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이 다이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다이 다이묘는 도쿠가와 쇼군가에 의해 등용된 다이묘로, 신판 다이묘나 토자마 다이묘, 그리고 그 분가를 제외한 세력을 지칭한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 가문에 복종한 다이묘, 또는 막부의 요직을 맡을 자격이 있는 다이묘를 의미하며, 하타모토에서 다이묘로 승격되거나 막부에 의해 새롭게 등용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남자 계통 친족인 18 마쓰다이라 가문과 그의 이복 동생 가문인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도 후다이 다이묘에 포함되었다. 후다이 다이묘는 막부의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도자마 다이묘를 감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바쿠마츠 시대에는 막부 쇠퇴와 관련된 정치 활동에 관여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화족으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의 다이묘 -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히데요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차남으로 태어나 아버지 사후 권력 다툼 속에서 몰락, 오사카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으며, 친자설 논란과 생존설이 제기되는 인물이다. - 에도 시대의 다이묘 - 도자마 다이묘
도자마 다이묘는 일본 역사 속에서 특정 권력자에게 외부인으로 간주된 다이묘를 지칭하며, 특히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는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복속한 다이묘들을 의미하고 차별 대우를 받았지만 막부 말기에는 반 막부 운동의 중심 세력이 되어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주었다.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후다이 다이묘 - 마쓰다이라 다다토모 (1634년)
마쓰다이라 다다토모는 에도 시대 이이야마 번을 다스린 다이묘로, 치수 사업, 관개 시설 정비, 신전 개발 등을 통해 번의 기반을 다지고 노다 기자에몬을 등용하여 번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오사카 가반 등 요직을 역임한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 후다이 다이묘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1790년)
마쓰다이라 노부유키(1790년)는 가미야마번의 7대 번주이며, 번교 덴포칸을 설립하고 번 통치에 힘썼으며, 1831년 장남에게 번주직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후다이 다이묘 | |
---|---|
개요 | |
유형 | 다이묘 |
존속 시기 | 에도 시대 |
주요 가문 | 도쿠가와 씨 |
특징 | |
봉록 | 1만 석 이상 |
신분 |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전부터 섬기던 가신 |
역사적 배경 | |
성립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간토 입봉 이후 |
분포 | 간토 지방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 |
역할 | 에도 막부의 정치 및 군사적 기반 |
주요 가문 | |
주요 가문 목록 | 사카이 씨 혼다 씨 오가사와라 씨 도이 씨 이타쿠라 씨 미즈노 씨 아베 씨 가타기리 씨 이나가키 씨 우에무라 씨 오타 씨 호리타 씨 핫타 씨 마쓰다이라 씨 나이토 씨 구제 씨 이시카와 씨 센고쿠 씨 히지카타 씨 와키자카 씨 마키노 씨 이노우에 씨 아오야마 씨 구로다 씨 오쿠보 씨 고리키 씨 이케다 씨 마쓰이 씨 안도 씨 혼조 씨 미우라 씨 모리 가문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목록 | 신판 다이묘 도자마 다이묘 |
2. 정의와 분류
후다이 다이묘는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가문을 말하며, 막부의 요직을 맡을 수 있는 자격을 가졌다. 오오쿠보 타다타카가 저술한 "미카와 이야기"에 따르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기반을 옮긴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종류로 나뉜다.
- 안조 후다이: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시대부터 마쓰다이라 씨족을 섬긴 가신들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가장 존경하고 중요하게 여겼다. 사카이 씨, 오쿠보 씨, 혼다 씨 등이 대표적이다.
- 야마나카 후다이: 마쓰다이라 기요야스가 야마나카 성을 점령한 후 섬긴 가신들이다.
- 오카자키 후다이: 마쓰다이라 기요야스가 오카자키 성으로 기지를 옮긴 후 섬긴 가신들로, 이이 씨, 사카키바라 씨, 도리이 씨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스루가 국을 통치하던 시절부터 섬긴 스루가 후다이도 존재한다.
마쓰다이라 씨 이외의 후다이 다이묘 가문들은 『유영비감』에 기록되어 있다. 단, 준후다이 다이묘는 에도 시대에 구별이 없었기 때문에 후다이 다이묘로 취급되었다.
후다이 다이묘의 분류에 대한 기록은 에도 시대에 쓰여진 서적에 의한 것으로,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카와 이야기』의 저자인 오오쿠보 타다타카는 자신의 가문인 오쿠보 씨를 안조 후다이라고 기록했지만, 실제로는 야마나카 또는 오카자키 후다이 가문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12]
2. 1. 후다이 다이묘의 정의
후다이 다이묘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말기 센고쿠 시대 동안 전국적인 지위로 부상하기 전부터 저명한 도쿠가와 씨족을 섬겼던 가문과 씨족에서 기원했다.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권력을 잡으면서 ''후다이 다이묘'' 계급이 생겨났다. 이에야스가 명성을 얻으면서 그의 ''한''(영지)이 늘어났고, 영지가 늘어나자 그는 자신의 가신들에게 토지를 나누어주었고, 그렇게 하나 둘씩 많은 이들이 강력한 봉건 영주인 ''다이묘''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 가문에 신종하여 등용된 다이묘를 가리킨다. 막부의 요직에 취임할 자격이 있는 다이묘를 가리킨다.
오오쿠보 타다타카가 저술한 "미카와 이야기"에 따르면, 그들은 안조 후다이, 야마나카 후다이, 오카자키 후다이로 나뉜다.
- 안조 성을 기반으로 삼았을 때 마츠다이라 씨족을 섬겼던 가신들은 안조 후다이
- 야마나카 성을 점령한 후 섬겼던 가신들은 야마나카 후다이
- 오카자키 성으로 기지를 옮긴 후 섬겼던 가신들은 오카자키 후다이
역사가 오와다 야스츠네에 따르면, 안조 후다이 가신들은 마츠다이라 기요야스의 시대부터 마츠다이라 씨족을 섬겼다. 따라서 이에야스는 그들을 매우 존경했고, 안조 후다이 가신들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마쓰다이라(松平) 씨 이외의 순서는 『류에이히칸(柳営秘鑑)』에 준했다. 단, 준후다이 다이묘(準譜代大名)(에도 시대에는 구별이 없었기 때문에 후다이 취급)는 해당 항목을 참조.
- 안쇼 후다이(安祥譜代) (7가)
- 사카이 씨
- 오쿠보 씨
- 혼다 씨
- 아베 씨
- 이시카와 씨
- 아오야마 씨
- 우에무라 씨
- 또는 사카이, 오쿠보, 혼다, 사카키바라, 히라이와, 우에무라라고도 한다. (6가만 게재되어 있다. 위에 언급된 아베, 이시카와, 아오야마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 오카자키 후다이(岡崎譜代) (16가)
- 이이 씨
- 사카키바라 씨
- 도리이 씨
- 토다 씨
- 나가이 씨
- 미즈노 씨
- 나이토 씨
- 안도 씨
- 쿠제 씨
- 미카와 이노우에 씨
- 아베 씨
- 아키모토 씨
- 와타나베 씨 (하쿠타 번)
- 이타미 씨
- 야시로 씨
- 류에이히칸에서는 15가지만 기재되어 있지만, 안쇼 후다이 7가의 다른 예시인 히라이와 씨를 포함하여 16가의 의미
- 스루가 후다이
- 이타쿠라 씨
- 오타 씨(오타 모토무네 류)
- 니시오 씨
- 츠치야 씨
- 모리카와 씨 (오이바라 번)
- 이나바 씨 (이나바 마사나리의 계통, 노토노카미 가는 토자마)
- 토도 씨
- 다카기 씨 (단난 번)
- 호리타 씨 (출신으로 미카와 중이기 때문에 후다이인 이유는 불명)
- 미카와 마키노 씨(우시쿠보 마키노 씨)
- 오쿠다이라 씨
- 오카베 씨
- 오가사와라 씨
- 쿠치키 씨
- 스와 씨
- 호시나 씨
- 토키 씨
- 이나가키 씨
- 잇시키 단바 씨
- 미우라 씨
- 토야마 씨
- 카가 씨
- 우치다 씨
- 코보리 씨
- 미카와 사이고 씨
- 오쿠다 씨
- 모리 씨(나이젠 가, 단절)
- 야마구치 씨 (우시쿠보 번)
- 야규 씨
- 하치스카 씨 (아와 토미타 번 가・폐번)
- 마스야마 씨
- 조쿄 원년 12월부터 후다이 - 미즈타니 씨 (준후다이인 아키타 씨・아리마 씨(아리마 하루노부 계)・소마 씨와 동시)
-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 이후의 후다이 - 혼조 씨
- 교호 이후의 후다이 - 카노 씨、아리마 씨(아카마츠 씨 분가)
- 간세이 이후의 후다이 - 와키자카 씨 (준후다이에서 발탁)
- 『류에이히칸』에는 미기재 - 타누마 씨、마베 씨、미카와 마츠이 씨、야나기사와 씨、오카 씨
- 마쓰다이라 일문 - 오다이 마쓰다이라 가、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타키와키 마쓰다이라 가、타케야 마쓰다이라 가、나가사와 마쓰다이라 가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노미 마쓰다이라 가、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 (이요 마쓰야마 번・이세 쿠와나 번 이외)、후카미조 마쓰다이라 가、후지이 마쓰다이라 가
2. 2. 후다이 다이묘의 기원 (영어 문서 기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말기 센고쿠 시대 동안 전국적인 지위로 부상하기 전부터 저명한 도쿠가와 씨족을 섬겼던 가문과 씨족에서 후다이 다이묘가 기원했다. 여기에는 혼다, 사카이, 사카키바라, 이이, 이타쿠라, 미즈노 씨족 등이 포함된다.[12]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이전에 도쿠가와의 가신이 아니었던 오가사와라, 도이 등도 ''후다이''로 간주되었다. 혼다 타다카츠,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사카이 타다츠구, 이이 나오마사—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천왕"—는 모두 에도 시대 이전의 ''후다이''였으며, 이후 ''후다이 다이묘''가 되었다. 도쿠가와 씨족의 기원이 된 마쓰다이라 씨족의 일부 분가도 마쓰다이라 이름을 유지하면서 ''후다이''로 분류되었다.[12]
오오쿠보 타다타카가 저술한 "미카와 이야기"에 따르면, 후다이는 안조 후다이, 야마나카 후다이, 오카자키 후다이로 나뉜다.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시대부터 마쓰다이라 씨족을 섬긴 안조 후다이 가신들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매우 존경했고, 중요하게 여겼다. 안조 후다이로는 이시카와, 오오쿠보, 나이토, 아베, 아오야마, 우에무라, 히라이와, 나루세, 사카이, 혼다 및 와타나베 씨족이 있었다.[12]
- 『유영비감』에서는 안쇼 후다이(7가), 오카자키 후다이(16가), 스루가 후다이의 3구분, 그 외 후세에 추가된 4종류로 분류하고 있다.[12]
- 『미카와 이야기』(오쿠보 타다토모 저)에서는 안쇼 후다이, 야마나카 후다이, 오카자키 후다이라는 3가지 후다이 구분이 있으며, 유영비감과 마찬가지로 가장 오래된 안쇼 후다이는 노부미쓰, 지카타다, 노부타다, 기요야스, 히로타다를 섬긴 가신이라고 한다. 야마나카 후다이 및 오카자키 후다이는 기요야스가 야마나카·오카자키를 공략하여 본령으로 삼았던 시대부터의 가신이다.[12]
- 『미카와 후풍토기』의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항목에는 안쇼의 7후다이, 혹은 오카자키 야마나카의 후다이라는 기술이 보인다.[12]
후세 학자들의 연구서에는 "마쓰다이라 고 후다이", "이와쓰 후다이"라는 용어가 보이지만, 『유영비감』, 『미카와 이야기』 어디에도 이러한 용어는 없다. 도쿠가와 가문의 모체가 된 것이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이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는 안쇼 마쓰다이라 가문에 섬겼던 가신을 가장 오래된 가신으로 하고, 다른 마쓰다이라 분가에 섬겼던 가신을 다음으로 한다. 마쓰다이라 고 후다이, 이와쓰 후다이는 안조 마쓰다이라 가문을 포함한 마쓰다이라 씨 전체를 생각하여 연구자가 새롭게 정의한 용어이며, 역사적 용어는 아니다.[12]
에도 시대에 쓰여진 서적에 의한 분류도 당시의 인식에 의한 것이며, 역사적 사실인지 여부는 별개이다. 예를 들어, 『미카와 이야기』의 저자인 오쿠보 타다토모는 오쿠보 씨를 안쇼 후다이라고 적으면서, 일족의 구체적인 사적은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야마나카 공략 이후의 일만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오쿠보 씨가 실제로는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의 시대에 처음 섬긴 야마나카 혹은 오카자키 후다이 가문이었다는 사실을 숨긴 것이라는 설이 있다.[12]
2. 3. 좁은 의미의 도쿠가와 가문 후다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권력을 잡으면서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 가문에 충성하며 등용된 다이묘를 가리키는 후다이 다이묘 계급이 생겨났다. 좁은 의미에서 후다이 다이묘는 대대로 마쓰다이라 가문에 섬겼거나, 이에야스에게 발탁된 가문을 가리킨다. 이들은 충성한 시기에 따라 "안쇼 후다이", "오카자키 후다이", "스루가 후다이" 등으로 불린다.특히 가장 오래된 안쇼 후다이는 에도 성의 시코석(伺候席)에서 후한 대우를 받았으며, 가문이 몰락하더라도 곧 다시 부활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안쇼 후다이 출신인 이시카와 가문의 야스나가 · 야스카츠는 카즈마사가 가문을 떠나 도요토미 가문에 섬긴 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붙었다는 경력 때문에 도자마 다이묘(외양 다이묘)로 여겨졌다.
"미카와 이야기"에 따르면, 안조 후다이는 마츠다이라 기요야스의 시대부터 마츠다이라 씨족을 섬겼던 가신들로, 이시카와, 오오쿠보, 나이토, 아베, 아오야마, 우에무라, 히라이와, 나루세, 사카이, 혼다 및 와타나베 씨족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은 좁은 의미의 도쿠가와 가문 후다이에 속하는 가문들의 목록이다.
분류 | 가문 |
---|---|
18 마쓰다이라 | 가타하라, 후카미조, 노미 (2가문), 오기유 (3가문·이시카와 마쓰다이라 포함), 사쿠라이, 후지이 (2가문), 나가사와 (2가문) |
외척 | 미즈노 (3가문), 히사마쓰 (4가문), 마스야마 |
무공의 가문 | 사카이 (타다츠구 계열 2가문), 혼다 (타다카쓰 계열 5가문), 혼다 (야스시게 계열), 혼다 (나리시게 계열), 혼다 (야스토시 계열 2가문), 이이 (2가문), 사카키바라, 오쿠보, 이시카와 (2가문), 토리이 (2가문), 나이토 (6가문), 우에무라 (이에마사 계열), 우에무라 (야스카쓰 계열), 아베, 와타나베, 토다 (야스나가 계열), 토다 (타카쓰구 계열), 토다 (카즈치카 계열), 마키노 (야스나리 계열 2가문), 마키노 (노부나리 계열), 마쓰이, 미야케, 사이고, 토키, 타카기 |
집사·어역의 가문 | 사카이 (시게타다 계열 4가문), 도이 (3가문), 아베 (3가문), 아오야마 (2가문), 나가이 (3가문), 안도, 이타쿠라 (2가문), 이노우에 (2가문), 모리카와, 쿠제, 이나카키, 니시오, 미우라, 요네즈, 이타미 |
신참 가문 | 오쿠다이라 (2가문·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 포함), 오가사와라 (히데마사 계열 4가문), 오가사와라 (노부미네 계열), 오카베, 스와, 츠치야 (2가문), 야시로, 니와 (헤이지 계열), 야마구치, 카가츠메, 호조, 아키모토, 이나바 (마사나리 계열), 홋타 (2가문), 오타, 쿠치키, 우치다, 야규, 코보리 |
2. 4. 기타 후다이
가문 |
---|
사카이씨(酒井氏), 오오쿠보씨(大久保氏), 혼다씨(本多氏), 아베씨(阿部氏), 이시카와씨(石川氏), 아오야마씨(青山氏), 우에무라씨(植村氏) |
사카이씨(酒井氏), 오오쿠보씨(大久保氏), 혼다씨(本多氏), 사카키바라씨(榊原氏), 히라이와씨(平岩氏), 우에무라씨(植村氏) |
이이씨(井伊氏), 사카키바라씨(榊原氏), 토리이씨(鳥居氏), 토다씨(戸田氏), 나가이씨(永井氏), 미즈노씨(水野氏), 나이토씨(内藤氏), 안도씨(安藤氏), 쿠제씨(久世氏), 미카와 이노우에씨(三河井上氏), 아베씨(安倍氏), 아키모토씨(秋元氏), 와타나베씨(渡辺氏) (하카타번), 이타미씨(伊丹氏), 야시로씨(屋代氏) |
이타쿠라씨(板倉氏), 오오타씨(太田氏) (오오타 스케무네류), 니시오씨(西尾氏), 츠치야씨(土屋氏), 모리카와씨(森川氏) (오유미번), 이나바씨(稲葉氏) (이나바 마사나리 계통. 노토노카미가는 토자마), 토도씨(藤堂氏), 미카와 타카기씨(高木氏) (탄난번), 홋타씨(堀田氏) (출신이 미카와슈였기 때문에, 후다이의 이유 불명), 미카와 마키노씨(三河牧野氏) (우지쿠보 마키노씨(牛久保牧野氏)), 오쿠다이라씨(奥平氏), 오카베씨(岡部氏), 오가사와라씨(小笠原氏), 쿠츠키씨(朽木氏), 스와씨(諏訪氏), 호시나씨(保科氏), 토키씨(土岐氏), 이나가키씨(稲垣氏), 잇시키 니와씨(一色丹羽氏), 미우라씨(三浦氏), 토오야마씨(遠山氏) (나에기번), 카가씨(加賀氏), 우치다씨(内田氏), 코보리씨(小堀氏), 미카와 사이고씨(三河西郷氏), 오쿠다씨(奥田氏), 모리씨(毛利氏) (나이젠가. 단절), 야마구치씨(山口氏) (우시쿠번), 야규씨(柳生氏), 하치스카씨(蜂須賀氏) (아와 후쿠다번 가문. 폐번), 마시야마씨(増山氏) |
교호 원년 12월부터 후다이 - 미즈노야씨(水谷氏) (준후다이인 아키타씨(秋田氏), 아리마씨(有馬氏) (아리마 하루노부계), 소마씨(相馬氏)와 동시에) |
도쿠가와 츠나요시 시대 이후의 후다이 - 혼죠씨(本庄氏) |
교호 이후의 후다이 - 카노씨(加納氏), 아리마씨 (아카마츠씨 분가) |
간세이 이후의 후다이 - 와키자카씨(脇坂氏) (준후다이에서 발탁) |
『유영비감(柳営秘鑑)』에는 기재되지 않은 후다이 - 타누마씨(田沼氏), 마나베씨(間部氏), 미카와 마츠이씨(三河松井氏), 야나기사와씨(柳沢氏) |
- 위에 언급된 내용 중 일부는 6개 가문만 기재되어 있거나, 『유영비감(柳営秘鑑)』에는 15개 가문만 기재되어 있지만, 안죠 후다이 7대 가문의 별례인 히라이와씨를 포함하여 16개 가문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주석이 달려있다.
2. 5. 마쓰다이라 일문(松平一門)
에도 막부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남자 계통 친족인 18 마쓰다이라 중 다이묘가 된 자는 친번이 아닌 후다이 다이묘로 규정했다. 18 마쓰다이라는 이에야스의 조부인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시대까지 분가한 뿌리를 가진 18가문을 지칭한다. 이들은 간토 입부 이후 '고이치몬'이라고 불렸다.[3]이에야스의 이복 동생 가문인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도 친번이 아닌 후다이 다이묘(일문의 격)였다. 예를 들어,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는 타야스 도쿠가와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무쓰국시라카와 번의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에 양자로 들어가 후다이 다이묘로서 로주가 되어 간세이 개혁을 담당했다.[3]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중 가장 유력했던 이요국마쓰야마 번 번주와 이세국쿠와나 번 번주(일시 다카다 번→시라카와 번) 가문은 후다이 다이묘이면서 타야스 무네타케의 아들인 사다쿠니 · 사다노부를 양자로 들여 번주를 이었기 때문에 친번 대우를 받았다.[3]
그 외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의 여러 번은 다음과 같다.[3]
이들은 어디까지나 후다이 다이묘였다.
3. 후다이 다이묘의 역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도쿠가와 막부의 주요 직책은 대부분 ''후다이 다이묘''들이 맡았다.[3] 이들은 로주, 와카도시요리, 교토 쇼시다이 등 막부의 요직을 차지하며 중앙 정부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일반적으로 ''후다이 다이묘''들은 중앙 정부의 관료 기구에서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는데, 이는 대부분 각자의 영지 관할 구역에 제한된 ''도자마 다이묘''들과 대조된다. 그러나 이이 가문, 혼다 가문의 타다카츠 분가, 사카키바라 가문 등은 세습적으로 지방의 수호자 역할을 했고, 관료직보다는 군사적인 역할에 더 많이 봉사했다.[4]
마쓰다이라 가문처럼 가문은 ''후다이'' 신분에서 신판(도쿠가와 가문의 인정된 친척)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었다.[5][6] 또한, 수입이 증가하여 소득 수준이 10,000 코쿠를 넘은 하타모토는 ''후다이 다이묘''가 되기도 했다.
''후다이 다이묘''는 노중·와카도시요리를 비롯한 막부 요직에 취임할 자격이 있었다. 에도 막부는 쇼군가의 가정 기관이라는 명분상, 막부 요직에는 막말 및 오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후다이 다이묘'' 이외에서는 등용하지 않는 관행이 불문율로서 엄격하게 지켜졌다. 친번 출신자를 막부의 요직에 취임시키거나, 도자마의 대번을 정치 고문으로 막정에 참여시키지 않는 것이 도쿠가와 정권의 큰 특징이기도 하다.
호시나 마사유키의 4대 쇼군 이에쓰나의 후견은 예외적인 경우이나, 어떠한 막부의 요직에 취임하여 행해진 것은 아니다. 마사유키는 다이로 또는 제대로 된 직책으로서의 쇼군 후견역에 임명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호시나 가문(후의 아이즈 마쓰다이라 가문)은 친번이 아닌 후다이 취급을 받았으므로, 친번 다이묘가 막부 요직에 오른 예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또 다른 ''후다이 다이묘''의 역할은 ''도자마 다이묘''를 감시하는 것이다. ''도자마 다이묘''가 있을 때는, 같은 국내에 있는 ''후다이 다이묘''는 참근교대로 동시에 에도에는 재부시키지 않고, 반드시 재소(국허)에 남는 ''후다이 다이묘''를 배치했다. 더구나, ''도자마 다이묘''가 국지 다이묘이고, 한 국가의 모든 영지를 지행하고 있을 때는, 근린의 ''후다이 다이묘''나 친번이 이에 해당했다.
4. 바쿠마쓰(幕末)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시기
많은 후다이 다이묘들은 1853년부터 시작된 도쿠가와 막부의 점진적인 쇠퇴와 그 시기에 발생한 재개된 군사 활동인 바쿠마쓰 시대의 격렬한 정치 활동에 관여했다. 이러한 후다이 다이묘 출신 인물 중에는 마지막 로주 두 명인 오가사와라 나가미치[7]와 이타쿠라 가쓰키요[8]가 있었는데, 이들은 개혁과 쇠퇴하는 막부 강화에 적극적으로 힘썼다. 마쓰다이라 무네히데와 같은 이들은 외교 및 외무에 관여했다.
보신 전쟁 (1868년~1869년)에서 교토의 천황 지지자들이 메이지 유신을 통해 도쿠가와 막부에 대항하여 봉기했을 때, 오가키 번의 도다 가문과 쓰 번의 도도 가문과 같은 일부 후다이 가문들은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막부 편에 섰다. 그러나 막부가 그곳에서 패배한 후, 많은 후다이 가문들은 막부 편이나 에노모토 다케아키 휘하의 전 쇼군 군의 잔당 편을 들지 않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홋카이도에 에조 공화국을 세웠다.[9] 일부는 중립을 유지했으며, 다른 이들(오가키와 쓰의 영주 등)은 충성을 바꾸어 새 일본 제국군을 공개적으로 지원했다. 오가사와라 나가미치와 이타쿠라 가쓰키요는 황군과의 전투에서 소규모의 가신들을 이끌었다. 그러나 그들의 영지는 이미 황군에게 점령당했고, 황군을 위해 전쟁에 참여해야 했다.[10] 단 한 명의 후다이 다이묘인 조자이 번의 하야시 타다타카만이 1868년 초에 기꺼이 자신의 영지를 떠나 전 쇼군의 군대를 위해 대부분의 가신들을 이끌고 황군과 싸웠다.[11] 또한 혼슈 북부의 소수의 후다이들은 오우에쓰 열반 동맹의 일원으로, 동맹을 위해 싸웠지만 은퇴한 쇼군을 위해서는 싸우지 않았다.
국내 대부분의 후다이들은 메이지 시대에 평화롭게 진입하여 1871년 폐번치현까지 영지를 다스렸다. 그 후, 이전 후다이 다이묘 가문들은 새로운 일본 귀족 제도의 화족으로 전환되었다.
5. 주요 후다이 다이묘 영지(領地)
가문 | 주요 영지 |
---|---|
안쇼 후다이(安祥譜代) (7가) | 사카이 씨, 오쿠보 씨, 혼다 씨, 아베 씨, 이시카와 씨, 아오야마 씨, 우에무라 씨 |
오카자키 후다이(岡崎譜代) (16가) | 이이 씨, 사카키바라 씨, 도리이 씨, 토다 씨, 나가이 씨, 미즈노 씨, 나이토 씨, 안도 씨, 쿠제 씨, 미카와 이노우에 씨, 아베 씨, 아키모토 씨, 와타나베 씨 (하쿠타 번), 이타미 씨, 야시로 씨 |
스루가 후다이 | 이타쿠라 씨, 오타 씨(오타 모토무네 류), 니시오 씨, 츠치야 씨, 모리카와 씨 (오이바라 번), 이나바 씨 (이나바 마사나리의 계통, 노토노카미 가는 토자마), 토도 씨, 다카기 씨 (단난 번), 호리타 씨 (출신으로 미카와 중이기 때문에 후다이인 이유는 불명), 미카와 마키노 씨(우시쿠보 마키노 씨), 오쿠다이라 씨, 오카베 씨, 오가사와라 씨, 쿠치키 씨, 스와 씨, 호시나 씨, 토키 씨, 이나가키 씨, 잇시키 단바 씨, 미우라 씨, 토야마 씨, 카가 씨, 우치다 씨, 코보리 씨, 미카와 사이고 씨, 오쿠다 씨, 모리 씨(나이젠 가, 단절), 야마구치 씨 (우시쿠보 번), 야규 씨, 하치스카 씨 (아와 토미타 번 가・폐번), 마스야마 씨 |
조쿄 원년 12월부터 후다이 | 미즈타니 씨 |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 이후의 후다이 | 혼조 씨 |
교호 이후의 후다이 | 카노 씨, 아리마 씨(아카마츠 씨 분가) |
간세이 이후의 후다이 | 와키자카 씨 |
『류에이히칸』에는 미기재 | 타누마 씨, 마베 씨, 미카와 마츠이 씨, 야나기사와 씨, 오카 씨 |
마쓰다이라 일문 | 오다이 마쓰다이라 가, 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 사쿠라이 마쓰다이라 가, 타키와키 마쓰다이라 가, 타케야 마쓰다이라 가, 나가사와 마쓰다이라 가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 노미 마쓰다이라 가,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 (이요 마쓰야마 번・이세 쿠와나 번 이외), 후카미조 마쓰다이라 가,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 |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5
[2]
웹사이트
安城ゆかりの三河武士─徳川家臣団の中心となり家康を大名・旗本として支えた忠臣たち─
https://www.rekishij[...]
ABC, ARC, inc
2023-06-23
[3]
서적
Ooms
[4]
웹사이트
だから江戸幕府は260年も続いた…東大教授が考える「徳川家康にあって、織田信長になかったもの」
https://president.jp[...]
PRESIDENT Inc.
2024-06-05
[5]
웹사이트
Takada-han on Edo 300 HTML
http://www.asahi-net[...]
2008-03-14
[6]
웹사이트
Shirakawa-han on Edo 300 HTML
http://www.asahi-net[...]
2008-03-14
[7]
문서
Ogasawara's family background
[8]
문서
Itakura's Lordship
[9]
서적
Bolitho
[10]
웹사이트
Karatsu-han
http://jpco.sakura.n[...]
2008-03-14
[11]
서적
Aizu Boshin Senshi
[12]
서적
松平氏〈有徳人〉の系譜と徳川〈正史〉のあいだ
洋泉社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