2. 에도 시대
센고쿠 시대에 다무라 씨의 본거지였던 미하루 지역은 오다와라 전투에 불참한 이유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영지를 몰수당하고 가모 우지사토의 지배를 받았다. 1627년에는 가모 씨 대신 이요 마쓰야마 번에서 온 가토 요시아키가 아이즈 번으로 이봉되었고, 그의 차남 가토 아키토시가 3만 석 영지로 미하루에 들어왔다. 그러나 같은 해, 새 영주에 반대하는 잇키가 일어났다. 1628년에는 니혼마쓰 번주 마쓰시타 나가쓰나가 아키토시와 영지를 교환하여 미하루에 들어왔으나, 1644년에 영지가 몰수되었다.1645년, 히타치 국 시시도 번에서 아키타 도시스에가 5만 5천 석으로 미하루 번에 들어왔다. 2대 번주 아키타 모리스케 때 동생인 아키타 스케히사에게 5000석을 분여했기 때문에 미하루 번은 5만 석이 되었다. 이후 폐번치현까지 아키타 씨의 지배가 이어졌다. 에도 시대 동안 흉작과 기근이 반복되어 번 재정은 궁핍했다.[6]
보신 전쟁 때 미하루 번은 처음에는 신정부군 측에 가담했지만, 세라 슈조 암살과 아이즈・구 막부군에 의한 시라카와 성 공략으로 인해 시라이시 회의가 오우에쓰 열번 동맹으로 변모하자 이에 가담했다. 관군 진충대에 의한 다나구라 성 함락, 센다이 번의 다나구라 성 방위 포기, 그리고 히라가타(平潟일본어)에 관군이 상륙하자, 방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미마사네 칸이치로(三間正一郎일본어)의 노력과 고노 히로나카의 알선으로 무혈 항복했다. 이로 인해 미하루 번은 적군이 되는 것을 피하고, 번 내를 병화에서 지켜내고 많은 인명을 구출했으며, 소령도 안도되어 메이지 유신을 맞이할 수 있었다.[5]
미하루 번이 "배신했다"라고 하는 아사카와 전투에 대해서는, 사료에 따라 내용이 모순되는 부분이 있어, "배신"이라는 통설은 증명하기 어렵다.[8]
폐번치현 후, 구 미하루 번 영지는 미하루 현이 되었다가 히라 현, 이와사키 현을 거쳐 1876년에 후쿠시마 현에 편입되었다.[6]
2. 3. 막말(幕末)과 보신 전쟁
보신 전쟁 때 미하루 번은 센다이번이 신정부군의 깃발을 받들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신정부군 측에 가담했다. 그러나 세라 슈조(世良修蔵일본어) 암살과 아이즈번 및 구 막부군에 의한 시라카와 성 공격으로 시라이시 회의가 오우에쓰 열번 동맹으로 변모하면서, 미하루 번도 동맹 측에 가담하게 되었다.하지만 신정부군이 다나구라 성을 함락시키고, 센다이 번이 배신하면서 히라가타( 平潟일본어)에 신정부군이 상륙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한 미하루 번은 결국 동맹을 배신하고 신정부군에 항복했다. 이러한 항복에는 당시 미하루 번의 향사(郷士일본어)였던 고노 히로나카(河野広中일본어) 등의 알선이 있었다. 그 결과 미하루 번은 폐번치현 때까지 영지를 보전할 수 있었다.[6]
11대 다이묘인 아키타 아키스에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참여했으나, 보신 전쟁 중 아이즈 번이 쇼나이 번을 상대로 한 작전에 지원 병력을 파견하라는 요구를 거부했다. 그 이유는 번의 작은 규모와 군사적 약점 때문이었다. 이후 미하루 번은 고노 히로나카의 중재를 통해 삿초 동맹으로 편을 바꾸었고, 유신을 맞이할 수 있었다.
'''아키타 아키스에'''(秋田映季, 1858년 3월 15일 – 1907년 2월 19일)는 미하루 번의 11대(이자 마지막) 다이묘이자 아키타 씨의 13대 당주였다.
폐번치현 후, 구 미하루 번 영지는 미하루현이 되었다가 히라현, 반에이현을 거쳐 1876년에 후쿠시마현에 편입되었다.[6]
2. 4. 메이지 유신 이후
보신 전쟁 당시 11대 다이묘인 아키타 아키스에는 아직 미성년이었다. 미하루 번은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참여했지만, 1868년 4월 1일 쇼나이 번에 병력을 파견하라는 명령을 받았을 때, 작은 규모와 군사적 약점을 이유로 거부했다.[8] 1868년 7월 26일, 제국군 소속의 지역 사무라이인 고노 히로나카의 중재를 통해, 미하루 번은 삿초 동맹으로 편을 바꿨다. 이 탈주는 니혼마쓰 번과 센다이 번의 수비대를 놀라게 했고 전쟁의 종식을 재촉했다. 아키타 아키스에는 1871년 7월 폐번치현까지 번 지사로 남았다.[6]186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번은 총 7252가구에 남성 17,034명, 여성 16,156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904가구가 사무라이로 분류되었다.
폐번치현 후, 구 미하루 번 영지는 미하루현이 되고, 히라현, 반에이 현을 거쳐, 1876년에 후쿠시마현에 편입되었다.
3. 역대 번주
미하루번의 역대 번주는 다음과 같다.
# | 이름 | 재임 기간 | 가문 및 비고 |
---|---|---|---|
1 | 가토 아키토시 | 1627년 ~ 1628년 | 가토씨, 도자마, 3만 석 |
2 | 마쓰시타 나가쓰나 | 1628년 ~ 1644년 | 마쓰시타씨, 도자마, 3만 석 |
3 | 아키타 도시스에 | 1645년 ~ 1649년 | 아키타씨, 도자마 → 후다이, 5만 석(이후 5만 5천 석) |
4 | 아키타 모리스에 | 1649년 ~ 1676년 | 아키타씨 |
5 | 아키타 데루스에 | 1676년 ~ 1715년 | 아키타씨 |
6 | 아키타 요리스에 | 1715년 ~ 1743년 | 아키타씨 |
7 | 아키타 노부스에 | 1743년 ~ 1751년 | 아키타씨 |
8 | 아키타 사다스에 | 1751년 ~ 1757년 | 아키타씨 |
9 | 아키타 요시스에 | 1757년 ~ 1797년 | 아키타씨 |
10 | 아키타 나가스에 | 1797년 ~ 1803년 | 아키타씨 |
11 | 아키타 다카스에 | 1803년 ~ 1832년 | 아키타씨 |
12 | 아키타 도모스에 | 1832년 ~ 1865년 | 아키타씨 |
13 | 아키타 아키스에 | 1865년 ~ 1871년 | 아키타씨 |
3. 1. 가토 가문 (도자마, 3만 석)
3. 2. 마쓰시타 가문 (도자마, 3만 석)
마쓰시타 나가쓰나松下長綱|마쓰시타 나가쓰나일본어가 1628년부터 1644년까지 재위하였다.[1]
3. 3. 아키타 가문 (도자마, 5만 석 → 5만 5천 석)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石高|석고일본어 |
---|---|---|---|---|---|
1 | 아키타 도시스에|秋田俊季일본어 | 1645년 ~ 1649년 | 河内守|가와치노카미일본어 伊豆守|이즈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 |
2 | 아키타 모리스에|秋田盛季일본어 | 1649년 ~ 1676년 | 安房守|아와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3 | 아키타 데루스에|秋田輝季일본어 | 1676년 ~ 1715년 | 信濃守|시나노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4 | 아키타 요리스에|秋田頼季일본어 | 1715년 ~ 1743년 | 信濃守|시나노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5 | 아키타 노부스에|秋田延季일본어 | 1743년 ~ 1751년 | 河内守|가와치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6 | 아키타 사다스에|秋田定季일본어 | 1751년 ~ 1757년 | 主水正|몬도노쇼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7 | 아키타 요시스에|秋田倩季일본어 | 1757년 ~ 1797년 | 信濃守|시나노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8 | 아키타 나가스에|秋田長季일본어 | 1797년 ~ 1803년 | 河内守|가와치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9 | 아키타 다카스에|秋田孝季일본어 | 1803년 ~ 1832년 | 山城守|야마시로노카미일본어 | 종4위하 (従四位下일본어) | 50,000 석[1] |
10 | 아키타 도모스에|秋田肥季일본어 | 1832년 ~ 1865년 | 安房守|아와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11 | 아키타 아키스에|秋田映季일본어 | 1865년 ~ 1871년 | 信濃守|시나노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일본어) | 50,000 석[1] |
아키타 도시스에(1598년 ~ 1649년 2월 14일)는 시시도번의 2대 다이묘이자, 미하루번의 초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사네스에의 장남으로, 1614년 오사카 전투에 도쿠가와 군으로 참전했다. 1644년, 도쿠가와 막부는 아키타씨에게 고쿠다카를 55,000 고쿠로 증량하여 미하루 번으로 이전을 명령했다. 1649년 오사카성에서 근무하던 중 사망했다.
아키타 모리스에(1620년 ~ 1676년 2월 26일)는 미하루 번의 2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도시스에의 장남으로, 1649년 부친의 사망으로 다이묘가 되었다. 동생에게 5,000 고쿠를 분할해주어 영지의 고쿠다카를 줄였다. 1676년에 사망했다.
아키타 데루스에(1649년 ~ 1720년 10월 20일)는 미하루 번의 3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모리스에의 장남으로, 1676년 부친의 사망으로 다이묘가 되었다. 지역 산업으로 말 사육을 장려하여 번의 재정을 크게 개선했고, 번의 지위를 도자마 다이묘에서 후다이 다이묘로 격상시켰다. 1715년 아들의 죽음으로 번의 모든 업무에서 물러났다. 1720년에 사망했다.
아키타 요리스에(1696년 ~ 1743년 7월 21일)는 미하루 번의 4대 다이묘였다. 아키타씨의 가신이자 먼 친척인 아라키 다카무라의 장남으로, 1715년 아키타 데루스에에게 입양되었다. 1720년 데루스에의 사망으로 다이묘가 되었으나, 아라키의 권력에 반대하는 가신들에 의한 오이에 소동이 발생했다.
아키타 노부스에(1721년 ~ 1773년 8월 23일)는 미하루 번의 5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요리스에의 장남으로, 1743년 부친의 사망으로 다이묘가 되었다. 1751년 동생을 양자로 삼아 후계자로 정하고 은퇴했다. 1773년 사망했다.
아키타 사다스에(1726년 ~ 1757년 7월 29일)는 미하루 번의 6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요리스에의 차남으로, 1751년 형의 은퇴로 다이묘가 되었다. 1757년에 사망했다.
아키타 요시스에(1751년 ~ 1813년 9월 4일)는 미하루 번의 7대 다이묘였다. 1784년에는 번에 흉작과 기근이 닥쳐 막부로부터 2,000 료를 빌려야 했다. 이듬해에는 에도의 번 저택이 불에 타 추가로 3,000 료를 빌렸다. 1797년에 은퇴했고, 1813년에 사망했다.
아키타 나가스에(1776년 ~ 1811년 8월 24일)는 미하루 번의 8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요시스에의 차남으로, 1797년 부친의 은퇴로 다이묘가 되었다. 1803년에 은퇴했으며, 1811년 36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아키타 다카스에(1786년 ~ 1845년 1월 2일)는 미하루 번의 9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요시스에의 셋째 아들로, 1803년 형의 은퇴로 다이묘가 되었다. 1832년에 은퇴했고, 1845년에 사망했다.
아키타 도모스에(1812년 ~ 1865년 5월 28일)는 미하루 번의 10대 다이묘였다. 아키타 다카스에의 장남으로, 1832년 아버지가 은퇴하면서 다이묘가 되었다. 1864년 닛코 동조궁의 경비를 책임졌다. 1865년에 사망했다.
아키타 아키스에(1858년 3월 15일 ~ 1907년 2월 19일)는 미하루 번의 11대(이자 마지막) 다이묘였다. 아키타 도모스에의 차남으로, 1865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다이묘가 되었다. 1868년, 미하루 번은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했지만, 보신 전쟁 중 아이즈번 지원을 거부했다. 이후 고노 히로나카가 메이지 정부에 항복을 조직했다. 1868년부터 1871년 폐번치현까지 번지사로 임명되었다. 1884년, 화족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귀족원 의원을 지냈다. 1907년에 사망했다.
4. 막말의 영지
미하루번은 대부분의 한과 달리, 주기적인 토지대장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바탕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여러 개의 단절된 영토로 구성되지 않고, 작고 연속적인 영지였다.[3][4]
- 무쓰국 (이와키)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Papinot
1906
[2]
웹사이트
Edo daimyo.net
http://www1.parkcity[...]
2006-08-29
[3]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1987
[4]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1987
[5]
간행물
田村地域の本城と支城
吉川弘文館
2013
[6]
웹사이트
三春藩
https://kotobank.jp/[...]
[7]
문서
仙台藩記
[8]
서적
補訂戊辰役戦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